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자르상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세자르상은 프랑스 영화 예술 기술 아카데미가 주최하는 프랑스 영화 시상식으로, 1974년 조르주 크라벤이 아카데미상에 상응하는 시상식을 만들고자 설립했다. 1976년 첫 시상식이 열렸으며, 영화 예술 기술 아카데미 회원들의 투표로 수상작이 결정된다. 작품상, 감독상, 남녀 주연상 등 다양한 부문을 시상하며, 외국어 영화상도 포함한다. 역대 최다 수상작은 《마지막 지하철》과 《시라노》이며, 제라르 드파르디외가 연기 부문 최다 노미네이트 기록을 가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76년 시작된 행사 - 호치 영화상
호치 영화상은 스포츠 호치 신문사에서 주최하는 일본의 영화 시상식으로, 일본 영화와 해외 영화를 대상으로 다양한 부문에서 수상자를 선정하여 일본 영화계의 주요 시상식 중 하나이다. - 세자르상 - 제19회 세자르상
제19회 세자르상은 1994년에 개최되었으며, 알랭 레네 감독의 《흡연/금연》이 최우수 작품상을, 피아노가 최우수 외국어 영화상을, 푸른 파파야 향기가 최우수 데뷔상을 수상했다. - 세자르상 - 제31회 세자르상
제31회 세자르상은 2006년에 개최되었으며, 영화 《내 심장이 건너뛴 박동》이 최우수 작품상을, 자크 오디아르가 감독상을, 미셸 부케와 나탈리 베이가 각각 남우주연상과 여우주연상을 수상했다. - 1976년 설립 - 서울관악경찰서
서울관악경찰서는 서울특별시 관악구(조원동 제외)를 관할하며 112종합상황실, 생활안전과, 여성청소년과, 수사과 등 여러 부서와 6개 지구대, 3개 파출소를 운영하며 관악구 지역의 치안 유지를 담당하는 경찰서이다. - 1976년 설립 - 서울강남경찰서
서울강남경찰서는 서울 강남구에 위치한 경찰서로, 강남 지역 발전에 따라 관할 구역이 조정되었으며, 경찰과 유흥업소 간 유착 문제로 '특별 인사관리구역'으로 지정되기도 했다.
세자르상 - [상(Prize)]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세자르상 |
원어 이름 | 프랑스어: Nuit des César 프랑스어: César du cinéma français |
로마자 표기 | Sejareu-sang |
종류 | 프랑스 영화 시상식 |
수여 대상 | 프랑스 영화의 업적 |
주최 | 프랑스 영화 기술 예술 아카데미 |
국가 | 프랑스 |
첫 시상 | 1976년 4월 3일 |
웹사이트 | 프랑스 영화 기술 예술 아카데미 공식 웹사이트 |
![]() | |
최근 시상식 | |
시상식 | 제49회 세자르상 |
2. 역사
1974년, 조르주 크라벤은 미국의 아카데미상에 상응하는 프랑스 영화 시상식을 만들고자 예술 및 영화 기술 아카데미를 설립하여, 뛰어난 업적과 가장 주목할 만한 영화 작품에 상을 수여하고자 했다. 1976년 4월 3일에 장 가뱅 주재 하에 첫 번째 세자르상 시상식("세자르의 밤"이라고도 불림)이 열렸으며, 그는 사망하기 몇 달 전에 휠체어에 앉아 시상식을 지켜보았다.[6] 이 상의 이름은 각 부문 수상자에게 수여되는 트로피를 디자인한 조각가 세자르에서 유래되었으며, 마르셀 파뇰의 마르세유 3부작에서 세자르 역을 연기한 프랑스 배우 레미에 대한 존경의 표시이기도 하다.[6]
세자르상은 1955년부터 1975년까지 수여되었던 Étoile de cristal|크리스탈 별프랑스어을 대체했다. 이전에도 프랑스 영화에 다른 상들이 수여되었는데, 1934년부터 1986년까지 루이 뤼미에르가 제정한 Grand prix du cinéma français|프랑스 영화 대상프랑스어이 매년 한 편의 영화에 수여되었다. 1950년대에는 Victoire du cinéma français|프랑스 영화 빅투아르프랑스어가 매년 6월에 수여되었으나, 대중적인 호응이 부족하여 1964년 이후 폐지되었다.
