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하투실리 3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하투실리 3세는 히타이트 왕국의 왕으로, 무와탈리 2세의 동생이며 무르실리 2세의 아들이다. 그는 군 사령관과 "윗나라" 장관을 거쳐 왕위에 올랐으며, 조카인 무르실리 3세의 통치에 반기를 들어 왕위를 찬탈했다. 하투실리 3세는 이집트의 람세스 2세와 평화 조약을 체결하여 카데시 전투 이후의 시리아 지역의 안정을 꾀했으며, 200통이 넘는 외교 문서가 발견되는 등 활발한 외교 활동을 펼쳤다. 그의 통치 시기에는 《변명》, 《타와갈라와 서신》 등 다양한 기록이 남겨졌으며, 하투샤에서 많은 점토판 문서들이 발견되어 히타이트 연구에 중요한 자료가 되고 있다.

2. 가계 및 초기 생애

하투실리 3세는 히타이트 왕 무르실리 2세와 왕비 가술라위야의 막내 아들로 태어났다.[3] 병약하게 태어나 성인이 될 때까지 살아남을 수 있을지 불확실했다.[4] 하투실리 3세는 자신의 생명을 구해준 이슈타르 여신에게 감사하며, 이후로도 이슈타르 신앙의 열렬한 후원자가 되었다.[3][2]

아버지 무르실리 2세는 하투실리를 삼후 마을의 수호신인 샤우슈카(이슈타르) 여신의 신관으로 삼았다. 형 무와탈리 2세가 왕위에 오르자 하투실리 3세는 군 사령관 및 근위대장을 맡았고, 이후 북쪽의 카슈카족을 방어하는 최전선인 "윗나라"의 장관으로 임명되었다. 무와탈리 2세가 수도를 타르훈타샤로 옮긴 후에는 하투사를 포함한 지역의 장관이라는 중책을 맡았으며, 속령 하쿠피슈의 부왕으로도 임명되었다.

카데시 전투에 참전한 후, 하투실리 3세는 라와찬티야의 이슈타르 신관의 딸 푸두헤파와 결혼했다.[5][6]

2. 1. 가족 관계

배우자자녀
푸두헤파장남: 카일 무르실리 (네리크의 카일, 태자였으나 폐위됨)[5][6]
차남: 타슈미 샤루마 (투드할리야 4세)[5][6]
3남: 후지야[5][6]
4남: 한누티[5][6]
5남: 호쉬니[5][6]
6남: 타타마루[5][6]
7남: 우프라무와[5][6]
8남: 타르훈타 피야[5][6]
푸두헤파장녀: 킬루스헤파 (이슈와의 아리 샤루마와 결혼)[5][6]
차녀: 가술라위야 (아무루의 벤테시니와 결혼, 샤우쉬가무와의 어머니)[5][6]
3녀: 마에트니프루레 (람세스 2세의 계비)[5][6]
4녀: 바벨론으로 시집감 (이름 미상)[5][6]
5녀: 람세스 2세의 비 (이름 미상, 언니의 뒤를 이음)[5][6]
6녀: 아무루 왕 샤우쉬가무와와 결혼 (이름 미상, 조카)[5][6]
이외의 자녀가 더 있었을 확률이 높음[5][6]


3. 왕위 계승 및 내전

무와탈리 2세가 죽자 하투실리 3세의 조카 무르실리 3세(우르히-테슈브)가 왕위에 올랐다. 무르실리 3세는 무와탈리 2세의 정실 아내가 아닌 첩의 아들이었기 때문에 왕위 계승에 논란이 있었다.[2] 그럼에도 하투실리 3세는 무와탈리 2세의 뜻에 따라 처음에는 무르실리 3세를 지지했다. 그러나 무르실리 3세는 수도를 타르훈타샤에서 하투샤로 다시 옮겼고, 이는 하투실리 3세의 권력을 크게 약화시켰다.[2] 또한 하투실리 3세는 하프키스와 네리크를 제외한 모든 영토를 빼앗겼다. 이로 인해 둘의 관계는 크게 악화되었고, 네리크마저 빼앗기자 하투실리 3세는 왕위를 찬탈하기로 결심했다.

