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리언 레더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리언 레더먼은 미국의 실험 물리학자이다. 뮤온 중성미자를 발견하고 바닥 쿼크를 발견한 공로로 1988년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다. 그는 컬럼비아 대학교 교수, 페르미 국립 가속기 연구소 소장을 역임했으며, 초전도 초대형 충돌기 프로젝트를 지지했다. 저서로는 《신의 입자: 우주의 답이 있다면 질문은 무엇일까?》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뉴욕 시립 대학교 동문 - 콜린 파월
    콜린 파월은 미국의 군인이자 정치인으로, 육군 대장까지 진급하여 국가안보보좌관, 합참의장, 국무장관을 역임했으며, 특히 최초의 아프리카계 미국인 합참의장 및 국무장관으로 알려져 있다.
  • 뉴욕 시립 대학교 동문 - 버나드 바루크
    버나드 바루크는 미국의 금융가이자 정치 고문으로, 두 차례의 세계 대전에서 미국의 경제 동원에 기여하고 여러 대통령의 고문으로 활동하며 전쟁산업위원회 위원장을 역임하는 등 전시 경제 관리에 영향력을 행사했으며, 원자력 국제 통제 계획을 제안하고 대공황 극복 과정에서 정부 정책을 지지하는 등 다방면에서 활동했다.
  • 입자물리학자 - 데이비드 그로스
    데이비드 그로스는 미국의 이론 물리학자이며, 1973년 점근적 자유성을 발견하고 양자색역학 공식화에 기여한 공로로 2004년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다.
  • 입자물리학자 - 양전닝
    양전닝은 중국계 미국인 물리학자이며, 리정다오와 함께 약한 상호작용에서의 패리티 비보존 이론으로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고, 양-밀스 이론을 개발했으며, 2016년 미국 국적을 포기하고 중화인민공화국 국적을 취득했다.
  • 울프 물리학상 수상자 - 안 륄리에
    안 륄리에는 고차 고조파 발생 연구를 통해 아토초 펄스 생성 및 응용 분야를 개척하여 2023년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한 프랑스 출신의 물리학자이다.
  • 울프 물리학상 수상자 - 난부 요이치로
    난부 요이치로는 일본 태생의 미국 물리학자이며, 양자색역학, 끈 이론, 자발 대칭 깨짐 등 입자물리학 분야에 기여하여 2008년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다.
리언 레더먼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리언 맥스 레더먼
출생일1922년 7월 15일
출생지미국 뉴욕
사망일2018년 10월 3일
사망지미국 아이오와주렉스버그
국적미국
로마자 표기Leon Max Lederman
일본어 표기レオン・レーダーマン
종교불가지론
직업
직장컬럼비아 대학교
페르미 국립 가속기 연구소
일리노이 공과대학교
시카고 대학교
학력뉴욕 시립 대학교 시티 칼리지 (BA)
컬럼비아 대학교 (PhD)
박사 지도 교수유진 T. 부스
주요 업적뮤온 중성미자 발견 (1962)
바닥 쿼크 발견 (1977)
수상
수상 내역울프 물리학상 (1982)
노벨 물리학상 (1988)
국가 과학 훈장 (1965)
바네바 부시 상 (2012)
윌리엄 프록터 과학적 업적상 (1991)
배우자
배우자플로렌스 고든 (이혼)
엘렌 카르
참고자료
노벨상 강연The Nobel Prize in Physics 1988: Leon M. Lederman, Melvin Schwartz, Jack Steinberger
페르미랩 역사 자료Fermilab History and Archives Project–Golden Books – An Eclectic Reader on Leon M. Lederman
국립 과학 재단 수상자Vannevar Bush Award Recipients

2. 생애

리언 레더먼은 뉴욕주 뉴욕시에서 세탁업을 하는 아버지 모리스 레더먼과 어머니 민나 레더먼 사이에서 태어났다.[59] 1943년 뉴욕시립대학교를 졸업하고, 1951년 컬럼비아 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1989년 정년 퇴직할 때까지 컬럼비아 대학교에서 교수로 재직했으며, 유진 히긴스 교수직을 역임하고 페르미 국립 가속기 연구소 소장을 겸직하기도 했다.

