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디시인사이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디시인사이드는 1999년 김유식에 의해 디지털 카메라 관련 정보를 공유하는 커뮤니티로 시작하여, 다양한 주제의 갤러리(게시판)를 운영하는 대형 웹사이트로 성장했다. 2000년대 초반 엽기, 누드 갤러리 등의 유행과 함께 다양한 주제로 확장되었으며, 현재는 정치, 사회, 문화 등 광범위한 분야를 다루고 있다. 디시인사이드는 한국 인터넷 문화의 중심지이자 유행어, 밈(meme)의 발상지로 평가받지만, 익명성을 기반으로 한 자유로운 소통으로 인해 사회적 물의를 빚기도 한다. 갤러리, 마이너 갤러리, 미니 갤러리 등 다양한 게시판 형태를 제공하며, 갤러리마다 고유한 문화를 형성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반여성주의 - 일베저장소
    일베저장소는 디시인사이드 코미디 프로그램 갤러리에서 시작된 온라인 커뮤니티로, 혐오 표현과 극우 성향의 정치적 입장을 특징으로 하며 사회적 갈등과 윤리적 문제점을 야기한다는 비판을 받는다.
  • 대한민국의 반여성주의 - 이대남
    이대남은 2010년대 후반부터 대한민국 20대 남성의 정치·사회적 특징을 나타내는 용어로, 문재인 정부의 페미니즘 정책에 대한 반감과 공정성 요구를 중심으로 형성되어 보수적인 성향을 띠며, 2022년 대통령 선거의 주요 변수로 작용하고 우파 및 사회 보수주의 세력의 지지 기반으로 활용된다.
  • 대한민국의 성 차별 - 일베저장소
    일베저장소는 디시인사이드 코미디 프로그램 갤러리에서 시작된 온라인 커뮤니티로, 혐오 표현과 극우 성향의 정치적 입장을 특징으로 하며 사회적 갈등과 윤리적 문제점을 야기한다는 비판을 받는다.
  • 대한민국의 성 차별 - 네이트 판
    네이트 판은 2006년 네이트닷컴 게시판으로 시작하여 여러 변화를 거쳐 현재의 온라인 커뮤니티 형태를 갖추었으며, 사용자들은 다양한 주제 토론과 경험 공유를 통해 소통하고 특히 톡톡 섹션은 활발한 참여로 큰 규모를 자랑한다.
  • 디시인사이드 - 박대기
    박대기는 부산과학고와 서울대학교를 졸업하고 KBS 기자로 활동하며, 폭설 현장 보도로 유명해졌고, 라디오 프로그램에 출연하기도 했다.
  • 디시인사이드 - 운지천
    운지천은 원래 광고 상품명이었으나, 노무현 전 대통령 사망 후 광고 패러디 이미지가 확산되며 '운지'라는 단어가 특정 인물 비하 은어로 사용되어 사회적 문제로 부각되었다.
디시인사이드 - [IT 관련 정보]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DC 인사이드
영어DC Inside
한글디시인사이드
한자(제공된 정보 없음)
로마자 표기Disiinsaideu
유형인터넷 포럼
상업 여부부분적으로 상업적
등록선택 사항
개설1999년 10월
현재 상태활발히 운영 중
작성자김유식
소유주DCinside Corp.
웹사이트디시인사이드 메인
DC 인사이드 로고
DC 인사이드 로고
회사 정보
회사명㈜디시인사이드
원어dcinside
형태주식회사
창립1999년 10월
2000년 3월 (㈜디지탈인사이드)
2009년 1월 (㈜디시인사이드)
창립자김유식
장소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77길 14 (삼성동)
인물김유식 (대표이사)
산업인터넷
서비스포털 사이트 운영
대표 제품갤러리, 갤로그, 디시뉴스, 디시위키, 디시게임
종업원50명
재무 정보 (2023년)
매출액184억 8678만 4794원
영업 이익98억 8287만 1696원
순이익91억 1600만 318원
자산 총액157억 4448만 7409원
기타
모기업커뮤니티커넥트(주)디시인사이드 사업보고서

2. 역사

1999년 김유식이 개설한 디시인사이드는 초기 디지털 카메라 커뮤니티에서 다양한 주제를 다루는 대형 커뮤니티로 성장했다.

