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로뱅 캉피요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로뱅 캉피요는 프랑스의 영화 감독, 각본가, 편집자이다. 그는 1997년 영화 《레 상기네르》의 편집으로 영화 경력을 시작하여, 《타임 아웃》, 《더 클래스》, 《이스턴 보이즈》, 《BPM (분당 비트)》 등 다양한 작품에 참여했다. 특히 《그들이 돌아왔다》, 《이스턴 보이즈》, 《BPM (분당 비트)》 등의 작품으로 여러 영화제에서 수상했으며, 《BPM (분당 비트)》는 2017년 칸 영화제에서 그랑프리를 수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뤼미에르상 감독상 수상자 - 알랭 레네
    알랭 레네는 1922년 프랑스에서 태어나 2014년 사망한 프랑스의 영화감독으로, 기억과 시간의 복잡성을 탐구하며 마르그리트 뒤라스 등과의 협업을 통해 독창적인 영화 세계를 구축했고, 《히로시마 내 사랑》 등 다수의 작품으로 칸 영화제 등에서 수상했다.
  • 뤼미에르상 감독상 수상자 - 파트리스 셰로
    프랑스의 영화 및 연극 감독이자 오페라 연출가 겸 배우인 파트리스 셰로는 낭테르 아망디에 극장 감독을 역임하고 바이로이트 음악제에서 "세기 반지"라는 찬사를 받은 《니벨룽의 반지》를 연출했으며, 영화 《인티머시》로 베를린 국제 영화제 황금곰상을 수상하는 등 다방면에서 큰 영향을 미쳤다.
  • 프랑스의 성소수자 작가 - 미셸 푸코
    미셸 푸코는 프랑스의 철학자, 역사가, 사회학자로서 권력, 지식, 담론 등을 탐구하며 서양 사상과 사회에 큰 영향을 미쳤다.
  • 프랑스의 성소수자 작가 - 롤랑 바르트
    프랑스의 문학 비평가이자 기호학자, 사상가인 롤랑 바르트는 `글쓰기의 영도`와 `신화론`으로 이름을 알리고 구조주의와 기호학 연구를 거쳐 포스트구조주의적 시도를 보였으며, '작가의 죽음' 개념을 통해 텍스트 해석의 다의성과 독자의 역할을 강조하며 다양한 분야에 영향을 미쳤다.
로뱅 캉피요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2018년의 캉피요
2018년의 캉피요
출생일1962년 8월 16일
출생지모로코 모하메디아
국적프랑스
직업영화 각본가, 영화 편집 기사, 영화 감독
활동 기간1997년–현재
웹사이트로뱅 캉피요 공식 웹사이트
수상
칸 영화제 심사위원 특별상2017년 《BPM (비트 퍼 미닛)》
칸 영화제 국제영화비평가 연맹상2017년 《BPM (비트 퍼 미닛)》
퀴어종려상2017년 《BPM (비트 퍼 미닛)》
프랑수아 샬레상2017년 《BPM (비트 퍼 미닛)》
유럽 영화상 편집상2017년 《BPM (비트 퍼 미닛)》
베네치아 국제 영화제 오리종티상2013년 《이스턴 보이즈》
세자르상 작품상2017년 《BPM (비트 퍼 미닛)》
세자르상 각색상2008년 《파리 20구, 우리들의 수업》
뉴욕 영화 비평가 협회상 외국어 영화상2017년 《BPM (비트 퍼 미닛)》
로스앤젤레스 영화 비평가 협회상 외국어 영화상2017년 《BPM (비트 퍼 미닛)》
인도 국제 영화제 금공작상2017년 《BPM (비트 퍼 미닛)》
주요 작품
감독/각본《BPM (비트 퍼 미닛)》
각본《파리 20구, 우리들의 수업》

2. 작품 목록

wikitext

연도제목참여비고
1997레 상기네르편집
1999휴먼 리소스편집
2001타임 아웃각본, 편집노미네이트—유러피언 영화상 각본상
2003밤비를 누가 죽였나?편집
2004그들이 돌아왔다감독, 각본, 편집판타스포르토 영화제 감독상, 유럽 판타지 영화 대상 은상
2005헤딩 사우스각본, 편집
2008더 클래스각본, 편집세자르 영화상 각색상
노미네이트—세자르 영화상 편집상, 뤼미에르상 각본상, 프리 자크 프레베르 뒤 시나리오 각색상
2012폭스파이어: 걸 갱의 고백각본, 편집
2013이스턴 보이즈감독, 각본, 편집PKO 오프 카메라 국제 독립 영화제 크라쿠프 영화상, 산타바바라 국제 영화제 최우수 국제 영화상, 베니스 영화제 지평선상
노미네이트—세자르 영화상 작품상, 세자르 영화상 감독상, 루이 델루크상 작품상, 프리 자크 프레베르 뒤 시나리오 원작 각본상
2014이타카로의 귀환편집
2015디스오더스크립트 컨설턴트
2015스위트 아모리킨스크립트 컨설턴트
2016플래니테리움각본
2017더 워크숍각본
2017BPM (분당 비트)감독, 각본, 편집칸 영화제 그랑프리, 세자르 영화상 작품상, 세자르 영화상 각본상, 세자르 영화상 편집상, 산 세바스티안 국제 영화제 세바스티안상, 뤼미에르상 작품상, 뤼미에르상 감독상, 뤼미에르상 각본상
노미네이트—세자르 영화상 감독상
2023레드 아일랜드감독, 각본, 편집


2. 1. 영화

로뱅 캉피요는 여러 편의 영화에 참여했다. 1997년 《레 상기네르》의 편집을 맡았다. 1999년에는 《휴먼 리소스》의 편집을 담당했다. 2001년 영화 《타임 아웃》에서는 각본과 편집을 맡아 유럽 영화상 각본상 후보에 올랐다. 2003년에는 《사일런트 호스피탈》의 편집을 맡았다.