첫 시상식에서는 13개 부문에서 시상이 이루어졌으나, 현재는 22개 부문(9개 하위 부문)으로 확장되었다.[6] 최근 추가된 부문으로는 가장 유망한 남자 배우, 여자 배우, 최우수 다큐멘터리, 최우수 애니메이션 영화가 있다. 최우수 영화 포스터와 최우수 프로듀서에게 수여되던 상은 자매 시상식인 Prix Daniel Toscan du Plantier|다니엘 토스칸 뒤 플랑티에 상프랑스어에서 수여되면서 폐지되었다. 2021년에는 최우수 시각 효과와 최우수 단편 다큐멘터리 영화 부문이 신설되었다.[6]
2018년부터는 프랑스 박스 오피스에서 가장 높은 수익을 올린 프랑스 영화에 수여되는 세자르 뒤 퓌블릭(César du public)이 신설되었다.[7]
2020년 제45회 세자르상 시상식에서 로만 폴란스키 감독이 자신의 영화로 최우수 감독상을 수상했다. 그러나 폴란스키 감독은 과거 미성년자 성폭행 혐의로 유죄 판결을 받은 전력이 있었다.[12] 이에 항의하여 아델 에넬을 비롯한 일부 영화인들이 시상식 도중 퇴장하는 사건이 발생했다.[11]
'''역대 명예 세자르상 수상자'''
연도 | 수상자 |
---|---|
1976년 (제1회) | 잉그리드 버그만, 다이아나 로스 |
1977년 (제2회) | 앙리 랑글루아, 자크 타티 |
1978년 (제3회) | 르네 고시니 |
1979년 (제4회) | 마르셀 카르네, 샤를 바넬, 월트 디즈니 |
1980년 (제5회) | 피에르 블롱베르제, 루이 드 퓌네스, 커크 더글러스 |
1981년 (제6회) | 마르셀 파뇰, 알랭 레네 |
1982년 (제7회) | 안제이 바이다 |
1983년 (제8회) | 레미 |
1984년 (제9회) | 르네 클레망, 조르주 드 보르가르 |
1985년 (제10회) | 크리스티앙 자크, 다니엘 다리외 |
1986년 (제11회) | 모리스 자르, 베티 데이비스, 클로드 란즈만 |
1987년 (제12회) | 장뤼크 고다르 |
1988년 (제13회) | 세르주 실베르만 |
1989년 (제14회) | 베르나르 브리에, 폴 그리모 |
1990년 (제15회) | 제라르 필립 |
1991년 (제16회) | 장피에르 오몽, 소피아 로렌 |
1992년 (제17회) | 미셸 모건, 실베스터 스탤론 |
1993년 (제18회) | 장 마레, 마르첼로 마스트로야니, 제라르 우리 |
1994년 (제19회) | 장 카메 |
1995년 (제20회) | 잔 모로, 그레고리 펙, 스티븐 스필버그 |
1996년 (제21회) | 로렌 바콜, 앙리 베르누이유 |
1997년 (제22회) | 샤를 아즈나부르, 앤디 맥도웰 |
1998년 (제23회) | 마이클 더글러스, 클린트 이스트우드, 장뤼크 고다르 |
1999년 (제24회) | 페드로 알모도바르, 조니 뎁, 장 로슈포르 |
2000년 (제25회) | 조지안느 발라스코, 장피에르 레오, 마틴 스코세이지 |
2001년 (제26회) | 샬롯 램플링, 아녜스 바르다 |
2002년 (제27회) | 아누크 에메, 제러미 아이언스 |
2003년 (제28회) | 베르나데트 라퐁, 스파이크 리, 메릴 스트립 |
2004년 (제29회) | 미슐린 프렐르 |
2005년 (제30회) | 자크 뒤트롱, 윌 스미스 |
2006년 (제31회) | 휴 그랜트, 피에르 리샤르 |
2007년 (제32회) | 주드 로 |
2008년 (제33회) | 잔 모로, 로베르토 베니니 |
2009년 (제34회) | 더스틴 호프만 |
2010년 (제35회) | 해리슨 포드 |
2011년 (제36회) | 쿠엔틴 타란티노 |
2012년 (제37회) | 케이트 윈슬렛 |
2013년 (제38회) | 케빈 코스트너 |
2014년 (제39회) | 스칼렛 요한슨 |
2015년 (제40회) | 숀 펜 |
2016년 (제41회) | 마이클 더글러스 |
2017년 (제42회) | 조지 클루니 |
2018년 (제43회) | 페넬로페 크루스 |
2019년 (제44회) | 로버트 레드포드 |
2020년 (제45회) | 브래드 피트 (수상 거부) |
2021년 (제46회) | 조지안느 발라스코, 미셸 블랑, 마리앤 차젤, 크리스티앙 클라비에, 제랄드 쥐노, 티에리 르미트, 브루노 모이노, 장피에르 바크리 |
2022년 (제47회) | 케이트 블란쳇 |
2. 1. 설립 배경
