디시위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디시위키는 2015년 리그베다 위키 사유화 사태 이후 디시인사이드 김유식 대표의 주도로 설립된 위키이다. 대한민국 법의 적용을 받음에도 불구하고 욕설, 비속어, 혐오 표현, 차별적 표현, 인신공격 등 문제가 지속적으로 발생하여 비판을 받는다. 디시위키는 이러한 반사회적 게시물에 대한 단속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경고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디시인사이드 - 박대기
박대기는 부산과학고와 서울대학교를 졸업하고 KBS 기자로 활동하며, 폭설 현장 보도로 유명해졌고, 라디오 프로그램에 출연하기도 했다. - 디시인사이드 - 운지천
운지천은 원래 광고 상품명이었으나, 노무현 전 대통령 사망 후 광고 패러디 이미지가 확산되며 '운지'라는 단어가 특정 인물 비하 은어로 사용되어 사회적 문제로 부각되었다. - 미디어위키 웹사이트 - 위키여행
위키여행은 여행 정보를 제공하는 위키 기반의 프로젝트로, 위키트래블에서 분리되어 위키미디어 재단으로 이전되었으며, 20개 이상의 언어로 운영되고 여행지, 여행 일정, 구어체 표현집, 여행 관련 주제 등의 정보를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다. - 미디어위키 웹사이트 - 국제 악보 도서관 프로젝트
국제 악보 도서관 프로젝트는 에드워드 W. 구오가 2006년에 시작하여 퍼블릭 도메인 악보를 공유하는 온라인 프로젝트로, 저작권 문제와 위기를 극복하고 베르너 이킹 음악 아카이브와의 합병, 구독 모델 도입 등을 통해 발전해왔으며, MERLOT 클래식 상 수상 및 PC 매거진 선정 최고의 웹사이트 100곳 중 하나로 인정받았다. - 한국어 웹사이트 - 다음
다음은 1995년 설립되어 검색, 커뮤니티, 뉴스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했으며, 2014년 카카오와 합병 후 현재는 카카오의 주요 서비스 중 하나이다. - 한국어 웹사이트 - 네이버
네이버는 1999년 설립된 대한민국의 기업 및 포털 사이트로, 검색 엔진을 기반으로 뉴스, 메일, 블로그, 쇼핑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며 대한민국 검색 시장 점유율 1위를 유지하고 해외 시장에도 진출했다.
디시위키 - [IT 관련 정보]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이름 | 디시위키 |
종류 | 위키위키 |
언어 | 한국어 |
소유자 | 디시인사이드 |
라이선스 |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4.0 |
운영 | |
시작일 | 2015년 6월 1일 |
종료일 | 2023년 10월 6일 |
제작자 | 디시인사이드 |
현재 상태 | 폐쇄(편집/문서 생성 제한, 보존) |
회원 가입 | 선택 |
영리적 | 영리 |
주소 | 디시위키 |
![]() |
2. 성립 배경
리그베다 위키가 2015년 3월 8일, 사유화 사태를 일으키자, 여기저기에서 리그베다 위키를 보이콧하는 움직임이 활발해졌다. 이에 디시인사이드의 김유식은 리그베다 위키 관리자들의 행보를 보고 차라리 자신이 위키를 만드는 게 낫겠다고 선언하며 위키미디어 서버를 알아보는 움직임을 보였다. 3개월 후, '디시위키'라는 이름으로 위키 미디어를 창립했다.[1]
디시위키는 대한민국에 서버가 있어 대한민국 법의 적용을 받음에도 불구하고 욕설, 비속어, 모욕적인 표현이 난무한다. 특정 종교 혐오, 장애인 혐오, 여성 혐오, 인종차별, 특정 지역·국가 혐오, 특정 정치 세력 혐오와 같은 차별적이고 혐오적인 표현을 사용하며, 심하면 패드립, 성적인 표현, 성희롱을 사용하기도 한다.[3][4][5]
[1]
뉴스
디시인사이드, 지식 백과 사이트 '디시위키' 오픈
https://news.naver.c[...]
아이뉴스24
2015-06-02
3. 비판
특정 인물 및 관련 문서에서는 감정적인 서술, 근거 없는 루머, 인신공격 및 명예훼손성 서술이 빈번하게 발생하여 악성 댓글의 위키 버전이라는 비판을 받는다. 이러한 문제는 디시인사이드의 극단적이고 과격한 성향에서 기인하는 것으로 분석된다.[3][4][5]
디시위키 대문에는 "'''최근 음란, 혐오, 차별적 언어 등 반사회적 게시물에 대한 당국의 강도 높은 단속이 이뤄지고 있습니다. 이용자 여러분도 아시다시피 디시위키도 예외는 아닙니다.'''"라는 경고 문구가 게시되어 있다.[6]
참조
[2]
뉴스
‘문과충’·‘문레기’…대학가 인문학 비하 ‘고삐 없는 질주’
http://www.hani.co.k[...]
한겨레
2020-02-05
[3]
뉴스
"던전앤파이터(던파)하는 애들은 정공"… 장총련, 장애인 비하 발언 삭제 요청
http://www.topdaily.[...]
톱데일리
2020-02-05
[4]
뉴스
"그것도 학교냐?" 이국종 교수도 당한 지방대 혐오
http://www.ohmynews.[...]
오마이뉴스
2020-02-05
[5]
뉴스
지방대생 사망사고 기사에 쏟아진 저주 "너무 충격적"
http://www.ohmynews.[...]
오마이뉴스
2020-06-08
[6]
웹인용
디시위키 대문
https://wiki.dcinsid[...]
2021-09-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