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제2차 세계 대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2차 세계 대전은 1939년부터 1945년까지 일어난 인류 역사상 가장 광범위하고 파괴적인 전쟁이다. 1차 세계 대전의 여파, 민족주의, 파시즘의 대두, 일본의 팽창주의 등이 배경이 되었으며, 독일의 폴란드 침공으로 시작되었다. 유럽, 아시아, 아프리카, 태평양 등 전 세계적으로 전쟁이 확대되었으며, 추축국(독일, 이탈리아, 일본)과 연합국(영국, 프랑스, 소련, 미국 등) 간의 대립으로 진행되었다. 전쟁의 결과, 수천만 명이 사망하고 유럽과 아시아의 많은 도시가 파괴되었으며, 미국과 소련을 중심으로 하는 냉전 체제가 시작되었다. 또한 국제 연합(UN)이 창설되었으며, 식민지 국가들의 독립이 가속화되었다. 한국은 일제강점기 동안 일본의 전쟁에 동원되었으며, 전쟁 종전과 함께 독립을 맞이했지만, 분단이라는 비극을 겪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39년 분쟁 - 겨울 전쟁
    겨울 전쟁은 1939년 11월부터 1940년 3월까지 소련이 레닌그라드 안보 확보와 영토 확장을 위해 핀란드를 침공했으나, 핀란드의 저항에 부딪혀 결국 핀란드가 영토를 할양하고 끝난 전쟁이다.
  • 1939년 분쟁 - 스페인 내전
    스페인 내전은 1936년부터 1939년까지 스페인에서 국민파와 공화파 간에 벌어진 내전으로, 정치, 사회, 경제적 불안정과 이념 대립, 지역 분리주의 갈등이 원인이 되어 복잡한 사회적 계급 갈등과 이념 대립 속에 국민파의 승리로 끝났으며, 스페인 사회에 큰 영향을 미쳤다.
  • 1943년 분쟁 - 북아프리카 전역
    북아프리카 전역은 제2차 세계 대전 중 북아프리카에서 벌어진 일련의 전투를 통칭하며, 이탈리아의 이집트 침공으로 시작하여 연합군의 승리로 종결되었고, 이탈리아 전역으로 이어지는 발판이 되었다.
  • 1943년 분쟁 - 후크발라합 반란
    후크발라합 반란은 일본군 점령기 중앙루손 지방의 저항군이 필리핀 정부의 탄압에 저항하여 일으킨 무장 투쟁이다.
  • 1940년 분쟁 - 겨울 전쟁
    겨울 전쟁은 1939년 11월부터 1940년 3월까지 소련이 레닌그라드 안보 확보와 영토 확장을 위해 핀란드를 침공했으나, 핀란드의 저항에 부딪혀 결국 핀란드가 영토를 할양하고 끝난 전쟁이다.
  • 1940년 분쟁 - 북아프리카 전역
    북아프리카 전역은 제2차 세계 대전 중 북아프리카에서 벌어진 일련의 전투를 통칭하며, 이탈리아의 이집트 침공으로 시작하여 연합군의 승리로 종결되었고, 이탈리아 전역으로 이어지는 발판이 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 [전쟁]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제2차 세계 대전 콜라주
왼쪽 제일 위부터 시계 방향으로: 우한 전투 기간의 중국군 · 제1차 엘 알라메인 전투에 배치된 호주군의 오드넌스 QF 25파운더 속사포 · 1943년 12월 동부 전선에서 작전 중인 독일군의 융커스 Ju 87 슈투카 · 링가옌만에서 작전 중인 미 해군 · 독일의 항복문서에 서명하는 빌헬름 카이텔 · 스탈린그라드 전투 당시의 소련군
날짜1939년 9월 1일 ~ 1945년 9월 2일
장소주요 전구: 유럽, 태평양, 대서양, 인도양, 동남아시아, 중국 대륙, 일본 본토, 지중해, 중동, 북아프리카, 동아프리카, 서아프리카, 오스트레일리아, 아메리카 전역 등 전 세계
결과연합국의 승리
원인
원인제2차 세계 대전의 원인
유럽의 사건유럽의 사건
아프리카의 사건아프리카의 사건
아시아의 사건아시아의 사건
교전 세력
교전국참전국
연합국연합국
추축국추축국
지휘관
연합국 지휘관연합국의 지휘관 목록
추축국 지휘관추축국의 지휘관 목록
병력
사상자
연합군 사상자군인 사망
1,600만 명 이상
민간인 사망
4,500만 명 이상
총 6,100만 명 이상 사망
그 외 자료...
추축군 사상자군인 사망
800만 명 이상
민간인 사망
400만 명 이상
총 1,200만 명 이상 사망
그 외 자료...

2. 배경

스위스 제네바에서 열린 1930년 국제 연맹 총회.


제1차 세계 대전은 유럽의 지정학적 지도를 근본에서부터 뒤바꿔놓았다. 동맹국의 패배로 오스트리아-헝가리, 독일 제국, 오스만 제국이 사라지고, 1917년 10월 혁명으로 볼셰비키러시아의 권력을 장악하면서 소련이 수립되었다. 한편 프랑스, 벨기에, 이탈리아, 루마니아, 그리스와 같이 제1차 세계 대전에서 승전한 연합국은 영토를 늘렸고, 오스트리아-헝가리, 오스만 제국, 러시아 제국이 붕괴되면서 새로운 국민 국가들이 등장했다.

미래에 있을 또 다른 세계 대전을 막기 위해 1919년 파리 강화회담에서 국제 연맹이 수립되었다. 국제 연맹의 목표는 집단안전보장, 육해군 군축, 평화적인 협상과 중재를 통한 국제 분쟁 해결로 무력 분쟁을 막는 것이었다.[901]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강력한 평화주의 정서가 퍼졌음에도 불구하고, 동시기 유럽 여러 국가에서 민족통일주의 및 보복주의적 내셔널리즘이 대두되었다. 특히 베르사유 조약으로 독일에게 부과된 상당한 영토, 식민지, 재정적 손실은 독일에서 이러한 정서를 두드러지게 만들었다. 베르사유 조약에 따라 독일은 자국 본토 영토의 13%와 모든 식민지를 상실했으며, 독일과 타국과의 합병도 금지되었고, 배상금 부과와 독일군의 규모 및 전쟁 능력에 상당한 제한이 가해졌다.

1918년에서 1919년 사이 독일 11월 혁명으로 독일 제국이 해체되고 민주정부인 바이마르 공화국이 수립되었다. 전간기 기간 새 공화국의 지지층과 이를 반대하는 우익좌익 강경 반대파가 지속적으로 충돌했다. 한편 이탈리아는 협상국의 일원으로 전후 영토가 늘어났지만, 이탈리아 민족주의자들은 영국과 프랑스가 이탈리아가 참전하는 대신 보장했던 여러 약속이 평화 협상에서 전혀 이행되지 않은 것에 분노했다. 1922년부터 1925년까지 베니토 무솔리니가 이끄는 이탈리아 파시즘 운동은 내셔널리즘, 전체주의, 계급협조론적 의제를 가지고 대의민주정을 폐지하고 사회주의, 좌파, 자유주의 세력을 탄압하며 이탈리아를 세계 강대국으로 만들고 "신로마 제국"을 세우겠다는 공격적인 확장주의적 외교정책을 추구하며 이탈리아의 정권을 장악했다.

아돌프 히틀러는 1923년 독일 정부 전복 시도는 실패하였으나, 1933년 파울 폰 힌덴부르크 대통령과 라이히스탁(의회)가 히틀러를 총리로 임명하면서 독일 권력을 장악했다. 히틀러는 급진적이고 인종주의적 배경을 가진 세계 질서의 전환을 부르짖으면서 민주주의를 폐기하고 대규모 재무장에 들어갔다. 한편 프랑스는 동맹국을 잡아두기 위해 에티오피아를 이탈리아가 전적으로 다룰 수 있다는 협정을 맺었고, 이탈리아는 에티오피아를 식민지로 두길 원했다. 1935년 초에는 자르 분지 지역이 합법적으로 독일과 병합되고, 히틀러가 베르사유 조약의 폐기를 선언하며 재무장 계획을 가속화하고 징병제를 도입하면서 상황이 더욱 악화되었다.

영국, 프랑스, 이탈리아는 1935년 4월 군사 세계화의 중요한 단계를 밟고 있는 독일을 막기 위해 스트레사 전선을 결성했다. 하지만 같은 해 6월 영국이 독일과 독자적인 해군 협정을 맺어 독일의 제한을 완화시켜 버렸다. 동유럽의 광범위한 지역을 장악하려는 독일을 우려한 소련은 프랑스와 상호 원조 조약의 초안을 작성했다. 하지만 조약 발효 직전 프랑스-소련 상호 원조 조약을 국제 연맹의 관료제 체계를 거치도록 요구하면서 본질적인 조약 약속 자체가 무력화되었다.[902] 유럽과 아시아에서 일어나는 여러 사건을 우려한 미국은 같은 해 8월 중립법을 제정했다.

1936년 3월 히틀러는 라인란트에 독일군을 진주시켜 베르사유 조약과 로카르노 조약을 무력화시켰다. 1936년 10월에는 독일과 이탈리아가 로마-베를린 추축국을 결성했다. 한달 후 독일과 일본이 방공 협정에 서명했고, 다음 해에는 이탈리아도 방공 협정에 서명했다.

2. 1. 유럽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유럽은 베르사유 조약으로 대표되는 전후 처리와 국제연맹 창설에도 불구하고 불안정한 정세를 유지했다.[901] 특히, 독일에 대한 가혹한 배상금 부과와 영토 할양은 독일 국민들의 불만을 야기했고, 이는 나치즘과 같은 극단적인 민족주의의 발흥으로 이어졌다.[360]

이탈리아에서는 베니토 무솔리니가 이끄는 파시스트당이 정권을 장악하고, 민족주의적이고 팽창주의적인 대외 정책을 추구했다.[359] 나치 독일아돌프 히틀러는 민주주의를 폐기하고 군비를 확장하여 유럽의 세력 균형을 깨뜨렸다.[360] 히틀러는 인종주의와 결합된 극단적인 민족주의 이념을 내세우며, 독일 민족의 생존권 확보를 명분으로 주변국들을 침략하고 병합했다.

영국프랑스는 독일의 팽창을 막기 위해 유화 정책을 시도했지만, 뮌헨 협정을 통해 체코슬로바키아주데텐란트를 독일에 할양하는 등 소극적인 태도를 보였다.[902]

1938년 9월 29일 뮌헨 협정에 서명하기 직전 유럽 각국의 지도자가 모인 사진. 왼쪽부터 네빌 체임벌린, 에두아르 달라디에, 아돌프 히틀러, 베니토 무솔리니, 갈레아초 치아노다.

