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리가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리가만은 발트해의 만으로, 국제수로기구에 의해 서쪽 경계가 라트비아의 리서 오르트에서 시작하여 사레마섬과 히우마섬을 지나 에스토니아의 스피타미 곶까지 이어진다고 정의된다. 주요 섬으로는 사레마, 키흐누, 루흐누 등이 있으며, 주변 도시로는 리가, 유르말라, 페르누, 쿠레사레가 있다. 다우가바강, 페르누강 등 여러 강이 리가만으로 흘러든다. 리가만은 발트해의 낮은 염분 농도를 가지며, 겨울에는 만 전체가 얼어붙는 현상이 나타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사레주의 지형 - 사레마섬
    발트해에 있는 에스토니아 최대의 섬인 사레마섬은 석회암 지형과 숲, 칼리 크레이터, 팡가 절벽 같은 독특한 자연환경과 바이킹 시대 흔적, 쿠레사레 성과 같은 역사 유적을 보유하고 있으며, 에스토니아 독립 후 관광지로 발전했다.
  • 패르누주의 지형 - 키흐누섬
    키흐누섬은 발트해 리가만 입구에 있는 에스토니아 섬으로, 독특한 문화와 음식, 전통적인 생활 방식을 간직하고 있으며 여름철에는 페리나 소규모 항공편으로 방문할 수 있다.
리가만
지도 정보
기본 정보
북유럽에서의 위치
북유럽에서의 위치
위치유럽
유입다우가바 강, 페르누 강, 리에루페 강, 가우야 강, 살라차 강
면적18,000 km²
평균 깊이26 m
최대 깊이54 m
부피424 km³
체류 시간30
결빙 여부겨울 동안 대부분 또는 전체 결빙
연안 도시리가, 유르말라, 페르누, 쿠레사레, 살라츠그리바, 사울크라스티, 아이나지
라트비아어Rīgas līcis 리가스 리치스
에스토니아어Liivi laht 리비 라트
리보니아어Piški meŗ 피슈키 메르 (작은 바다)
리가만 (청색 부분)과 주변 지도
리가만과 주변 지도
지리
좌표57°34′N 21°43′E
좌표59°13′N 23°32′E

2. 지리

리가만은 발트해의 일부로, 라트비아에스토니아 사이에 위치한 만이다.

리가 만에는 사레마 섬, 키흐누 섬, 루흐누 섬 등이 있으며, 이 섬들은 모두 에스토니아 영토에 속해 있다. 사레마 섬은 발트해로부터 부분적으로 "차단"되어 있기 때문에 리가 만의 기수(brackish water) 형성에 영향을 미친다.[4][5]

리가 만 연안의 주요 도시로는 리가, 유르말라, 페르누, 쿠레사레가 있다. 리가 만으로 흘러드는 주요 강으로는 다우가바, 페르누, 리예루페, 가우야, 살라차가 있다.

2. 1. 범위

국제수로기구(IHO)는 리가 만의 서쪽 경계를 "라트비아의 리서 오르트(57°34'N)에서 시작하여, 사레마 섬의 남쪽 끝을 지나 파마나 (22°34'E)까지, 그 다음 히우마 섬의 남쪽 끝인 엠마스테 곶을 거쳐 히우마 섬을 지나 그 북쪽 끝인 타흐쿠나 곶을 지나 에스토니아의 스피타미 곶까지 이어지는 선"으로 정의한다.[3]

2. 2. 주요 섬

리가만에는 사레마섬, 키흐누섬, 루흐누섬 등이 있으며, 이 섬들은 모두 에스토니아 영토에 속해 있다. 키흐누 섬의 면적은 16.4km2이다.[6] 사레마 섬은 발트해로부터 부분적으로 "차단"되어 있기 때문에 리가 만의 기수(brackish water) 형성에 영향을 미친다.[4][5]

2. 3. 주요 도시 및 강

리가만 연안의 주요 도시로는 리가, 유르말라, 페르누, 쿠레사레가 있다. 리가만으로 흘러드는 주요 강으로는 다우가바, 페르누, 리예루페, 가우야, 살라차가 있다.

3. 염도

리가 만은 발트해의 평균 염분 농도를 가지며, 1,000분의 6~10 정도이다. 담수는 1,000분의 0.5, 해수는 약 1,000분의 30의 농도를 가진다.[6] 발트해로 유입되는 담수는 발트해 부피의 2%를 차지하며,[6] 북해와의 좁은 연결은 물이 발트해에 평균 30년 동안 머물게 한다. 이 두 가지 특성은 발트해를 세계에서 가장 큰 기수 수역 중 하나로 만든다.[6]

4. 겨울

겨울에는 리가 만의 염분 농도가 낮고 만 입구가 부분적으로 닫혀 있어 잔잔한 효과로 인해 만의 대부분 또는 전체가 얼어붙기도 한다. 겨울 동안 많은 사람들은 얼어붙은 만 위를 걷는다. 얼음 구멍 낚시는 전통적인 겨울 식량 공급원이었으며, 여전히 흔한 활동이다. 얼음은 보통 3월과 4월 사이에 녹는다.[7]

1941-42년 겨울에는 얼음 두께가 90cm로 기록되었다.[7] 2013년 3월 말, 얼음이 녹기 시작했을 때 200명이 유빙에서 구조되었다.[8]

참조

[1] 웹사이트 Gulf of Riga | Baltic Sea https://www.britanni[...]
[2] 웹사이트 Old Kolka lighthouse https://visit.dundag[...] 2023-07-20
[3] 웹사이트 Limits of Oceans and Seas, 3rd edition https://iho.int/uplo[...] International Hydrographic Organization 2020-12-28
[4] 간행물 Changing Salinity Gradients in the Baltic Sea as a Consequence of Altered Freshwater Budgets
[5] 간행물 Salinity dynamics of the Baltic Sea https://www.research[...]
[6] 문서 Gulf of Riga National Council for Science and the Environment
[7] 웹사이트 Estonica.org - The Gulf of Riga http://www.estonica.[...]
[8] 웹사이트 Latvia rescues 220 people stranded on ice floes in Gulf of Riga http://www.theguardi[...] 2013-03-29
[9] 웹사이트 大洋と海の境界 第3版 http://www.iho.int/i[...] 국제수로기관 2019-06-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