1974년, 조르주 크라벤은 미국의 아카데미상에 상응하는 프랑스 영화 시상식을 만들고자 예술 및 영화 기술 아카데미를 설립하여, 뛰어난 업적과 가장 주목할 만한 영화 작품에 상을 수여하고자 했다. 첫 번째 세자르상(세자르의 밤)은 1976년 4월 3일에 장 가뱅 주재 하에 열렸으며, 그는 사망하기 몇 달 전에 휠체어에 앉아 시상식을 지켜보았다. 이 상의 이름은 각 부문 수상자에게 수여되는 트로피를 디자인한 조각가 세자르에서 유래되었다. 이는 또한 마르셀 파뇰의 마르세유 3부작에서 세자르 역을 연기한 프랑스 배우 레미에 대한 존경의 표시이기도 하다.[6]2. 2. 초기 역사
1974년, 조르주 크라벤은 미국의 아카데미상에 상응하는 프랑스 영화 시상식을 만들고자 예술 및 영화 기술 아카데미를 설립하여, 뛰어난 업적과 가장 주목할 만한 영화 작품에 상을 수여하고자 했다. 첫 번째 세자르상 - "세자르의 밤"이라고도 알려짐 - 은 1976년 4월 3일에 장 가뱅의 주재 하에 열렸으며, 그는 사망하기 몇 달 전에 휠체어에 앉아 시상식을 지켜보았다.[1] 이 상의 이름은 각 부문 수상자에게 수여되는 트로피를 디자인한 조각가 세자르에서 유래되었다.[1] 이는 또한 마르셀 파뇰의 마르세유 3부작에서 세자르 역을 연기한 위대한 프랑스 배우이자 연기자 레미에 대한 존경의 표시이기도 하다.[1]세자르상은 1955년부터 1975년까지 수여되었던 Étoile de cristal|프랑스어을 대체했다.[1] 과거에도 프랑스 영화에 다른 상들이 수여되었다.[1] 1934년부터 1986년까지, 영화 개척자 루이 뤼미에르가 제정한 Grand prix du cinéma français|프랑스어가 매년 한 편의 영화에 수여되었다.[1] 1950년대에는 Victoire du cinéma français|프랑스어가 매년 6월에 수여되었으나, 대중적인 호응이 부족하여 1964년 이후 폐지되었다.[1]
2. 3. 발전 과정
조르주 크라벤은 1974년 미국의 아카데미상에 상응하는 프랑스 영화 시상식을 만들고자 예술 및 영화 기술 아카데미를 설립했다. 1976년 4월 3일, 장 가뱅 주재 하에 첫 번째 세자르상 시상식("세자르의 밤"이라고도 불림)이 열렸다.[6] 이 상의 이름은 각 부문 수상자에게 수여되는 트로피를 디자인한 조각가 세자르에서 유래되었으며, 마르셀 파뇰의 마르세유 3부작에서 세자르 역을 연기한 프랑스 배우 레미에 대한 존경의 표시이기도 하다.세자르상은 1955년부터 1975년까지 수여되었던 Étoile de cristal|크리스탈 별프랑스어을 대체했다. 이전에도 프랑스 영화에 다른 상들이 수여되었는데, 1934년부터 1986년까지 영화 개척자 루이 뤼미에르가 제정한 Grand prix du cinéma français|프랑스 영화 대상프랑스어이 매년 한 편의 영화에 수여되었다. 1950년대에는 Victoire du cinéma français|프랑스 영화 빅투아르프랑스어가 매년 6월에 수여되었으나, 대중적 호응 부족으로 1964년 이후 폐지되었다.
첫 시상식에서는 13개 부문에서 시상이 이루어졌으나, 현재는 22개 부문(9개 하위 부문)으로 확장되었다.[6] 최근 추가된 부문으로는 가장 유망한 남자 배우, 여자 배우, 최우수 다큐멘터리, 최우수 애니메이션 영화가 있다. 최우수 영화 포스터와 최우수 프로듀서에게 수여되던 상은 자매 시상식인 Prix Daniel Toscan du Plantier|다니엘 토스칸 뒤 플랑티에 상프랑스어에서 수여되면서 폐지되었다. 2021년에는 최우수 시각 효과와 최우수 단편 다큐멘터리 영화 부문이 신설되었다.[6]
2018년부터는 프랑스 박스 오피스에서 가장 높은 수익을 올린 프랑스 영화에 수여되는 세자르 뒤 퓌블릭(César du public)이 신설되었다.[7]
2. 4. 논란
2020년에 열린 제45회 세자르상 시상식에서 로만 폴란스키 감독은 자신의 영화로 최우수 감독상을 받았다. 그러나 폴란스키 감독은 과거 미성년자 성폭행 혐의로 유죄 판결을 받은 전력이 있었다.[1] 이에 항의하여 아델 에넬을 비롯한 일부 영화인들이 시상식 도중 퇴장하는 사건이 발생했다.[1]3. 트로피
세자르상은 조각가 세자르 발다치니가 1975년에 디자인한 금속 물체의 압축 조각상으로, 오스카상에 대한 윙크로 그 이름을 지어준 조르주 크라벤의 친구였다. 이름의 소리가 파뇰의 영화 ''세자르''와 가깝기 때문이다.[18] 이 단조 조각상은 금으로 도금된 오스카상과는 달리, 자연스러운 광택을 낸 청동으로 만들어졌다. 1976년 첫 AATC 트로피는 실루엣을 둘러싼 필름 릴 모양이었다.[19][20] 1977년, 발다치니는 현재의 8 x 8 cm 압축 조각상을 공개했는데, 무게는 3.6kg이고 노르망디의 보켈 주조소에서 주조되었다. 세자르상의 가격은 공식적으로 공개되지 않았지만, 약 1500EUR로 추정된다.