2. 2. 아시아

중국국민당은 1920년대 중순 다른 군벌들을 상대로 북벌 운동을 전개해 명목상으로는 중국을 통일했으나, 이후 중국공산당 계열 동맹과 새로운 지역 군벌을 상대로 또 다른 내전이 벌어졌다.[903] 1931년에는 점점 군국주의적으로 변하는 일본 제국아시아 전 지역을 통치할 권리를 가지기 위한 첫발판으로 오랫동안 영향력을 행사하던 중국을 향해 만주사변을 일으켜 만주 침공을 벌이고 만주국을 수립했다.

중국은 국제 연맹에 일본의 만주 침공을 막아달라고 호소했다. 일본은 만주 침공으로 국제적인 비난을 받자 국제 연맹을 탈퇴했다. 이후 중일 양국은 상하이, 러허 지방, 허베이에서 여러 차례 전투를 벌이다 1933년 탕구 협정으로 휴전했다. 이후에도 중국 의용군이 만주와 차하르, 쑤이위안에서 일본 제국의 침공에 저항했다.[903] 1936년에는 시안 사건이 일어나자 국민당과 공산당이 일본에 대항하기 위한 연합 전선인 국공 합작을 설립했다.

1937년 상하이 전투 당시 중국 국민당군의 기관총좌.


1937년 7월 일본군은 루거우차오 사건을 일으키고 베이징(당시 이름 베이핑)을 점령하면서 중일전쟁이 발발했다. 소련은 중소상호불가침조약을 체결하여 군수 물자를 지원했으며, 이전까지 이루어지던 중독합작은 사실상 끝났다. 9월에서 11월 사이 일본군은 타이위안 지역 작전을 수행하며 신커우 근방의 국민혁명군[905] 핑싱관 근방의 중국공산당과 교전했다.[906][907] 장제스상하이 방어전을 위해 독일제 무기로 장비한 정예사단을 파견했으나 3개월간의 전투 끝에 상하이에서 패배했다. 일본군은 중국군을 계속 밀어붙여 1937년 12월에는 중화민국의 수도인 난징을 함락시켰다. 난징 함락 후, 수만에서 수십만에 달하는 중국 민간인과 무장해제된 중국군들이 일본군에게 학살당했다.[908][909]

1938년 3월에는 국민혁명군이 타이얼좡에서 처음으로 일본군에게 대승을 거뒀지만, 5월에는 타이얼좡과 근방의 쉬저우시가 일본군에게 함락되었다. 1938년 6월, 중국군은 황하를 범람시켜 일본군의 진격을 저지하려 했고, 이를 통해 우한시에서 방어선을 갖출 시간을 벌었지만, 1938년 10월 우한도 함락되었다. 일본군은 계속 진격했지만, 중국의 저항은 완전히 분쇄되지 않았으며, 중화민국은 내륙인 충칭시로 수도를 이전하고 끝까지 일본에 저항했다.

1938년 하산호 전투 당시 소련 붉은 군대 포병대의 모습.


1930년대 중후반 만주국의 일본군은 소련, 몽골과 산발적인 국경 분쟁을 겪었다. 당시 일본 제국의 북방 지역 진출을 강조한 북진론은 일본 제국 육군의 지지를 받았다. 하지만 1939년 소련군과 벌인 할힌골 전투에서 일본이 패배하고 중일전쟁은 끝나지 않았으며, 동맹국인 나치 독일이 소련과의 중립정책으로 선회하면서 북진론은 실현되기 어려워졌다. 1941년 4월, 일본과 소련은 중립 조약을 체결했으며, 일본은 해군이 지지하는 남방 지역 진출을 강조한 남진론을 받아들여 미국과 서방 연합국과의 전쟁으로 이어졌다.[910][911]

3. 전쟁 전 사건

제1차 세계 대전은 유럽의 지정학적 지형을 근본적으로 바꾸어 놓았다. 동맹국의 패배로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독일 제국, 오스만 제국이 해체되었고, 1917년 10월 혁명으로 볼셰비키러시아의 권력을 장악하여 소련이 수립되었다. 한편, 연합국인 프랑스, 벨기에, 이탈리아, 루마니아, 그리스는 영토를 확장했고, 오스트리아-헝가리, 오스만 제국, 러시아 제국의 해체로 새로운 국가들이 탄생했다.

미래의 세계 대전을 막기 위해 1919년 파리 강화 회담에서 국제 연맹이 설립되었다. 국제 연맹의 주요 목표는 집단안전보장, 육군 및 해군 군축, 평화적인 협상과 중재를 통한 국제 분쟁 해결로 무력 분쟁을 막는 것이었다.[901]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강력한 평화주의 정서에도 불구하고, 유럽 여러 국가에서 민족통일주의 및 보복주의적 내셔널리즘이 나타났다. 이러한 정서는 베르사유 조약으로 독일이 상당한 영토, 식민지, 재정적 손실을 입으면서 독일에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조약에 따라 독일은 자국 영토의 약 13%와 모든 해외 식민지를 상실했고, 다른 국가와의 합병도 금지되었으며, 배상금이 부과되었고, 독일군의 규모와 능력에도 제한이 가해졌다.

1918년에서 1919년 사이 독일 11월 혁명으로 독일 제국이 해체되고 민주 정부인 바이마르 공화국이 수립되었다. 전간기 동안 새 공화국 지지자들과 극우 및 극좌의 강경 반대파 사이에 갈등이 끊이지 않았다. 이탈리아는 협상국의 일원으로서 전후 영토 확장을 일부 이루었지만, 이탈리아 민족주의자들은 영국과 프랑스가 이탈리아의 참전을 확보하기 위해 약속했던 것이 평화 협정에서 이행되지 않은 것에 분노했다. 1922년부터 1925년까지 베니토 무솔리니가 이끄는 이탈리아 파시즘 운동은 민족주의적이고, 전체주의적이며, 계급협조론적인 의제를 가지고 이탈리아에서 권력을 장악하여 대의 민주주의를 폐지하고, 사회주의, 좌익, 자유주의 세력을 탄압하고, 이탈리아를 세계 강대국으로 만들겠다는 목표로 공격적인 확장주의적 외교 정책을 추구하며 "신로마 제국"의 건설을 약속했다.

아돌프 히틀러는 1923년 독일 정부 전복 시도는 실패했지만, 결국 1933년 파울 폰 힌덴부르크 대통령과 국회의원들이 그를 임명하면서 독일 총리가 되었다. 히틀러는 급진적이고 인종주의적 배경을 가진 세계 질서의 수정을 주창하고 민주주의를 폐지했으며, 대규모 재군비에 들어갔다. 프랑스는 동맹국을 확보하기 위해 에티오피아를 이탈리아가 전적으로 다룰 수 있다는 협정을 맺었고, 이탈리아는 에티오피아를 식민지로 두길 원했다. 1935년 초 자르 분지 지역이 합법적으로 독일과 병합되고, 히틀러가 베르사유 조약의 폐기를 선언하며 재군비 계획을 가속화하고 징병제를 도입하면서 상황이 더욱 악화되었다.

영국, 프랑스, 이탈리아는 1935년 4월 군사 세계화의 중요한 단계를 밟고 있는 독일을 막기 위해 스트레사 전선을 결성했다. 하지만 같은 해 6월 영국이 독일과 독자적인 해군 협정을 맺어 독일의 제한을 완화시켜 버렸다. 동유럽의 광범위한 지역을 장악하려는 독일을 우려한 소련은 프랑스와 상호 원조 조약의 초안을 작성했다. 하지만 조약 발효 직전 프랑스-소련 상호 원조 조약을 국제 연맹의 관료제 체계를 거치도록 요구하면서 본질적인 조약 약속 자체가 무력화되었다.[902] 유럽과 아시아에서 일어나는 여러 사건을 우려한 미국은 같은 해 8월 중립법을 제정했다.

1936년 3월 히틀러는 라인란트에 독일군을 진주시켜 베르사유 조약과 로카르노 조약을 무력화시켰다. 1936년 10월에는 독일과 이탈리아가 로마-베를린 추축국을 결성했다. 한 달 후 독일과 일본이 방공 협정에 서명했고 다음 해에는 이탈리아도 방공 협정에 서명했다.

중국국민당은 1920년대 중순 다른 군벌들을 상대로 북벌 운동을 전개해 명목상으로는 중국을 통일했으나, 뒤이어 중국공산당 계열 동맹과 새로운 지역 군벌을 상대로 또 다른 내전이 벌어졌다. 1931년에는 점점 군국주의적으로 변하는 일본 제국아시아 전 지역을 통치할 권리를 가지기 위한 첫 발판으로 오랫동안 영향력을 행사하던 중국을 향해 만주사변을 일으켜 만주 침공을 벌이고 괴뢰국인 만주국을 수립했다.

중국은 국제 연맹에 일본의 만주 침공을 막아달라고 호소했다. 일본은 만주 침공으로 국제적인 비난을 받자 국제 연맹을 탈퇴했다. 이후 중일 양국은 상하이, 러허 지방, 허베이에서 여러 차례 전투를 벌이다 1933년 탕구 협정으로 휴전을 맺었다. 이후에도 중국 의용군이 만주와 차하르, 쑤이위안에서 일본 제국의 침공에 저항했다.[903] 1936년에는 시안 사건이 일어나자 국민당과 공산당이 일본에 대항하기 위한 연합 전선인 국공 합작 설립에 합의하면서 휴전 협정이 맺어졌다.

1935년 이탈리아-에티오피아 전쟁 당시 베니토 무솔리니가 군을 사열하는 모습.


제2차 이탈리아-에티오피아 전쟁은 1935년 10월부터 1936년 5월까지 일어난 짧은 식민전쟁이다. 전쟁은 이탈리아령 소말리아에리트레아에 주둔한 이탈리아 왕국군이 에티오피아 제국(당시에는 아비시니아로 불림)을 침공하면서 시작되었다.[904] 이탈리아-에티오피아 전쟁은 1936년 이탈리아가 에티오피아 전역을 점령하고 이탈리아령 동아프리카(Africa Orientale Italianait, AOI)라는 식민지로 병합해버리면서 끝났다. 또한, 전쟁으로 국제 연맹의 평화 유지력이 취약함이 드러났다. 이탈리아와 에티오피아 양국 모두 국제 연맹 회원국이었지만, 이탈리아가 국제연맹 언약 제10조를 위반한 사실이 확실함에도 국제연맹은 별다른 조치를 취하지 않았다. 영국과 프랑스는 이탈리아의 침공에 대한 제재를 지지했지만, 제재는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으며 이탈리아의 침공도 막지 못했다. 전후 이탈리아는 오스트리아 연방국을 병합하려는 독일의 움직임을 막으려는 입장을 철회하고 오스트리아 병합 시도를 묵인했다.

스페인 내전이 한창이던 1937년 일어난 게르니카 폭격 사건으로 유럽 전역에서 다음에 일어날 전쟁은 도심 폭격으로 민간인 사망자가 매우 많아질 것이라는 공포가 일어났다.


