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테이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로테이션은 라디오 방송 등에서 특정 곡을 반복적으로 방송하는 것을 의미한다. 일본에서는 1989년 FM802가 헤비 로테이션을 처음 도입했으며, 미국에서는 컨템포러리 히트 라디오 방송국에서 'Recurrent rotation'이라는 이름으로 특정 노래를 반복 방송한다. 빌보드 차트에서는 노래의 반복 시점을 결정하기 위한 규칙을 적용하며, 반복 로테이션에서 살아남은 노래는 라디오 포맷의 기반을 형성하기도 한다. 대한민국에서도 각 방송국별로 다양한 명칭과 선정 방식으로 헤비 로테이션을 운영하고 있으며, FM, AM, 커뮤니티 FM 방송국뿐만 아니라 TV 방송에서도 유사한 방식으로 음악을 소개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라디오 용어 - ISDB
ISDB는 일본에서 개발된 디지털 방송 표준으로, 지상파, 위성, 케이블 등 다양한 매체를 지원하며 모바일 수신에 강점을 가진 1세그먼트 부분 수신 서비스와 고화질 방송을 위한 효율적인 주파수 사용, 콘텐츠 보호 기능을 제공한다. - 라디오 용어 - 징글
징글은 상품이나 브랜드를 홍보하기 위해 짧고 기억하기 쉽게 만든 노래나 멜로디로, 1926년 처음 사용된 후 1950년대 전성기를 맞았으나 2000년대 이후 사용이 감소하는 추세에도 라디오 방송 등에서 브랜드 아이덴티티 강화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 방송 - 데이터 방송
데이터 방송은 뉴스, 기상 정보 등 다양한 정보를 방송 프로그램과 함께 제공하는 서비스로, 양방향 요소와 EPG를 포함하며, 디지털 방송 표준에서 지원되지만 최근 인터넷 기반 서비스 발전으로 중요성이 감소했음에도 재난방송 등 특정 분야에서 유용하며 개인정보 보호에 장점이 있다. - 방송 - 긴급경보방송
긴급경보방송은 재난 발생 시 국민에게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구축된 시스템으로, 특정 조건 충족 시 발령되며, 아날로그 및 디지털 방송 방식에 따라 다른 신호를 사용하고, 시스템 오류 및 규정 위반 사례에도 불구하고 기술 개발 및 시스템 개선을 통해 안정성을 확보하고 있으며, 시스템 오작동 방지와 규정 준수를 위한 지속적인 개선 노력이 요구된다.
로테이션 | |
---|---|
음악 방송 용어 | |
정의 | 특정 노래 또는 뮤직 비디오를 반복적으로 방송하는 것 |
활용 | |
목표 | 노래의 인기를 높이는 것 |
방법 | 라디오 방송 텔레비전 방송 기타 미디어 |
빈도 | 다른 노래보다 더 자주 방송 |
관련 용어 | |
영어 | Heavy rotation (헤비 로테이션) |
일본어 | ヘビーローテーション (헤비 로테이션) |
2. 역사
로테이션 시스템은 여러 국가의 라디오 방송에서 활용되어 왔으며, 특히 신곡 홍보와 인기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
FM802는 1989년 일본에서 헤비 로테이션을 처음 도입했고, 이는 대한민국 라디오 방송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1] FM802는 신인 아티스트의 곡이나 TV/CM 타이업이 없는 곡을 선곡하여 방송함으로써, 헤비 로테이션을 통해 새로운 음악을 발굴하고 알리는 데 기여했다.[1] 이후 다른 FM 방송국들도 헤비 로테이션 시스템을 도입하면서 대한민국 라디오 방송의 일반적인 관행으로 자리 잡았다.[1]