4. 투표 및 심사
세자르상 투표는 아카데미 드 아르 에 테크니크 뒤 시네마(Académie des arts et techniques du cinéma) 회원들이 우편으로 두 차례 진행한다. 첫 번째 투표로 각 부문별 후보를 선정하고, 두 번째 투표에서 최종 수상자를 결정한다.[21]
투표권은 영화 분야 전문가 약 4,000명에게 주어지며, 이들은 12개 단과대학으로 구성된다. 투표 자격을 얻으려면 영화 분야에서 꾸준한 경력을 증명하고, 아카데미에서 두 명의 후원을 받아야 한다. 전년도 수상자와 후보는 이 절차가 면제된다.[23]
아카데미는 투표를 돕기 위해 매년 프랑스 개봉 영화 목록과 작품 및 전문가 가이드를 제공한다. 12월에는 프랑스 영화 DVD 세트를 영화 목록과 함께 투표자에게 발송하며, 1월 말에는 후보작 특별 상영회가 열린다. 시상식 몇 주 전에는 샹젤리제에 있는 푸케 레스토랑에서 후보자들을 위한 특별 오찬(Déjeuner des nommés aux César du cinéma|세자르 영화상 후보자 오찬프랑스어)이 개최된다.
4. 1. 투표 절차
세자르상 투표는 우편으로 두 차례 진행된다. 첫 번째는 각 부문별 후보를 선정하기 위한 투표(분야에 따라 3~5명)이고, 두 번째는 최종 수상자를 결정하는 투표이다.투표권자는 영화 분야의 전문가 약 4,000명이며, 다음의 12개 단과대학으로 구성되어 있다.
- 배우
- 감독
- 작가
- 기술자
- 제작자
- 배급업체 및 해외 판매업체
- 촬영 기사
- 에이전트
- 기술 산업
- 캐스팅 디렉터
- 홍보 담당자
- 준회원
투표 자격 기준은 영화 분야에서 비교적 일관된 경력을 증명하고, 아카데미 드 아르 에 테크니크 뒤 시네마(Académie des arts et techniques du cinéma)에서 두 명의 후원을 받는 것이다. 전년도 수상자 및 후보는 이 절차를 면제받는다.[21]
4. 2. 심사 과정
세자르상 투표는 우편으로 두 차례 진행된다. 첫 번째 투표에서는 각 부문별 후보를 선정하며, 분야에 따라 3~5명의 후보가 결정된다. 두 번째 투표에서는 최종 수상자를 가린다.[21]투표권은 영화 분야 전문가 약 4,000명에게 주어진다. 이들은 배우, 감독, 작가, 기술자, 제작자, 배급 및 해외 판매업체, 촬영 기사, 에이전트, 기술 산업, 캐스팅 디렉터, 홍보 담당자, 준회원 등 12개 단과대학으로 구성된다. 투표 자격을 얻으려면 영화 분야에서 꾸준한 경력을 증명하고, 아카데미 드 아르 에 테크니크 뒤 시네마(Académie des arts et techniques du cinéma)에서 두 명의 후원을 받아야 한다. 전년도 수상자 및 후보는 이 절차가 면제된다.[23]
아카데미는 투표자들을 돕기 위해 매년 프랑스에서 개봉된 영화 목록과 작품 및 자격 있는 전문가에 대한 가이드를 제공한다. 12월에는 그 해 제작된 프랑스 영화 또는 주로 프랑스 영화의 DVD 세트가 영화 목록과 함께 선거인에게 발송된다. 1월 말, 후보 발표 후 샹젤리제 근처 르 발자크 영화관에서 후보작 특별 상영회가 열린다. 매년 시상식 몇 주 전에는 샹젤리제에 있는 푸케 레스토랑에서 후보자들을 위한 특별 점심 식사(Déjeuner des nommés aux César du cinéma|세자르 영화상 후보자 오찬프랑스어)가 개최된다.
4. 3. 투표 지원
Académie des arts et techniques du cinéma|아카데미 데 자르 에 테크니크 뒤 시네마프랑스어는 투표자들을 돕기 위해 매년 프랑스에서 개봉된 영화를 식별하고, 작품 및 자격 있는 전문가에 대한 가이드를 제공한다. 12월에는 그 해 제작된 프랑스 영화 또는 주로 프랑스 영화의 DVD 세트가 영화 목록과 함께 선거인에게 발송된다. 1월 말, 후보 발표 후, 샹젤리제 근처 르 발자크 영화관에서 후보작 특별 상영회가 열린다. 매년 시상식 몇 주 전에 샹젤리제에 있는 유명한 푸케 레스토랑에서 후보자들을 위한 특별 점심 식사(Déjeuner des nommés aux César du cinéma|데죄네 데 노메 오 세자르 뒤 시네마프랑스어)가 개최된다.5. 시상 부문
세자르상은 다양한 부문에 걸쳐 시상이 이루어진다. 1976년 첫 시상식에서는 작품상, 감독상, 남우주연상, 여우주연상, 남우조연상, 여우조연상, 외국어영화상, 촬영상, 편집상, 음악상, 미술상, 음향상을 시상했으며,[1] 이후 새로운 부문이 추가되거나 폐지되기도 했다.