스페인에서 내전이 발발하자 히틀러와 무솔리니는 프란시스코 프랑코 장군이 이끄는 국민파를 지원했다. 이탈리아는 독일보다도 스페인 국민파에게 더 큰 지원을 보냈는데, 무솔리니는 스페인에 7만 명 이상의 지상군과 6천 명가량의 항공 병력, 720기의 항공기를 보냈다. 소련은 내전에서 정부군인 스페인 제2공화국을 지원했다. 국제여단으로도 알려진 외국인 자원병 3만 명가량도 국민파에 맞서 스페인에서 전투를 치렀다. 독일과 소련 양국 모두 스페인 내전을 자국에서 막 개발된 무기와 전술을 시험하는 일종의 대리전 전장으로 사용했다. 1939년 4월 스페인 내전에서 국민파가 승리했고, 프랑코 장군은 추축국에게 호의적이긴 했으나 제2차 세계 대전 기간 공식적으로는 중립을 유지했다. 스페인이 독일과 이룬 가장 큰 협력은 동부 전선에 대규모 의용사단인 청색사단을 파병한 일이다.

1937년 7월 일본군은 루거우차오 사건을 일으키고 베이징(당시 이름 베이핑)을 점령하면서 일본의 중국 전면 침공 전쟁인 중일전쟁이 발발했다. 소련은 재빨리 군수 지원을 하기 위해 중소상호불가침조약을 체결했으며, 이전까지 이루어지던 중독합작은 사실상 끝나버렸다. 9월에서 11월 사이 일본군은 타이위안 지역 작전을 수행하며 신커우 근방의 국민혁명군[905] 핑싱관 근방의 중국공산당과 교전했다.[906][907] 대원수 장제스상하이 방어전을 위해 독일제 무기로 장비한 정예사단을 파견했으나, 3개월간의 전투 끝에 중국군은 상하이에서 패배했다. 일본군은 중국군을 계속 밀어붙이면서 1937년 12월에는 중화민국의 수도인 난징을 함락시켰다. 난징이 함락된 후 수만에서 수십만에 달하는 중국 민간인과 무장 해제된 중국군들이 일본군에게 학살당했다.[908][909]

1938년 3월에는 국민혁명군이 타이얼좡에서 처음으로 일본군에게 대승을 거뒀지만, 5월에는 타이얼좡과 근방의 쉬저우시가 일본군에게 함락되었다. 1938년 6월에는 중국군이 황하를 범람시켜 일본군의 진격을 저지하려 시도했고, 이를 통해 우한시에서 중국군이 방어선을 갖출 시간을 벌어주긴 했지만, 결국 1938년 10월 우한도 함락된다. 일본군은 계속해서 진격했긴 했지만, 일본의 바람대로 중국의 저항은 완전히 분쇄되지 않았으며 오히려 중화민국은 내륙인 충칭시로 수도를 이전하고 끝까지 일본에게 저항하겠다고 천명했다.

1930년대 중후반 만주국의 일본군은 소련, 몽골과 산발적인 국경 분쟁을 겪었다. 당시 일본 제국의 북방 지역 진출을 강조한 북진론은 일본 제국 육군의 지지를 받고 있었다. 하지만 1939년 소련군과 벌인 할힌골 전투에서 일본이 패배하고 중일전쟁은 끝나지 않고 계속되었으며, 동맹국인 나치 독일이 소련과의 중립 정책으로 선회하면서 북진론이 실현되기 매우 어려워졌다. 1941년 4월 일본과 소련은 중립 조약을 체결했으며, 일본은 해군이 지지하는 남방 지역 진출을 강조한 남진론을 받아들여 미국과 서방 연합국과의 전쟁으로 이어졌다.[910][911]

유럽에서는 독일과 이탈리아가 점점 공격적인 정책으로 변하기 시작했다. 1938년 3월 독일은 오스트리아를 병합했고, 다른 유럽 강대국은 역시 별다른 반응이 없었다. 이에 자극받은 히틀러는 체코슬로바키아 내에서 독일인이 다수 거주하던 주데텐란트 지역이 독일 품으로 돌아가야 한다고 주장했다. 영국과 프랑스는 영국의 총리 네빌 체임벌린의 유화 정책 기조를 따라 뮌헨 협정에서 체코슬로바키아 정부의 뜻과는 정반대로 주데텐란트 지역을 독일에게 할양하도록 양보했고, 대신 독일에게 더 이상의 영토를 요구하지 않겠다는 약속을 받아냈다. 하지만 뒤이어 독일과 이탈리아는 체코슬로바키아 정부를 상대로 헝가리에게 추가로 영토를 할양하라고 압박했고, 폴란드는 체코슬로바키아의 자올지에 지역을 합병했다.

독일이 요구한 모든 사항을 협정을 통해 얻어냈지만, 히틀러는 개인적으로는 영국의 간섭으로 한 번의 군사 작전을 통해 체코슬로바키아 전역을 점령하지 못한 데 대해 분노했다. 이후 히틀러는 영국과 유대인 '전쟁광'을 공격하는 연설을 발표했고, 1939년 1월 비밀리에 영국 해군의 패권에 도전하기 위한 독일 해군의 대대적인 증강 계획을 명령했다. 1939년 3월에는 독일이 체코슬로바키아의 잔존 영토를 침공하여 독일령인 뵈멘-메렌 보호령과 독일의 종속국인 슬로바키아 공화국으로 분할 점령했다. 1939년 3월 20일에는 히틀러가 리투아니아에게 최후 통첩을 전달하여 독일령 메멜란트라고도 불렀던 리투아니아의 클라이페다 지역을 병합했다.

1939년 8월 23일 독일-소련 불가침 조약 체결 당시 독일 외무장관 요아힘 폰 리벤트로프(오른쪽)와 소련의 지도자 이오시프 스탈린(왼쪽)이 만나 악수를 하는 모습.


히틀러가 단치히 자유시에 대한 영유권을 주장하기 시작하자 영국과 프랑스는 폴란드의 독립을 보장했다. 1939년 4월 이탈리아가 알바니아를 침공하고 점령하자 이 독립 보장은 루마니아 왕국그리스 왕국으로 확대되었다. 폴란드가 프랑스와 영국과 군사 동맹 협정을 체결하자 직후 독일과 이탈리아는 강철 조약이라는 이름의 동맹 조약을 맺었다. 히틀러는 영국과 폴란드가 독일을 '포위'하고 있다고 비난했고, 1935년 체결된 영국-독일 해군 협정과 1934년 체결된 독일-폴란드 불가침 조약의 무효화를 선언했다.

8월 말에는 독일군이 폴란드 국경을 향해 계속해서 이동하면서 상황이 전반적인 위기로 치달았다. 8월 23일에는 영국, 프랑스, 소련과의 삼자 군사 동맹 협상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멈춰버리자[912] 소련이 독일과 불가침 조약을 체결했다. 불가침 조약에서는 서부 폴란드와 리투아니아는 독일 영역으로, 동부 폴란드와 에스토니아, 라트비아, 베사라비아는 소련 영역으로 하는 독소 양국의 '영향권'에 대해 논의한 비밀 조항이 있었으며, 폴란드의 독립 지속성에 대한 의문도 나왔다. 불가침 조약을 통해 독일이 폴란드를 침공할 때 소련의 반항이나 저지 기회가 사라졌으며, 독일은 제1차 세계 대전 시기처럼 양면전쟁에 직면하지 않으리라 확신했다. 직후 히틀러는 8월 26일 폴란드에 대한 공격을 명령했지만, 영국이 폴란드와 공식적인 상호 원조 조약을 체결하고 이탈리아는 전쟁에서 중립을 유지할 것이라는 소식을 듣자 공격을 연기하기로 결정했다.[913]

전쟁을 피하기 위해 영국이 직접 협상을 요청하자 독일은 폴란드를 향해 요구했고, 이는 관계 악화의 빌미만을 주었다.[914] 8월 29일 히틀러는 단치히 반환에 대해 협상하기 위해 폴란드의 특명전권대사에게 베를린으로 즉시 출석할 것을 요구했고, 또한 폴란드 회랑에 거주하는 독일 소수 민족에게 분리 독립에 대한 주민 투표를 열 권리를 허용해 달라고 요구했다.[914] 폴란드는 독일의 요구에 응하지 않았으며, 8월 30일에서 31일 사이 밤에 리벤트로프는 독일 주재 영국 대사인 네빌 헨더슨과의 회담에서 독일의 요구가 전면 거부당한 상태로 간주하겠다고 선언했다.[915]

4. 전쟁의 경과

제2차 세계 대전은 유럽, 북아프리카, 서아시아, 동아시아, 동남아시아, 태평양, 북아메리카, 오세아니아, 인도양, 동남아프리카 등 전 세계 대부분 지역에서 벌어진 광범위한 전쟁이었다. 크게 유럽 전선과 태평양 전선으로 나뉘며, 각 전선은 다시 여러 세부 전선으로 구분된다.

유럽 전선은 추축국인 독일, 이탈리아와 연합국인 영국, 프랑스, 소련, 미국 등이 맞붙은 서부 전선, 북아프리카 전역, 동아프리카 전선, 그리고 독일, 이탈리아와 소련이 격돌한 동부 전선(독소전쟁)으로 나뉜다.

태평양 전선은 태평양 전쟁으로도 불리며, 일본과 영국, 오스트레일리아, 미국, 뉴질랜드 등이 태평양 섬들과 알래스카, 하와이, 미국 본토알류샨 열도, 필리핀, 캐나다 등에서 싸운 태평양 전역, 일본과 타이가 네덜란드령 동인도, 영국령 말레이, 프랑스령 인도차이나 등지에서 네덜란드, 영국, 미국, 프랑스와 맞붙은 남서 태평양 전역, 일본과 독일이 영국령 버마, 영국령 인도 제국, 영국령 실론, 프랑스령 인도차이나 등지에서 영국,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 등과 격돌한 동남아시아 전역, 그리고 일본, 만주국중국 대륙에서 중화민국, 미국, 영국, 소련 등과 싸운 중일 전쟁으로 구성된다.

이 외에도 중동, 남아메리카, 중앙아메리카, 카리브해, 오스트레일리아 등에서도 전투가 벌어져, 말 그대로 전 세계적인 규모의 전쟁이었다. 주요 참전국들은 국가 총력전 체제하에 인적, 물적 자원을 총동원했으며, 당시 독립국의 대부분인 61개국이 참전하여 약 1억 1천만 명이 군대에 동원되었다. 주요 참전국의 전비는 총액 13.013조달러를 넘는 막대한 금액에 달했다.[322] 미국만 해도 제2차 세계 대전의 전비는 2.96조달러였지만, 이를 2008년으로 환산하면 41.14조달러에 달한다.[323]

4. 1. 유럽의 전쟁 발발 (1939-1940년)

1939년 9월 1일, 독일 국방군은 폴란드 침공의 빌미를 만들기 위해 국경 소요 사건을 일으키는 작전을 일으킨 후 폴란드를 침공했다.[916] 독일군베스테르플라테 주둔 폴란드군을 공격하면서 제2차 세계 대전의 첫 전투가 시작되었다. 독일의 군사 행동에 영국은 즉시 군사작전을 중단하라는 최후 통첩을 전달했고, 9월 3일 최후 통첩의 응답 기한이 지나자 영국과 프랑스가 각각 독일에 선전포고했다.[917]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 자치령, 남아프리카 연방, 캐나다도 뒤따라 독일에게 선전포고했다. 하지만 가짜 전쟁 기간 연합국은 프랑스의 자를란트를 향한 신중한 공세 외에는 폴란드에게 직접적인 군사 지원을 하지 않았다. 서방 연합국은 독일의 경제와 전쟁능력에 타격을 주기 위해 독일 해역의 해상봉쇄를 시작했다.[918] 독일은 연합국 상선과 군함을 상대로 잠수함전을 명령했고 이는 대서양 전투로 확대되었다.[919]

1939년 폴란드 침공 당시 영토 방어를 위해 행진하는 폴란드군 병사들의 모습.


