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피네스크큰귀박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라피네스크큰귀박쥐는 큰 귀와 코 양쪽의 혹이 특징인 박쥐의 일종이다. 몸길이는 약 7.5~10cm이며, 등쪽은 회색, 하체는 흰색을 띤다. 미국 남동부 지역에서 서식하며, 곤충을 먹는 야행성 동물로, 주로 나방을 섭취한다. 다양한 장소에서 발견되며, 살아있는 나무나 동굴 등에서 생활한다. 국제 자연 보전 연맹(IUCN)은 라피네스크큰귀박쥐를 관심대상종으로 분류하며, 박쥐흰코증후군에 감염되지 않는 특징을 보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27년 기재된 포유류 - 수마트라오랑우탄
수마트라오랑우탄은 인도네시아 수마트라섬 북부에 서식하며 보르네오오랑우탄보다 날씬하고 붉은 털을 가졌으며 과일을 선호하고 도구를 사용하지만, 서식지 파괴와 밀렵으로 인해 심각한 위기종으로 분류된다. - 1827년 기재된 포유류 - 오록스
오록스는 유라시아, 북아프리카, 인도 아대륙에 서식했던 멸종된 소과 동물이며, 17세기에 멸종되었으나 오록스를 되살리려는 시도가 진행되고 있다. - 애기박쥐과 - 흰배박쥐
흰배박쥐는 애기박쥐과에 속하며, 곤충을 주로 먹고 반향정위와 큰 귀를 사용하여 먹이를 찾으며, 번식기는 10월부터 2월까지이다. - 애기박쥐과 - 원반발박쥐
원반발박쥐는 흡반박쥐과 흡반박쥐속에 속하며, 마다가스카르흡반박쥐와 타이완흡반박쥐 2종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타이완흡반박쥐는 멸종 위기에 처해 있다.
라피네스크큰귀박쥐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상태 | 관심 필요 |
상태 기준 | IUCN3.1 |
학명 | Corynorhinus rafinesquii |
학명 명명 | Lesson, 1827 |
이명 | Plecotus rafinesquii |
![]() | |
분류 | |
계 | 동물계 |
문 | 척삭동물문 |
강 | 포유강 |
목 | 박쥐목 |
과 | 애기박쥐과 |
아과 | 애기박쥐아과 |
속 | 혹코박쥐속 |
종 | 라피네스크큰귀박쥐 (C. rafinesquii) |
2. 특징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2.5cm 이상의 큰 귀를 가지고 있다. 속명 "코리노리누스"(''Corynorhinus'')는 "뭉뚝한 코"(''club-nosed'')라는 의미이다.[11] 타운센드큰귀박쥐와 유사하게, 코 양쪽에 두 개의 혹을 갖고 있다. 라피네스크큰귀박쥐는 중형 크기의 박쥐로 몸길이는 약 7.5cm~10cm, 날개 폭은 25cm~30cm 정도이다. 몸무게는 6g~13g이다.[12] 등쪽은 회색을 띠고 하체는 흰색을 띤다. 귀와 얼굴은 분홍빛 갈색인 반면에 앞팔과 날개 비막은 짙은 갈색이다.