1982년에는 감독 데뷔작품상, 1983년에는 남우신인상과 여우신인상, 1985년에는 의상상이 추가되었다.[1] 2006년부터는 각색상과 각본상이 분리되어 시상되고 있다.[1]
영화예술과학 아카데미는 매년 특별상도 수여하는데, 주요 특별상으로는 공로상, 다니엘 토스캉 두 플랑티에상 등이 있다. 과거에는 유럽 연합 영화 최우수 작품상도 시상했으나 현재는 폐지되었다.
배우 | 후보 지명 횟수 | 수상 횟수 |
---|---|---|
제라르 드파르디외 | 17 | 2 |
이자벨 위페르 | 16 | 2 |
다니엘 오떼유 | 14 | 2 |
카트린 드뇌브 | 14 | 2 |
카린 비아르 | 13 | 3 |
줄리엣 비노쉬 | 11 | 1 |
파브리스 루치니 | 11 | 1 |
미우미우 | 11 | 1 |
프랑수아 클뤼제 | 11 | 1 |
나탈리 베이 | 10 | 4 |
카트린 프로 | 10 | 2 |
이자벨 아자니 | 9 | 5 |
도미니크 블랑 | 9 | 4 |
상드린 키베르랭 | 9 | 2 |
미셸 세로 | 8 | 3 |
앙드레 뒤솔리에 | 8 | 3 |
파니 아르당 | 8 | 2 |
마리옹 코티야르 | 8 | 2 |
장-위그 앙글라드 | 8 | 1 |
엠마뉘엘 베아르 | 8 | 1 |
노에미 르보브스키 | 8 | 0 |
상드린 보네르 | 7 | 2 |
샤를로트 갱스부르 | 7 | 2 |
아델 에넬 | 7 | 2 |
뱅상 카셀 | 7 | 1 |
루이 가렐 | 7 | 1 |
버지니 에피라 | 7 | 1 |
장-피에르 마리엘 | 7 | 0 |
랑베르 윌슨 | 7 | 0 |
로맹 뒤리스 | 7 | 0 |
5. 1. 현재의 시상 부문
2014년 현재 시상 부문은 다음과 같다.[1]부문 | 시상 시작 연도 |
---|---|
최우수 작품상 | 1976년 |
최우수 감독상 | 1976년 |
최우수 남우주연상 | 1976년 |
최우수 여우주연상 | 1976년 |
최우수 남우조연상 | 1976년 |
최우수 여우조연상 | 1976년 |
최우수 남자 신인상 | 1983년 |
최우수 여자 신인상 | 1983년 |
최우수 각색상 | 2006년 |
최우수 오리지널 각본상 | 2006년 |
최우수 데뷔 작품상 | 1982년 |
최우수 외국어 영화상 | 1976년 |
최우수 애니메이션 영화상 | 2001년 |
최우수 다큐멘터리 영화상 | 1995년 |
최우수 단편 영화상 | 1992년 |
최우수 촬영상 | 1976년 |
최우수 의상상 | 1985년 |
최우수 편집상 | 1976년 |
최우수 영화 음악상 | 1976년 |
최우수 미술상 | 1976년 |
최우수 음향상 | 1976년 |
최우수 시각 효과상 | - |
최우수 애니메이션 단편 영화상 | - |
최우수 다큐멘터리 단편 영화상 | - |
명예상 | - |
5. 2. 특별상 부문
- 공로상 (César d'honneur, 1976년~)
- 다니엘 토스캉 두 플랑티에상 (Prix Daniel Toscan du Plantier, 2008년~)
- Trophée César & Techniques (2011년~)
- Médaille d'or de l'Académie (2015년~)
5. 3. 폐지된 시상 부문
- 유럽 연합 영화 최우수 작품상
6. 역대 주요 수상작
세자르상은 프랑스 영화 산업에서 뛰어난 업적을 기리기 위해 매년 열리는 시상식이다. 주요 부문으로는 작품상, 감독상, 외국어영화상 등이 있다. 각 부문별 역대 수상작은 다음과 같다.