일본에서는 FM802 외에도 JFN, JFL, 독립국 등 다양한 방송사들이 자체 프로그램이나 코너를 통해 헤비 로테이션 곡을 방송한다. FM AICHI처럼 앨범 단위로 지정하는 방송국도 있으며, 우타다 히카루의 앨범 『Fantôme』 수록곡 『길』은 2016년에 민영 라디오 전 101국에서 헤비 로테이션되기도 했다.[7][8]
방송사 | 헤비 로테이션 명칭 |
---|---|
FMQ 리그 가맹 방송국 8개사 | FM Q League POWER PLAY (9월 한정) |
라디오 간사이, ABC 라디오, KBS 교토, MBS 라디오, 오사카 방송 | Monthly A Music (5개 방송국 공동 기획) |
TBS 라디오, 분카 방송, 닛폰 방송, RF 라디오 일본, NACK5, bayfm, FM 요코하마 | 수도권 라디오 7개국 슈퍼 푸시 (2013년 9월 1일 신설) |
뮤직 버드 for 커뮤니티 FM | Weekly Recommend |
스페이스 샤워 TV | Power Push! (J-POP), Power Push! INTERNATIONAL (팝), ―VIP (J-POP), ―VIP INTERNATIONAL (팝), ―WAVE (최신 뮤직비디오를 선행 방영) ―it (단기간에 헤비 로테이션하는 파워 플레이) |
MTV 재팬 | 아티스트 오브 더 먼스, 버즈 클립 (팝), 버즈 아시아 (J-POP, 아시아 계) |
MUSIC ON! TV | M-ON! Recommend, M-ON! Rookie (신인 아티스트) |
TBS 텔레비전 | KAIUN 파워 플레이 |
후지 텔레비 | MONTHLY TUNE |
CBC 텔레비전 | 초음악 |
ABC 텔레비 | GAKUON! 헤비 로테이션 |
나가사키 국제 텔레비전 | Catch Up! |
MID.α 스튜디오 | MID.POWER PUSH |
미국에서는 컨템포러리 히트 라디오(CHR) 방송국에서 특정 노래를 반복적으로 방송하는 'Recurrent rotation' 관행이 있다.[6] 이는 노래의 인기를 유지하고 방송국의 핵심 곡목을 형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빌보드 차트에서는 'Recurrent rotation'을 위한 별도의 차트를 운영하며, 반복 차트는 현재 차트보다 주간별 인기도 변화가 적은 경향을 보인다.
차트 이름 |
---|
핫 100 싱글 반복 차트 |
핫 100 반복 에어플레이 |
핫 R&B/힙합 반복 차트 |
핫 R&B/힙합 반복 에어플레이 |
톱 40 성인 반복 차트 |
핫 성인 컨템포러리 반복 차트 |
핫 컨트리 반복 차트 |
2. 1. 대한민국
1989년 FM802가 헤비 로테이션 시스템을 도입한 것은 대한민국 라디오 방송에 큰 영향을 미쳤다.[1] FM802는 신인 아티스트의 곡이나 TV/CM 타이업이 없는 곡을 선정하여 방송함으로써, 헤비 로테이션을 통해 새로운 음악을 발굴하고 홍보하는 데 기여했다.[1] FM802의 성공 이후, 다른 FM 방송국들도 헤비 로테이션 시스템을 도입하며 대한민국 라디오 방송의 일반적인 관행으로 자리잡았다.[1]2. 2. 일본
일본에서 처음으로 헤비 로테이션을 명시적으로 도입한 것은 1989년에 개국한 FM802이다. 그 전에도 일본 라디오 방송국에는 "이번 주 노래", "이달의 노래"와 같은 기획이 있었지만, FM802는 미국의 FM 방송국 시스템을 도입하여 헤비 로테이션을 본격적으로 시작했다[6]。 FM802는 신인 아티스트의 곡이나 TV 드라마・CM 타이업이 없는 곡을 선곡하여 모든 프로그램에서 하루에도 여러 번 방송하였다. 이는 후발 FM 방송국이었던 FM802가 상업적으로 성공하고, 다른 국내 FM 방송국에도 영향을 미치는 계기가 되었다.음악 선곡은 주로 라디오 방송국 스태프나 퍼스널리티가 담당하거나, 레코드 회사가 선전료를 지불하고 방송을 요청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JFN 각 방송국은 미니 프로그램 (5분)이나 자사 프로그램 내에서, JFL 방송국이나 독립국은 코너를 설정하여 헤비 로테이션 곡을 방송한다.
