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루기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루기아는 은백색 깃털을 가진 하르키온 형상의 전설의 포켓몬으로, 바다의 신으로 불린다. 《포켓몬스터 금·은》에서 처음 등장했으며, 이후 다양한 게임과 애니메이션, 극장판 등에서 주요하게 다뤄졌다. 게임에서는 소용돌이 섬에서 포획할 수 있으며, 《포켓몬스터 XD 어둠의 선풍 다크 루기아》에서는 다크 루기아로 등장하기도 한다. 애니메이션에서는 지우 일행과 만나거나 극장판의 메인 포켓몬으로 등장하며, 《포켓몬 GO》에서도 레이드를 통해 획득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환상의 포켓몬 - 아르세우스
    아르세우스는 포켓몬스터에 등장하는 환상의 포켓몬으로, 18가지 타입으로 변화가 가능하며 세계를 창조한 존재로 알려져 있고, 특별한 배포 이벤트를 통해 획득할 수 있다.
  • 환상의 포켓몬 - 쉐이미
    쉐이미는 고슴도치를 모티브로 한 포켓몬으로, 두 가지 모습을 가지며, 오염된 공기를 정화하고 강력한 고유 기술을 사용한다.
  • 제2세대 포켓몬 - 리아코
    리아코는 악어를 닮은 풀 타입 포켓몬으로, 포켓몬스터 금·은·크리스탈의 스타팅 포켓몬 중 하나이며, 귀여운 외모와 달리 진화형은 강력하고 사나운 모습을 지니고, 애니메이션에서는 지우의 포켓몬으로 등장하여 활약한다.
  • 제2세대 포켓몬 - 치코리타
    치코리타는 포켓몬스터에 등장하는 풀 타입 포켓몬으로, 머리의 잎사귀로 주변 환경을 감지하며, 《포켓몬스터 금·은》에서 처음으로 선택할 수 있는 포켓몬 중 하나이다.
  • 에스퍼 포켓몬 - 메타그로스
    메타그로스는 네 개의 뇌를 가진 슈퍼컴퓨터급 지능의 강철 타입 포켓몬으로, 두 마리의 메탕구가 합체 진화한 형태이며, 특정 시리즈에서 메가진화가 가능하고, 애니메이션과 만화 시리즈에서도 등장한다.
  • 에스퍼 포켓몬 - 뮤츠
    뮤츠는 포켓몬스터 시리즈에 등장하는 에스퍼 타입 포켓몬으로, 환상의 포켓몬 뮤의 유전자를 기반으로 유전공학을 통해 탄생한 강력한 염동력과 텔레파시 능력을 지닌 인공 포켓몬이다.
루기아
포켓몬 정보
이름루기아
번호249
진화 전없음
진화 후없음
타입에스퍼 / 비행
일본어 이름ルギア (루기아)
영어 이름Lugia
세대제2세대
분류잠수 포켓몬
특성프레셔 / 멀티스케일
5.2
몸무게216.0

2. 특징

성도지방의 전설의 포켓몬 루기아는 은백색에 일부 검은 깃털을 지닌 거대한 하르키온(그리스신화의 폭풍을 다루는 성조(聖鳥))의 모습을 하고 있다. 수장룡, 특히 플레시오사우루스조류를 융합한 형태이며, 칠색조와 대립하는 바다의 신으로 불린다. 그러나 가이오가의 등장 이후로는 폭풍이나 해일의 신으로 여겨진다. 루기아는 날개를 가볍게 움직이는 것만으로도 민가를 날려버릴 정도의 강력한 힘을 지녔으며, 이 힘으로 거친 바다를 진정시키기도 한다. 너무 강한 힘 때문에 인간이나 다른 포켓몬과 함께 살기 어려워 깊은 해저에서 조용히 지낸다고 하며, 루기아가 날갯짓을 하면 40일 동안 폭풍우가 계속된다는 전설이 있다. 전신은 흰 깃털로 덮여 있지만, 게임에서는 은빛 날개를 가졌다는 묘사가 많다. 타입 기술을 많이 배우지만, 에스퍼 타입이며, 제작진은 강한 이미지를 위해 에스퍼 타입을 선택했다고 밝혔다. (당시에는 에스퍼 타입이 강했다.)