9월 8일 독일군은 바르샤바 교외에 도달했다. 서쪽에서 폴란드군의 반격으로 독일군의 진격이 며칠 동안 중단되었지만 독일군은 폴란드군을 측면으로 포위했다. 폴란드군 잔당은 바르샤바 방어를 위해 독일군의 포위망을 돌파했다. 1939년 9월 17일에는 할힌골 전투 이후 일본과 휴전을 체결한 지 이틀밖에 되지 않은 시점에 소련군이 폴란드를 침공하기 시작했다.[920] 표면상으로는 소련이 폴란드라는 국가가 더 이상 존재하지 않는다는 이유를 대고 침공했다. 9월 27일에는 바르샤바 주둔군이 독일군에게 항복했으며 10월 6일에는 폴란드의 마지막 대규모 작전집단이 항복했다. 군사적으로 폴란드는 패배했지만 정부는 항복하진 않았으며 폴란드 망명정부을 결성하고 점령당한 폴란드 영토에는 폴란드 지하국가라는 비밀저항조직이 결성되었다.[915] 잔존 폴란드군 상당수는 루마니아와 라트비아로 도피했으며 이들 중 상당수가 나중에 추축국과의 교전에 참여했다.

독일은 폴란드 서부를 합병하고 중부 지역을 점령했으며, 소련은 폴란드 동부 지역을 합병했다. 그 외에도 리투아니아와 슬로바키아가 폴란드 영토 극히 일부를 병합했다. 10월 6일 히틀러는 영국과 프랑스에게 평화를 제안했지만 폴란드의 운명은 독일과 소련이 결정할 것이라고 말했다. 영국과 프랑스는 독일의 제안을 거절했고[921] 히틀러는 즉각 프랑스를 향한 공격을 명령했으나 악천후와 기타 여러 이유로 1940년 봄까지 서부 전선 작전이 연기되었다.[922]

1940년 2월 겨울 전쟁 기간 소련의 붉은 군대 진지를 겨냥한 핀란드군의 기관총좌 모습.


폴란드에서 전쟁이 발발한 이후 스탈린은 에스토니아, 라트비아, 리투아니아 정부에게 군사 침공으로 위협했고 발트 3국을 상대로 국가 내에 소련군 주둔 기지 건설을 명시한 조약 서명을 강요했다. 1939년 10월에는 소련군 정예병들이 발트 3국 각국 내로 이동했다. 핀란드도 비슷한 조약을 서명하라는 압박을 받았으나 조약 서명을 거부했고 소련의 영토 일부 할양 요구도 거절했다. 결국 소련은 1939년 11월 핀란드를 침공했고[923] 소련은 국제 연맹에서 추방되었다. 소련은 핀란드와 대비해 압도적인 수적 우위를 가지고 있었지만 겨울 전쟁 기간 소련군의 진격은 미미했으며[924] 소련과 핀란드 사이의 전쟁은 1940년 3월 모스크바 평화 조약에서 핀란드가 영토 일부를 할양하며 끝났다.

4. 2. 서유럽 전선 (1940-1941년)

1940년 5월 10일에서 6월 4일까지 독일군은 마지노선(진한 빨강)을 우회해 벨기에와 북프랑스 지역으로 진격해 연합군을 포위했다.


1940년 4월, 독일은 덴마크와 노르웨이를 침공했다.[927] 이는 연합군이 차단하려 했던 스웨덴에서 수입하는 철광석 선적을 보호하기 위한 목적이었다. 덴마크는 전쟁 발발 수 시간만에 항복했고, 노르웨이 또한 연합국의 지원에도 불구하고 2달 정도 버티다가 항복했다. 노르웨이 전역 상황이 연합국에게 불리하게 돌아가면서 영국 내 여론이 악화되어 1940년 5월 10일 네빌 체임벌린이 총리직에서 사임했고, 차기 총리로 윈스턴 처칠이 취임했다.

같은 날, 독일은 프랑스를 향한 공세를 시작했다. 독불 국경의 요새선인 마지노선을 우회하기 위해 독일은 중립국이었던 벨기에, 네덜란드, 룩셈부르크를 침공했다. 독일군은 아르덴 지역에서 측면 기동전을 펼쳤는데, 당시 연합국은 아르덴 지역을 장갑차가 돌파할 수 없는 자연 방벽이라고 오판했다. 새로운 전술인 전격전에 성공한 독일 국방군은 해협을 향해 빠르게 진격하여 벨기에의 연합군을 포위하고 인근의 벨기에-프랑스 국경지대에 연합군 대부분을 가두었다. 영국군은 6월 초까지 됭케르크 철수 작전으로 대부분의 병력을 철수시키는 데는 성공했으나, 과정에서 모든 군사 장비가 버려졌다.

6월 10일, 이탈리아가 프랑스와 영국에 선전포고하며 이탈리아의 프랑스 침공 작전이 시작되었다. 독일군은 약화된 프랑스군을 향해 남쪽으로 진격하기 시작했고, 6월 14일에는 파리가 함락되었다. 8일 후인 6월 22일, 프랑스가 독일과 휴전 협정을 맺었다. 휴전 협정으로 독일과 이탈리아가 프랑스 영토 일부를 점령했고, 점령되지 않은 잔존지역에서는 비시 프랑스가 수립되었는데, 비시 정권은 공식적으로는 중립국을 표방했으나 실제로는 친독 추축국에 가까웠다. 프랑스는 휴전 이후에도 거대한 해군을 보존하고 있었으나, 7월 3일 영국군이 독일군의 프랑스 함대 노획을 막기 위해 메르스엘케비르의 프랑스 함대를 타격해 붕괴시켰다.

7월 초, 루프트바페가 선박과 항구를 공격하기 시작하며[928] 영국 본토 항공전이 시작되었다. 영국은 히틀러의 평화 제의를 거부했고,[929] 8월부터는 독일 공군의 항공 우세 장악 작전이 시작되었지만 영국 왕립공군 전투기사령부를 격파하는데 실패하여 독일군의 영국 본토 침공 계획은 무기한 연기되었다. 독일군의 전략폭격 공세 작전은 런던과 기타 도시에 대한 야간공습작전인 영국 대공습(블리츠)로 강화되었으나 영국의 전쟁 노력을 꺾는 데는 실패하고 독일군의 전략폭격도 1941년 5월에 대부분 끝났다.

새로 얻은 프랑스의 항구를 이용하여 독일 해군은 유보트를 이용해 대서양에서 영국 함선을 공격하며 지나치게 늘어진 영국 왕립해군을 상대로 승전을 거두며 제1차 행복한 시간을 보냈다.[930] 영국의 본토함대는 1941년 5월 27일 전함 비스마르크를 격침시키며 중요한 승리를 거두었다.[931]

4. 3. 지중해 전역 (1940-1941년)

1940년 6월 초, 이탈리아 왕립 공군(Regia Aeronautica)은 영국의 식민지인 몰타를 공격하고 포위 공격을 개시했다(몰타 포위전). 여름 후반부터 가을 초까지 이탈리아는 영국 소말리란드를 정복하고 영국령 이집트로 침입했다. 10월, 이탈리아는 그리스를 공격했지만, 이 공격은 이탈리아군의 큰 피해를 입히고 격퇴되었고, 이 전투는 몇 달 만에 사소한 영토 변화로 끝났다.[933] 이탈리아를 지원하고 영국이 발판을 마련하는 것을 막기 위해 독일은 발칸 반도 침공을 준비했는데, 이는 루마니아의 유전을 위협하고 지중해에서 영국의 지배력을 약화시키려는 것이었다.

1941년 4월, 북아프리카 사막을 진격하는 아프리카 군단(Afrika Korps)의 독일 3호 전차(Panzer III)


1940년 12월, 영국 연합군은 이집트와 이탈리아 동아프리카의 이탈리아군에 대한 반격을 시작했다.[933] 이 반격은 성공적이었고, 1941년 2월 초까지 이탈리아는 리비아 동부에 대한 통제력을 상실했고, 다수의 이탈리아 병사들이 포로로 잡혔다. 이탈리아 해군도 타란토에서의 항공모함 공격 이후 영국 해군이 이탈리아 전함 3척을 퇴역시켰고, 마타판 곶 해전에서 여러 척의 군함을 무력화시키는 등 상당한 패배를 당했다.

이탈리아의 패배는 독일이 북아프리카에 원정군을 파병하도록 만들었다. 1941년 3월 말, 롬멜의 아프리카 군단은 공세를 시작하여 영연방군을 후퇴시켰다. 한 달도 채 되지 않아 추축군은 이집트 서부로 진격하여 토브루크 항구를 포위했다.

4. 4. 추축국의 소련 침공 (1941년)

1941년 6월 22일, 독일이탈리아루마니아의 지지를 받아 바르바로사 작전이라는 이름으로 소련을 침공했다. 이는 소련이 독일을 향한 전쟁 음모를 꾸미고 있다는 비난과 함께 이루어졌으며, 직후 핀란드헝가리가 소련과의 전쟁에 참전했다.[937] 이 기습 공세의 초기 목표는 발트 지방, 모스크바, 우크라이나였으며, 궁극적인 전략적 목표는 카스피해에서 백해에 이르는 아르한겔스크-아스트라한 선(A-A선)을 장악해 1941년 전역을 끝내는 것이었다. 히틀러의 목표는 군사강국인 소련을 제거하고 공산주의를 말살하며, 구소련 지역의 원주민을 추방레벤스라움을 수립하고 독일의 나머지 경쟁국을 물리치는 데 필요한 전략자원의 접근을 보장하는 것이었다.

추축국이 소련을 침공하는 동안 독일 군인이 공격하는 모습. 1941년 촬영.


소련의 붉은 군대는 전쟁 이전 전략적인 반격 작전을 계획했으나 바르바로사 작전으로 독일이 선수를 쳐 소련군 최고사령부는 전략적 방어를 채택해야만 했다. 여름 내내 추축군은 소련 영토 내로 많이 진격했으며, 인력과 물자 양쪽 모두에서 막대한 손실을 입혔다. 하지만 8월 중순까지 독일 육군최고사령부는 공세 여력이 고갈되었던 중부 집단군공세를 중단시켰으며 제2기갑군을 쪼개 우크라이나 중부와 레닌그라드로 진격하는 병력에 보강시켰다. 키예프 공세에서 독일군은 소련군 4개 군을 포위하고 제거하는 등 압도적인 승리를 거뒀으며 크림반도와 산업단지가 있는 우크라이나 동부를 향한 진격로가 열렸다.

