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렌스 약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로렌스 약탈은 1856년 5월 21일 캔자스 준주 로렌스에서 발생한 사건으로, 노예제도 찬성론자들이 로렌스를 공격하여 언론사를 파괴하고 호텔을 불태웠다. 이는 1854년 캔자스-네브래스카 법으로 촉발된 노예제도 찬반 세력 간의 갈등이 폭력 사태로 이어진 것이다. 더글러스군 보안관 새뮤얼 존스는 800명의 남부 지지자들을 이끌고 로렌스에 진입하여 도시를 포위했으며, 자유주 호텔을 파괴하고 신문사를 약탈했다. 이 사건으로 로렌스 시민 1명이 사망했으며, 이후 엘드리지 호텔이 재건되었으나, 윌리엄 퀀트릴의 로렌스 학살로 다시 파괴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56년 5월 - 포타와토미 학살
1856년 존 브라운과 그의 지지자들이 캔자스 준주에서 친노예제 정착민 5명을 살해한 포타와토미 학살은 로렌스 약탈 등에 대한 보복이자 "피 흘리는 캔자스" 시대를 격화시킨 사건으로, 존 브라운의 역할과 동기에 대한 논쟁과 함께 긍정적 평가와 테러 행위라는 비판이 공존한다. - 피의 캔자스 - 오사와토미 전투
오사와토미 전투는 1856년 캔자스 준주에서 노예제 찬반 세력 간에 벌어진 전투로, 자유주 지지자들이 패배하고 친노예 세력의 약탈로 이어졌으며, 캔자스 지역의 폭력을 격화시켰다. - 피의 캔자스 - 포타와토미 학살
1856년 존 브라운과 그의 지지자들이 캔자스 준주에서 친노예제 정착민 5명을 살해한 포타와토미 학살은 로렌스 약탈 등에 대한 보복이자 "피 흘리는 캔자스" 시대를 격화시킨 사건으로, 존 브라운의 역할과 동기에 대한 논쟁과 함께 긍정적 평가와 테러 행위라는 비판이 공존한다.
로렌스 약탈 - [전쟁]에 관한 문서 | |
---|---|
분쟁 개요 | |
분쟁 | 로렌스 약탈 |
일부 | 피의 캔자스 |
날짜 | 1856년 5월 21일 |
장소 | 캔자스 준주 더글러스군 |
결과 | 노예 제도 옹호론자의 승리 |
결과 상세 | "캔자스 자유주" 제작 중단; "자유의 전령" 제작 일시 중단 자유주 호텔 및 찰스 L. 로빈슨의 집 파괴 로렌스 약탈 |
![]() | |
교전 세력 | |
교전국 1 | 자유주 노예 제도 폐지론자 |
교전국 2 | 노예주 노예 제도 옹호론자 |
지휘관 | |
지휘관 1 | 새뮤얼 C. 포머로이 (사실상) |
지휘관 2 | 새뮤얼 J. 존스 |
병력 규모 | |
병력 1 | 노예 제도 폐지론자 시민 |
병력 2 | 300명 |
사상자 규모 | |
사상자 1 | 1명 부상 |
사상자 2 | 1명 사망 |
2. 배경
1854년 캔자스 네브래스카 법 제정 이후 캔자스 준주에서 노예제 찬반 세력 간의 갈등이 격화되었다. 뉴잉글랜드 이민 원조 회사의 도움으로 노예제도 폐지론자들에 의해 설립된 로렌스는 캔자스 준주에서 노예제도 찬성론자들이 행사한 폭력의 중심지가 되었다.[19]
1856년 4월 23일 더글러스군 보안관 새뮤얼 J. 존스가 로렌스에서 자유주 주민들을 체포하려다 총격을 받았다.[1] 로렌스 주민들은 존스를 마을에서 쫓아냈고, 5월 11일 연방 보안관 이스라엘 B. 도널드슨은 이 사건이 자유주 의회에 대한 영장 집행을 방해한 것이라고 선언했다.[1]
이 선언과 로렌스의 프리 스테이트 호텔이 실제로는 요새로 지어졌다는 연방 대배심의 결정에 따라, 존스 보안관은 800명의 남부 추종자들을 모아 로렌스로 진입하여 시민들을 무장 해제시키고, 노예제도 폐지론자들의 언론사를 파괴했으며, 프리 스테이트 호텔을 파괴했다.[20][21]
2. 1. 캔자스 준주 설립과 노예제 갈등