부문 | 설명 |
---|---|
작품상 | 그 해 프랑스 최고의 영화에 수여한다. |
감독상 | 최고의 감독에게 수여한다. |
외국어영화상 | 프랑스 외 국가에서 제작된 최고의 영화에 수여한다. |
6. 1. 작품상
연도 | 작품 | 감독 |
---|---|---|
1976년(제1회) | 추억 | 로베르 앙리코 |
1977년(제2회) | 파리의 불빛은 멀리 | 조지프 로지 |
1978년(제3회) | 프로비던스 | 알랭 레네 |
1979년(제4회) | 은행 | 크리스티앙 드 샤롱제 |
1980년(제5회) | 테스 | 로만 폴란스키 |
1981년(제6회) | 마지막 지하철 | 프랑수아 트뤼포 |
1982년(제7회) | 불을 찾아서 | 장자크 아노 |
1983년(제8회) | 사랑의 균형 | 밥 스웨임 |
1984년(제9회) | 사랑의 기념 | 모리스 피알라 |
1985년(제10회) | 프렌치 캅스 | 클로드 지디 |
1986년(제11회) | 아기에게 건배! | 콜린 세로 |
1987년(제12회) | 테레즈 | 알랭 카발리에 |
1988년(제13회) | 안녕, 아이들 | 루이 말 |
1989년(제14회) | 카미유 클로델 | 브뤼노 뉘텡 |
1990년(제15회) | 너무 아름다워 | 베르트랑 블리에 |
1991년(제16회) | 시라노 | 장 폴 라프노 |
1992년(제17회) | 다시 만난 아침 | 알랭 코르노 |
1993년(제18회) | 야성의 밤에 | 시릴 콜라르 |
1994년(제19회) | 스모킹/노 스모킹 | 알랭 레네 |
1995년(제20회) | 야생 갈대 | 앙드레 테시네 |
1996년(제21회) | 증오 | 마티유 카소비츠 |
1997년(제22회) | 리디큘 | 파트리스 르콩트 |
1998년(제23회) | 사랑의 샹송 | 알랭 레네 |
1999년(제24회) | 천사가 본 꿈 | 에릭 종카 |
2000년(제25회) | 비너스 보티 | 토니 마샬 |
2001년(제26회) | 무슈 카스텔라의 사랑 | 아녜스 자우이 |
2002년(제27회) | 아멜리에 | 장 피에르 주네 |
2003년(제28회) | 피아니스트 | 로만 폴란스키 |
2004년(제29회) | 여러분, 안녕 | 드니 아르캉 |
2005년(제30회) | 몸을 피해서 | 압데라티프 케시시 |
2006년(제31회) | 내 마음의 골키퍼 | 자크 오디아르 |
2007년(제32회) | 레이디 채터리 | 파스칼 페랑 |
2008년(제33회) | 꾸스꾸스: 사랑과 정열 | 압데라티프 케시시 |
2009년(제34회) | 세라핀의 정원 | 마르탱 프로보스트 |
2010년(제35회) | 예언자 | 자크 오디아르 |
2011년(제36회) | 신들과 인간들 | 자비에 보부아 |
2012년(제37회) | 아티스트 | 미셸 하자나비시우스 |
2013년(제38회) | 사랑 | 미하엘 하네케 |
2014년(제39회) | Me, Myself and Mum|엄마와 나영어 | 기욤 갈리엔 |
2015년(제40회) | Timbuktu (2014 film)|팀북투영어 | 압데라만 시사코 |
2016년(제41회) | Fatima (2015 film)|파티마영어 | 필립 포콩 |
2017년(제42회) | 엘르 | 폴 버호벤 |
2018년(제43회) | BPM (120) | 로뱅 캉피요 |
2019년(제44회) | 줄리앙 | 자비에 르그랑 |
2020년(제45회) | 레 미제라블 | 라지 리 |
2021년(제46회) | 아듀 레 콩 | 알베르 뒤퐁텔 |
2022년(제47회) | 환멸 | 자비에 지아놀리 |
6. 2. 감독상
연도 | 수상자 | 작품 |
---|---|---|
1976년 (제1회) | 베르트랑 타베르니에 | 축제가 시작되다 |
1977년 (제2회) | 조셉 로지 | 파리의 등불은 멀리 |
1978년 (제3회) | 알랭 레네 | 프로비던스 |
1979년 (제4회) | 크리스티앙 드 샤롱주 | 은행 |
1980년 (제5회) | 로만 폴란스키 | 테스 |
1981년 (제6회) | 프랑수아 트뤼포 | 마지막 지하철 |
1982년 (제7회) | 장 자크 아노 | 불의 발견 |
1983년 (제8회) | 안제이 바이다 | 당통 |
1984년 (제9회) | 에토레 스콜라 | 르 발 |
1985년 (제10회) | 클로드 지디 | 프렌치 캅스 |
1986년 (제11회) | 미셸 드빌 | 게임의 살인 |
1987년 (제12회) | 알랭 카발리에 | 테레즈 |
1988년 (제13회) | 루이 말 | 안녕, 아이들 |
1989년 (제14회) | 장 자크 아노 | 곰 이야기 |
1990년 (제15회) | 베르트랑 블리에 | 너무 아름다워서 |
1991년 (제16회) | 장 폴 라프노 | 시라노 |
1992년 (제17회) | 알랭 코르노 | 사랑의 아침 |
1993년 (제18회) | 클로드 소테 | 사랑의 팡세 |
1994년 (제19회) | 알랭 레네 | 스모킹/노 스모킹 |
1995년 (제20회) | 앙드레 테시네 | 야생 갈대 |
1996년 (제21회) | 클로드 소테 | Nelly et Monsieur Arnaud|넬리 앤드 무슈 아르노프랑스어 |
1997년 (제22회) | 베르트랑 타베르니에 | Capitaine Conan |
1998년 (제23회) | 뤽 베송 | 제5원소 |
1999년 (제24회) | 파트리스 셰로 | 사랑하는 이여, 기차를 타라 |
2000년 (제25회) | 토니 마셜 | 미용실 비너스 |
2001년 (제26회) | 도미니크 몰 | 해리, 친구를 만나다 |
2002년 (제27회) | 장 피에르 쥬네 | 아멜리에 |
2003년 (제28회) | 로만 폴란스키 | 피아니스트 |