헤비 로테이션은 독립된 코너뿐만 아니라 다음과 같은 다양한 방식으로도 방송된다.
- 띠 와이드 방송에서 프로그램 연결 부분
- 아티스트 게스트 출연 프로그램
- DJ나 퍼스널리티가 "지금 화제가 되고 있는 곡"으로 소개
FM AICHI처럼 한 곡이 아닌 앨범 단위로 지정하는 방송국도 있다.
특수한 사례로 우타다 히카루의 앨범 『Fantôme』수록곡 『길』이 2016년 9월 14일부터 당시 존재했던 민영 라디오 전 101국에서 헤비 로테이션되었다[7][8]。
방송사 | 헤비 로테이션 명칭 |
---|---|
FMQ 리그 가맹 방송국 8개사 | FM Q League POWER PLAY (9월 한정) |
라디오 간사이, ABC 라디오, KBS 교토, MBS 라디오, 오사카 방송 | Monthly A Music (5개 방송국 공동 기획) |
TBS 라디오, 분카 방송, 닛폰 방송, RF 라디오 일본, NACK5, bayfm, FM 요코하마 | 수도권 라디오 7개국 슈퍼 푸시 (2013년 9월 1일 신설) |
뮤직 버드 for 커뮤니티 FM | Weekly Recommend |
스페이스 샤워 TV | Power Push! (J-POP), Power Push! INTERNATIONAL (팝), ―VIP (J-POP), ―VIP INTERNATIONAL (팝), ―WAVE (최신 뮤직비디오를 선행 방영) ―it (단기간에 헤비 로테이션하는 파워 플레이) |
MTV 재팬 | 아티스트 오브 더 먼스, 버즈 클립 (팝), 버즈 아시아 (J-POP, 아시아 계) |
MUSIC ON! TV | M-ON! Recommend, M-ON! Rookie (신인 아티스트) |
TBS 텔레비전 | KAIUN 파워 플레이 |
후지 텔레비 | MONTHLY TUNE |
CBC 텔레비전 | 초음악 |
ABC 텔레비 | GAKUON! 헤비 로테이션 |
나가사키 국제 텔레비전 | Catch Up! |
MID.α 스튜디오 | MID.POWER PUSH |
2. 3. 미국
미국의 컨템포러리 히트 라디오(CHR) 방송국에서는 특정 노래를 반복적으로 방송하는 관행이 있는데, 이를 'Recurrent rotation'이라고 한다. 이는 초기 데뷔 후 수개월 또는 수년이 지난 후에도 컨템포러리 히트 라디오 방송국에서 자주 방송되는 일련의 노래를 의미한다.[6] 'Recurrent rotation'은 노래의 인기를 유지하고, 방송국의 핵심 곡목을 형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빌보드 차트에서는 'Recurrent rotation'을 위한 별도의 차트를 운영하여, 현재 차트와는 다른 양상을 보여준다. 반복 차트는 현재 차트보다 주간별 인기도 변화가 적어 더 정적인 경향이 있다. 빌보드 차트에는 다음과 같은 목록이 있다.
차트 이름 |
---|
핫 100 싱글 반복 차트 |
핫 100 반복 에어플레이 |
핫 R&B/힙합 반복 차트 |
핫 R&B/힙합 반복 에어플레이 |
톱 40 성인 반복 차트 |
핫 성인 컨템포러리 반복 차트 |
핫 컨트리 반복 차트 |
대한민국에서는 각 방송국별로 다양한 명칭과 선정 방식을 사용하여 헤비 로테이션을 운영하고 있다. 일본의 방송 시스템을 참고하여, 대한민국 방송국별 헤비 로테이션 현황을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반복 로테이션에서 살아남은 노래는 일반적으로 시간이 지나면서 라디오 포맷의 기반을 형성한다.