1962년 브룩헤이븐의 양성자 가속기를 이용하여 중성미자 반응을 조사하여 전자 중성미자뮤온 중성미자가 서로 다르다는 것을 증명했다. 1977년에는 바닥 쿼크와 반바닥 쿼크의 쌍인 웁실론 중간자를 발견했다. 1978년부터 1988년까지 페르미 국립 가속기 연구소 소장을 역임했다. 컬럼비아 대학교에서 퇴직한 후에는 시카고 대학교일리노이 공과대학교에서 강의했다.

2018년 10월 3일, 아이다호주 렉스버그에서 96세의 나이로 사망했다.[55]

2. 1. 어린 시절과 교육

리언 레더먼은 뉴욕주 뉴욕시에서 모리스 레더먼과 민나 레더먼 (로젠버그) 사이에서 태어났다.[4] 그의 부모는 키이우와 오데사 출신의 우크라이나계 유대인 이민자였다.[5]

1939년 뉴욕시 사우스 브롱스에 있는 제임스 먼로 고등학교를 졸업하고,[6] 1943년 뉴욕시립대학교에서 학사 학위를 받았다.[7]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미국 육군에 입대했으며,[7] 복무 후 물리학자가 되기로 결심했다.[8] 1946년 제대 후 컬럼비아 대학교 대학원에 진학하여 1951년 박사 학위를 받았다.[9] 이후 컬럼비아 대학교 교수로 재직했으며 유진 히긴스 물리학 교수가 되었다. 제네바 유럽 입자 물리 연구소에서 포드 재단의 선임 연구원으로 얼마 동안 일하기도 했다.[60]

2. 2. 학문적 경력

레더먼은 1939년 제임스 먼로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1943년 뉴욕시립대학교에서 학사 학위를, 1951년 컬럼비아 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이후 컬럼비아 대학교 교수로 일했으며 유진 히긴스 물리학 교수가 되었다. 제네바 유럽 입자 물리 연구소(CERN)에서 포드 재단의 선임 연구원으로 얼마 동안 일했다.[60]

1958년 유진 히긴스 물리학 교수로 승진했고,[8] 1960년에는 컬럼비아 대학교 휴가 중 제네바의 CERN에서 포드 재단 연구원으로 시간을 보냈다.[10] 1979년 페르미 연구소(Fermilab) 소장이 되기 위해 컬럼비아 대학교에서 장기 휴가를 가졌으며,[11] 1989년 컬럼비아 대학교와 페르미 연구소에서 은퇴하고 시카고 대학교에서 잠시 강의했다.[12] 그 후 일리노이 공과대학교 물리학과로 자리를 옮겨 프리츠커 과학 교수로 재직했다.[12] 1992년에는 미국 과학 발전 협회 회장을 역임했다.[13][14]

레더먼은 원자 과학자 협회 회보 후원자 위원회 회장을 역임했으며, 사망 당시 명예 회장이었다.[16] 또한 1989년부터 1992년까지 과학 서비스(현재 과학 대중을 위한 협회로 알려짐) 이사회 이사로 활동했으며, 제이슨(JASON) 방위 자문 그룹의 일원이었다.[17]

레더먼은 "물리학 우선" 운동의 주요 지지자 중 한 명이었다.[18] "올바른 과학" 또는 "생물학 마지막"으로도 알려진 이 운동은 현재의 고등학교 과학 교육 과정을 물리학이 화학과 생물학에 앞서도록 재배열하려는 노력이다.[18]

1977년 바닥 쿼크와 반바닥 쿼크의 쌍인 웁실론 중간자를 발견했다.

2. 2. 1. 파리티 위반 연구

1956년, 레더먼은 약한 상호작용에서의 파리티 위반에 대해 연구했다. R. L. 가르윈, 레온 레더먼, 그리고 R. 와인리히는 기존의 사이클로트론 실험을 수정하여 파리티 위반을 즉시 확인했다.[22] 그들은 우젠슝의 연구팀이 준비될 때까지 연구 결과 발표를 연기했고, 두 논문은 같은 물리학 저널에 연이어 게재되었다.[40]

2. 2. 2. 중성미자 연구와 노벨상

1956년, 레더먼은 약한 상호작용에서의 파리티 위반에 대해 연구했다. R. L. 가르윈, 레온 레더먼, 그리고 R. 와인리히는 기존의 사이클로트론 실험을 수정하여 파리티 위반을 즉시 확인했다.[22] 그들은 우젠슝의 연구팀이 준비될 때까지 연구 결과 발표를 연기했고, 두 논문은 같은 물리학 저널에 연이어 게재되었다.