10월까지 우크라이나와 발트 지역에서 추축군의 작전 목표는 달성되었으며 레닌그라드의 포위 공격세바스토폴의 포위만 계속 이뤄지고 있었다. 이후 모스크바를 향한 대규모 공세가 재개되었다. 점점 더 혹독해지는 날씨 속에서 두 달간 치열한 전투를 벌인 독일군은 모스크바 거의 외곽 교외 지역까지 도달했지만 완전히 지쳐버린 병력[938]은 더 이상의 공세를 중단했다. 추축군은 거대한 영토를 얻었지만 전역에서 중요한 목표를 달성하지 못했다. 이 시점에서도 소련의 2개 대도시는 여전히 소련이 통제하고 있었고 소련의 저항 능력이 깨지지 않았으며, 군사적인 잠재력 상당부분도 잘 보존된 상태였다. 여기서 유럽의 "전격전" 단계가 종료되었다.

12월 초까지 새로 동원된 예비군을 모은 소련은 추축군에 수적 동등함을 이뤄냈다. 또한 소련의 리하르트 조르게가 보낸 첩보망으로 당시 일본의 관동군을 막기 위한 최소한의 병력을 제외하고 극동의 병력을 모두 차출하여[939] 12월 5일 소련은 전선 전체의 대규모 공세를 펼치면서 독일군을 서쪽으로 100-250 km 밀어내는데 성공했다.[940]

4. 5. 태평양 전쟁 발발 (1941년)

진주만에 주둔한 미국 태평양 함대 소속 USS 애리조나가 1941년 12월 7일 일본의 기습공격으로 불타오르는 모습.


1941년 12월 8일, 홍콩에 입성하는 일본군의 모습.


1941년 초부터 미국과 일본은 긴장 관계를 해소하고 중국에서의 전쟁을 종식시키기 위한 협상을 진행했다. 일본은 여러 제안을 제시했지만, 미국은 이를 일본의 팽창주의가 유지되는 제안으로 보고 일축했다.[945] 동시에 미국, 영국, 네덜란드는 일본의 공격에 대비해 이들 중 어느 한 국가가 침공받을 경우 다 같이 참전하는 영토 공동 방위 협정 비밀 논의를 시작했다.[946] 루스벨트 대통령은 필리핀 자치령(1946년 독립 예정)의 방위를 강화하고 미국 정부는 일본에게 "이웃 국가"를 공격할 경우 대응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협상은 진전이 없었고, 미국-영국-네덜란드의 공동 제재 압박을 느낀 일본은 전쟁을 준비했다. 쇼와 천황(히로히토)은 일본의 승리 기회에 대해 동의하고[947] 일본의 개전을 지지했다.[948] 고노에 후미마로 총리는 대미 개전을 반대하고 사임했으며,[949][950] 히로히토는 히가시쿠니 나루히코를 총리에 임명하자는 권고를 무시하고 도조 히데키 전쟁 장관을 총리에 임명했다.[951] 11월 3일, 나구모 주이치 제독은 히로히토에게 진주만 공격 계획을 자세히 설명했다.[952] 11월 5일에는 히로히토가 어전회의에서 대미 전쟁 계획을 승인했다.[953] 11월 20일, 일본에 새로 수립된 히데키 내각은 최종 제안으로 잠정안을 제시했다. 여기서 일본은 미국이 중국을 향한 원조를 중단하고 일본을 향해 석유 및 기타 자원에 대한 금수 조치를 해제해 달라고 요구했다. 대신 일본은 동남아시아에서 어떤 공격도 하지 않으며 인도차이나 남부에서 군대를 철수하겠다고 제안했다. 11월 26일 미국은 역제안으로 일본이 무조건적으로 중국 전역에서 철수하며 태평양 지역의 모든 열강국과 중립 조약을 체결할 것을 요구했다.[954] 이는 일본이 중국에 대한 모든 야심을 포기하거나, 일본에게 필요한 천연자원이 있는 네덜란드령 동인도를 무력으로 점령하거나 둘 중 하나를 선택하게 만들었다.[955][956] 일본 군부는 전자는 선택지로 두지도 않았고 많은 장교들은 석유 금수 조치를 무언의 선전포고라고 여겼다.

일본은 아시아에 있는 유럽 식민지를 점령하여 중앙 태평양을 향한 대규모 방어 거점을 만들 계획을 가졌다. 그 다음 일본은 방어전으로 전환해 과도하게 신장된 연합군을 지치게 만들고 동남아시아의 자원을 자유롭게 이용할 계획을 가졌다.[957][958] 거점을 확보하는 동안 미국의 간섭을 막기 위해 미국 태평양 함대와 필리핀 주둔 미군을 처음부터 무력화할 계획을 세웠다. 1941년 12월 7일(아시아 시간 기준 12월 8일 새벽) 일본은 동남아시아와 중앙 태평양을 거의 동시다발적으로 공격하며 영국과 미국을 공격하기 시작했다. 여기에는 진주만에 주둔한 미국 함대, 필리핀 주둔 미군 공격과 괌섬, 웨이크섬, 영국령 말레이, 홍콩 등이 있었다.[959]

일본이 공격한 다른 국가인 미국, 영국, 중국, 오스트레일리아 및 기타 여러 국가가 공식적으로 일본에게 선전포고했지만, 소련은 유럽의 추축국과는 전쟁을 계속하면서 일본과의 중립 협정은 계속 유지했다.[960]

4. 6. 추축국의 둔화 (1942-1943년)

1942년 연합국은 '유럽 우선' 전략에 합의하고, 북아프리카 전선에 집중하기로 결정했다.[964] 1942년 5월, 독일군은 코카서스 유전 지대를 목표로 하는 청색 작전을 개시했지만, 스탈린그라드 전투에서 소련군에 포위되어 1943년 2월에 항복했다.[969] 1942년 8월, 연합군은 엘 알라메인을 향한 두번째 공세를 격퇴하고[970] 이집트에서 공세를 시작하여 추축군을 몰아내고 리비아 내로 서쪽을 향해 진격하기 시작했다.[971] 1943년 5월, 연합군은 튀니지 전역에서 승리하여 북아프리카의 추축군을 몰아냈다.[972]

1942년 과달카날 전역에서의 미국 해병대의 모습.


1942년 5월, 일본군은 수륙 양용 작전을 통해 포트모르즈비 점령을 위한 모 작전을 시행했지만, 산호해 해전에서 연합군에 저지되었다.[967] 1942년 6월, 미드웨이 해전에서 일본 해군은 일본 해군 암호를 해독한 미군에게 큰 피해를 입고, 태평양 전역의 주도권을 상실했다.[969] 1942년 8월, 미국은 과달카날 전역을 시작하여, 일본군과 치열한 전투를 벌였다.[970]

4. 7. 연합국의 반격 (1943-1944년)

1943년 7월, 서방 연합군은 시칠리아 침공을 개시했고, 이탈리아는 연합국과 휴전을 맺었다.[973] 독일은 이에 대응하여 이탈리아를 점령하고 이탈리아군을 무장 해제시켰으며, 무솔리니를 구출하여 이탈리아 사회공화국이라는 괴뢰국을 세웠다.[973] 이로 인해 이탈리아 내전이 발발했다.

1943년 쿠르스크 전투에서 독일군 진지로 반격하는 소련군의 모습.


동부 전선에서는 1943년 7월, 쿠르스크 전투에서 소련군이 독일군에게 승리하면서 주도권을 잡았다.[972] 소련군은 반격 작전을 통해 독일군의 공세를 저지하고, 스몰렌스크와 저드네프르를 돌파하며 독일군을 몰아냈다.[972]

1944년 1월, 소련 레닌그라드 전선군은 공세를 통해 레닌그라드 포위전을 종식시켰다.[982] 그러나 나르바 전투에서 에스토니아인의 지원을 받은 독일군에게 저지당하며 발트해 지역 작전에 차질이 생겼다.[983]

노르망디 상륙 작전 당시 오마하 해변으로 접근하는 미군, 1944년 6월 6일 (D-데이)


1944년 6월 6일, 연합군은 노르망디 상륙 작전을 통해 북프랑스에 상륙하여 서부 전선을 형성했다.[104] 이후 남프랑스 상륙도 성공하며 독일군을 압박했다.

더글러스 맥아더 장군이 레이테 전투 중 필리핀으로 귀환하는 모습, 1944년 10월 20일


1944년 6월 22일, 소련군은 바그라티온 작전을 통해 벨라루스를 해방하고 폴란드 동부로 진격했다.[109]

한편, 1944년 7월, 중국군은 쑹산 전투에서 승리하여 중국-미얀마 도로를 재개통했다.[117] 1944년 10월, 레이테 만 해전에서 미국 해군은 일본 해군에 승리하여 필리핀 탈환의 발판을 마련했다.[121]

4. 8. 추축국의 붕괴, 연합국의 승리 (1944-1945년)

1944년 12월 16일, 독일은 서부전선에서 남은 예비군 대부분을 사용하여 아르덴 산맥프랑스-독일 국경지대를 따라 대규모 반격작전을 시작했다. 이는 서구 연합군을 갈라놓아 포위하고 주요 보급항구인 안트베르펜을 점령하여 정치적으로 휴전 협상을 시도하려는 마지막 시도였다.[1009] 1945년 1월 16일까지 이 공세는 전략적 목표를 달성하지 못한 채 격퇴되었다.[1009] 이탈리아에서는 서방 연합군이 독일군의 방어선에서 교착상태를 유지했다. 1945년 1월 중순, 폴란드의 붉은 군대는 독일의 비스툴라-오데르강 지역으로 공세를 가하고 동프로이센을 점령했다.[1010]

1945년 2월 4일, 미국, 영국, 소련 지도자가 만나 얄타 회담을 열었다. 얄타 회담에서 3국 지도자는 전후 독일 점령 사항과 이후 소련의 대일전 참전 시기에 합의했다.[1011] 같은 해 2월, 소련군은 실레지아와 동포메라니아에 진입하기 시작했고, 서방 연합군은 독일 본토 서부로 침공해서 라인강을 도하하기 시작했다. 3월까지 서방 연합군은 북쪽과 남쪽에서 라인강을 도하해 라인-루르에 있는 독일 B집단군을 완전히 포위했다.[1012] 3월 초, 독일은 헝가리에 있는 마지막 유전지대를 보호하고 부다페스트를 탈환하기 위해 벌러톤호 인근에서 소련군을 상대로 마지막 대공세를 펼쳤으나, 2주 만에 격퇴되었고 소련군은 빈을 향해 진격하여 빈을 점령했다.