1854년, 뉴잉글랜드 이민 원조 회사의 지원을 받은 노예제도 폐지론자들이 로렌스를 설립했다. 캔자스 네브래스카 법에 따라 캔자스 준주는 주민투표로 노예제 도입 여부를 결정하게 되어 있었다. 이 때문에 노예제 찬성론자들과 반대론자들이 캔자스로 몰려들었고, 로렌스는 곧 캔자스 준주에서 벌어진 노예제 찬성론자들의 폭력 사태의 중심지가 되었다.[19] 1855년 와카루사 전쟁으로 로렌스가 포위되기도 했지만, 직접적인 공격은 받지 않았다.[1][2]1856년 4월 23일, 더글러스군 보안관 새뮤얼 J. 존스가 로렌스에서 자유주 주민들을 체포하려다 총격을 받는 사건이 발생했다.[19] 로렌스 주민들은 존스를 마을에서 쫓아냈고, 5월 11일 연방 보안관 이스라엘 B. 도널슨은 이 사건이 자유주 의회에 대한 영장 집행을 방해한 것이라고 선언했다.[19]
도널슨의 선언과 연방 대배심의 결정은 존스 보안관과 도널슨 보안관이 800명의 미국 남부 정착민 군대를 소집하는 데 영향을 주었다. 이들은 로렌스 시민들을 무장 해제시키고, 노예제 반대 신문을 파괴하며, 자유 주 호텔을 철거할 계획이었다.[4][5][6]
2. 2. 로렌스의 역할과 와카루사 전쟁
1854년 뉴잉글랜드 이민 원조 회사의 지원을 받은 노예제 폐지론자들은 로렌스를 설립했고, 이곳은 곧 캔자스 준주에서 노예제 찬성론자들이 벌이는 폭력의 중심지가 되었다. 1855년에는 로렌스가 포위되기도 했지만, 즉각적인 함락으로 이어지지는 않았다.[19] 1856년 4월 23일, 더글러스군 보안관 새뮤얼 존스가 로렌스에 거주하는 자유주 주민들을 체포하려다 총격을 받은 사건은 이후 벌어질 폭력 사태의 직접적인 원인으로 여겨진다.[19] 로렌스 주민들은 존스를 마을에서 쫓아냈고, 5월 11일 연방 보안관 J. B. 도널드슨은 이 사건이 불법적인 자유주 의회에 대한 공권력 행사를 방해한 것이라고 선언했다.[19]1854년 뉴잉글랜드 이민 지원 회사의 재정 지원을 받은 매사추세츠 출신 노예제 반대 정착민들에 의해 설립된 로렌스는 캔자스 준주에서 폭력 사태가 심화되면서 사실상 자유 주 캔자스의 본부 역할을 했다. 1855년 12월, 와카루사 전쟁이라 불리는 사건 동안 로렌스는 습격 위협을 받았지만, 당시에는 직접적인 공격을 받지는 않았다.[1][2]
당시 폐지론자들과 자유 주 주민들은 1856년 4월 23일 더글러스 카운티 보안관 새뮤얼 J. 존스가 총격을 받은 사건을 로렌스 약탈의 원인으로 보았다.[1][2] 존스는 와카루사 전쟁 당시 사건을 근거로 자유 주 정착민들을 체포하려다 총격을 받았지만, 치명상을 입지는 않았다. 로렌스 주민들은 존스에게 총격을 가한 후 그를 마을에서 쫓아냈다. 5월 11일, 연방 보안관 이스라엘 B. 도널슨은 "암살 시도"가 친노예제 준주 정부에 반대하여 설립된 자유 주 의회에 대한 영장 집행을 방해했다고 규정했다.[1]
도널슨의 선언과 캔자스 제1지방법원 대배심의 결정문은 존스와 도널슨이 800명의 미국 남부 정착민 군대를 소집하는 데 영향을 주었다.[4][5][6] 이들은 로렌스로 진입하여 시민들을 무장 해제하고, 노예제 반대 신문을 파괴하고, 자유 주 호텔을 철거할 계획을 세웠다. 대배심은 "로렌스에 있는 '엘드리지 호텔'이 대포와 소형 무기 사용을 위해 참호와 포화를 갖춘 군사적 점령과 방어를 염두에 두고 건설되어 공공 안전을 위협한다"고 결정했다.[4][5][6]
2. 3. 새뮤얼 존스의 역할과 도널슨의 선언
1856년 4월 23일, 더글러스군 보안관 새뮤얼 J. 존스는 로렌스에서 자유주 주민들을 체포하려다 총격을 당했다.[1] 로렌스 주민들은 존스에게 총격을 가해 마을에서 쫓아냈다.[1]5월 11일, 연방 보안관 이스라엘 B. 도널슨은 이 사건이 자유주 의회에 대한 영장 집행을 방해한 것이라고 선언했다.[1] 도널슨의 선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이에 미국 제1지방법원에서 더글러스 카운티 내에서 집행해야 할 특정 사법 체포 영장을 저에게 지시했으며, 미국 부보안관이 이를 집행하려 했으나 로렌스 시민 다수에 의해 명백히 저항을 받았고, 이러한 영장 집행 시도가 무장한 다수의 사람들에 의해 저항받을 가능성이 매우 높으므로, 준주의 법을 준수하는 시민들은 가능한 한 빨리, 그리고 법 집행에 충분한 인원을 갖추어 리컴턴에 나타나도록 명령한다.
