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로베르 카이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로베르 카이요는 벨기에 출신의 컴퓨터 과학자이다. 그는 CERN에서 근무하며 팀 버너스리와 함께 월드 와이드 웹(WWW) 개발에 기여했다. 카이요는 WWW의 초기 로고를 디자인했고, 최초의 국제 WWW 컨퍼런스를 조직했으며, 웹 기술을 공개 도메인으로 출시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그는 또한 웹을 교육 자원으로 활용하기 위한 프로젝트를 시작했으며, 여러 대학에서 명예 학위를 받았고, 인터넷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벨기에의 발명가 - 게라르두스 메르카토르
    게라르두스 메르카토르는 16세기 유럽의 지도 제작자, 수학자, 천문학자, 지리학자로, 항해에 유용한 메르카토르 도법 개발과 세계 지도첩 《아틀라스》를 '아틀라스'라는 명칭으로 처음 출판하여 지도 제작 역사에 큰 영향을 미쳤다.
  • 벨기에의 발명가 - 아돌프 삭스
    벨기에 출신의 악기 제작자이자 발명가인 아돌프 삭스는 베이스 클라리넷 디자인 개선, 삭소른과 색스트롬바 개발, 특히 색소폰 발명으로 음악사에 큰 영향을 미쳤다.
  • 헨트 대학교 동문 - 자크 로게
    자크 로게는 벨기에의 스포츠 행정가, 외과 의사, 요트 선수로서 벨기에 올림픽 위원회 위원장과 유럽 올림픽 위원회 의장을 역임하고 2001년부터 2013년까지 제8대 국제 올림픽 위원회 위원장을 지내며 올림픽 규모 축소, 예산 절감, 도핑과의 전쟁을 추진하고 유스 올림픽 창설과 마인드 스포츠 게임즈 개최 지원을 통해 스포츠의 다양성을 넓히는 데 기여했다.
  • 헨트 대학교 동문 - 모리스 마테를링크
    모리스 마테를링크는 벨기에 출신의 프랑스어권 상징주의 작가로, 시, 희곡, 에세이 등 다양한 작품 활동을 통해 명성을 얻었으며 노벨 문학상을 수상했지만, 말년에는 표절 논란에 휩싸이기도 했다.
로베르 카이오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2019년의 로베르 카이오
2019년의 카이오
이름로베르 카이오
출생일1947년 1월 26일
출생지벨기에 통에런
직업엔지니어, 컴퓨터 과학자
웹사이트공식 웹사이트
알려진 업적월드 와이드 웹 공동 발명가
모교겐트대학교
미시간대학교
관련 인물
관련 인물팀 버너스리

2. 생애

로베르 카이오는 1947년 벨기에 통게렌에서 태어나 1958년 앤트워프로 이주하여 성장했다. 겐트대학교와 미시간대학교에서 공학 학위를 받은 후 CERN에서 연구원으로 활동하며 팀 버너스리와 함께 월드 와이드 웹(WWW) 개발에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했다.

카이오는 CERN 내외부적으로 웹 기술을 널리 알리는 데 기여했다. 특히 웹의 개방성과 교육적 활용에 큰 관심을 가졌으며, 유럽 위원회의 웹 기반 프로젝트와 학교 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하여 웹의 대중화에 힘썼다.

2. 1. 교육 및 초기 경력

로베르 카이요는 1947년 1월 26일 벨기에 통게렌에서 태어나, 1958년 부모를 따라 앤트워프로 이주하여 성장하였다.[25] 1969년 겐트대학교에서 전기 및 기계공학 학위를 받았으며, 1971년에는 미시간대학교에서 컴퓨터공학 석사학위를 받았다.[25][4]

벨기에 육군에서 군 복무를 하는 동안 포트란 프로그램을 유지하는 업무를 수행했다.[5][4]