하투실리 3세는 자신의 연대기에서 무르실리 3세가 네리크 장관 지위를 빼앗고 자신을 배제하려 했기에, 먼저 무르실리 3세를 추방하고 왕위에 올랐다고 주장한다. 한편, 무르실리 3세의 동생 쿨룬타를 타르훈타샤의 왕으로 임명하여 친 무르실리 3세 파를 회유하려 했다. 또한 하투실리 3세는 신의 도움을 받았음을 강조하여 자신의 즉위를 정당화했다.

4. 통치 및 업적

하투실리 3세는 형인 무와탈리 2세가 왕위에 오르자 히타이트 제국의 북부 지역 총독으로 임명되었다. 하투실리 3세는 군사력을 동원해 반대 세력을 빠르게 진압하고[7] 북부 히타이트 영토 주변의 새로운 영토를 정복하는 데 집중했다. 무와탈리 2세가 수도를 하투사에서 타르훈타샤로 옮기기로 결정했을 때, 하투실리 3세는 이로 인해 발생한 반란을 진압해야 했다.[2] 이후 하투실리 3세는 형에 의해 북부 영토의 왕으로 임명되었다.[2]

무와탈리 2세 사후, 하투실리 3세의 조카 우르히-테슈브가 왕위를 이었다. 우르히-테슈브는 무와탈리의 정실 아내가 아닌 첩의 아들이었기에 이 임명에는 논란이 있었다.[2] 그럼에도 하투실리 3세는 초기에는 우르히-테슈브의 왕위를 지지했는데, 이는 무와탈리 2세의 유언에 따른 것이었다. 무르실리 3세는 즉위 후 수도를 타르훈타샤에서 하투사로 다시 옮겼다. 이는 하투실리의 권력을 약화시키고 북부 영토 왕으로서의 역할을 무효화했다.[2] 또한 하투실리 3세는 하프키스와 네리크를 제외한 모든 영토를 빼앗겼다. 이로 인해 관계가 크게 악화되었고, 네리크마저 빼앗기자 하투실리 3세는 왕위를 찬탈하게 된다.

무르실리 3세를 폐위시킨 후, 하투실리 3세는 그를 시리아로 추방했다.[2][3] 이후 하투실리 3세는 자신이 직접 키운 쿠룬타를 무와탈리 2세의 다른 아들로 임명하여 타르훈타샤를 통치하게 했다.[2]

하투실리 3세의 통치는 이 시기에 발굴된 방대한 양의 서신과 기록으로 유명하다. 하투사 왕궁 유적에서는 200통이 넘는 서신이 발굴되었다. 《변명》, 타와갈라와 서신, 아르자와 서신 등은 당시 히타이트 제국을 이해할 수 있는 몇 안 되는 1차 사료로 꼽힌다.

4. 1. 이집트와의 평화 조약

하투실리 3세는 동쪽에서 세력을 확장하던 아시리아의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오랜 기간 적대 관계였던 고대 이집트와의 관계 개선을 추진하였다. 기원전 1259년, 하투실리 3세는 이집트의 파라오 람세스 2세와 평화 조약(카데시 조약)을 체결하였다.[2] 이 조약은 상호 불가침, 외적에 대한 공동 방위, 시리아 지역의 국경선 확정 등을 주요 내용으로 한다. 이 조약은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평화 조약 중 하나로, 국제 연합 본부에 사본이 전시되어 있다. 하투실리 3세는 자신의 딸 사우슈카누(마아트-호르-네페르-레)를 람세스 2세와 결혼시켜 동맹을 강화하였다.