>
>1856년 5월 11일, 제 손으로 서명한다.
>
>I. B. 도널슨,
>
>캔자스 준주 미국 보안관
>
>추신 - 미국 정부의 동의가 있을 때까지는 비용에 대한 책임이 발생하지 않습니다.[3]
도널슨의 선언과 더불어, 캔자스 제1지방법원 대배심은 로렌스에 있는 엘드리지 호텔이 군사적 목적으로 건설되어 공공 안전을 위협한다는 결정문을 내렸다.[4] 이러한 배경 속에서 존스 보안관과 도널슨 보안관은 약 800명의 미국 남부 정착민들을 모아 로렌스를 공격했다.[4] 이들은 로렌스 시민들을 무장 해제시키고, 노예제 반대 신문사를 파괴하고, 자유 주 호텔을 파괴할 계획이었다.[4]
3. 약탈
1856년 5월 21일, 새뮤얼 존스 보안관이 이끄는 800명의 남부인들이 로렌스를 공격하고 약탈했다. 이들은 '캔자스 자유 주'와 '자유의 헤럴드' 두 인쇄소를 파괴하고 인쇄기를 부쉈으며, 활자는 강에 버렸다. 프리 스테이트 호텔을 파괴하기 위해 데이비드 라이스 애치슨이 "올드 새크라멘토" 대포를 발사했지만 건물을 맞추지 못했고, 이후 50발의 총격과 화약통을 이용한 폭파 시도에도 벽은 손상되지 않았다. 결국 방화로 호텔은 폐허가 되었다.[22]
"올드 새크라멘토" 대포는 1847년 미국-멕시코 전쟁에서 노획한 것으로 리버티 무기고에 보관되어 있었다.[13][14] 이 대포는 이후 두 번째 프랭클린 전투에서 자유 주 옹호자들에 의해 탈환되었다.[13]
병력이 떠날 때 찰스 L. 로빈슨 주지사의 개인 주택이 불탔으며, 이 공격으로 노예제도 찬성론자 한 명이 무너진 주택에 깔려 사망했다.[23]
3. 1. 로렌스 진입과 포위
1856년 5월 21일, 새뮤얼 존스 보안관이 이끄는 800명의 남부인 부대가 로렌스 근처에 접근했다. 이들은 오레드 산에 주둔하며 대포를 배치하여 도시를 포위했다. 로렌스 주민들과 초대 캔자스 주지사가 된 찰스 L. 로빈슨은 전투와 지휘를 위한 본부를 만들었으며, 찰스 L. 로빈슨의 집은 존스의 사령부로 사용되었다.[22] 존스 부대는 마을로 통하는 모든 도로와 강 건너편을 지키며 자유 토지 옹호자들이 도망치는 것을 막았다. 이들은 앨라배마와 사우스캐롤라이나 주기, 흑백 줄무늬 깃발, 그리고 "남부의 권리", "백인 인종의 우월"과 같은 친노예제 선동 문구가 적힌 깃발을 흔들었다.[7]자유 주 호텔 소유주 셜러 엘드리지는 다가오는 군대에 대해 알게 되었고, 그들을 만나러 갔다. 도날슨은 시민들이 저항할 경우에만 로렌스에 들어가 공격할 것이라고 말했다. 엘드리지는 도날슨과 그의 부하들에게 "값비싼 와인"을 포함한 "우아한 저녁 식사"를 대접하며 달래려 했지만, 그들은 돈을 지불하지 않고 떠났다.[8]
이후 존스는 마을 대표와 이야기하고 싶어했고, 사무엘 C. 포메로이가 만나 현재 상황을 논의했다. 존스는 로렌스 시민들이 모든 무기를 항복할 것을 요구했다. 포메로이는 개인의 무기 포기는 개인의 문제이므로 권한이 없다고 답했지만, 도시의 유일한 포병을 넘겨주기로 했다.[9][10] 존스는 이 대포를 압수했지만, 포메로이가 바랐던 대로 달래지지 않았다.