2. 1. 능력 및 기술

하르키온(그리스신화의 폭풍을 다루는 성조(聖鳥))의 형상을 한 거대한 포켓몬이다. 모티브는 수장룡, 특히 플레시오사우루스조류의 융합형이다. 칠색조와 대립하는 전설의 포켓몬이며 바다의 신이라 불린다. 그러나 가이오가의 등장 이후로는 폭풍의 신, 또는 해일의 신으로 더 적절하게 여겨진다. 거친 바다를 진정시키거나, 날개를 가볍게 쳐도 민가를 날려버릴 정도의 강대한 힘을 지녔다. 이러한 강력한 힘 때문에 인간 및 다른 포켓몬과의 공존이 어려워 깊은 해저에서 조용히 살고 있다고 한다. 루기아가 날개를 치면 40일 동안 폭풍우가 계속된다는 전설이 있다. 전신은 흰 깃털로 덮여 있지만, 게임에서는 은빛 날개를 가졌다는 묘사가 많다. 타입 기술을 많이 배우지만, 타입은 에스퍼 타입이다. 제작진에 따르면 이는 강하다는 이미지를 주기 위함이었다고 한다(당시에는 에스퍼 타입이 강했다).

2. 2. 생태

전체적으로 은백색에 일부 검은 깃털을 지닌 거대한 하르키온(그리스신화의 폭풍을 다루는 성조(聖鳥))의 형상을 한 성도지방의 전설의 포켓몬이다. 모티브는 수장룡 중 특히 플레시오사우루스조류의 융합형이다. 칠색조와 대립을 이루는 전설의 포켓몬이며 바다의 신이라 불린다. 그런데 이후에 가이오가의 등장으로 바다의 신보다는 폭풍의 신, 또는 해일의 신으로 봐야한다. 거친 바다를 진정시키거나, 날개를 가볍게 홰친 것만으로 민가를 날려버릴 정도의 강대한 힘을 가지고 있다. 너무나도 강한 힘 때문에, 인간과 다른 포켓몬과의 공존이 어려워, 깊은 해저에서 적막하게 살고 있다고 한다. 루기아가 날개를 치면 40일 동안 폭풍우가 계속된다고 전해진다. 전신이 흰 깃털로 덮여 있지만, 게임중에서는 은빛의 날개를 가졌다는 서술이 많다. 타입 기술을 많이 배움에도 불구하고, 타입은 에스퍼 타입이다. 제작진에 따르면 강하다는 이미지를 넣기 위해서라고 한다.(당시엔 에스퍼 타입이 강했다.)

3. 게임에서의 루기아

포켓몬스터 금·은에서 전설의 포켓몬으로 처음 등장했다. 영화에서 먼저 등장한 뒤 게임에 등장한 포켓몬으로, 은 버전의 표지를 장식하기도 했다. 다른 능력치에 비해 방어와 특방이 높으며, 고유 기술인 「에어로블래스트」를 배울 수 있다.

포켓몬스터 루비·사파이어》에서 《포켓몬스터Pt 기라티나》까지는 특별한 수단을 쓰지 않으면 얻을 수 없는 「환상의 포켓몬」 취급을 받았다. 《포켓몬스터 파이어 레드·리프 그린》와 《포켓몬스터 에메랄드》에서 배포 데이터인 「신비의 티켓」을 사용하면 「배꼽바위」에서 레벨 70의 루기아를 포획할 수 있었다.

《포켓몬 XD 어둠의 선풍 다크 루기아》에서는 다크 루기아로 등장하여, 본래의 루기아와는 달리 재앙을 부르는 모습을 보였다. 시나리오 중에 탈환하여 특정 조건을 채우면 본래의 모습을 되찾을 수 있었다. 이 루기아는 「깃털댄스」와 테오키스의 전용 기술인 「사이코부스트」를 배우고 있었다.