4월 초, 소련군이 쾨니히스베르크를 점령하고 서방 연합군은 이탈리아 북부로 공세하기 시작했으며 함부르크뉘른베르크를 점령하여 독일 서부를 휩쓸기 시작했다. 4월 25일, 미군과 소련군이 엘베강에서 서로 만났으며 독일 남부와 베를린 인근의 여러 빈 포위망만 남고 연합군이 점령했다. 소련군은 4월 말 베를린으로 진입하고 점령했다. 이탈리아에서는 4월 29일 독일군이 항복했다. 4월 30일, 베를린의 국가의회 의사당을 소련군이 점령하면서 나치 독일은 군사적으로 완전히 패배했고,[1013] 5월 2일에는 베를린 수비군이 항복했다.

이 기간 양 측의 지도부에 큰 변화가 생겼다. 4월 12일, 미국의 대통령 루즈벨트가 사망하고 부통령 해리 S. 트루먼이 대통령직을 승계했다. 4월 28일, 이탈리아 파르티잔이 베니토 무솔리니를 잡아 처형했다.[1014] 4월 30일, 히틀러가 퓌러엄폐호에서 자살하고 총통직은 대제독 카를 되니츠요제프 괴벨스에게 승계되었다. 5월 7일과 8일에는 독일의 완전하고 무조건적인 항복문서가 서명되었으며 5월 8일이 넘어가자 효력을 발휘했다.[1015] 하지만 프라하에 있는 독일 중부집단군은 5월 11일까지 저항했다.[1016]

태평양 전선에서는 미군이 필리핀 자치령군과 함께 필리핀 내로 진격하여 1945년 4월 말까지 레이테를 완전 점령했다. 1945년 1월에는 루손섬에 미군이 상륙하고 3월에는 마닐라를 탈환했다. 하지만 종전시까지 루손섬과 민다나오섬, 기타 필리핀의 여러 섬에서 전투가 계속되었다.[1017] 한편 미국 육군 항공대는 일본의 전쟁산업을 파괴하고 민간인의 사기를 꺾기 위해 일본의 전략적인 도시를 향한 대규모 폭격 작전을 시작했다. 대표적인 공습으로는 역사상 가장 사망자가 많은 재래식 폭격작전인 3월 9-10일 사이 도쿄 대공습이다.[1018]

나가사키시에 투하된 원자폭탄이 폭발하는 모습.


1945년 5월, 오스트레일리아군이 보르네오에 상륙하여 유전지대를 점령했다. 영국, 미국, 중국은 3월 버마 북부의 일본군을 밀어내고 영국군은 5월 3일 양곤을 점령했다.[1019] 중국군도 1945년 4월 6일부터 6월 7일까지 서후난 전투를 통해 본토에서도 반격하기 시작했다. 미국 해군과 상륙군도 일본으로 이동하여 3월에는 이오지마를, 6월 말에는 오키나와를 점령했다.[1020] 이와 동시에 잠수함의 해상 봉쇄가 일본 경제의 목을 조르고 있었으며 해외 병력의 보급 능력을 급격하게 감소시켰다.[1021][1022]

7월 11일, 연합군 지도자들은 독일 포츠담에서 회담을 가졌다. 이 회담에서 독일에 대한 이전의 합의를 재확인했고,[1023] 미국, 영국, 중국 정부는 일본의 무조건 항복 요구를 되풀이하면서 그렇지 않을 경우의 대안은 "신속하고 완전한 일본의 파괴"만 있을 뿐이라고 명시했다.[1024] 회담 기간 영국에서는 총선이 열렸으며 이 총선에서 처칠이 실각하고 영국 노동당클레멘트 애틀리가 총리에 올랐다.[1025]

일본 정부는 더 유리한 항복 조건을 협상할 수 있다고 믿으면서 포츠담 회담에서 나온 무조건 항복 요구를 거부했다.[1026] 8월 초, 미국은 일본의 히로시마시나가사키시 두 곳에 원자폭탄을 투하했다. 두 폭격 사이에 소련은 얄타 회담에서의 요구에 따라 일본이 점령중인 만주를 침공하고 일본 최대 전투력을 가지고 있던 관동군과 괴뢰국인 만주국군을 빠르게 격파했다.[1027] 원자폭탄 투하와 소련의 대일전 참전 두 사건으로 그전까지 완고하던 일본 제국 지도부도 항복 조건을 받아들이게 되었다.[1028] 붉은 군대는 사할린섬 남부쿠릴 열도의 일본군도 공격해 점령했다.

1945년 8월 9-10일 사이, 히로히토는 연합국이 포츠담 선언에서 요구한 조건을 모두 수락하기로 결정하겠다고 발표했다.[1029] 8월 15일, 쇼와 천황옥음방송을 통해 포츠담 선언 수락 결정을 일본 국민들에게 발표했다.[1030] 같은 날, 일본이 항복했고 일본의 항복문서는 1945년 9월 2일 도쿄만에 정박한 미국 전함 USS 미주리 위에서 서명하면서 제2차 세계 대전은 완전히 끝났다.[1031]

5. 결과

제2차 세계 대전은 전 세계에 막대한 인적, 물적 피해를 초래했다. 수많은 군인과 민간인이 목숨을 잃었고, 유럽과 아시아의 여러 도시가 파괴되었다.[1077][1078][1079]

독일군이 의도적으로 파괴한 1945년 바르샤바의 모습.


전쟁 이후, 세계는 미국과 소련을 중심으로 하는 냉전 체제로 재편되었다. 국제연맹은 해체되고 국제연합(UN)이 창설되어 국제 평화와 안전을 위한 노력이 시작되었다.[1044]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상임이사국에는 전쟁 승전국인 미국, 영국, 프랑스, 중국, 소련 5개국이 포함되었다.[1046]

뉘른베르크 국제군사재판 모습.


유럽에서는 독일이 분단되고, 동유럽 국가들은 소련의 영향 아래 놓였다.[1048] 탈나치화 과정이 진행되어 뉘른베르크 국제군사재판에서 나치 전범들이 기소되었지만, 이후 서독 사회로 재통합되는 방향으로 변화했다.[1032] 독일은 전쟁 전 영토의 4분의 1을 잃었고, 많은 독일인이 본토로 추방되었다.[1033][1034][1035]

전후 중앙유럽의 국경 변화와 동구권 형성.


아시아에서는 일본이 군국주의를 버리고 민주주의 국가로 다시 태어났으며, 한국은 분단되었다.[1056] 중국에서는 제2차 국공 내전이 재개되어 공산당이 승리하고 중화인민공화국이 수립되었다.[1057] 식민지였던 많은 국가가 독립하면서 탈식민지화가 가속화되었다.[1058][1059]

전쟁 범죄자들에 대한 재판도 이루어져, 전쟁 책임자들에게 유죄 판결이 내려졌다.

제2차 세계 대전 각국 사상자 도표.


전쟁으로 인한 경제적 피해도 컸지만, 각국은 서로 다른 영향을 받았다. 미국은 전쟁 이후 경제 호황을 누렸지만,[1060] 영국은 경제적으로 어려움을 겪었다.[1070] 서독은 마셜 플랜의 지원으로 라인강의 기적이라 불리는 경제 회복을 이루었다.[1065][1066][1067] 소련은 큰 피해를 보았지만, 전후 생산량이 급격히 증가했다.[1073]

제2차 세계 대전은 약 6천만 명의 사망자를 냈으며,[1077][1078][1079] 이 중에는 홀로코스트로 희생된 유대인롬인 등 수많은 민간인이 포함되어 있다.[1088][1085]

6. 영향

제2차 세계 대전은 인류 역사상 가장 파괴적인 전쟁으로 기록되었으며,[1076] 대부분의 문헌에서는 약 2천만 명의 군인과 4천만 명의 민간인을 포함해 총 6천만 명이 전쟁으로 사망했다고 집계했다.[1077][1078][1079] 수많은 민간인이 고의적인 제노사이드, 학살, 대량폭격, 감염, 기근으로 사망했다.

전쟁으로 인해 소련에서만 약 2,700만 명이 사망했으며,[1080] 이 중 870만 명이 군인, 1,900만 명이 민간인 사망자이다.[1081] 나치 독일은 군인만 530만 명이 사망했는데, 대부분 동부전선과 전쟁 말 독일 본토에서 전투로 사망했다.[1083]

나치 독일홀로코스트로 대략 6백만 명에 달하는 유대인을 학살했고, 그 외에도 폴란드인 270만 명도 학살했으며,[1109] "살 가치가 없는 생명" 400만 명(장애인, 정신 질환자, 소련 전쟁 포로, 롬인, 동성애자, 프리메이슨, 여호와의 증인 등)을 살해했다.[1110]

1937년 12월 난징 대학살 당시 일본 제국 육군의 학살로 사망한 중국 민간인의 시신.


아시아와 태평양에서 일본군에게 사망한 사람들의 숫자는 논쟁의 여지가 있지만, R. J. 럼멜은 일본군이 3백만 명에서 1천만 명을 죽였으며 가장 가능성이 높은 수치는 6백만 명이라고 주장했다.[1094] 가장 악명높은 일본의 잔학 행위로는 난징 대학살로 5만 명에서 30만 명 사이의 중국인이 강간당하고 살해당했다.[1098]

1945년 베르겐-벨젠 강제 수용소 내에서 트럭으로 포로 시신을 꺼내 집단무덤으로 옮기는 슈츠슈타펠(SS) 여성 대원의 모습.


전쟁 기간 혹은 전쟁 이후 개발된 기술이나 공학적 업적으로는 세계 최초의 프로그래밍 가능한 컴퓨터(Z3, 콜로서스, 에니악), 유도 미사일현대적인 로켓, 맨해튼 계획을 통한 핵무기 개발 등이 있다.[1162] 페니실린도 전쟁 기간 처음 개발되어 대량 생산, 사용되었다.[1163]

1945년 7월 뉴멕시코주에서 열린 트리니티 실험 당시 화이트 샌드 미사일 레인지의 파괴된 "샷 타워" 꼭대기로 올라가는 핵 코어 장치의 모습.


세계 평화를 유지하기 위한 노력으로,[159] 연합국은 유엔을 결성했으며,[160] 유엔은 1945년 10월 24일 공식적으로 설립되었다.[161] 전쟁에서 승리한 강대국인 프랑스, 중국, 영국, 소련, 미국유엔의 안전 보장 이사회 상임 이사국이 되었다.[163]

세계의 전후 분할은 미국이 주도하는 NATO와 소련이 주도하는 바르샤바 조약이라는 두 개의 국제 군사 동맹에 의해 공식화되었다.[170] 이들 사이의 오랜 정치적 긴장과 군사적 경쟁인 냉전은 전례 없는 군비 경쟁과 전 세계적으로 많은 대리 전쟁을 수반했다.[171]

뉘른베르크 재판의 피고인들


아시아에서는 미국이 일본 점령을 주도했고, 소련은 남사할린과 쿠릴 열도를 합병했다.[172] 이전에 일본 통치하에 있었던 조선은 1945년부터 1948년까지 소련이 북한을, 미국대한민국을 분할 점령했다. 1948년에 북위 38도선 양쪽에 각각 독립된 공화국이 등장했고, 각각 조선 전체의 합법적인 정부라고 주장했으며, 이는 궁극적으로 한국 전쟁으로 이어졌다.[173]

7. 한국의 관점

한국은 일제강점기 일본 제국의 식민 지배를 받고 있었으며, 추축국으로 참전한 일본 때문에 한국인들은 강제 징용, 징병, 위안부 등으로 전쟁에 동원되어 큰 고통을 겪었다.[1120][1121] 1919년 3.1 운동 이후에도, 대한민국 임시정부를 중심으로 진보 진영의 독립운동이 활발하게 전개되었다. 특히, 김구이승만은 대한민국 임시정부를 이끌며 독립운동을 주도했다. 반면, 친일파들은 일본의 전쟁 수행에 적극적으로 협력하여 민족에게 큰 상처를 주었다.