3. 2. 자유주 호텔 파괴
1856년 5월 21일, 새뮤얼 존스 보안관이 이끄는 친노예제 세력이 로렌스 마을을 공격했을 때, 그들의 주요 목표 중 하나는 자유주 호텔(엘드리지 호텔)을 파괴하는 것이었다. 셜러 엘드리지 소유주는 다가오는 군대에 대한 소식을 듣고 그들을 맞이하러 나갔다. 그는 연방 보안관 도날슨으로부터 시민들이 저항할 경우에만 로렌스를 공격할 것이라는 말을 들었다.[8]도날슨과 엘드리지는 호텔로 가서 "값비싼 와인"을 포함한 "우아한 저녁 식사"를 준비하여 보안관과 그의 부하들을 달래려 했다.[8] 그러나 이들은 돈을 지불하지 않고 떠났고, 얼마 후 도날슨은 부하들을 해산시켰고, 그들은 즉시 존스에게 임명되었다.[8]
존스는 마을 대표와 이야기하고 싶어했고, 사무엘 C. 포메로이가 만나 상황을 논의했다. 존스는 로렌스 시민들이 모든 무기를 항복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포메로이는 개인의 무기 포기는 개인의 문제이므로 그럴 권한이 없다고 답했지만, 존스를 평화롭게 떠나도록 유도하기 위해 도시의 유일한 포병을 넘겨주기로 했다.[9][10]
존스는 이 대포를 압수했지만, 자유주 호텔을 파괴하려는 목적을 실행에 옮겼다. 투숙객들에게 개인 소지품을 가져갈 시간을 준 후, 존스는 "올드 새크라멘토" 대포를 호텔에 겨누고 발사했다.[13][14] 첫 번째 포탄은 지붕 위로 완전히 지나갔고, 이후 50발의 총격이 있었지만, 단단한 벽에 막혀 제대로 된 타격을 가하지 못했다. 폭파를 시도하여 여러 개의 화약통이 내부에서 폭발하였지만, 벽에는 손상을 입히지 못했다.[22]
결국 존스는 방화를 시도했고, 이른 저녁에 호텔은 지붕도 없이 연기를 내며 폐허가 되었다.[22] 존스는 "오늘이 내 인생에서 가장 행복한 순간"이라고 외치며 "광신자들을 먼지 속에서 그에게 굴복"시켰다고 말했다.[12]
3. 3. 신문사 파괴와 약탈
보안관 존스가 이끄는 부대는 '캔자스 자유 주'와 '자유의 헤럴드' 두 신문사를 파괴했다. 이들은 인쇄기를 부수고 활자를 강에 던져 유실시켰으며, 서적과 신문들을 훼손했다.[7][12] 신문사 파괴 후, 존스의 부대는 반쯤 비어있는 마을을 약탈했다.[7][12]3. 4. 로빈슨 주지사 집 방화
존스 부대가 퇴각하면서 오레드 산 위에 있는 찰스 L. 로빈슨 주지사의 개인 주택을 불태웠다.[22] 이 주택은 존스 부대의 사령부로 사용되기도 했다.[7]3. 5. 인명 피해
로렌스 약탈의 결과, 노예제도 찬성론자 한 명이 사망했다. 이 사망자는 무너지는 건물 잔해에 깔려 사망한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23] 자유 주 호텔이 붕괴될 당시 존스의 부하 중 한 명도 건물 잔해에 머리를 맞아 사망했다는 기록 역시 존재한다.[11][15]4. 약탈 이후
로렌스 약탈로 인해 이 도시의 유일한 대포가 소실되었다. 이 사건은 엘드리지 호텔 재건, 언론의 일시적 공백과 재개, 그리고 자유 주 세력의 프랭클린 요새 공격의 한 원인이 되었다.[18]
4. 1. 엘드리지 호텔 재건
자유 주 호텔이 파괴되었지만, 셜러 엘드리지는 그을린 잔해를 사들여 엘드리지 호텔로 재건했다. 이 건물은 1863년 윌리엄 퀀트릴이 로렌스 학살 당시 불태울 때까지 로렌스의 명물로 남아 있었다.[16]4. 2. 언론의 역할과 변화
로렌스 약탈 이후 몇 달 동안, 이 도시에는 자유 주 신문이 없었다. ''캔자스 자유 주''(Kansas Free State)를 운영하던 조시아 밀러(Josiah Miller)가 이전 신문을 다시 시작하지 않기로 결정하면서 이러한 상황은 더욱 심화되었다. 로렌스에 기반을 둔 뉴스 매체의 부재는 조지 브라운(George Brown)이 11월에 ''자유의 헤럴드''(Herald of Freedom)를 재개하면서 끝났다.[17]4. 3. 프랭클린 요새 공격과의 연관성
로렌스 약탈로 인해 도시의 유일한 대포를 잃게 되자, 자유 주 세력은 1856년 6월과 8월에 프랭클린 요새를 공격했다. 이들은 "올드 새크라멘토" 대포를 탈환하여 자신들이 사용하고자 했다.[18]5. 한국의 관점에서의 의의
로렌스 약탈은 미국 캔자스 주 로렌스에서 발생한 사건으로, 한국사와 직접적인 관련은 없다. 그러나 이 사건을 통해 얻을 수 있는 교훈은 한국 사회에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
첫째, 로렌스 약탈은 남북 전쟁의 원인이 된 노예제도의 비인간성을 보여준다. 이는 일제 강점기 한국인들이 겪었던 억압과 차별을 떠올리게 하며, 인간의 존엄성과 평등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둘째, 이 사건은 무분별한 폭력과 약탈이 사회에 미치는 해악을 보여준다. 이는 한국 사회의 갈등과 분열을 해결하기 위해 폭력이 아닌 대화와 타협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셋째, 로렌스 약탈은 지역 사회의 붕괴와 재건 과정을 보여준다. 이는 한국 사회가 과거의 상처를 극복하고 미래로 나아가기 위해 필요한 노력과 연대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참조