포켓몬스터DP 디아루가·펄기아》에서는 새롭게 「신통력」, 「혼내기」, 「불새」를 레벨업으로 배울 수 있게 되었다.

대난투 스매시브라더스 DX》, 《대난투 스매시브라더스 X》에서는 몬스터 볼에서 등장하는 포켓몬 중 하나로, 출현율이 낮은 전설의 포켓몬 중 하나였다. 하늘로 사라진 뒤 후방에서 「에어로블라스트」로 공격한다. 포켓몬스터 소울실버 버전에서 다시 등장하여 제4세대 게임으로는 유일하게 이벤트 없이 루기아를 포획할 수 있는 버전이다.

3. 1. 시리즈별 등장

포켓몬스터 금·은》에서 전설의 포켓몬으로 처음 등장하였다. 영화에서 먼저 등장한 뒤 게임에 등장한 포켓몬이다. 은 버전의 표지를 장식하고 있기도 하다. 지금은 소용돌이 섬에 서식하고 있어서 어느 버전이든 '소용돌이 섬'의 최심부에서 한 마리만 등장한다. 금/은/크리스탈 버전마다 포획 방법이 다르다. 은 버전에서는 라디오 국장이 은빛날개를 주며 바다회오리 기술머신 획득 후 바로 소용돌이 섬으로 가면 지하 4층에서 레벨 40의 루기아를 만날 수 있다. 금 버전에서는 레벨 70, 크리스탈 버전에서는 레벨 60으로 각각 다르다. 폭풍우가 치는 밤에 모습이 목격되었다는 기록도 있다. 다른 능력치에 비해 방어와 특방이 높다. 고유기술인 「에어로블래스트」를 배울 수 있다.

포켓몬스터 루비·사파이어》에서 《포켓몬스터Pt 기라티나》까지는 특별한 수단을 쓰지 않으면 입수할 수 없는 「환상의 포켓몬」 취급을 받았었다. 《포켓몬스터 파이어 레드·리프 그린》와 《포켓몬스터 에메랄드》에서 배포 데이터인 「신비의 티켓」을 사용하면 「배꼽바위」에서 레벨 70의 루기아를 포획할 수 있다.

《포켓몬 XD 어둠의 선풍 다크 루기아》에서는 다크 루기아로 등장하여, 본래의 루기아와는 달리 재앙을 부르는 모습을 보인다. 시나리오 중에 탈환하여, 어느 조건을 채우면 본래의 모습을 되찾을 수 있다. 이 루기아는 「깃털댄스」와 테오키스의 전용기술인 「사이코부스트」를 배우고 있다.

포켓몬스터DP 디아루가·펄기아》에서는 새롭게 「신통력」, 「혼내기」, 「불새」를 레벨업으로 배울 수 있다.

대난투 스매시브라더스 DX》, 《대난투 스매시브라더스 X》에서는 몬스터 볼에서 등장하는 포켓몬 중 하나로, 출현율이 낮은 전설의 포켓몬 중 하나이다. 하늘로 사라진 뒤 후방에서 「에어로블라스트」로 공격한다. 루기아는 포켓몬스터 소울실버 버전에서 재등장하여 제 4세대 게임으로는 유일하게 이벤트 없이 루기아를 포획할 수 있는 버전이다. (소울 실버에서 잡은 루기아를 포켓몬스터 하트골드/DP 디아루가/DP 펄기아/Pt 기라티나로 전송 가능, 전국도감 획득 후에는 도감에 자동 등록)

3. 2. 다크 루기아

XD001에 의해 몸과 마음이 180도 바뀐 루기아이다. 사악한 힘을 가지고 있어서 본래의 루기아와는 달리 재앙을 부르는 모습을 보인다. 시나리오 중에 탈환하여, 어느 조건을 채우면 본래의 모습을 되찾을 수 있다. 이 루기아는 「깃털댄스」와 테오키스의 전용기술인 「사이코부스트」를 배우고 있다.