4. 2. 외교 및 내정

하투실리 3세는 왕위에 오른 후 주변 여러 왕국의 통치자들과 활발한 외교 활동을 펼쳤다. 특히 이집트의 파라오 람세스 2세와 서신을 주고받았으며, 이는 최초로 기록된 평화 조약인 이집트-히타이트 평화 조약(카데시 조약)으로 이어졌다. 이 조약은 카데시 전투 이후 약 15년 후에 체결되었다.[2]

thumb/하투샤에서 발견된, 히타이트-이집트 평화 조약을 기록한 점토판 문서(이스탄불 고고학 박물관)]]

조약의 내용은 시리아에서의 국경선 확정, 상호 불가침, 외적에 대한 공동 방위 등을 규정하고 있었다. 이는 당시의 평화·동맹 조약으로서는 조문이 남아 있는 몇 안 되는 사례이며, 매우 중요하다. 정본은 은판에 기록되었고, 점토판에 복사한 것을 양국이 소유했지만, 은판 원본은 발견되지 않았다. 하투실리 3세는 람세스 2세에게 딸 사우슈카누를 시집보내 동맹을 강화했고, 사우슈카누는 "마아트-호르-네페르-레"라는 이집트 이름을 얻었다.

하투샤 왕궁 유적에서는 하투실리 3세 시대의 외교 문서가 200통 넘게 발견되었다. 이러한 문서들은 당시 히타이트의 국제 관계를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이다. 대표적인 문서로는 하투실리 3세가 자신의 업적과 왕위 찬탈의 정당성을 기록한 "변명서"(CTH 81)가 있다.[9]

또한, 프락틴에는 하투실리 3세와 왕비 푸두헤파의 마애 비문이 남아 있는데, 이를 통해 히타이트에서 왕비의 지위가 높았음을 알 수 있다. 하투실리 3세와 푸두헤파는 함께 아린나의 태양 여신에게 바치는 기도를 남기기도 했다(CTH 383).

하투실리 3세는 동쪽에서 세력을 확장하던 아시리아에 대응하기 위해, 고대 이집트와의 오랜 대립을 끝내고 동맹을 맺는 외교 정책을 펼쳤다. 아다드-니라리 1세 시대에 미탄니의 영토를 병합하며 히타이트에 위협이 되었던 아시리아에 대항하기 위해서였다.

5. 하투샤 기록 보관소

하투실리 3세의 통치 시기에 하투샤에서 발굴된 방대한 양의 기록들은 히타이트 역사 연구에 중요한 자료이다. 200통이 넘는 서신이 하투샤 왕궁 유적지에서 발견되었다.[2] 이 서신들은 히타이트 제국의 1차 사료 중 하나로, 《하투실리 3세의 변명》, 타와갈라와 서신, 아르자와 서신 등이 대표적이다.[9]

하투실리 3세 시대에 작성된 주요 점토판 문서 목록은 다음과 같다.