2004년 (제29회) | 드니 아르캉 | 굿바이, 아메리카 |
2005년 (제30회) | 압데라흐만 시사코 | 몸을 숨겨 |
2006년 (제31회) | 자크 오디아르 | 내 심장이 건너뛴 박동 |
2007년 (제32회) | 기욤 카네 | 그는 당신에게 반하지 않았다 |
2008년 (제33회) | 압데라흐만 시사코 | 쿠스쿠스, 비밀 레시피 |
2009년 (제34회) | 장 프랑수아 리셰 | 메스린 |
2010년 (제35회) | 자크 오디아르 | 예언자 |
2011년 (제36회) | 로만 폴란스키 | 고스트 라이터 |
2012년 (제37회) | 미셸 하자나비시우스 | 아티스트 |
2013년 (제38회) | 미하엘 하네케 | 아무르 |
2014년 (제39회) | 로만 폴란스키 | 비너스 인 퍼 |
2015년 (제40회) | 압데라흐만 시사코 | Timbuktu (2014 film)|팀북투영어 |
2016년 (제41회) | 아르노 데스플레생 | 에펠탑, 우리들의 이야기 |
2017년 (제42회) | 자비에 돌란 | 단지 세상의 끝 |
2018년 (제43회) | 알베르 뒤퐁텔 | 다시 만날 날 |
2019년 (제44회) | 자크 오디아르 | 시스터스 브라더스 |
2020년 (제45회) | 로만 폴란스키 | 장교와 스파이 |
2021년 (제46회) | 알베르 뒤퐁텔 | ADIEU LES CONS |
2022년 (제47회) | 레오스 카락스 | 아네트 |
6. 3. 외국어영화상
연도 | 작품명 | 감독 | 국가 | ||||||||||||||||||||||||||||||||||||||||||||||||||||||||||||||||||||||||||||||||||||||||||||||||||||||||||||||||||||||||||||||||||||||||||||||||||||||||
---|---|---|---|---|---|---|---|---|---|---|---|---|---|---|---|---|---|---|---|---|---|---|---|---|---|---|---|---|---|---|---|---|---|---|---|---|---|---|---|---|---|---|---|---|---|---|---|---|---|---|---|---|---|---|---|---|---|---|---|---|---|---|---|---|---|---|---|---|---|---|---|---|---|---|---|---|---|---|---|---|---|---|---|---|---|---|---|---|---|---|---|---|---|---|---|---|---|---|---|---|---|---|---|---|---|---|---|---|---|---|---|---|---|---|---|---|---|---|---|---|---|---|---|---|---|---|---|---|---|---|---|---|---|---|---|---|---|---|---|---|---|---|---|---|---|---|---|---|---|---|---|---|---|---|---|
1976년 (제1회) | 여인의 향기 | 디노 리시 | {{lang|it|Profumo di donna|} | } 이탈리아
배우 | 수상 횟수 | 수상작 | 후보 횟수 |
---|---|---|---|
이자벨 아자니 | 5 | 포제션(1982), 살의의 여름(1984), 카미유 클로델(1989), 여왕 마고(1995), La Journée De La Jupe (2010) | 5 |
로미 슈나이더 | 2 | 『LImportant cest d'aimer』(1976), 평범한 사랑 이야기(1979) | 4 |
카트린 드뇌브 | 2 | 마지막 지하철(1981), 인도차이나(1993) | 14 |
나탈리 베이 | 2 | 사랑스러운 여인/라 발란스(1983), Le Petit lieutenant (2006) | 7 |
사비느 아제마 | 2 | 시골의 일요일(1985), 멜로(1987) | 5 |
이자벨 위페르 | 2 | 침묵의 여인/로필드 저택의 참극(1996), 엘(2017) | 16 |
욜랜드 모로 | 2 | Quand la mer monte... (2005), 세라핀(2009) | 3 |
아니 지라르 | 1 | Docteur Francoise Gailland (1977) | 3 |
시몬 시뇨레 | 1 | 앞으로의 인생 (1978) | 4 |
뮤뮤 | 1 | 안녕, 밤이여 (1980) | 5 |
상드린 보네르 | 1 | 겨울의 방랑 (1986) | 3 |
아네모네 | 1 | 프랑스의 추억 (1988) | 2 |
캐롤 부케 | 1 | 너무 아름다워서 (1990) | 2 |
안느 파릴로 | 1 | 니키타 (1991) | 1 |
잔느 모로 | 1 | 바다를 건너는 잔느 (1992) | 2 |
줄리엣 비노쉬 | 1 | 세 가지 색: 블루 (1994) | 8 |
파니 아르당 | 1 | 페달 두스 (1997) | 5 |
아리안 아스카리드 | 1 | 마르세유의 사랑 (1998) | 3 |
엘로디 부셰즈 | 1 | 천사가 본 꿈 (1999) | 2 |
카린 비아르 | 1 | Haut les coeurs ! (2000) | 7 |
도미니크 블랑 | 1 | Stand-by (2001) | 4 |
엠마누엘 드보 | 1 | 리드 마이 립스 (2002) | 3 |
이자벨 카레 | 1 | Se souvenir des belles choses (2003) | 5 |
실비 테스튀 | 1 | 공포 (2004) | 5 |
마리나 한즈 | 1 | 레이디 채터리 (2007) | 1 |