대학원 졸업 후에는 CERN 연구원으로 사회생활을 시작하였으며, 월드와이드웹 개발과 확립에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였다.[26] 1974년 12월 CERN의 펠로우로 프로톤 싱크로트론(PS) 부서에서 가속기 제어 시스템 개조 프로젝트에 참여했고, 1987년 4월부터는 데이터 처리 부서의 오피스 컴퓨팅 시스템 그룹 리더를 맡았다.[7]

2. 2. CERN에서의 활동과 WWW 개발

유럽입자물리연구소(CERN) 재직 시절인 1987년, CERN을 위한 최초의 하이퍼텍스트 시스템을 제안하였고[22], 팀 버너스리와 함께 월드 와이드 웹 개발에 협력했다.

120x120px


카이요는 WWW의 역사적인 로고를 디자인했으며, 1994년 CERN에서 첫 번째 국제 월드와이드웹 컨퍼런스를 조직했다.[23] 1995년에는 CERN에서 월드 와이드 웹 컨소시엄(W3C)으로 웹 개발 사업을 이전하는 작업을 주도하였다.[24]

2. 3. WWW의 확산과 교육 활동

1993년, 프라운호퍼 협회와 협력하여 카이요는 유럽 위원회의 유럽 정보 보급을 위한 최초의 웹 기반 프로젝트(WISE)를 시작했다.[9] CERN의 법률 서비스와의 협력 결과, CERN의 미래 연구 담당 이사인 월터 후글랜드는 1993년 4월 30일에 웹 기술을 공개 도메인으로 출시하는 공식 문서를 서명했다.[14]

1993년 12월 카이요는 제1회 국제 WWW 컨퍼런스를 CERN에서 1994년 5월에 개최할 것을 요청했다.[15][16] 이 컨퍼런스는 참가 신청이 과다하게 접수되어 380명의 웹 개척자가 모였으며, 웹 개발의 이정표가 되었다. 이 컨퍼런스는 이후 매년 컨퍼런스를 조직해 온 국제 월드 와이드 웹 컨퍼런스 운영 위원회를 결성하는 계기가 되었다. 카이요는 1994년부터 2002년까지 위원회의 창립 멤버였다.

1995년 카이요는 유럽 위원회와 함께 "학교를 위한 웹" 프로젝트를 시작하여 웹을 교육 자원으로 소개했다. 그는 CERN에서 월드 와이드 웹 컨소시엄 (W3C)으로 웹 개발을 이전하는 것을 도운 후 대중과의 소통에 전념했다. 그는 2007년 1월 CERN에서 은퇴했다.[26]

카이요는 뉴로피언스의 활동적인 멤버였으며, 루카 코미나시와 함께 유럽 정보 사회에 관한 제안서를 작성했다.[17] 그는 월드 와이드 웹의 과거와 미래에 대해 대중 연설을 했으며, 국제 컨퍼런스에서 많은 기조 연설을 했다. 현재 그는 CERN 아이디어스퀘어의 외부 협력자 지위를 가지고 있다.

3. 업적

1987년 유럽입자물리연구소(CERN) 재직 시절, CERN을 위한 최초의 하이퍼텍스트 시스템을 제안했고[22], 팀 버너스리와 함께 월드 와이드 웹 개발에 참여했다.

WWW의 역사적인 로고를 디자인했으며, 1994년 CERN에서 첫 번째 국제 월드와이드웹 콘퍼런스를 조직했고[23], 1995년에는 CERN에서 글로벌 웹 컨소시엄으로 웹 개발 사업을 이전하는 작업을 주도했다.[24]

James Gillies와 함께 저술한 《How the Web Was Born》은 Web의 탄생과 기원에 관한 책이다.