초기에는 디지털 카메라 정보 공유를 중심으로 운영되었으나, 점차 엽기 갤러리, 누드 갤러리 등 다양한 주제의 갤러리들이 추가되었다. 스포츠, 학술, 정치 등 다양한 분야의 갤러리들이 개설되면서 밈 이미지 문화가 발생하기도 했다.

디시인사이드는 2004년 2ch 서버를 DoS 공격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악의적인 소문 유포, 국내외 경쟁 사이트 공격 등으로 비판받기도 한다.[22] 최근에는 여성 혐오적인 사상과 의견을 방치하여 한국 사회를 전복시키고 있다는 논란도 제기되었다.[28]

2. 1. 초기 (1999년 ~ 2000년대 초반)

1999년 10월 6일, 김유식에 의해 'Digital Camera Inside'라는 이름으로 개설되었다. 초기에는 디지털 카메라 정보, 리뷰, 사용자 사진 공유를 중심으로 운영되었다.[24][27] 2000년 3월, ㈜디지털인사이드로 법인 설립되었다.[1]

2000년대 초반, 엽기 갤러리가 사회적인 엽기 코드 유행으로, 누드 갤러리가 네티즌들의 호기심 등으로 인해 인기를 끌었다. 이 외에도 스포츠, 학술, 교육, 정치, 음식, 패션과 같은 일반적인 화제를 취급하는 갤러리도 개설되었다.[24] 초기 전자기기 얼리 어답터들이 주로 이용했으며, 이들은 디지털 카메라 기종의 성능, 가격에 대해 논의하거나, 찍은 사진이나 밈(meme) 이미지를 공유했다.

사이트 개설 초기에는 "게시자는 해당 게시판(갤러리)의 주제에 맞는 이미지 1개 이상을 첨부해야 한다"는 규칙이 있었다. 이 규칙을 따르지 않으면 게시물이 관리자에 의해 삭제될 수 있었다. 이 때문에 글을 쓰는 사람들은 삭제를 피하기 위해 어떤 이미지든 첨부하게 되었고, 이는 디시인사이드의 밈 이미지 문화 발생의 한 원인이 되었다.

2. 2. 확장과 변화 (2000년대 중반 ~ 현재)

2006년 당시 500개 이상의 활성 게시판(갤러리)을 보유하고 있었으며, 김유식은 2007년 후반까지 그 수가 1000개 이상으로 늘어날 것으로 예상했다.[2] 2009년에는 디지털 카메라 관련 정보 제공을 중단하고 일반적인 이미지 게시판 웹사이트로 변모하였다.

2013년에는 게시판 시스템을 제로보드에서 자체 시스템으로 변경하였다. 제로보드는 2006년부터 많은 사용자들이 보안 취약점과 대역폭 문제에 대해 불만을 제기할 정도로 알려져 있었다.[2]

2014년에는 1,600여 개의 갤러리, 하루 순 방문자 수 350만 명, 일일 페이지뷰 5천5백만 명을 기록하는 대형 커뮤니티로 성장하였다. 2015년 6월 1일에는 디시 위키가 오픈하였으며, 2016년 1월 13일에는 사용자가 원하는 갤러리를 직접 만들 수 있는 마이너 갤러리 기능이 생성되었다.[3] 2020년 12월 14일에는 익명으로 이용할 수 있는 미니 갤러리가 생겼다.