1962년 뮤온 중성미자를 발견했고, 1977년 바닥 쿼크를 발견하는 등 그의 업적은 그를 최고의 입자 물리학자 중 한 명으로 자리매김하는 데 기여했다.[40] 1962년에는 브룩헤이븐의 양성자 가속기를 이용하여 중성미자(neutrino)의 반응을 조사하여 전자 중성미자(electron neutrino)와 뮤온 중성미자(muon neutrino)가 서로 다름을 증명했다.

1976년, 레더먼이 이끄는 물리학자 그룹인 E288 실험팀은 페르미랩 입자 가속기에서 약 6.0 GeV의 질량을 가진 입자가 생성되고 있다고 발표했다. 추가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이 입자는 실제로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게 되었고, 이 "발견"은 원래 이름인 웁실론과 레더먼의 이름을 이용한 말장난으로 "Oops-Leon"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이 이름은 1977년 그룹이 9.5 GeV의 더 높은 질량에서 후속 데이터를 통해 발견한 웁실론 중간자에 재사용되었다.[23]

1988년, 레더먼은 멜빈 슈워츠잭 스타인버거와 함께 "중성미자 빔 방법과 뮤온 중성미자의 발견을 통한 렙톤의 이중항 구조 증명"으로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다.[2] 레더먼은 또한 미국 과학 메달(1965), 엘리엇 크레슨 메달(물리학, 1976), 볼프상(물리학, 1982), 엔리코 페르미 상(1992)을 수상했다.[40]

2. 2. 3. 웁실론 중간자 발견

1976년, 레더먼이 이끄는 물리학자 그룹인 E288 실험팀은 페르미랩 입자 가속기에서 약 6.0 GeV의 질량을 가진 입자가 생성되고 있다고 발표했다. 추가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이 입자는 실제로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게 되었고, 이 "발견"은 원래 이름인 웁실론과 레더먼의 이름을 이용한 말장난으로 "Oops-Leon"이라는 이름이 붙었다.[23] 1977년 그룹은 9.5 GeV의 더 높은 질량에서 후속 데이터를 통해 웁실론 중간자를 발견했다.[23]

2. 3. 말년

2007년 5월 레더먼


레더먼은 무신론자였다.[35][36] 그는 2011년부터 기억력 감퇴를 겪었고, 의료비 문제로 어려움을 겪은 후 2015년 노벨상 메달을 765000USD에 팔아 비용을 충당해야 했다.[37][38] 그는 96세의 나이로 2018년 10월 3일 아이다호주 렉스버그의 요양 시설에서 치매 합병증으로 사망했다.[39][40]

3. 수상 경력

수상 연도수상 내역
1965년미국 국가과학상[41]
1976년엘리엇 크레슨 메달[43]
1982년울프상 물리학 부문[41], 미국 업적 아카데미 골든 플레이트 상[44]
1986년리히트마이어 기념상
1988년노벨 물리학상[41]
1992년엔리코 페르미 상[41], 워싱턴상
1996년회의적 탐구 위원회(CSICOP) "이성 찬양" 상[45]
2000년미국 과학진흥협회 필립 호지 에이벨슨 상
2012년버네바 부시 상[46]
2013년소행성 85185 레더먼 명명