[1]
서적
Army Regulars on the Western Frontier, 1848–1861
University of Oklahoma Press
[2]
서적
John Brown in Kansas
https://books.google[...]
Crane and Company
2018-05-23
[3]
서적
A Standard History of Kansas and Kansans
https://archive.org/[...]
Lewis Publishing Company
1918
[4]
서적
Army Regulars on the Western Frontier, 1848–1861
University of Oklahoma Press
[5]
서적
Civil War on the Western Border, 1854–1865
University of Nebraska Press
[6]
간행물
The University of Kansas and the Sack of Lawrence: A Problem of Intellectual Honesty
https://www.kshs.org[...]
1968
[7]
서적
Civil War on the Western Border, 1854–1865
University of Nebraska Press
[8]
뉴스
Razing Hotel that Played Big Part in Kansas Slavery Fight
New York Times
1924-03-30
[9]
서적
"'Bleeding Kansas': The Border War in Douglas and Adjacent Counties"
Champion Publishing
[10]
서적
A History of Lawrence Kansas, from the Earliest Settlement to the Close of the Rebellion
http://www.kancoll.o[...]
Lawrence Journal Press
2017-10-02
[11]
서적
Lincoln's Tragic Pragmatism: Lincoln, Douglas, and Moral Conflict
Harvard University Press
2013
[12]
서적
A History of Lawrence Kansas, from the Earliest Settlement to the Close of the Rebellion
http://www.kancoll.o[...]
Lawrence Journal Press
2017-10-02
[13]
간행물
Old Sacramento: Cannon of Crisis, Cannon of Freedom
http://www.latinamer[...]
[14]
서적
Empire and Liberty: The Civil War and the West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15
[15]
간행물
The Law That Ripped America In Two
https://www.smithson[...]
2017-10-02
[16]
웹사이트
Our Story
http://eldridgehotel[...]
Eldridge Hotel
2017-04-24
[17]
서적
Stark Mad Abolitionists: Lawrence, Kansas, and the Battle over Slavery in the Civil War Era
Skyhorse Publishing
2017
[18]
서적
A History of Lawrence Kansas, from the Earliest Settlement to the Close of the Rebellion
http://www.kancoll.o[...]
Lawrence Journal Press
2017-10-02
[19]
서적
Army Regulars on the Western Frontier, 1848-1861
University of Oklahoma Press
[20]
서적
Army Regulars on the Western Frontier, 1848-1861
University of Oklahoma Press
[21]
서적
Civil War on the Western Border, 1854-1865
University of Nebraska Press
[22]
서적
Civil War on the Western Border
[23]
웹인용
Ross Drake, "The Law That Ripped America In Two," Smithsonian Magazine, May 1, 2004.
http://www.smithsoni[...]
2008-02-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