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로제타 셔우드 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로제타 셔우드 홀은 1856년 미국에서 태어나 1889년 펜실베이니아 여자 의과대학에서 의학 학위를 받았다. 1892년 윌리엄 제임스 홀과 결혼 후 한국으로 건너와 의료 선교사로 활동하며 서울에 볼드윈 진료소를 설립했다. 1894년에는 점자를 활용한 시각 장애인 교육을 시작했으며, 1909년에는 청각 장애인을 위한 학교를 세웠다. 또한 여성 의학 훈련원 설립을 주도하여 한국 여성의 의학 교육 발전에 기여했으며, 이 훈련원은 현재 고려대학교 의과대학으로 발전했다. 1933년 미국으로 돌아간 후 1951년 사망하여 양화진 외국인 선교사 묘원에 안장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한국에 거주한 캐나다인 - 제임스 게일
    제임스 게일은 캐나다 출신의 선교사이자 교육자, 번역가로, 한국에서 성경 번역, 사전 편찬, 문학 작품 번역 등 다양한 활동을 펼치며 한국의 언어와 문화를 세계에 알리는 데 기여했다.
  • 한국에 거주한 캐나다인 - 로버트 그리어슨
    로버트 그리어슨은 1898년 한국에 온 캐나다 출신 선교사로, 원산, 함흥, 성진 등지에서 교육 및 의료 시설을 설립하고 3·1 운동 당시 독립 운동을 지원했으며, 대한민국 정부는 그의 공헌을 기려 건국훈장 독립장을 수여했다.
  • 캐나다의 기독교 선교사 - 로버트 A. 하디
    로버트 A. 하디는 캐나다 출신 의료 선교사로, 제중원 임시 원장으로 활동하며 한국에서 선교 활동을 펼치고 원산 부흥 운동을 촉발하여 평양 대부흥 운동에 영향을 미쳤으며, 신학 교육과 저술 활동을 하다가 미국에서 사망했다.
  • 캐나다의 기독교 선교사 - 제임스 게일
    제임스 게일은 캐나다 출신의 선교사이자 교육자, 번역가로, 한국에서 성경 번역, 사전 편찬, 문학 작품 번역 등 다양한 활동을 펼치며 한국의 언어와 문화를 세계에 알리는 데 기여했다.
로제타 셔우드 홀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안경과 하이칼라 블라우스를 입은 백인 여성; 그녀의 머리는 얼굴에서 뒤로, 목에서 위로 올려 묶었다
로제타 셔우드 홀 박사
출생일1865년 9월 19일
출생지뉴욕주리버티
사망일1951년 4월 5일
사망지뉴저지주오션 그로브
배우자윌리엄 제임스 홀
직업한국의 의료 선교사

2. 초기 생애 및 교육

로제타 셔우드는 뉴욕주 리버티에서 영국계 이민자인 피비(결혼 전 성: 길더슬리브)와 로즈벨트 렌슬러 셔우드의 장녀로 태어났다. 1883년 오스웨고 주립 사범학교를 졸업하고 지역 학교 교사로 일했다. 1886년 인도 의료 선교의 필요성에 대한 강연을 들은 후, 펜실베이니아 여자 의과대학에 입학하여[1] 1889년에 의학 학위를 받았다.[1]

2. 1. 출생 및 가족 배경

로제타 셔우드는 뉴욕주 리버티에서 영국계 이민자인 피비(결혼 전 성: 길더슬리브)와 로즈벨트 렌슬러 셔우드의 장녀로 태어났다. 1883년 오스웨고 주립 사범학교를 졸업하고 지역 학교 교사로 일했다. 1886년 인도 의료 선교의 필요성에 대한 강연을 들은 후, 펜실베이니아 여자 의과대학에 입학하여[1] 1889년에 의학 학위를 받았다.[1]

2. 2. 교육 과정

로제타 셔우드는 1883년 오스웨고 주립 사범학교를 졸업하고 지역 학교에서 교사로 일했다. 1886년 인도 의료 선교의 필요성에 대한 강연을 들은 후, 펜실베이니아 여자 의과대학에 입학하여[1] 1889년에 의학 학위를 받았다.[1]

3. 한국에서의 활동

로제타 셔우드 홀은 1890년 감리교 여성 해외 선교회의 초청을 받아 한국에 왔다.[1] 의료, 여성 교육, 장애인 교육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다가 1933년 한국을 떠났다. 1951년 4월 5일 뉴저지주 오션 그로브에서 사망했으며, 서울 양화진 외국인 선교사 묘원에 가족과 함께 묻혔다.[1]

3. 1. 의료 선교

맨해튼의 매디슨 스트리트 선교 병원에서 근무하면서 로제타 셔우드 홀은 캐나다 출생의 남편 윌리엄 제임스 홀 박사를 만났다.[1] 윌리엄 홀 박사 역시 같은 병원에서 근무하고 있었으며, 캐나다 연합 감리교회와 함께 중국 의료 선교를 떠날 예정이었는데, 이는 그녀가 비슷한 자리를 지원하도록 영감을 주었다.[1] 1890년 감리교 여성 해외 선교회로부터 공식적인 초청을 받았고, 1891년에는 미래의 배우자가 초청을 받았다. 그러나 각자 다른 선교 위원회에 의해 각각 다른 곳에 배치되었기 때문에 "해외 현장에서 만나" 결혼했다.[2] 그들은 1892년 6월에 결혼했다.[2] 그녀는 캐나다인과 결혼하면서 미국 시민권을 잃었다.[1]

