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카피에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레카피에우는 1931년 타인호아 성에서 태어나 2020년 사망한 베트남의 군인, 정치인이다. 그는 1945년 비엣민 운동에 참여하고 인도차이나 공산당에 가입하여 군 복무를 시작했으며, 베트남 인민군에서 대대 정치위원, 사단 참모부장 등을 역임했다. 1988년 중장으로 승진하여 정치총국 주임이 되었고, 캄보디아에서 베트남 인민군 철수를 지휘했다. 1991년 당 중앙위원회 위원, 1997년 서기장에 선출되었으며, 재임 기간 중 부패 척결 캠페인을 벌였다. 그는 금성 훈장을 포함한 여러 훈장을 수여받았으며, 2020년 코로나19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베트남 공산당 중앙집행반 총비서 - 응우옌푸쫑
응우옌푸쫑은 1944년 하노이에서 태어나 2011년부터 2024년 사망할 때까지 베트남 공산당 서기장을 역임하며 베트남의 최고 지도자였으며, 반부패 운동을 주도하고 보수적인 정책을 펼쳤다. - 베트남 공산당 중앙집행반 총비서 - 레주언
레주언은 1907년 또는 1908년 베트남에서 태어나 공산주의 운동에 참여, 베트남 민주 공화국 수립에 기여하고 베트남 전쟁 시기 노동당을 이끌었으며, 호찌민 사망 후 당 최고 지도자가 되어 통일 베트남의 사회주의화를 추진하다 1986년 사망했다. - 베트남의 군인 - 응오딘지엠
응오딘지엠은 명문 가톨릭 가문 출신으로 반공주의를 펼치며 남베트남의 초대 대통령을 지냈으나, 독재 통치와 불교 탄압으로 국민적 반발을 사 결국 쿠데타로 암살당한, 베트남 전쟁에 큰 영향을 미친 복합적인 인물이다. - 베트남의 군인 - 응우옌카인
응우옌 카인은 베트민에 참여했다가 탈퇴하여 프랑스군과 남베트남군에서 복무했으며, 1964년 쿠데타로 정권을 잡았으나 실각 후 미국으로 망명하여 2013년에 사망했다. - 타인호아성 출신 - 프엉타인 (1973년)
프엉타인은 1973년 타인호아 성에서 태어나 "Tam ca Sao Dem" 그룹을 거쳐 솔로 가수로 데뷔, 강렬하고 진솔한 목소리와 사회 문제에 대한 적극적인 발언으로 사랑받는 베트남의 가수이자 배우이다. - 타인호아성 출신 - 호꾸이리
호뀌리는 쩐 왕조 말 권력을 잡고 호 왕조를 세운 인물로, 국가 체제 정비, 개혁 추진, 최초 지폐 발행, 쯔놈 사용 장려, 수도 천도 등을 단행했으나 명나라 침략으로 몰락 후 행적이 묘연하며, 그의 업적은 찬탈자와 개혁가라는 평가가 공존하고, 그가 건설한 호 왕조의 성채는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지정되었다.
레카피에우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개요 | |
이름 | 레 카 피에우 |
로마자 표기 | Le Kha Phieu |
한자 표기 | 黎可漂 |
출생일 | 1932년 12월 27일 |
출생지 | 프랑스령 인도차이나 동선현 동케 |
사망일 | 2020년 8월 7일 |
사망지 | 하노이 |
소속 정당 | 베트남 공산당 |
군 경력 | |
복무 기간 | 1950년–1997년 |
소속군 | 베트남 인민군 |
최종 계급 | 상장 |
주요 지휘 | 베트남 인민군 총정치국 주임 캄보디아 주둔 베트남 지원군 사령부 정치위원 |
참전 |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 베트남 전쟁 캄보디아-베트남 전쟁 |
주요 경력 | |
직책 | 베트남 공산당 중앙집행위원회 서기장 |
임기 시작 | 1997년 12월 26일 |
임기 종료 | 2001년 4월 22일 |
이전 서기장 | 도 므어이 |
다음 서기장 | 농득마인 |
직책 1 | 당 중앙군사위원회 서기 |
임기 시작 1 | 1997년 12월 29일 |
임기 종료 1 | 2001년 4월 22일 |
이전 서기장 1 | 도 므어이 |
다음 서기장 1 | 농득마인 |
2. 인물과 경력
1931년 12월 27일, 타인호아 성 동선 현 동케 마을의 부유한 가정에서 태어났다. 1945년, 어린 나이에 지방의 비엣민 운동에 참여하며 활동을 시작했고, 1949년 6월 19일에는 인도차이나 공산당에 가입했다.
1950년 베트남 인민군에 입대하여 군인의 길을 걸었으며, 주로 정치 장교로서 경력을 쌓았다. 여러 부대에서 정치위원, 정치 주임 등을 역임하며 군 내에서 입지를 다졌고, 캄보디아 주둔 베트남군 정치 주임, 정치총국 주임 등 주요 보직을 거쳐 1992년 상장 계급까지 올랐다. 군 복무 중 1989년에는 캄보디아 주둔 베트남군의 철수를 지휘하기도 했다.
군 경력과 더불어 정치 활동에도 적극 참여하여, 1991년 베트남 공산당 중앙위원회 위원으로 선출된 것을 시작으로 당내 주요 직책을 맡았다. 레득아잉과 함께 군부 출신 지도자로 부상한 배경에는 캄보디아 철수 및 병력 감축 과정에서 군 간부들의 협조가 필요했던 당의 상황이 작용했다는 분석이 있다[15]. 1997년에는 당 서기장으로 선출되어 베트남의 최고 지도자 자리에 올랐다. 서기장 재임 중 부패 척결을 위한 "비판·자기비판 캠페인"을 벌이기도 했으나[16], 2001년 권력 집중 등의 비판 속에서 서기장직에서 물러났다[14]. 이후에도 제9기, 제10기 국회 의원으로 활동했다.
2. 1. 군 경력
제9연대 공동 정치위원, 정치위원 겸 연대장정치 담당 부사령 겸 정치 주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