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라바르나 1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라바르나 1세는 히타이트 고왕국을 건설한 인물로, 왕위 계승 서열에서 첫 번째는 아니었으나 푸-사르루마에 의해 후계자로 지명되었다. 그는 파파흐딜마흐와의 왕위 다툼에서 승리한 후, 텔레피누 칙령을 통해 그의 정복 활동이 알려졌다. 칙령에 따르면 그는 적들을 바다까지 몰아냈으며, 투와누와, 후피스나, 란다, 루스나 등 여러 도시에 자신의 아들들을 총독으로 임명했다. 수도는 쿠샤라였으며, 이 정복 활동을 통해 히타이트 제국의 토대를 마련했다. 라바르나 1세의 사망 후에는 왕비 타와난나의 사촌인 하투실리 1세가 왕위를 계승했으며, 라바르나와 하투실리가 동일 인물인지에 대한 논쟁이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쿠사라 - 아니타
    아니타는 기원전 18세기경 아나톨리아의 쿠샤라 왕국 왕으로서 아버지 피트하나의 뒤를 이어 영토를 확장하고 '대왕' 칭호를 사용했으며, 하투샤를 정복하고 파괴한 그의 업적은 히타이트어 문서인 "아니타 문서"에 기록되어 있다.
  • 쿠사라 - 하투실리 1세
    하투실리 1세는 기원전 16세기경 히타이트 왕국의 왕으로, 수도를 네사에서 하투사로 옮기고 정복 활동을 통해 히타이트의 세력을 확장했으며, 그의 통치는 "하투실리 연대기"를 통해 상세히 알려져 있고 말년에는 손자인 무르실리 1세를 후계자로 지명했다.
  • 기원전 16세기 통치자 - 태갑
    태갑은 상나라의 왕으로, 폭정을 일삼다 재상 이윤에 의해 유배되었으나 뉘우치고 복위하여 선정을 베풀었다고 전해지며, 갑골문에는 세 번째 왕으로 기록되어 있다.
  • 기원전 16세기 통치자 - 무르실리 1세
    히타이트 왕국의 왕인 무르실리 1세는 영토 확장과 바빌론 약탈 등의 원정으로 명성을 떨쳤으나, 귀환 중 암살당해 히타이트 왕국에 혼란을 초래했다.
  • 히타이트의 왕 - 하투실리 3세
    하투실리 3세는 히타이트 왕국의 왕으로, 조카의 왕위를 찬탈하고 이집트의 람세스 2세와 평화 조약을 맺어 시리아 지역의 안정을 도모했으며, 다양한 기록과 외교 문서를 남겼다.
  • 히타이트의 왕 - 무와탈리 2세
    무와탈리 2세는 기원전 13세기 히타이트 제국의 왕으로, 수도를 하투사에서 타르훈타사로 이전하고 카데시 전투에서 람세스 2세와 대결하였으며, 윌루사(트로이)와의 조약을 통해 히타이트의 영향력을 유지하려 했다.
라바르나 1세 - [인물]에 관한 문서
인물 정보
이름라바르나 1세
직업히타이트 제국의 왕
배우자타완안나
자녀여러 아들
생애
활동 시기기원전 17세기 초
전임자푸루갈마
후임자하투실리 1세
재위 기간기원전 1680년 - 기원전 1650년 (추정)
기타
업적은제 그릇에 라바르나 이름이 언급됨

2. 생애

라바르나 1세의 출생은 잘 알려져 있지 않다. '라바르나'('타바르나'라고 읽는 설도 있음)라는 이름이 본명인지 왕의 칭호인지도 불분명하다. 다만 후대의 히타이트 왕들은 "대왕"이라는 의미로 "라바르나"[6]를 칭하게 된다. 하투실리 1세와 동일 인물이며 단순히 개명 전후의 차이일 뿐이라는 설도 있지만, 각각에 대한 문자 사료에 차이가 보이므로, 다른 인물로 보는 견해가 강하다. 라바르나의 문서에는 머리말에 ''"국토는 작았다"''(하지만 라바르나가 크게 만들었다...로 이어진다)라고 상투구처럼 고하는 데 반해, 하투실리의 문서에는 이 문구가 보이지 않는다. 이는 라바르나의 정복 활동으로 하투실리가 즉위했을 때는 이미 넓은 국토를 얻고 있었다고 해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다만 이 시대에 대한 사료는 모두 후세의 히타이트인이 필사한 것이기 때문에, 한 인물의 칭호인 라바르나와 개인명인 하투실리를 다른 인물로 착각했다는 설도 있어 논의는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라바르나는 조상과 마찬가지로 Kuššara|쿠샤라hit를 수도로 삼았다. 쿠샤라의 위치는 불분명하지만, 크즐으르마크 강 남쪽에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기원전 1565년경 라바르나는 사망했고, 왕비 타와난나의 사촌인 하투실리 1세가 뒤를 이었다. 라바르나에게는 7명의 아들이 있었다고 기록되어 있어, 이 계승은 특이한 배경을 암시한다.