3. 문화

디시인사이드는 한국 인터넷 문화의 중심지이자 인터넷 유행어의 근원으로 알려져 있다. 많은 사람들은 한국 인터넷에서 유행하는 신조어, 은어, 합성 소재, 유머 자료 등이 대부분 디시인사이드에서 나왔다고 생각한다. 한 교수는 "한국 네티즌의 새로운 인터넷 문화가 디시인사이드에서 만들어졌고, 인터넷의 독특한 언어, 패러디, 폐인 문화, 놀이를 넘어 탄핵 무효 운동처럼 놀이에서 정치까지 다양한 영역에서 네티즌 문화의 중심지가 되었던 것은 사실"이라고 평가했다.[29]

갤러리마다 문화가 다르지만, 사용자들은 자신을 'x-붕이'(x는 갤러리 이름의 첫 음절)라고 부르는 공통점이 있다.[4] 세계 각지의 사람들이 모이는 웹 커뮤니티처럼 게시판마다 분위기가 매우 다르고, 이용자들의 성향을 한마디로 표현하기는 어렵다. 일본의 2ch와 비슷한 점도 보인다.

디시인사이드 사용자들은 스스로를 "갤러리 주민"을 뜻하는 갤러라고 부른다. 각 갤러리의 분위기는 다르지만, 디시인사이드 사용자들은 짤방, 약어, 오타, 금칙어 회피 등에서 유래한 공통된 문화("디시 슬랭")와 심성("디시 멘탈리티")을 공유한다.

디시인사이드는 이미지 게시판이라는 특성 때문에, 한국 인터넷에서 유행하는 많은 이미지의 발신원이었다.

3. 1. 특징

디시인사이드는 대한민국 인터넷 문화의 중심지이자 인터넷 유행어, 밈(meme)의 발상지로 평가받는다. 실제로 많은 사람들은 '한국 인터넷에서 유행하는 신조어, 은어들이나, 합성소재들, 유머 자료 등은 대부분 디시인사이드에서 파생되었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최근에는 페이스북과 같은 새로운 인터넷 커뮤니티의 등장으로 그 영향력이 줄어들고 있다는 평가도 있다.[29]

각 갤러리마다 독특한 문화를 형성하고 있으며, 사용자들은 자신을 'x-붕이' (x는 갤러리 이름의 첫 음절)라고 부른다.[4] 예를 들어, '막장 갤러리'의 이용자는 '막갤러'라고 불린다.

익명성을 기반으로 자유로운 소통이 가능하다는 특징이 있다. 회원가입 없이 글쓰기와 읽기가 가능하며, 운영진의 개입도 적은 편이다. 이러한 익명성은 격의 없고 솔직한 소통을 가능하게 하지만, 욕설, 비방, 혐오 표현도 빈번하게 발생시킨다.[5] 2007년부터는 계정을 등록하고 로그인하여 사용할 수 있는 옵션이 생겼지만, 그 전에는 완전한 익명성을 보장하였다.

디시인사이드는 대한민국에서 유행하는 농담, 유행어, 신조어의 주요 원천이기도 하다. 논란이 되는 사회적, 정치적 현상과 공인을 바탕으로 한 패러디, 풍자, 속어가 공유되며 다른 온라인 커뮤니티로 빠르게 확산되어 뉴스, 광고, 일상생활에까지 영향을 미치기도 한다.

디시인사이드에서 생겨난 대표적인 유행어는 다음과 같다.

  • 잉여: 사회에서 무능하고 쓸모없는 사람을 의미하며, 2010년 이전에 널리 사용되었다.[6]
  • 헬조선|헬조선한국어: 2015년 현재 반 한국주의로 악명 높은 역사 갤러리에서 생성되었다.[7] 이 단어는 한국에서 사는 것이 고되고 희망이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8]


이 외에도 야민정음과 같이 디시인사이드 특유의 언어 사용 방식도 나타난다.

디시인사이드는 1999년 10월 김유식에 의해 디지털 카메라 및 사진에 관한 커뮤니티 사이트로 시작되었다. 초기에는 디지털 카메라 관련 정보 공유와 밈 이미지 공개가 주된 목적이었으나, 점차 다양한 주제의 갤러리가 추가되면서 종합 커뮤니티로 발전하였다.

디시인사이드는 "게시자는 해당 게시판(갤러리)의 주제에 맞는 이미지 1개 이상을 첨부해야 한다"는 독특한 규칙을 가지고 있다. 이 규칙은 디시인사이드의 밈 이미지 문화 발생의 한 원인이 되기도 했다.