CTH 번호문서 제목 및 내용
81하투실리 3세의 변명
82하투실리 3세의 연대기
83수필룰리우마 1세의 원정 보고서, 하투실리 3세
84수필룰리우마 1세와 무르실리 2세의 업적 보고서
85무르실리 3세(우르히-테슈프)와 하투실리 3세의 갈등
86아르마-타르훈타 영지에 관한 하투실리 3세의 칙령
87미탄나무와 아들들을 위한 하투실리 3세의 칙령
88피르와의 헤쿠르의 과세 면제에 관한 하투실리 3세의 칙령
89틸리우라 백성에 관한 하투실리 3세의 칙령
90네리크 재건에 관한 하투실리 3세의 칙령
91이집트의 람세스 2세와 하투실리 3세의 조약 (이집트-히타이트 평화 조약)
92아무루의 벤테시나와 하투실리 3세의 조약
93우라 상인에 관한 하투실리 3세의 칙령
94우가리트 도망자에 관한 하투실리 3세의 칙령
96타르훈타샤의 쿠룬타 선언
99역사 보고
106타르훈타사 왕들과의 조약
155우르히-테슈프에 관한 람세스 2세의 하투실리 3세에게 보낸 편지
156우르히-테슈프에 관한 람세스 2세의 하투실리 3세에게 보낸 편지
157람세스 2세가 하투실리 3세에게 보낸 결혼 서신
159람세스 2세가 하투실리 3세와 푸두헤파에게 보낸 결혼 서신
161람세스 2세가 하투실리 3세에게 보낸 편지
162람세스 2세가 하투실리 3세와 푸두헤파에게 보낸 편지
163람세스 2세가 하투실리 3세에게 보낸 편지
168투야 태후가 하투실리 3세에게 보낸 편지
169람세스 2세의 아들인 슈타합삽 왕자가 하투실리 3세에게 보낸 편지
172하투실리 3세가 카다쉬만-엔릴 2세에게 보낸 편지
173하투실리 3세가 아다드-니라리 1세에게 보낸 편지
174카다쉬만-투르구가 하투실리 3세에게 보낸 편지: 아카드어
181히타이트 왕이 아히야와 왕에게 보낸 편지(타와갈라와 서한)
185하투실리 3세가 주와에게 보낸 편지
191마나파-타르훈타가 히타이트 왕에게 보낸 편지
193아무루의 벤테시나가 하투실리 3세에게 보낸 편지
196루파키가 카르케미쉬 왕에게 보낸 편지
223미지정
224하투실리 3세가 우라-타르훈타에게 토지를 기증
254하투실리 3세의 군사 지침
383하투실리 3세와 푸두헤파가 아린나의 태양 여신에게 바치는 기도


6. 평가 및 영향

하투실리 3세는 군사적 능력과 외교적 수완을 통해 히타이트 제국의 안정과 번영을 이끌었다. 특히 이집트와의 평화 조약 체결은 그의 주요 업적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 하투실리 3세는 이집트 파라오 람세스 2세와 서신을 교환하며 협상을 진행했고, 이는 영원한 조약(카데시 조약)으로 이어졌다. 이 조약은 카데시 전투 이후 약 15년 후에 체결되었다.[2] 조약의 내용은 시리아에서의 국경선 확정, 상호 불가침, 외적에 대한 공동 방위 등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는 현존하는 평화 조약 중 매우 오래된 사례 중 하나이다. 국제 연합 본부에는 이 조약의 사본이 전시되어 있을 정도로 그 역사적 중요성을 인정받고 있다.

thumb)]]

그러나 하투실리 3세의 왕위 찬탈은 히타이트 왕실의 불안정성을 야기하는 요인이 되었다는 비판도 존재한다. 하투실리 3세는 조카인 무르실리 3세를 폐위시키고 왕위에 올랐는데, 이 과정에서 무르실리 3세를 지지하는 세력과의 갈등이 발생했다. 심지어 그의 아들 투드할리야 4세조차 아버지의 왕위 찬탈에 대해 비판적인 입장을 보였다.

하투실리 3세의 통치 기간 동안 발견된 방대한 양의 서신과 기록들은 당시 히타이트 제국의 외교 활동과 정치 상황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자료로 활용되고 있다. 하투샤 왕궁 유적지에서는 200통이 넘는 서신이 발굴되었으며, 《변명》, 타와갈라와 서신과 같은 문서들은 히타이트 연구에 귀중한 1차 사료로 평가받는다.

참조

[1] 서적 The Ancient Near East: c.3000–330 BC, Volume One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20
[2] 서적 The Kingdom of the Hittites Oxford University Press
[3] 서적 Royal apologetic in the ancient Near East SBL Press 2015
[4] 웹사이트 British Museum - Bryce http://www.thebritis[...] 2018-05-02
[5] 간행물 Women in the Historical Ages Turkish Republic Ministry of Culture
[6] 간행물 Letter from Ramses II of Egypt to Puduhepa Turkish Republic Ministry of Culture
[7] 논문 The Annals of Hattusilis III 1997-12
[8] 서적 Letters from the Hittite Kingdom Society of Biblical Literature 2009
[9] 문서 Ḫattušili III. https://www.hethport[...]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