쟈니 테스트 에피소드에 특별 출현하여 매우 유명해졌다. 해당 에피소드에서는 어떤 사악한 트레이너가 듀키와 위고 테스트를 납치했는데, 이들을 구하기 위해 몬스터볼을 훔치려다 오히려 듀키와 위고 테스트가 갇힌 몬스터볼을 훔치게 된다. 이들은 쟈니의 포켓몬 신세가 되었고, 사악한 포켓몬 트레이너에게 패배할 위기에 처했을 때 다크루기아가 나타나 자신의 힘을 써서 도와준다.

4. 애니메이션에서의 루기아

포켓몬스터 관련 애니메이션 및 극장판에서 루기아가 등장한다.


  • 극장판 《루기아의 탄생》에서 게임보다도 앞서 첫 등장했다. 극장판에 등장한 루기아는 지능이 높고, 텔레파시 능력을 지니고 있다. 이 극장판에서 파이어, 썬더, 프리져와 대립하게 되지만, 셋의 합동 공격을 받고 바다로 가라앉았다.

4. 1. TV 애니메이션

《포켓몬스터》 222화, 223화, 224화에서 지우 일행이 극장판과는 별개체의 루기아 부모와 자식을 만난다. 로켓단에 사로잡히지만, 지우 일행의 협력으로 탈출하여 바다로 돌아간다.

극장판 포켓몬스터: 모두의 이야기》에서는 메인 전설의 포켓몬으로 등장하며, 성화로 부른다.

포켓몬스터 W》 2화에서는 루기아가 나타나서 포켓몬 트레이너들과 배틀을 하고 모두 이긴다. 피카츄와도 배틀을 벌이며, 지우와 고우를 태우고 날아간다.

《후파 광륜의 초마신》에서는 아군 후파가 루기아를 소환한다. 그림자 후파와 격렬하게 싸우지만, 그림자 후파의 링 때문에 다시 바다 속으로 돌아간다.

4. 2. 극장판 애니메이션

《포켓몬스터》 222화, 223화, 224화에서 지우 일행이 극장판과는 별개의 루기아 부모와 자식을 만난다. 로켓단에 사로잡히지만, 지우 일행의 도움으로 탈출하여 바다로 돌아간다.

극장판 포켓몬스터: 모두의 이야기》에서는 주요 전설의 포켓몬으로 등장한다. 성화를 통해 부를 수 있다.

포켓몬스터 W》 2화에서는 루기아가 나타나 포켓몬 트레이너들과 배틀을 벌여 모두 이긴다. 피카츄와도 배틀을 한다. 지우와 고우를 태우고 날아간다.

《후파: 광륜의 초마신》에서는 아군 후파가 루기아를 소환한다. 그림자 후파와 격렬하게 싸우지만, 그림자 후파의 링 때문에 다시 바다 속으로 돌아간다.

5. 기타 매체에서의 루기아

극장판 《루기아의 탄생》에 게임보다도 앞서 첫 등장했다. 극장판에 등장한 루기아는 지능이 높고, 텔레파시 능력을 지니고 있다. 이 극장판에서 파이어, 썬더, 프리져와 대립하게 된다. 그렇지만 셋의 합동공격을 맞고 바다로 가라앉았다.

만화 《포켓몬스터 스페셜》에서는 '은색 깃털'을 손에 넣기 위해서 가면의 남자가 추구하고 있던 포켓몬이었다. 가면의 남자에게 잡혀, 세레비를 잡기 위한 GS볼의 원료로서 사용된다.

《포켓몬고》에서는 전설 포켓몬 프리져와 함께 레이드로 2017년 7월 후반 경 한국에 출시되었다. 레이드를 통해서 잡을 수 있는데 CP가 42000이 넘기 때문에 다른 플레이어와 협공해야 잡을 수 있었다. 2021년 11월, 비주기의 포켓몬으로 그림자 루기아를 얻을 수 있었다. 2022년, GO Tour:성도에서 장기 리서치를 깨면 APEX 그림자 루기아를 획득할 수 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