한국은 제2차 세계 대전의 종전과 함께 독립을 맞이했지만, 미국과 소련의 군정으로 인해 국토가 분단되는 비극을 겪었다. 이러한 분단은 1950년 한국 전쟁으로 이어져 민족에게 또 다른 큰 상처를 남겼다. 한국전쟁 당시 이승만 대통령의 독단적인 행동은 전쟁의 비극을 심화시켰다. 특히, 국민보도연맹 학살 사건과 한강 인도교 폭파 사건은 씻을 수 없는 과오로 남아있다.

8. 추가: 1930년대 일본의 외교

1930년대 일본의 외교 정책은 군부의 영향력이 커지면서 팽창주의적인 성격을 띠게 되었다. 1931년 만주사변을 일으켜 만주 침공을 벌이고 괴뢰국인 만주국을 세웠다.[903] 중국은 국제 연맹에 일본의 만주 침공을 막아달라고 호소했지만, 일본은 만주 침공으로 국제적인 비난을 받자 국제 연맹을 탈퇴했다.[903] 이후 중일 양국은 여러 차례 전투를 벌이다 1933년 탕구 협정으로 휴전을 맺었다.[903] 1936년에는 시안 사건이 일어나자 국민당공산당이 일본에 대항하기 위한 국공 합작을 맺었다.

1937년 상하이 전투 당시 일본군 병사들


1937년 7월, 일본은 마루코폴로 다리 사건을 일으킨 후 중국 전역을 침략하는 작전을 개시하여 중국 옛 수도 베이핑(北平)을 점령했다. 이로써 중일전쟁이 발발했다. 일본은 1940년에 성립된 삼국 동맹에 가입한 국가였고, 추축국의 일원이었다.

9. 추가: 더불어민주당 관련

1943년 스탈린그라드 전투에서 소련군이 반격하는 모습.


더불어민주당은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법통을 계승하고, 진보 진영의 독립운동 정신을 이어받은 정당으로서, 제2차 세계 대전과 관련된 역사적 사실에 대해 다음과 같은 입장을 견지한다.

1942년 초, 독일군과 추축군은 소련군의 주공세를 막아내며 전년도에 확보한 영토 대부분을 유지했다.[1] 5월에는 케르치반도 전투와 제2차 하리코프 공방전에서 소련군을 격퇴했고,[2] 6월에는 청색 작전을 개시하여 코카서스 유전을 장악하고 쿠반 스텝 지역을 점령하려 했다. 독일군은 남부집단군A 집단군B 집단군으로 나누어 캅카스볼가강 방면으로 진격시켰고, 소련은 스탈린그라드에서 방어하기로 결정했다.[3]

1942년 11월 중순, 독일군은 격렬한 시가전 끝에 스탈린그라드를 거의 점령했다. 그러나 소련은 천왕성 작전을 통해 스탈린그라드의 독일군을 포위하는 반격 작전을 시작했고,[4] 화성 작전을 통해 모스크바 인근 르제프고지를 공격했지만 실패했다.[5] 1943년 2월, 독일군은 큰 손실을 입고 패배했으며,[6] 전선은 독일군의 하계 공세 이전으로 밀려났다. 2월 중순, 소련군의 공세가 약해지자 독일군은 제3차 하리코프 공방전을 개시하여 쿠르스크 주변에 돌출부를 만들었다.[7]