4. 수상 내역


  • 1995년: 팀 버너스리와 함께 ACM 소프트웨어 시스템 상을 수상했다.[18]
  • 1999년: 앤트워프에서 크리스토프 플랑탱 상을 수상했고, 서던 크로스 대학교에서 명예 박사 학위를 받았다.
  • 2000년: 겐트 대학교에서 명예 박사 학위를 받았다.
  • 2001년: 팀 버너스리와 함께 메달 제네바 레코나상트(Médaille Genève Reconnaissante)를 받았다.[19]
  • 2004년: 벨기에 국왕 알베르 2세로부터 레오폴드 훈장을 받았다.
  • 2006년: 통게렌시 명예 시민이 되었다.
  • 2008년: 플랑드르 과학 예술 아카데미 금메달을 받았다.
  • 2009년: 팀 버너스리와 함께 리에주 대학교에서 명예 박사 학위를 받았다.
  • 2010년: 에렌프라이스 베스트 오브 스위스 웹(Ehrenpreis Best of Swiss Web)을 수상했다.[20]
  • 2012년: 인터넷 협회로부터 인터넷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21]
  • 2021년: 미시간 대학교에서 명예 박사 학위를 받았다. (ACM이 1995년 카이요에게 수여한 상에서 언급된 공동 창작자로서 월드 와이드 웹 개발 공로)
  • 2023년: 겐트 대학교 공학 동문회 명예 회원이 되었다.

참조

[1] 서적 How the Web Was Born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2000-09-28
[2] 웹사이트 Past and Future Conferences of WWW https://web.archive.[...] 2010-07-21
[3] 서적 How the Web Was Born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2000-09-28
[4] 뉴스 Robert Cailliau, l'oublié du Web - Épisode 1 L'évangélisation * 24h01 https://www.24h01.be[...] 2018-03-05
[5] 웹사이트 Knack dossiers : Het web van Tongeren https://web.archive.[...] Knack.be 2011-12-21
[6] 웹사이트 Why Do We Call It World Wide Web? https://www.psycholo[...]
[7] 웹사이트 WWW people http://www.w3.org/Hi[...] World Wide Web Consortium 2010-07-21
[8] 웹사이트 Ten Years Public Domain for the Original Web Software https://web.archive.[...] CERN 2010-07-21
[9] 웹사이트 Frequently asked questions - Robert Cailliau's role http://www.w3.org/Pe[...] World Wide Web Consortium 2010-07-22
[10] 서적 How the Web Was Born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2000-09-28
[11] 웹사이트 Web Browser History http://www.livingint[...] Living Internet 2010-06-02
[12] 웹사이트 Macintosh Browser http://www.w3.org/Hi[...] World Wide Web Consortium 2010-06-02
[13] 웹사이트 Macintosh Browser http://www.w3.org/Hi[...] World Wide Web Consortium 2010-06-02
[14] 웹사이트 History of the CERN Web Software Public Releases https://cds.cern.ch/[...] 2018-07-31
[15] 웹사이트 A Short History of the Web http://www.netvalley[...] NetValley 2010-07-21
[16] 웹사이트 IW3C2 - Past and Future Conferences https://web.archive.[...] International World Wide Web Conferences Steering Committee 2010-05-16
[17] 웹사이트 European Information Society: Newropeans wants an avant-garde role for the EU https://web.archive.[...] newropeans-magazine.org 2014-04-15
[18] 웹사이트 Software System Award https://web.archive.[...] Association for Computing Machinery 2011-10-25
[19] 간행물 Geneve Reconnaissante Medal https://web.archive.[...] 2015-03-09
[20] 웹사이트 bestofswissweb.ch Ehrenpreis 2010 http://www.bestofswi[...] 2010-03-29
[21] 웹사이트 2012 Inductees http://www.interneth[...] 2012-12-13
[22] 서적 How the Web Was Born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2000-09-28
[23] 웹인용 Past and Future Conferences of WWW http://www.iw3c2.org[...] 2020-12-22
[24] 서적 How the Web Was Born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2000-09-28
[25] 뉴스 Robert Cailliau, l'oublié du Web - Épisode 1 L'évangélisation * 24h01 https://www.24h01.be[...] 2020-12-22
[26] 문서 인터넷 명예의 전당 https://www.internet[...]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