로제타 셔우드 홀은 서울에 볼드윈 진료소(후에 릴리안 해리스 기념 병원으로 개명)를 설립했다. 1894년, 그녀는 자신이 개발한 점자의 변형을 사용하여 한 맹인 소녀를 가르침으로써 한국에서 시각 장애인 교육을 시작했다. 1899년에는 평양의 여성 진료소에 에디스 마가렛 기념관을 설립했다.[1] 1909년에는 청각 장애인을 위한 학교를 설립했다. 두 명의 한국인 의사(김태원 박사와 그의 부인 길정희 박사)와 함께, 1928년 조선 여성 의학 훈련원을 설립하여 궁극적으로 여성 의과 대학으로 승격시키고자 했다. 홀이 은퇴한 후, 김태원 박사와 길정희 박사가 1933년부터 1937년까지 여성 의학 훈련원을 책임졌다.[3] 이 훈련원은 김정익의 재정적 기여 덕분에 1938년 경성 여자 의학 전문학교가 되었다. 1957년에는 남녀 공학 학교가 되었다. 현재, 이 학교는 한국의 주요 의과 대학 중 하나인 고려대학교 의과대학으로 발전했다. 홀은 또한 다른 고등 교육 기관 설립을 주도하거나 지원하는 데 기여했다.

3. 2. 여성 교육 및 의학 교육

맨해튼의 매디슨 스트리트 선교 병원에서 근무하면서 로제타 셔우드 홀은 캐나다 출생의 남편 윌리엄 제임스 홀 박사를 만났다.[1] 윌리엄 홀 박사 역시 같은 병원에서 근무하고 있었으며, 캐나다 연합 감리교회와 함께 중국 의료 선교를 떠날 예정이었는데, 이는 그녀가 비슷한 자리를 지원하도록 영감을 주었다.[1]

로제타 셔우드 홀은 1894년 자신이 개발한 점자를 사용하여 맹인 소녀를 가르침으로써 한국에서 시각 장애인 교육을 시작했다.[1] 1909년에는 청각 장애인을 위한 학교를 설립했다.[1]

1928년, 로제타 셔우드 홀은 두 명의 한국인 의사(김태원 박사와 그의 부인 길정희 박사)와 함께 조선 여성 의학 훈련원을 설립하여 여성 의과 대학으로 승격시키고자 했다.[3] 홀이 은퇴한 후, 김태원 박사와 길정희 박사가 1933년부터 1937년까지 여성 의학 훈련원을 책임졌다.[3] 이 훈련원은 김정익의 재정적 기여 덕분에 1938년 경성 여자 의학 전문학교가 되었다. 1957년에는 남녀 공학 학교가 되었다. 현재, 이 학교는 고려대학교 의과대학으로 발전했다.[1]

3. 3. 장애인 교육

로제타 셔우드 홀은 1894년에 자신이 개발한 점자를 사용하여 맹인 소녀를 가르치는 등 한국에서 시각 장애인 교육을 시작했다.[1] 또한, 1909년에는 청각 장애인을 위한 학교를 설립했다.[1]

4. 생애 후반 및 사망

로제타 셔우드 홀은 맨해튼의 매디슨 스트리트 선교 병원에서 근무하면서 캐나다 출생의 남편 윌리엄 제임스 홀 박사를 만났다.[1] 윌리엄 홀 박사 역시 같은 병원에서 근무하고 있었으며, 캐나다 연합 감리교회와 함께 중국 의료 선교를 떠날 예정이었는데, 이는 그녀가 비슷한 자리를 지원하도록 영감을 주었다.[1] 이들은 1892년 6월에 결혼했다.[2] 그녀는 캐나다인과 결혼하면서 미국 시민권을 잃었다.[1]

1933년, 홀은 한국을 떠났다. 그녀는 1951년 4월 5일 뉴저지주 오션 그로브에서 사망했으며, 서울 양화진 외국인 선교사 묘원에 가족과 함께 묻혔다.[1]

5. 저서


  • 로제타 셔우드 홀, 《The Clocks class for blind girls》, ''Korea Mission Field'' 2 (No.9, 7월), 1906년, p.175 ~ 76.
  • Hall, Rosetta S.|영어(1906) "The Clocke class for blind girls," ''Korea Mission Field'' 2 (No.9, July) 175-76.
  • 로제타 셔우드 홀, 《Life of Rev. William James Hall: Medical Missionary to the Slums of New York, Pioneer Missionary to Pyong Yang, Korea》, 1990년
  • Hall, Rosetta Sherwood, ed.|영어(1897) ''[https://archive.org/details/lifeofrevhall00unknuoft Life of Rev. William James Hall: Medical Missionary to the Slums of New York, Pioneer Missionary to Pyong Yang, Korea]''; Introduction by Willard F. Mallalieu.
  • 로제타 셔우드 홀 著, 김동열 옮김, 《닥터 홀의 조선회상(with stethoscope in Asia; Korea)》, 동아일보사, 1984.

참조

[1] 서적 Notable American Women: The Modern Period Belknap Press 1980
[2] 서적 The Gospel in All Lands https://books.google[...] proprietor 1901
[3] 논문 Taik-Won Kim, the First Korean Clinical Psychiatrist 2018-06
[4] 웹인용 이대병원 설립 기여한 로제타 셔우드 홀 여사 후손, 이대목동병원 방문 http://www.segye.com[...] 2015-09-16
[5] 웹인용 평양맹아학교(平壤盲啞學校) http://encykorea.aks[...] 한국학중앙연구원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