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러이 라우 거페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러이 라우 거페스는 웨일스 신화에 등장하는 인물로, 마법의 신 마스의 아들이자 귀디온의 조카이다. 그는 태어날 때부터 아리안로드의 저주를 받아 이름을 갖지 못하고, 무기나 인간 아내를 가질 수 없는 운명에 처한다. 귀디온은 아리안로드의 저주를 풀기 위해 여러 꾀를 부리고, 로이는 결국 이름을 얻고 무기와 갑옷을 갖게 되지만, 인간 아내를 얻는 데는 실패한다. 이후 로이는 블로데우에드와 결혼하지만, 그녀의 배신으로 죽음을 맞이하고 부활하여 복수한다. 로이의 이야기는 운명, 자유 의지, 사회적 제약과 개인의 욕망 사이의 갈등을 다루며, 켈트 신화의 중요한 상징과 의미를 담고 있다.

2. 출생과 이름

마스는 마법의 힘을 얻기 위해 순결한 처녀의 무릎에 발을 올려놓아야 했다. 귀디온은 여동생 아리안로드를 추천했고, 마스는 그녀의 순결성을 시험했다. 시험 도중 아리안로드는 두 아이를 낳았다. 첫 아이는 딜란으로 바다의 본성을 가졌다. 아리안로드는 수치심에 도망쳤지만, 두 번째 아이를 떨어뜨렸고, 귀디온이 이 아이를 거두었다.

2. 1. 이름에 얽힌 저주

로이는 삼촌 귀디온의 보살핌을 받으며 성장했지만, 어머니 아리안로드의 분노로 인해 이름에 대한 저주를 받았다. 아리안로드는 로이가 자신의 허락 없이는 이름을 가질 수 없다는 저주를 내렸다. 귀디온은 꾀를 내어 아리안로드를 속여 로이에게 '훌륭한 솜씨의 빛나는 자'라는 뜻의 '러이 라우 거페스'라는 이름을 얻게 해주었다.

귀디온은 로이를 구두공으로 변장시켜 아리안로드의 성 아래에서 구두에 금을 입히는 일을 시켰다. 로이의 솜씨는 널리 소문이 났고, 아리안로드도 구두를 맞추기 위해 찾아왔다. 이때 귀디온은 로이가 돌을 던져 새를 잡게 했고, 이를 본 아리안로드는 "저 빛나는 머리의 아이가 솜씨가 훌륭하구나"라고 말했다. 귀디온은 변신을 풀고 "저 아이의 이름은 이제 '훌륭한 솜씨의 빛나는 자'(Lleu Llaw Gyffes)이다."라고 외쳤다.

3. 아리안로드의 저주와 극복

귀디온이 아리안로드를 속여 로이에게 이름을 지어주게 한 후에도, 아리안로드는 로이에게 무기와 결혼에 대한 저주를 내렸다.[1] 이는 로이가 아리안로드 자신 외에는 누구에게서도 무기를 받지 못하고, 인간 아내를 가질 수 없다는 내용이었다.

3. 1. 무기에 대한 저주

아리안로드는 로이에게 자신이 주는 무기 외에는 어떤 무기도 가질 수 없다는 저주를 내렸다.[1] 귀디온은 다시 한번 꾀를 내어 아리안로드를 속였다.[1] 그는 아리안로드의 성 주위에 환상으로 대군을 만들어 아리안로드를 놀라게 하고, 음유시인으로 변장시켜 데려온 로이 라우 거페스가 좋은 장군이라며 무기와 갑옷을 내어주면 적을 물리치겠다고 했다.[1] 아리안로드는 갑옷과 무기를 주었고, 귀디온은 로이에게 그것을 착용시킨 후 환상을 없앴다.[1]

3. 2. 결혼에 대한 저주

귀디온은 마법의 신 마스에게 로이 라우 거페스에게 배우자를 만들 수 있을지 질문했다. 마스는 꽃들을 엮어 여인의 상을 만들고 생명을 불어넣었다. 사람이 되었지만 동시에 사람이 아닌 블로데이웨드(Blodeuedd : 꽃의 처녀)는 로이 라우 거페스와 결혼할 수 있었고, 로이는 아리안로드의 모든 저주로부터 자유로울 수 있게 되었다.

아리안로드가 로이에게 내린 세 번째 저주는 그가 인간 아내를 가질 수 없다는 것이었다.[1]

마스와 귀디온은 아리안로드의 저주에 대항하기 위해 참나무 꽃, 빗자루 꽃, 풀 꽃을 가져다가, 그 꽃들로 그들이 본 중 가장 아름답고 매혹적인 처녀를 마법으로 만들어냈다. 그리고 그들은 그 시대에 그랬던 것처럼 그녀에게 세례를 베풀고 블로데이웨드라고 불렀다.[2]

4. 블로데이웨드와의 결혼과 비극

블로다에이드는 그론 페브르와 사랑에 빠져 남편 러이 라우 거페스를 죽이려는 계획을 세웠다. 마스귀디온에 의해 무적이 된 그를 죽이기 위해서는 특별한 조건이 필요했다. 블로다에이드는 러이 라우 거페스를 구슬려 한 발은 숫염소 위에, 다른 한 발은 지붕 아래의 욕조 안에 두게 하고, 일요일에만 작업해서 일년 동안 정성 들여 만든 창으로 찔러야 한다는 조건을 알아냈다.