디시인사이드는 게시물 작성 및 열람이 활발하다는 점이 평가받는 한편, 악의적인 소문의 발신지라는 점과 국내외 경쟁 사이트에 대한 공격을 가하는 점이 비판받고 있다.[22]

3. 2. 정치 성향

2000년대 초창기 디시인사이드는 진보적 성향이었고, 노무현진보 또는 민주당 계열 인사를 지지하는 편이었다. 2002년 대통령 선거에서도 노무현 후보에 대한 지지 여론이 높았다. 2004년에는 노무현 대통령 탄핵 반대 시위를 벌이기도 하였다.[34] 2004년 디시인사이드 정치 세력의 구심점이었던 정치, 사회 갤러리(이하 정사갤)의 진보 성향 논객들이 오프라인에서 전여옥 의원과의 토론에 패배하고 정사갤에서 떠난 이후, 보수 이용자가 대거 유입되면서 성향이 바뀌었다. 2008년 광우병파동 시위 때의 주도적 역할과 4대강 반대운동 등의 사건으로 대다수 갤러리는 진보적 성향이 강했지만, 2009년을 기점으로 보수 성향 유저들의 목소리가 커지며 주도권을 잡기 시작한다.[35]

일베저장소의 등장으로 디시에 있던 극우 성향의 유저들 다수가 빠져나갔지만, 2016년 이후 일베저장소 회원들이 디시인사이드로 유입되면서 보수화되었다. 전체적으로 중도우파 계열에 자유주의 성향이 강하며 문재인 대통령 집권 이후부터는 반문재인, 반민주당 성향도 짙어졌다.

하지만 갤러리마다 공산주의, 사회민주주의, 사회자유주의, 여성주의, 중도주의, 고보수주의, 대안우파, 파시즘 등 다양한 성향이 공존하여 보수, 진보로 규정하기는 어렵다. 극우파 성향을 띠는 갤러리도 있고, 더불어민주당이나 국민의힘 지지자, 사회주의 운동가 등이 활동하는 갤러리도 있어 진보보수 이용자가 전체적으론 균형을 맞추고 있다.[36]

3. 3. 비판

초창기 디시인사이드는 비교적 예의를 중시하는 사이트였으나, 악플러 '씨벌교황'의 영향으로 욕설과 악플이 생겨났다.[30][31][32] 운영진의 개입이 적고 회원가입 없이 글쓰기와 읽기가 가능한 자유로운 분위기는 많은 접속자를 모았지만, 사회적 물의를 일으키는 사건, 사고를 발생시켜 비판받기도 한다. 이는 루리웹 등 다른 온라인 커뮤니티가 디시인사이드에 반감을 가지는 계기가 되기도 한다.[33]

2000년대 후반부터 특정 지역을 비하하는 지역드립 성향이 나타났고, 2014년 세월호 침몰 사고 이후에는 자국 비하 경향이 심화되었다. 최근에는 남녀 갈등, 사회 이슈에 대한 자극적인 게시글과 비하, 혐오 표현이 실시간 베스트에 자주 올라오면서 특정 성향 사용자들의 분포가 강하게 나타난다.

많은 갤러리들이 여성 혐오 혐의를 받고 있으며,[15] 야구 갤러리는 성폭력 피해 교사에 대한 "2차 가해"로 비판받았다.[16] 중동호흡기증후군 유행 당시 메르스 갤러리에서는 메르스 감염 의심을 받은 홍콩 여행 여성들을 "김치녀"라고 비난하는 등 여성혐오적 용어가 사용되었다.[17]

이에 대한 반발로 페미니즘 지지자들이 한국 남성을 조롱하는 "김치남"이라는 용어를 만들었고, 디시인사이드의 "김치남" 사용 금지 정책은 차별 논란을 일으켜 메갈리아 생성의 계기가 되었다.[18][19]

4. 갤러리

디시인사이드에서 운영하는 여러 서비스 중에서도 가장 대표적인 것이 갤러리이다. 갤러리는 각 분야별로 사진과 정보를 다루는 게시판으로 구성되어 있지만, 본래의 목적과는 다르게 사용되기도 한다. 갤러리는 줄여서 '갤'이라고 부르며, 각 갤러리의 이름은 보통 앞 단어의 한두 음절을 따서 '갤' 앞에 붙이는 방식으로 줄여 부른다. 예를 들어, 국내야구 갤러리는 '야갤'이라고 줄여 부른다. 연예인 갤러리도 있으며, 연예인이 아니더라도 특정 인물의 이름을 딴 갤러리가 존재하기도 한다.