4. 저서


  • 리언 M. 레더먼, 딕 테레시(Dick Teresi) 공저, 《신의 입자: 우주가 답이라면 질문은 무엇일까?》
  • 리언 레더먼, 데이비드 N. 슈램(David N. Schramm) 공저, 《쿼크에서 우주까지》[47]
  • 리언 M. 레더먼 외, 《위대한 미국 과학자들의 초상》
  • 리언 M. 레더먼, 크리스토퍼 T. 힐(Christopher T. Hill) 공저, 《대칭과 아름다운 우주》[48]
  • 리언 레더먼, 《뉴스위크》(Newsweek) 2008년 9월 15일자 기고 "원자 내부에서 우리가 발견할 것들"[49]
  • 리언 M. 레더먼, 크리스토퍼 T. 힐(Christopher T. Hill) 공저, 《시인을 위한 양자물리학》[50]
  • 리언 M. 레더먼, 크리스토퍼 T. 힐(Christopher T. Hill) 공저, 《신의 입자 너머》[51][52][53][54]

참조

[1] 웹사이트 Leon M. Lederman https://academictree[...]
[2] 논문 The Nobel Prize in Physics 1988: Leon M. Lederman, Melvin Schwartz, Jack Steinberger https://www.nobelpri[...] 2012-05-22
[3] 웹사이트 Fermilab History and Archives Project–Golden Books – An Eclectic Reader on Leon M. Lederman https://web.archive.[...] Fermilab 2012-10-01
[4] 서적 Fermilab: Physics, the Frontier, and Megascience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09-08-01
[5] 웹사이트 Research Profile - Leon Max Lederman https://www.mediathe[...] 2022-08-03
[6] 웹사이트 Leon M. Lederman – Biographical https://www.nobelpri[...] 2016-10-02
[7] 웹사이트 Leon Lederman Ph.D. Biography and Interview https://achievement.[...] American Academy of Achievement
[8] 서적 The God Particle: If the Universe is the Answer, What is the Question https://archive.org/[...] Houghton Mifflin
[9] 웹사이트 A Short History of Columbia Physics https://web.archive.[...] Columbia University in the City of New York 2016-10-02
[10] 논문 Francis James Macdonald Farley. 13 October 1920—16 July 2018 2024-04-17
[11] 웹사이트 Fermilab History and Archives – Leon M. Lederman https://web.archive.[...] FNAL.gov 2018-10-03
[12] 뉴스 Leon Lederman, Nobel-winning physicist and 'visionary' educator, 1922–2018 https://news.uchicag[...] University of Chicago 2018-10-03
[13] 웹사이트 Leon M. Lederman https://history.aip.[...] AIP.org 2018-10-03
[14] 웹사이트 AAAS Presidents https://www.aaas.org[...]
[15] 웹사이트 Physics for Poets excerpt in interview about The Nobel Prize in Physics 1988 https://www.nobelpri[...] 2020-02-11
[16] 웹사이트 Biography: Leon M. Lederman https://thebulletin.[...] The Bulletin.org 2018-10-03
[17] 뉴스 Rent-a-Genius https://www.nytimes.[...] 2006-04-16
[18] 논문 "Physics First" Battles for Acceptance https://www.aps.org/[...] 2016-10-03
[19] 웹사이트 Leon Lederman Interview http://thesciencenet[...] The Science Network 2018-10-03
[20] 웹사이트 Lunch with a Laureate https://web.archive.[...] 2016-10-01
[21] 웹사이트 USA Science & Engineering Festival–Advisors https://web.archive.[...] 2016-10-01
[22] 논문 Observations of the Failure of Conservation of Parity and Charge Conjugation in Meson Decays: The Magnetic Moment of the Free Muon
[23] 논문 The Discovery of the b Quark at Fermilab in 1977: The Experiment Coordinator's Story http://lss.fnal.gov/[...]
[24] 뉴스 No Resurrection in Sight for Moribund Super Collider https://www.latimes.[...] 2013-01-16
[25] 논문 Vision to reality: From Robert R. Wilson's frontier to Leon M. Lederman's Fermilab
[26] 뉴스 Super competition for superconducting super collider http://www.lib.niu.e[...] 2016-10-01
[27] 논문 Good-bye to the SSC http://calteches.lib[...] 2013-01-16
[28] 웹사이트 University obituaries https://mag.uchicago[...] 2020-02-11
[29] 서적 Magic Universe: A Grand Tour of Modern Science https://books.google[...] OUP Oxford
[30] 논문 Observation of Top Quark Production in [anti-p] and [ p] Collisions with the Collider Detector at Fermilab 1995-04-03