2004년, 캉피요는 《그들이 돌아왔다》의 감독, 각본, 편집을 맡아 판타스포르토 영화제에서 감독상과 유럽 판타지 영화 대상 은상을 수상했다. 2005년에는 《헤딩 사우스》의 각본과 편집을 담당했다. 2008년 영화 《더 클래스》에서는 각본과 편집을 맡아 세자르 영화상 각색상을 수상했으며, 세자르 영화상 편집상 후보, 뤼미에르상 각본상 후보, 프리 자크 프레베르 뒤 시나리오 각색상 후보에 올랐다.

2012년, 캉피요는 《폭스파이어: 걸 갱의 고백》의 각본과 편집을 맡았다. 2013년에는 《이스턴 보이즈》의 감독, 각본, 편집을 맡아 PKO 오프 카메라 국제 독립 영화제에서 크라쿠프 영화상을, 산타바바라 국제 영화제에서 최우수 국제 영화상을, 제70회 베니스 국제 영화제에서 지평선상을 수상했다. 또한 세자르 영화상 작품상 및 감독상, 루이 델루크상 작품상, 프리 자크 프레베르 뒤 시나리오 원작 각본상 후보에 올랐다. 2014년에는 《이타카로의 귀환》의 편집을 담당했다.

2015년, 캉피요는 《디스오더》의 스크립트 컨설턴트를 맡았고, 같은 해 《스위트 아모리킨》의 스크립트 컨설턴트로도 참여했다. 2016년에는 《플래니테리움》의 각본을 썼다. 2017년, 캉피요는 《더 워크숍》의 각본을 썼다.

같은 해, 캉피요는 《BPM (분당 비트)》의 감독, 각본, 편집을 맡아 2017 칸 영화제에서 그랑프리를 수상하고, 세자르 영화상 작품상, 각본상, 편집상을 수상했다. 또한 산 세바스티안 국제 영화제에서 세바스티안상을 수상하고, 뤼미에르상 작품상, 감독상, 각본상을 수상했으며, 세자르 영화상 감독상 후보에 올랐다. 2023년에는 《레드 아일랜드》의 감독, 각본, 편집을 맡았다.

3. 작품 경향

3. 1. 주요 주제

3. 2. 특징

4. 수상 내역

칸 영화제에서 BPM (분당 비트)로 그랑프리를 수상했다.

2008년 영화 《더 클래스》로 세자르 영화상 각색상을 수상했다. 2017년 영화 《BPM》으로 세자르 영화상 작품상, 세자르 영화상 각본상, 세자르 영화상 편집상을 수상했으며, 세자르 영화상 감독상 후보에 올랐다.

《이스턴 보이즈》로 베니스 영화제에서 지평선상을 수상했다. 산타바바라 국제 영화제에서 최우수 국제 영화상을, PKO 오프 카메라 국제 독립 영화제에서 크라쿠프 영화상을 받았다.

《그들이 돌아왔다》로 판타스포르토 영화제에서 감독상과 유럽 판타지 영화 대상 은상을 받았다.

《BPM (분당 비트)》로 산 세바스티안 국제 영화제에서 세바스티안상을, 뤼미에르상에서 작품상, 감독상, 각본상을 수상했다.

4. 1. 칸 영화제

로뱅 캉피요는 2017년 영화 《BPM (분당 비트)》로 칸 영화제에서 그랑프리를 수상했다.

4. 2. 세자르 영화제

로뱅 캉피요는 2008년 영화 《더 클래스》로 세자르 영화상 각색상을 수상했다. 2017년 영화 《BPM》으로 세자르 영화상 작품상, 세자르 영화상 각본상, 세자르 영화상 편집상을 수상했으며, 세자르 영화상 감독상 후보에 올랐다.

참조

[1] 웹사이트 The best films of the '00s https://www.avclub.c[...] 2011-10-08
[2] 뉴스 They Came Back https://web.archive.[...] 2008
[3] 웹사이트 In This World https://web.archive.[...] 2013-06-27
[4] 웹사이트 Screenrush http://www.screenrus[...]
[5] 뉴스 The New York Times https://movies.nytim[...]
[6] 뉴스 100 Best Films of the Noughties https://www.theguard[...] 2009-12-17
[7] 웹사이트 Best of the Aughts: Film http://www.slantmaga[...] 2010-02-07
[8] 웹사이트 The best films of the '00s http://www.avclub.co[...] 2011-10-08
[9] 뉴스 They Came Back https://movies.nytim[...]
[10] 웹사이트 In This World http://www.villagevo[...] 2017-12-02
[11] 웹사이트 Screenrush http://www.screenrus[...]
[12] 뉴스 The New York Times https://movies.nytim[...]
[13] 뉴스 100 Best Films of the Noughties https://www.theguard[...] 2009-12-17
[14] 웹사이트 Best of the Aughts: Film http://www.slantmaga[...] 2010-02-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