운영 초기에는 사진이 없으면 게시물이 삭제되었기 때문에, 게시물 내용과 관련 없는 사진을 올리는 경우가 많았다. 여기서 짤방이라는 용어가 생겨났으며, '갤러리'라는 이름도 사진을 올리는 특성에서 비롯되었다.

2016년 1월 13일에는 사용자가 직접 갤러리를 만들 수 있는 마이너 갤러리 기능이 생겼다. 마이너 갤러리는 운영진의 통제 하에 놓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며, 활동량이 많은 마이너 갤러리는 정식 갤러리로 승격되기도 한다. 모든 갤러리는 처음에 마이너 갤러리로 개설된 후 정규 갤러리로 승격되는 형태를 취하며, 승격을 원하지 않으면 계속 마이너 갤러리로 남게 된다.

2020년 12월 14일에는 마이너 갤러리보다 더 폐쇄적인 미니 갤러리 기능이 추가되었다. 미니 갤러리는 정식 갤러리로 승격되지 않으며, 중복 주제로 개설이 가능하다. 또한 비공개로 즉시 개설할 수 있으며, 멤버만 글을 쓸 수 있고, 익명 닉네임이 노출되는 등의 특징이 있다.

1999년 10월, 디시인사이드는 디지털 카메라사진술 커뮤니티로 시작하여, 이후 이미지 게시판을 추가하며 확장되었다. 초기에는 사용자가 직접 촬영한 사진을 올리는 것이 목적이었고, 게시물당 이미지 업로드 규칙이 있었으나 현재는 이 규칙이 사라졌다. 갤러리 주제는 정치, 과학, 위키, 스포츠, 게임 등 일반적인 카테고리부터 특정 연예인, K-pop 스타 전용 갤러리까지 다양하며, 사이트 관리자가 적절하다고 판단하면 새로운 갤러리가 생성된다.

4. 1. 종류

디시인사이드는 다양한 주제의 갤러리들로 구성되어 있다.

  • '''일반 갤러리''': 정치, 사회, 과학, 스포츠, 게임, 연예인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룬다. 널리 알려진 갤러리로는 HIT 갤러리(힛갤), 국내야구 갤러리(야갤), 정치, 사회 갤러리(정사갤) 등이 있다.
  • '''마이너 갤러리''': 2016년에 도입되었으며, 사용자가 직접 새로운 주제의 갤러리를 생성하고 운영할 수 있다.[3] 활동이 활발한 마이너 갤러리는 관리자에 의해 메인 갤러리로 승격될 수 있다.
  • '''HIT 갤러리''': 사이트 관리자가 웹사이트 전체에서 재미있고 유용한 게시물을 선정하여 다시 업로드하는 갤러리이다. 원본 게시물 작성자는 HIT 갤러리에서 게시물 삭제를 요청할 수 있다.


초창기 갤러리는 사용자가 직접 촬영한 사진을 업로드하는 곳이었으며, 게시물당 이미지를 업로드해야 하는 규칙이 있었다. 이 규칙은 현재 효력이 없다.

4. 2. 주요 갤러리

디시인사이드에서 운영하는 여러 서비스 중에서도 가장 대표적인 것이 갤러리다. 각 갤러리는 특정 분야의 사진과 정보를 다루는 게시판으로 구성되어 있지만, 원래 목적과는 다르게 사용되기도 한다. 갤러리는 줄여서 '갤'이라고 부르며, 각 갤러리의 이름은 보통 앞 단어의 한두 음절을 따서 '갤' 앞에 붙이는 방식으로 줄여 부른다. 예를 들어, 국내야구 갤러리는 '야갤'이라고 줄여 부른다.