[31] 웹사이트 Making History Awards, 1995–2015 Honorees https://web.archive.[...] 2016-10-04
[32] 뉴스 Martin J. Klein, Historian of Physics, Dies at 84 https://www.nytimes.[...] 2016-10-02
[33] 웹사이트 Street Corner Science with Leon Lederman https://web.archive.[...] 2009-04-17
[34] 웹사이트 Leon Lederman in Driggs, ID https://411.info/peo[...] 2012-10-02
[35] 서적 Universe on a T-Shirt: The Quest for the Theory of Everything Arcade Publishing 2005
[36] 웹사이트 It's the Atheist Particle, actually http://rationalisthu[...] Postnoon News 2012-07-10
[37] 웹사이트 A Nobel Prize-winning physicist sold his medal for $765,000 to pay medical bills https://www.vox.com/[...] 2018-10-04
[38] 웹사이트 Only in America: Nobel laureate sells his medal to pay medical bills https://pnhp.org/new[...]
[39] 웹사이트 IMSA Announces Passing of Founder, Dr. Leon Lederman https://www.imsa.edu[...] 2018-10-03
[40] 뉴스 Leon Lederman, 96, Explorer (and Explainer) of the Subatomic World, Dies https://www.nytimes.[...] 2018-10-03
[41] 웹사이트 Leon M. Lederman Career, Discoveries and Awards https://history.fnal[...] Fermilab.gov
[42] 웹사이트 Leon M. Lederman Honorary Degrees and Awards https://history.fnal[...] Fermlab.gov
[43] 웹사이트 Franklin Laureate database http://www.fi.edu/wi[...]
[44] 웹사이트 Golden Plate Awardees of the American Academy of Achievement https://achievement.[...] American Academy of Achievement
[45] 웹사이트 World Skeptics Congress Draws Over 1200 Participants http://www.csicop.or[...] CSICOP 1996-09-19
[46] 웹사이트 Fermilab History and Archives–Leon M. Lederman Honorary Degrees and Awards https://history.fnal[...] Fermilab 2012
[47] 논문 Review of ''From Quarks to the Cosmos: Tools of Discovery'' by Leon M. Lederman and David N. Schramm
[48] 논문 Review of ''Symmetry and the Beautiful Universe Symmetry and the Beautiful Universe'' by Leon M. Lederman and Christopher T. Hill Prometheus Books, Amherst, NY, 2004. $29.00 (363 pp.). ISBN 1-59102-242-8
[49] 웹사이트 Large Hadron Collider May Explain Atom's Mysteries http://www.newsweek.[...] 2008-09-05
[50] 웹사이트 Review of ''Quantum Physics for Poets'' by Leon M. Lederman and Christopher T. Hill https://www.publishe[...] 2011-02-07
[51] 서적 Beyond the God Particle https://www.penguinr[...] Prometheus Books 2013-10
[52] 논문 Review of 2 books: ''Beyond the God Particle'' by Leon M. Lederman and Christopher T. Hill and ''Cracking the Particle Code of the Universe'' by John W. Moffat
[53] 웹사이트 Review of ''Beyond the God Particle'' by Leon M. Lederman and Christopher T. Hill https://www.kirkusre[...]
[54] 웹사이트 Review of ''Beyond the God Particle'' by Leon M. Lederman and Christopher T. Hill https://www.publishe[...] 2013-07-22
[55] 뉴스 「神の粒子」名付け親、レーダーマン氏が死去 https://www.yomiuri.[...] 読売新聞 2018-10-04
[56] 논문 The Nobel Prize in Physics 1988: Leon M. Lederman, Melvin Schwartz, Jack Steinberger https://www.nobelpri[...] World Scientific Publishing Co.
[57] 웹인용 Fermilab History and Archives Project–Golden Books – An Eclectic Reader on Leon M. Lederman https://history.fnal[...] Fermilab 2012
[58] 웹인용 Vannevar Bush Award Recipients https://www.nsf.gov/[...] 2016
[59] 서적 Fermilab: Physics, the Frontier, and Megascience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09-08-01
[60] 논문 A method for trapping muons in magnetic fields, and its application to a redetermination of the EDM of the muon https://link.springe[...] 1960-08-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