3. 대한민국 방송국별 헤비 로테이션
(참고: 아래 내용은 일본 방송국 자료를 바탕으로 작성되었으며, 대한민국의 실제 현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자료가 충분하지 않아, 구체적인 방송국 명칭, 로테이션 명칭, 비고 등을 상세하게 작성하기 어렵다. 하지만, 일본의 사례를 통해 다음과 같은 틀을 제시할 수 있다.
FM 방송국방송국명 명칭 비고 MBC FM4U (예시) MBC FM4U 추천곡 (예시) 매주 새로운 곡 선정 KBS 쿨FM (예시) KBS 쿨FM 이달의 노래 (예시) 매달 새로운 곡 선정 SBS 파워FM (예시) SBS 파워FM 파워 초이스 (예시) 청취자 투표 반영 (기타 FM 방송국)
AM 방송국방송국명 명칭 비고 KBS 제1라디오 (예시) KBS 제1라디오 금주의 선곡 (예시) 특정 프로그램 내에서 소개 MBC 표준FM (예시) MBC 표준FM 추천 음악 (예시) 다양한 장르의 곡 선정 SBS 러브FM (예시) SBS 러브FM 뮤직 하이라이트 (예시) 최신 유행곡 중심 (기타 AM 방송국)
커뮤니티 FM 방송국커뮤니티 FM 방송국은 대부분 "파워 플레이"라는 명칭을 사용하며, 지역 사회와 밀접하게 관련된 음악을 중심으로 선정하는 경향이 있다.방송국명 명칭 비고 (예시) 마포FM 파워 플레이 (예시) 마포구 지역 아티스트 지원 (예시) 관악FM 파워 플레이 (예시) 관악구 지역 행사 연계 (기타 커뮤니티 FM)
3. 1. FM 방송국 (JFN 계열)
LOVE TRAXX ("ONCE", "DIARY" 내, 러브송만 대상, 2009년~2010년 3월).
스카레코~사원의 노래~ ("Skyrocket Company" 내, 2013년 4월~)FM나가노 POWER PLAY, HOT TUNE K-MIX 2019년 3월까지 K-MIX 메가 푸쉬 트랙을 설정했지만, 현재는 폐지. FM토야마 MUSIC POWER PLAY HELLO FIVE 뮤직 픽업, 뮤직 넥서스 FM후쿠이 Heavy Rotation FM AICHI 2020년 3월까지 FM AICHI POWER PLAY를 설정했지만, 현재는 폐지. FM GIFU G-POWERPLAY e-radio HotStuff FM오사카 POWER PLAY, E∞Tracks Kiss FM KOBE HOTRAXX 핫 락스 V-air V-air 츠키오시 J.P., V-air 츠키오시 W.P. FM오카야마 SLAP SHOT HFM 야마모토 마사키의 POWER PUSH / 야스히로 슈헤이의 POWER PUSH "#PUSH" DJ 야마모토 마사키와 야스히로 슈헤이가 1곡씩 선택
2005년 9월까지는 "밀어 넘어뜨리기" → "기무라 미치타의 Vibe ON! MUSIC"이 시작된 2005년 10월~2018년 3월까지는 "바이브 온 재팬 ≪일본 음악≫, 바이브 온 월드 ≪팝 음악≫" → 2018년 4월~2023년 9월까지는 "HFM POWER PLAY"FM야마구치 FMY PUSH ONE FM도쿠시마 SOUND WAVE FM가가와 프라임 튠 FM에히메 JOEU 먼슬리 파워 플레이 Hi Six Hi-Six Monthly Power Play FM FUKUOKA POWER PLAY, Check This Out! FM사가 먼슬리 루프, 하이퍼 플레이 FM Nagasaki SMILE CUTS 에프엠 쿠마모토 POWER WAVE JOY FM J's Time μFM 브랜드 "뮤" 송, 하이퍼 브랜드 "뮤" 송 FM오키나와 픽업 넘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