미국 남동부의 다른 모든 박쥐들처럼 라피네스크큰귀박쥐는 곤충을 먹는 식충성 동물이자 야행성 동물이며, 먹이를 구하기 위한 장소로 반향 정위를 통해 이동한다. 모기, 딱정벌레, 파리 등 다양한 곤충을 먹지만, 먹이의 90%는 나방이다.[16] 먹이는 나뭇잎 또는 동굴 벽에서 곤충을 줍거나 공중에서 사냥한다.[16][6]
라피네스크큰귀박쥐는 계절과 지리적 위치에 따라 머무는 장소를 자주 바꾸기 때문에 다양한 장소에서 발견된다. 살아있거나 죽은 나무에 앉아서 머물지만, 보통 상당히 큰 나무(평균 지름 79cm, 키 18.5m인 나무에서 지낸다는 연구 결과가 보고된 바 있다.)에서 생활한다.[17] 그리고 버려진 건물이나 다리 아래, 우물, 동굴 속에서도 발견된다.[18]
국제 자연 보전 연맹(IUCN)은 라피네스크큰귀박쥐를 관심대상종으로 분류하고 있다. 이전에는 멸종취약종으로 분류하였다. 미국 어류 및 야생동물관리국은 라피네스크큰귀박쥐를 후보종 2급(Candidate II) 관심대상종으로 분류하고 있으며, 분포 지역 대부분의 주 기구에서 멸종우려종으로 분류하고 있다.[19]
[1]
간행물
Corynorhinus rafinesquii
2017
일부 보고에 의하면 최대 수명은 10년이지만,[13] 확실한 정보는 아니다. 타운센드큰귀박쥐와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으며, 수명은 야생에서 16년부터 최대 30년이다.[14] 분포 범위에 걸쳐 드문 반면에, 해안선 평원 지역과 강가, 그리고 그레이트스모키 산맥 국립공원과 같은 산악 지역 등 다양한 서식지에서 발견된다. 모든 경우에, 라피네스크큰귀박쥐의 서식지는 비교적 풍성한 숲의 풀이 없는 넓은 장소와 관련이 있다.[15]
3. 먹이
4. 보금자리
5. 보존 상태
박쥐흰코증후군은 균류 병원체에 감염되어 일어나는 심각한 감염병으로 미국 동부 지역의 많은 박쥐들을 대량 폐사시켰다. 하지만 같은 분포 지역의 다른 박쥐들과 달리 이 질병에 감염된 라피네스크큰귀박쥐는 보이지 않는다. 그 이유로는 원인균(곰팡이 ''Pseudogymnoascus destructans'')의 최적 생장 조건을 제공하지 못할 수 있는 동면처 사용, 비교적 잦은 무기력 상태에서의 각성, 그리고/또는 이 종의 얕은 무기력 상태의 사용 등이 가설로 제시되고 있다.[9]
참조
[2]
서적
The Wild Mammals of Missouri
2001
[3]
웹사이트
Animal Diversity Web
http://animaldiversi[...]
2002
[4]
웹사이트
Mammalian Species
http://www.science.s[...]
1977
[5]
웹사이트
Channel Islands National Park - Townsend's Big-eared Bats
http://www.nps.gov/c[...]
U.S. National Park Service
[6]
간행물
Seasonal use of lepidopteran prey by Rafinesque's big-eared bats (Corynorhinus rafinesquii)
http://www.bioone.or[...]
2001
[7]
간행물
Characteristics of tree roosts of Rafinesque's big-eared bat (Corynorhinus rafinesquii) in southeastern Mississippi
http://www.bioone.or[...]
2005
[8]
간행물
Day-roost selection by Rafinesque's big-eared bat (Corynorhinus rafinesquii) in Louisiana forests
https://archive.toda[...]
2001
[9]
간행물
A conservation strategy for Rafinesque's big-eared bat (Corynorhinus rafinesquii) and southeastern myotis (Myotis austroriparus)
http://www.batcon.or[...]
Bat Conservation International and Southeastern Bat Diversity Network
2013
[10]
간행물
Corynorhinus rafinesquii
[11]
서적
The Wild Mammals of Missouri
https://archive.org/[...]
2001
[12]
웹사이트
Animal Diversity Web
http://animaldiversi[...]
2002
[13]
웹사이트
Mammalian Species
http://www.science.s[...]
1977
[14]
웹사이트
Channel Islands National Park - Townsend's Big-eared Bats
http://www.nps.gov/c[...]
U.S. National Park Service
[15]
간행물
Corynorhinus rafinesquii
[16]
간행물
Seasonal use of lepidopteran prey by Rafinesque's big-eared bats (Corynorhinus rafinesquii)
http://www.bioone.or[...]
2001
[17]
간행물
Characteristics of tree roosts of Rafinesque's big-eared bat (Corynorhinus rafinesquii) in southeastern Mississippi
http://www.bioone.or[...]
2005
[18]
간행물
Day-roost selection by Rafinesque's big-eared bat (Corynorhinus rafinesquii) in Louisiana forests
http://www.asmjourna[...]
2001
[19]
간행물
A conservation strategy for Rafinesque's big-eared bat (Corynorhinus rafinesquii) and southeastern myotis (Myotis austroriparus)
http://www.batcon.or[...]
Bat Conservation International and Southeastern Bat Diversity Network
20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