널리 알려진 주요 갤러리는 다음과 같다.

  • HIT 갤러리 (힛갤): 디시인사이드 관리자가 웹사이트 전체에서 재미있고 유용한 게시물을 선정하여 올리는 갤러리이다.
  • 국내야구 갤러리 (야갤): 가장 활발한 갤러리이며, 디시인사이드의 수도라고 불리기도 한다.
  • 합성 갤러리 (구 합성-필수 요소 갤러리, 합필갤)
  • 카툰-연재 갤러리 (카연갤)
  • 애니-일본 갤러리 (애갤)
  • TWICE 갤러리 (트갤)
  • 정치, 사회 갤러리 (정사갤, 구 주식 갤러리)
  • 남자 연예인 갤러리 (남연갤)


이 외에도 다양한 주제의 갤러리가 존재하며, 연예인이나 특정 인물의 이름을 딴 갤러리도 있다.

4. 3. 운영 방식

갤러리는 사이트 관리자가 관리하며, 마이너 갤러리는 관리자(주딱, 주황색 배지) 또는 부관리자(파딱, 파란색 배지)가 관리한다. 관리자는 갤러리 생성 요청자에게 처음 할당되며, 다른 사용자에게 위임할 수 있다.[3] 관리자는 부관리자를 임명할 수 있다. '주딱'은 사용자 이름에 주황색 배지가 붙기 때문에 붙은 명칭이고, '파딱'은 파란색 배지가 붙기 때문에 붙은 명칭이다. 주딱|주황색 딱지한국어은 '주황색 딱지', 파딱|파란색 딱지한국어은 '파란색 딱지'의 줄임말이다.

5. 사건 및 사고

2015년, 메르스 갤러리에서 메르스 감염자로 오해받은 여성들이 '김치녀'라는 여성혐오적 표현으로 비난받는 사건이 발생했다.[17] 이에 대한 반발로, 페미니즘 지지자들이 한국 남성을 조롱하는 '김치남'이라는 용어를 사용하기 시작했다. 디시인사이드는 '김치남' 사용을 금지했는데, 일부 사용자들은 이를 차별로 여겼고,[19] 이는 결국 페미니즘 웹사이트 메갈리아 탄생으로 이어졌다.[18][19]

2016년 7월 4일, 경찰은 주가 조작을 목적으로 삼성 그룹 회장 이건희의 사망 루머를 유포한 혐의로 디시인사이드와 일베저장소를 압수수색했다.[20]

6. 용어 및 기타 서비스

디시인사이드의 용어 문서를 참조.