4. 1. 로이의 죽음과 부활

블로데이웨드는 그론 페브르와 불륜을 저지르고, 둘은 러이 라우 거페스를 살해할 음모를 꾸몄다. 블로데이웨드는 러이가 낮에도 밤에도, 실내에서도 실외에서도, 걷거나 타는 중에도, 옷을 입거나 벗은 상태에서도, 합법적으로 만들어진 어떤 무기로도 죽일 수 없다는 점을 이용하여 그를 속여 어떻게 죽일 수 있는지 알아냈다. 러이는 황혼 무렵, 솥 위에 발을 하나, 염소 위에 발을 하나 올린 채 그물을 덮고, 사람들이 미사에 참석하는 동안 1년 동안 단조된 창으로만 죽일 수 있다고 털어놓았다. 이 정보를 이용하여 블로데이웨드는 러이의 죽음을 계획한다.

그론이 던진 창에 맞은 러이는 독수리로 변해 날아갔다. 귀디온은 그를 추적하여 참나무 꼭대기에 앉아 있는 그를 발견했다. ''귀디온의 엥글린''이라는 ''엥글린''을 노래하여 그는 참나무에서 내려오게 한 다음 인간의 모습으로 되돌렸다. 귀디온과 마스는 러이를 간호하여 건강을 회복시킨 후 그론과 블로데이웨드로부터 그의 땅을 되찾았다. 러이와 그론의 대결에서 그론은 러이의 창에서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큰 돌을 놓아도 되는지 물었다. 러이는 그렇게 하도록 허락하고, 그의 창을 던져 돌과 그론을 관통하여 그를 죽였다. 귀디온은 블로데이웨드를 몰아세워 그녀를 올빼미로 만들었다. 이야기는 러이가 귀네드의 왕위에 오르면서 끝을 맺는다.[1]

4. 2. 복수와 결말

블로다에이드와 행복한 나날을 보내던 어느 날, 블로다에이드는 지나가던 귀족인 그론 페브르와 사랑에 빠졌다. 그녀는 러이 라우 거페스를 죽이려는 계획을 세우는데, 이미 마스귀디온에 의해 무적이 된 그를 죽이기 위해서는 특별한 조건이 필요했다. 그녀는 러이 라우 거페스를 구슬려 어떻게 죽일 수 있는지 조건을 알아냈다. 한 발은 숫염소 위에, 다른 한 발은 지붕 아래의 욕조 안에 두게 하고, 일요일에만 작업해서 일년 동안 정성 들여 만든 창으로 찔러야 한다는 것이었다. 블로다에이드는 조건을 충족시키고 자신의 남편을 살해한다. 러이 라우 거페스는 독수리가 되어서 오크나무 위로 날아갔고, 귀디온이 그를 찾아내서 마법의 노래를 통해 땅에 내려오게 한 후 되살린다. 그러고 나서 귀디온은 블로다에이드를 올빼미로 만들어 새들 사이에서도 숨어 밤에만 사냥해야 하는 신세로 만들었다.

5. 신화적 기원과 의미

"러이"라는 이름은 원시 켈트어의 *루구스*에서 유래되었으며, 그 정확한 의미와 어원에 대해서는 학자들 사이에서 논쟁이 계속되고 있다.[2]

"루구스"라는 이름이 원시 인도유럽어 (PIE) 어근 *''leuk-'' ('빛')에서 유래되었다는 주장이 제기되어 태양신으로 여겨지기도 했지만,[3][4] 이 주장은 PIE *''k''가 어떤 상황에서도 원시 켈트어에서 *''g-''가 되지 않고 *''k''로 유지되었기 때문에 기각되었다.[5] 골족의 번개 신 루세티오스의 이름에서 볼 수 있듯이, 원시 인도유럽어 어근 *''leuk-'' ('흰 빛')의 직접적인 후손은 원시 켈트어의 *''leuk-''이다.

5. 1. 루와의 관련성

"러이"라는 이름은 원시 켈트어 *''루구스''에서 유래되었으며, 그 정확한 의미는 아직 학자들 사이에서 논쟁 중이다.[2]

"루구스"라는 이름은 원시 인도유럽어 (PIE) 어근 *''leuk-'' ('빛')에서 유래되었다는 설이 있어, 태양신으로 여겨지기도 했다.[3][4] 그러나 이 어원은 PIE *''k''가 원시 켈트어에서 *''g-''가 되지 않고 *''k''로 유지되었기 때문에 받아들여지지 않는다.[5]

원시 켈트어 *''루구스''는 다음의 여러 어원들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

  • *''lug-rā'' ('달')
  • *''leug-'' ('검음, 어두움, 암흑')
  • *''leug-'' ('늪, 이탄 습지')
  • *''lug-'' ('맹세, 약속, 보증', '속이다'): 줄리엣 우드는 이 어원에서 유래했다고 해석하며, 이는 메르쿠리우스를 계약의 신으로 보는 것과 연결된다.
  • lugsga ('스라소니'): 빛나는 눈을 가진 동물을 나타내는 원시 켈트어 어근에서 유래했을 가능성이 있으며, 이는 PIE *''leuk-'' ('빛나다')에서 유래했을 것이다.
  • lūgubrisla ('애도의, 애도와 관련된'): lūgērela ('애도하다')에서 유래되었으며, PIE 어근 *''leug-'' ('부수다')에서 유래되었다.

참조

[1] 서적 The Oldest British Prose Literature: The Compilation of the Four Branches of the Mabinogi
[2] 서적 Dictionnaire de la langue gauloise Editions Errance 2003
[3] 서적 The Book of Celtic Myths: From the Mystic Might of the Celtic Warriors to the Magic of the Fey Folk, the Storied History and Folklore of Ireland, Scotland, Brittany, and Wales https://books.google[...] Adams Media / F+W Media 2016
[4] 서적 The Mysteries of Mithras: The Pagan Belief That Shaped the Christian World https://books.google[...] Inner Traditions / Bear & Co. 2005
[5] 서적 Studies in British Celtic Historical Phonology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