마리옹 코티야르 | 1 | 라비앙 로즈 (2008) | 3 |
사라 포레스티에 | 1 | 사랑은 너무 복잡해 (2011) | 2 |
베레니스 베조 | 1 | 아티스트 (2012) | 2 |
엠마누엘 리바 | 1 | 사랑, 아무르 (2013) | 1 |
상드린 키베를랭 | 1 | 9 Month Stretch (2014) | 7 |
아델 에넬 | 1 | Love at First Fight (2015) | 4 |
카트린 프로 | 1 | 마가렛트 여사의 은밀한 삶 (2016) | 11 |
잔느 발리바르 | 1 | 바르바라 - 세느 강의 검은 장미 (2018) | 4 |
레아 드뤼케 | 1 | 줄리앙 (2019) | 1 |
아나이스 드무스티에 | 1 | 앨리스와 시장 (2020) | 3 |
롤 칼라미 | 1 | 세벤 산맥의 앙투아네트 (2021) | 1 |
발레리 르메르시에 | 1 | 보이스 오브 러브 (2022) | 3 |
참조
[1]
웹사이트
Les César, comment ça marche ?
https://www.academie[...]
2024-12-14
[2]
웹사이트
Pourquoi les César s'appellent les César (et ne prennent pas de s)
https://www.bfmtv.co[...]
2020-02-28
[3]
웹사이트
César 2022 : connaissez-vous la petite histoire derrière la création de la fameuse récompense ?
https://www.allocine[...]
2022-02-22
[4]
웹사이트
The César Ceremony
https://web.archive.[...]
2013-12-03
[5]
웹사이트
César 2024 : le palmarès complet de la 49e cérémonie
https://www.vogue.fr[...]
2023-11-21
[6]
웹사이트
Création de deux nouveaux César
https://www.academie[...]
2021-09-23
[7]
웹사이트
Edito: quand nos César font Boon » Le Blog d'Ecran Noir
http://archives.ecra[...]
[8]
논문
Références bibliographiques
http://dx.doi.org/10[...]
Armand Colin
2018-03-14
[9]
웹사이트
Les César jouent la carte grand public
https://www.lexpress[...]
2018-01-31
[10]
웹사이트
Les César annoncent la création d'un prix du public
http://www.leparisie[...]
2018-01-31
[11]
웹사이트
Claire Denis n'a pas hésité avant de remettre le César à Roman Polanski
https://www.huffingt[...]
2020-03-01
[12]
뉴스
Adèle Haenel: France 'Missed the Boat' on #MeToo
https://www.nytimes.[...]
2020-02-24
[13]
웹사이트
What Happened at the César Awards Was a Setup For Silence
https://awardswatch.[...]
2020-02-29
[14]
웹사이트
César. César pour Polanski, Adèle Haenel quitte la cérémonie
https://www.lejsl.co[...]
[15]
뉴스
"Bravo la pédophilie" : le coup de colère d'Adèle Haenel après la victoire de Roman Polanski aux César
https://madame.lefig[...]
[16]
웹사이트
Adele Haenel : "Ils voulaient séparer l'homme de l'artiste, ils séparent aujourd'hui les artistes du monde
https://www.liberati[...]
[17]
웹사이트
César : A l'annonce de la victoire de Polanski, Adèle Haenel quitte la salle
https://www.lesinroc[...]
[18]
서적
Dictionnaire de la télévision française
Nouveau Monde éditions
2013
[19]
이미지
Le sculpteur César posant avec la première version du trophée, uniquement remis en 1976
https://web.archive.[...]
[20]
서적
Le tour du monde du cinéma français
Dixit
1995
[21]
웹사이트
Dates, les lieux et les diffuseurs
https://web.archive.[...]
[22]
웹사이트
Présidences de Cérémonie
https://web.archive.[...]
[23]
웹사이트
Maîtres de Cérémonie
https://web.archive.[...]
[24]
백과사전
セザール賞
2024-02-2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