참조

[1] 웹사이트 (주)디시홀딩스 https://www.nicebizi[...] 나이스평가정보 2023-01-09
[2] 웹사이트 __디시_ 팔아먹었다_ 햏자들의 오해_ http://www.ohmynews.[...] 2006-11-21
[3] 웹사이트 DC Inside Minor Gallery http://gall.dcinside[...]
[4] 웹사이트 대한민국 움직이는 16대 커뮤니티 1- 더쿠, 에펨코리아, 네이트판, 디젤매니아 http://weekly.chosun[...] 2023-01-10
[5] 웹사이트 게시물에서 댓글까지 '핫이슈' '디시' 뜨면 세상이 출렁인다 http://www.sisapress[...]
[6] 웹사이트 젊은 층의 자조 섞인 유행어 '잉여인간' : 뉴스 : 동아닷컴 http://news.donga.co[...] 2021-03-13
[7] 웹사이트 지옥보다 못한 '헬조선' "노오력은 해봤냐"는 꼰대들 http://www.ohmynews.[...] 2023-01-10
[8] 웹사이트 청년 열에 일곱 "헬조선 떠나고 싶다" http://www.danbinews[...] 2023-01-10
[9] 웹사이트 10년, 강산 변해도 므흣한 '디시 폐인' https://www.sisain.c[...] 2023-01-10
[10] 웹사이트 "[아무튼, 주말] \"디시에 하루 게시글 75만개… 나는 멍석 깔아주는 하수인일 뿐\"" https://www.chosun.c[...] 2023-01-10
[11] 웹사이트 왜 국정원은 오유에 댓글을 올렸을까… : 뉴스 : 동아닷컴 http://news.donga.co[...] 2016-01-03
[12] 웹사이트 "[역사속 오늘리뷰] 10월 6일 디시인사이드 개설" http://www.financial[...] 2023-01-10
[13] 웹사이트 '[이슈] 민주당 커뮤니티에서도 \'이준석\' 비판 잇따라··"2030세대로서 배신감"' https://www.polinews[...] 2023-09-01
[14] 웹사이트 2019년, 디시 갤러리 연예인 성명서의 시대 https://www.xportsne[...] 2023-09-01
[15] 웹사이트 여성정치네트워크 "이재명, 여성 비하 사이트와 손 잡을 건가" https://www.hani.co.[...] 2021-11-11
[16] 웹사이트 '"좌빨페미, 메갈교사" … 성희롱 고발 교사에겐 \'2차 가해\'가 쏟아졌다' https://www.pressian[...] 2023-01-10
[17] 뉴스 An epic battle between feminism and deep-seated misogyny is under way in South Korea https://qz.com/80106[...] 2017-05-24
[18] 뉴스 Megalia: South Korea's Radical Feminism Community https://www.10mag.co[...] 2017-01-27
[19] 뉴스 Even Ilbe was made to feel contrition by the 'Megalia sisterhood' http://www.ohmynews.[...] 2017-01-27
[20] 웹사이트 경찰, 삼성 이건희 회장 사망설 게시된 '일베' '디씨인사이드' 압수수색…루머 게시글 확인 http://www.greenpost[...] 2020-04-26
[21] 웹사이트 キム・ウシクDCインサイド代表取締役とのインタビュー http://www.ohmynews.[...] ohmynews 2008-12-16
[22] 문서 ネチズンの動きは「もろ刃の剣」:コラム (佐々木 朋美) https://japan.cnet.c[...]
[23] 문서 2ちゃんねるの歴史
[24] 뉴스 '[역사속 오늘리뷰] 10월 6일 디시인사이드 개설' http://www.financial[...] 파이낸셜리뷰 2022-10-26
[25] 웹인용 (주)디시인사이드 2022년 기업정보 | 사원수 51명, 근무환경, 복리후생 등 기업정보 제공 https://www.saramin.[...] 2022-10-26
[26] 웹인용 dcinside.com Market Share & Traffic Analytics https://www.similarw[...] 2021-12-31
[27] 웹인용 정사갤 살인사건의 ´디시인사이드´는 어떤 사이트? - 일간스포츠 http://isplus.live.j[...] 2022-01-01
[28] 웹인용 researchgate https://www.research[...]
[29] 뉴스 '[인물탐구]김유식 DC인사이드 대표' http://weekly.khan.c[...] 주간경향 2022-10-26
[30] 뉴스 씨벌교황이 만든 인터넷 싸움 문화 https://zdnet.co.kr/[...] 지디넷 코리아 2022-01-01
[31] 웹인용 '[아무튼, 주말] "디시에 하루 게시글 75만개… 나는 멍석 깔아주는 하수인일 뿐"' https://www.chosun.c[...] 2022-01-01
[32] 뉴스 '전설의 악플러가 돌아왔다' https://news.naver.c[...] 2016-12-18
[33] 뉴스 혐오의 시대…일베·디씨·메갈 게시글 시정요구 급증 http://www.asiatoday[...] '종합일간지: 신문/웹/모바일 등 멀티 채널로 국내외 실시간 뉴스와 수준 높은 정보를 제공' 2016-12-18
[34] 뉴스 4.15심판 불꽃은 계속 타오른다
광화문 8만인파 '질서있는 난장' https://news.naver.c[...] 2016-12-18

[35] 뉴스 김유식 DC인사이드 대표 “네티즌,노 대통령에게서 완전히 돌아섰다” https://news.naver.c[...] 2016-12-18
[36] 웹인용 '디시' 향한 이재명과 윤석열의 구애, 저는 좀 우려됩니다 http://www.ohmynews.[...] 2022-01-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