2. 1. 왕위 계승

푸-사르루마는 자신의 아들들이 자신에게 반란을 일으킨 후 라바르나를 후계자로 지명했다. 푸-사르루마가 죽자 라바르나는 푸-사르루마의 아들 중 한 명인 파파흐딜마흐와 왕위를 놓고 다투었고, 라바르나가 승리했다.[5]

2. 2. 통치와 정복 활동

라바르나 1세에 대해 알려진 것은 거의 없으며, 주로 텔레피누 칙령을 통해 그의 업적을 추정할 수 있다. 칙령에 따르면 그는 적들을 압도하여 "그들을 바다의 경계로 만들었다"[5]고 한다. 이 문구는 남쪽의 지중해 해안과 북쪽의 흑해까지 정복 활동을 펼쳤음을 시사한다.

라바르나는 투와누와, 후피스나, 란다, 루스나를 포함한 여러 도시(이 도시들의 정확한 위치는 불확실하지만, 아마도 티아나, 헤라클레아 키비스트라, 라란다, 리스트라로 추정된다.)에 자신의 아들들을 총독으로 임명했다. 그는 정복을 통해 훗날 히타이트 제국의 토대를 마련하는 데 기여했다.

텔리피누가 전하는 바에 따르면 "그는 적을 바다까지 몰아냈다"(=국경을 넓혔다)"라고 하므로, 지중해 또는 흑해까지 영토를 넓혔다고 생각할 수 있다. 이렇게 그에 의해 히타이트 왕국이 건국되었으며, 그 이후를 "'''히타이트 고왕국'''"이라고 부른다.

3. 히타이트 고왕국 건설

라바르나는 푸-사르루마가 자신의 아들들의 반란 이후 후계자로 지명하면서 왕위에 올랐다. 푸-사르루마가 사망하자 라바르나와 파파흐딜마흐는 왕위를 두고 다투었으나, 라바르나가 승리했다.[5]

라바르나는 조상과 마찬가지로 Kuššara|쿠샤라hit를 수도로 삼았다. 쿠샤라의 위치는 불분명하지만, 크즐으르마크의 남쪽에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그는 쿠샤라를 거점으로 후푸시나, Tuwanuwa|투와누와de, 네나사, Landa (Turquie)|란다프랑스어, 자랄라, 푸르슈안다, 루스나를 정복하고 각각 자신의 아들을 지배자로 보냈다고 한다. 후세의 텔리피누가 전하는 바에 따르면 "''그는 적을 바다까지 몰아냈다''(=국경을 넓혔다)"라고 하며, 이는 지중해 또는 흑해까지 영토를 넓혔음을 의미한다.[5]

이러한 정복 활동을 통해 히타이트 왕국의 기틀을 다졌으며, 이 시기부터를 '''히타이트 고왕국'''이라고 부른다.

4. 왕위 계승 논란

기원전 1565년경 라바르나는 사망했고, 왕비 타와난나의 사촌인 하투실리 1세가 뒤를 이었다. 라바르나에게는 7명의 아들이 있었다고 기록되어 있기 때문에,[6] 이 왕위 계승은 기이한 배경을 암시한다.

5. 라바르나 1세와 하투실리 1세의 동일 인물설

일부 학자들은 '라바르나'가 왕의 칭호이고, 하투실리 1세와 동일 인물이며, 개명 전후의 차이일 뿐이라고 주장한다. 그러나 라바르나와 하투실리에 대한 기록에 차이가 있어, 다른 인물로 보는 견해가 지배적이다. 라바르나의 문서에는 머리말에 반드시 ''"국토는 작았다"''(하지만 라바르나가 크게 만들었다...로 이어진다)라고 상투구처럼 고하는 데 반해, 하투실리의 문서에는 이 문구가 보이지 않는다. 이는 라바르나의 정복 활동으로 인해 하투실리가 즉위했을 때는 이미 넓은 국토를 확보했기 때문이라고 해석할 수 있다. 다만, 이 시대의 사료는 모두 후대의 히타이트인이 필사한 것이기 때문에, 한 인물의 칭호인 라바르나와 개인명인 하투실리를 다른 인물로 착각했을 수도 있다는 가설도 있어, 동일 인물설에 대한 논의는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6]

참조

[1] 논문 The Authorship of the Old Hittite Palace Chronicle (CTH 8): A Case for Anitta https://www.journals[...] 2020
[2] 서적 The Luwians Brill 2003
[3] 서적 The Kingdom of the Hittites Clarendon 1998
[4] 웹사이트 Program and Schedule - Middle Eastern Studies Conference Pages http://www.mesas.emo[...] 2010-05-16
[5] 웹사이트 https://web.archive.[...]
[6] 문서 家族名であった「カエサル (称号)|カエサル」が一般名詞化して君主号になった経緯に似ている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