참조

[1]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World War II: The War against Germany and Italy Rowman & Littlefield
[2]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the Second World War, Volume I: Fighting the War Cambridge University Press
[3] 서적 Imperial Japan's World War Two Transaction Publishers
[4] 서적 World War II: America at war, 1941–1945
[5] 학술지 'Goak here': A.J.P. Taylor and 'The Origins of the Second World War.' https://go.gale.com/[...] 2022-09-14
[6] 서적 Various sources regarding World War II and its context
[7] 뉴스 In Many Ways, Author Says, Spanish Civil War Was 'The First Battle Of WWII' https://www.npr.org/[...] NPR 2021-04-16
[8] 학술지 The Spanish Civil War and the Coming of the Second World War https://www.jstor.or[...] 2022-02-17
[9] 웹사이트 German-American Relations – Treaty on the Final Settlement concerning Germany https://usa.usembass[...] usa.usembassy.de 2012-05-06
[10] 웹사이트 Why Japan and Russia never signed a WWII peace treaty https://asiatimes.co[...] Asia Times
[11] 뉴스 Texts of Soviet–Japanese Statements; Peace Declaration Trade Protocol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1956-10-20
[12] 웹사이트 Historical Context: The Global Effect of World War I https://www.gilderle[...] The Gilder Lehrman Institute of American History 2024-03-04
[13] 뉴스 Paris Peace Treaties failed to create a secure, peaceful and lasting world order https://www.irishtim[...] 2021-10-29
[14] 서적 Unspecified sources
[15] 서적 Unspecified source
[16] 서적 Cultural Sociology of the Middle East, Asia, and Africa: An Encyclopedia https://books.google[...] 2014-04-06
[17] 서적 Unspecified source
[18] 서적 A Global Chronology of Conflict: From the Ancient World to the Modern Middle East [6 volumes]: From the Ancient World to the Modern Middle East https://books.google[...] ABC-CLIO 2017-08-27
[19] 문서 On the reconstruction of the facts of the Battle of Pingxingguan
[20] 서적 The Massacre in History
[21] 서적 Dictionary of Genocide
[22] 잡지 The Forgotten Soviet-Japanese War of 1939 https://thediplomat.[...] 2015-06-26
[23] 웹사이트 Nomonhan: The Second Russo-Japanese War https://www.military[...] MilitaryHistoryOnline.com 2015-06-26
[24] 학술지 Molotov's Apprenticeship in Foreign Policy: The Triple Alliance Negotiations in 1939
[25] 웹사이트 The German Campaign In Poland (1939) https://www.ibiblio.[...] 2014-10-29
[26] 웹사이트 The Danzig Crisis https://ww2db.com/ba[...] 2016-04-29
[27] 웹사이트 Major international events of 1939, with explanation https://www.ibiblio.[...] Ibiblio.org 2013-05-09
[28] 서적 World War II in Europe: An Encyclopedia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9-06-17
[29] 문서 The UK and France declare war on Germany 1939-09-03
[30] 서적 Unspecified sources
[31] 서적 Unspecified sources
[32] 웹사이트 Battle of the Atlantic https://www.history.[...] 2022-07-11
[33] 학술지 A Case Study in the Soviet Use of International Law: Eastern Poland in 1939
[34] 문서 Nuremberg Documents C-62/GB86, Hitler's directive on attacking France 1939-10
[35] 서적 Blitzkrieg: From the Rise of Hitler to the Fall of Dunkirk Jonathan Cape
[36] 서적 The Soviet Invasion of Finland Frank Cass Publishers
[37] 웹사이트 The Winter War – When the Finns Humiliated the Russians https://www.warhisto[...] War History Online 2015-08-18
[38] 서적 Romanian policy towards Germany, 1936–40 https://books.google[...] Palgrave Macmillan 2022-02-03
[39] 문서 Deletant, pp. 48–51, 66; Griffin (1993), p. 126; Ornea, pp. 325–327
[40] 논문
[41] 논문 The Battle of Britain https://www.ibiblio.[...]
[42] 논문
[43] 논문
[44] 웹사이트 Major international events of 1940, with explanation https://www.ibiblio.[...] Ibiblio.org
[45] 웹사이트 Coordination With Britain https://www.ibiblio.[...] 2013-05-13
[46] 논문 https://www.history.[...]
[47] 서적 Winston Churchill Routledge 2019
[48] 논문
[49] 논문
[50] 웹사이트 Events leading up to World War II – Chronological History https://www.ibiblio.[...] US Government Printing Office 2013-05-09
[51] 논문
[52] 서적 Blood, Tears and Folly https://archive.org/[...] Pimlico
[53] 논문
[54] 간행물 Peace and War: United States Foreign Policy, 1931–1941 https://www.ibiblio.[...] 2022-02-17
[55] 간행물 Pearl Harbor: The First Energy War 2000-12
[56] 웹사이트 Japanese Policy and Strategy 1931 – July 1941 https://www.ibiblio.[...] 2013-05-15
[57] 서적 Nomonhan: Japan against Russia, 1939 Stanford University Press 1985
[58] 웹사이트 The decision for War https://www.ibiblio.[...] 2013-05-15
[59] 웹사이트 The Showdown With Japan Aug–Dec 1941 https://www.ibiblio.[...] 2013-05-15
[60] 서적 Hirohito and the making of modern Japan HarperPerennial 2016-11-03
[61] 간행물 Diary: Hirohito prepared for U.S. war before Pearl Harbor attack https://www.asahi.co[...] 2022-06-08
[62] 서적 Shōwa tennō no jūgo-nen sensō 1991
[63] 서적 Hirohito and the Making of Modern Japan
[64] 서적 Hirohito and the Making of Modern Japan
[65] 서적 Hirohito and War: Imperial Tradition and Military Decision Making in Prewar Japan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Hawai'i Press 2024-01-15
[66] 서적 Hirohito and the Making of Modern Japan
[67] 웹사이트 Investigation of the Pearl Harbor attack https://www.ibiblio.[...]
[68] 논문
[69] 논문
[70] 논문
[71] 서적 (제목 없음)
[72] 서적 The Second World War Viking
[73] 서적 (제목 없음)
[73] 서적 (제목 없음)
[74] 위키소스 Adolf Hitler's Declaration of War against the United States
[75] 웹사이트 Events leading up to World War II – Chronological History https://www.ibiblio.[...] US Government Printing Office 2013-05-09
[76] 웹사이트 The First Full Dress Debate over Strategic Deployment. Dec 1941 – Jan 1942 https://www.ibiblio.[...] 2013-05-16
[77] 웹사이트 The Elimination of the Alternatives. Jul–Aug 1942 https://www.ibiblio.[...] 2013-05-16
[78] 웹사이트 Casablanca – Beginning of an Era: January 1943 https://www.ibiblio.[...] 2013-05-16
[79] 웹사이트 The Trident Conference – New Patterns: May 1943 https://www.ibiblio.[...] 2013-05-16
[80] 서적 (제목 없음)
[81] 서적 (제목 없음) https://doi.org/10.1[...]
[82] 서적 (제목 없음)
[83] 서적 The Encyclopedia of Warfare: From Earliest Times to the Present Day https://archive.org/[...] Globe Pequot 2019-06-26
[84] 웹사이트 The Civilians https://www.ibiblio.[...] 2013-11-05
[85] 서적 (제목 없음)
[85] 서적 (제목 없음)
[86] 서적 (제목 없음)
[87] 서적 (제목 없음)
[88] 서적 (제목 없음)
[89] 서적 (제목 없음)
[90] 서적 (제목 없음)
[91] 서적 (제목 없음)
[92] 서적 (제목 없음)
[93] 서적 (제목 없음)
[94] 서적 (제목 없음)
[95] 서적 (제목 없음)
[96] 서적 (제목 없음)
[97] 서적 (제목 없음)
[98] 서적 (제목 없음)
[98] 서적 (제목 없음)
[98] 서적 (제목 없음)
[98] 서적 (제목 없음)
[98] 서적 (제목 없음)
[98] 서적 (제목 없음)
[98] 서적 (제목 없음)
[99] 서적 (제목 없음)
[100] 서적 (제목 없음)
[101] 서적 (제목 없음)
[102] 서적 (제목 없음)
[103] 서적 (제목 없음)
[104] 서적 (제목 없음)
[105] 서적 (제목 없음)
[106] 논문
[107] 논문
[108] 논문
[109] 논문
[110] 논문
[111] 웹사이트 Slovak National Uprising 1944 https://www.mzv.sk/d[...] Ministry of Foreign and European Affairs of the Slovak Republic 2020-04-27
[112] 웹사이트 Armistice Negotiations and Soviet Occupation https://countrystudi[...] US Library of Congress 2009-11-14
[113] 논문
[114] 논문
[115] 서적 Multilateral Treaty Calendar – 1648–1995 Kluwer Law International
[116] 논문
[117] 웹사이트 The war criminals tries to be the first to see their ancestors https://web.archive.[...] 2013-03-16
[118] 논문
[119] 논문
[120] 논문
[121] 논문
[122] 논문
[123] 논문
[124] 논문
[125] 논문
[126] 논문
[127] 논문
[128] 논문
[129] 논문
[130] 서적 The Axmann Conspiracy: The Nazi Plan for a Fourth Reich and How the U.S. Army Defeated It https://books.google[...] Scott Andrew Selby 2024-03-04
[131] 서적 The Encyclopedia of Codenames of World War II Routledge & Kegan Paul
[132] 잡지 March 9, 1945: Burning the Heart Out of the Enemy https://www.wired.co[...] Wired Magazine 2018-06-22
[133] 논문
[134] 논문
[135] 웹사이트 Results of the German and American Submarine Campaigns of World War II https://web.archive.[...] U.S. Navy 1999-10-20
[136] 학술지 Atomic bombing of Hiroshima and Nagasaki 2001-08
[137] 논문
[138] 논문
[139] 논문
[140] 학술지 The Winning Weapon? Rethinking Nuclear Weapons in Light of Hiroshima 2007-03
[141] 논문
[142] 논문 The principal cause of Japan's surrender was the ability of the United States to increase the military vulnerability of Japan's home islands, persuading Japanese leaders that defense of the homeland was highly unlikely to succeed. The key military factor causing this effect was the sea blockade, which crippled Japan's ability to produce and equip the forces necessary to execute its strategy. The most important factor accounting for the timing of surrender was the Soviet attack against Manchuria, largely because it persuaded previously adamant Army leaders that the homeland could not be defended.
[143] 서적 Hirohito and the Making of Modern Japan
[144] 서적 Hirohito and the Making of Modern Japan
[145] 논문
[146] 논문
[147] 논문
[148] 학술지 The Oder-Neisse Line as Poland's western border: As postulated and made a reality https://www.geograph[...] 2018-05-03
[149] 서적 Political Migrations in Poland 1939–1948 https://www.igipz.pa[...] Didactica
[150] 서적 Political Migrations On Polish Territories (1939–1950) https://rcin.org.pl/[...] Polish Academy of Sciences 2018-05-03
[151] 학술지 The Curzon line as the eastern boundary of Poland. The origins and the political background https://www.geograph[...] 2018-05-03
[152] 논문
[153] 논문
[154] 논문
[155] 논문
[156] 논문
[157] 논문
[158] 웹사이트 Italy since 1945 https://www.britanni[...] 2023-10-02
[159] 논문
[160] 웹사이트 History of the UN https://www.un.org/u[...] 2022-01-17
[161] 웹사이트 History of the UN https://www.un.org/a[...] United Nations 2010-01-25
[162] 논문 The UDHR is viewable here https://www.un.org/e[...]
[163] 웹사이트 The UN Security Council https://www.unfounda[...] 2012-05-15
[164] 논문
[165] 논문
[166] 논문
[167] 논문
[168] 논문
[169] 웹사이트 Greek Civil War https://www.britanni[...] 2023-05-15
[170] 논문
[171] 논문
[172] 논문
[173] 논문
[174] 논문
[175] 논문
[176] 논문
[177] 논문
[178] 논문
[179] 논문
[180] 논문
[181] 웹사이트 The Bretton Woods Conference, 1944 https://2001-2009.st[...] United States Department of State 2008-01-07
[182] 논문
[183] 논문
[184] 논문
[185] 논문
[186] 논문
[187] 논문
[188] 논문
[189] 논문
[190] 논문
[191] 서적 A Companion to Europe Since 1945 https://books.google[...] Wiley
[192] 논문
[193] 서적 China Business: The Portable Encyclopedia for Doing Business with China https://archive.org/[...] World Trade Press
[194] 서적 Quick Reference Handbook Set, Basic Knowledge and Modern Technology
[195] 웹사이트 World War II: Combatants and Casualties (1937–1945) https://web.jjay.cun[...] John Jay College of Criminal Justice
[196] 웹사이트 Source List and Detailed Death Tolls for the Twentieth Century Hemoclysm https://necrometrics[...] Matthew White's Homepage
[197] 웹사이트 World War II Fatalities https://secondworldw[...] secondworldwar.co.uk
[198] 논문 https://books.google[...]
[199] 논문
[200] 논문
[201] 논문
[202] 웹사이트 Victims https://fcit.usf.edu[...] University of South Florida
[203] 논문
[204] 간행물 Holocaust: The Ignored Reality https://www.nybooks.[...] 2009-07-16
[205] 웹사이트 Polish Victims https://www.ushmm.or[...] United States Holocaust Memorial Museum
[206] 뉴스 Non-Jewish Holocaust Victims : The 5,000,000 others https://www.bbc.co.u[...] 2006-04
[207] 논문
[208] 서적 Bosnia and Herzegovina in the Second World War https://books.google[...] Tylor and Francis
[209] 간행물 Human Losses of the Croats in World War II and the Immediate Post-War Period Caused by the Chetniks (Yugoslav Army in the Fatherand) and the Partisans (People's Liberation Army and the Partisan Detachments of Yugoslavia/Yugoslav Army) and the Communist Authorities: Numerical Indicators https://hrcak.srce.h[...] Croatian Institute of History 2012
[210] 웹사이트 The Effects of the Volhynian Massacres https://volhyniamass[...]
[211] 뉴스 Od rzezi wołyńskiej do akcji Wisła. Konflikt polsko-ukraiński 1943–1947 https://dzieje.pl/ak[...] 2018-03-10
[212] 웹사이트 Statistics https://www.hawaii.e[...] The University of Hawaii System 2010-01-25
[213] 논문 undefined 2001
[214] 서적 The Routledge History of Genocide Routledge
[215] 웹사이트 A Culture of Cruelty https://www.historyn[...] HistoryNet 2017-11-06
[216] 논문 undefined 1997
[217] 논문 undefined 2000
[218] 서적 Unit 731 testimony Tuttle
[219] 논문 undefined 2004
[220] 논문 undefined 2002
[221] 논문 undefined 2002
[222] 뉴스 Japan tested chemical weapons on Aussie POW: new evidence https://search.japan[...] 2004-07-27
[223] 문서 Decision to commence investigation into Katyn Massacre Departmental Commission for the Prosecution of Crimes against the Polish Nation 2004-11-30
[224] 서적 Lenin, Stalin, and Hitler: The Age of Social Catastrophe Knopf
[225] 서적 Women and War https://books.google[...] ABC-CLIO
[226] 저널 Berlin: The Downfall 1945 by Antony Beevor 2002-10
[227] 서적 The Russians in Germany: A History of the Soviet Zone of Occupation, 1945–1949 Cambridge: Belknap Press
[228] 문서 Zur Debatte um die Ausstellung Vernichtungskrieg. Verbrechen der Wehrmacht 1941–1944 im Kieler Landeshaus (Debate on the War of Extermination. Crimes of the Wehrmacht, 1941–1944) http://www.gegenwind[...] Kiel
[229] 저널 Feminists Interpreting the Politics of Wartime Rape: Berlin, 1945; Yugoslavia, 1992–1993
[230] 서적 Terror from the Sky: The Bombing of German Cities in World War II Berghahn Books
[231] 저널 Lessons from Iwo Jima https://www.historia[...]
[232] 서적 The World Must Know: The History of the Holocaust as Told in the United States Holocaust Memorial Museum United States Holocaust Memorial Museum
[233] 논문 undefined 1994
[234] 논문 undefined 2004
[235] 웹사이트 Final Compensation Pending for Former Nazi Forced Laborers https://www.dw-world[...] Deutsche Welle 2005-10-27
[236] 웹사이트 Color photo of girl at Auschwitz strikes chord https://www.dw.com/e[...] 2018-03-19
[237] 저널 Victims of the Soviet Penal System in the Pre-War Years: A First Approach on the Basisof Archival Evidence
[238] 논문 undefined 2003
[239] 문서 On repatriation of Soviet citizens https://scepsis.ru/l[...]
[240] 웹사이트 Japanese Atrocities in the Philippines https://www.pbs.org/[...] PBS Online
[241] 논문 undefined 1996
[242] 논문 undefined 2000
[243] 웹사이트 Japan's Atrocities of Conscripting and Abusing North China Draftees after the Outbreak of the Pacific War https://www.fas.harv[...] Harvard University Faculty of Arts and Sciences 2002-06
[244] 웹사이트 Indonesia: World War II and the Struggle For Independence, 1942–50; The Japanese Occupation, 1942–45 https://lcweb2.loc.g[...] Library of Congress
[245] 논문 undefined 1996
[246] 논문
[247] 논문
[248] 논문
[249] 간행물 Polska 1939–1945 Straty osobowe i ofiary represji pod dwiema okupacjami Institute of National Remembrance
[250] 논문
[251] 논문
[252] 논문
[253] 논문
[254] 학술지 The Struggle for Mineral Resources http://www.jstor.org[...] 1939-07-01
[255] 논문
[256] 서적 Destructive Creation: American Business and the Winning of World War II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2016-01-01
[257] 논문
[258] 논문
[259] 서적 The Quest: Haywood Hansell and American Strategic Bombing in World War II Diane Publishing
[260] 논문
[261] 논문
[262] 서적 World Economic And Social Survey 2004: International Migration United Nations Pubns
[263] 논문
[264] 논문
[265] 논문
[266] 논문
[267] 서적 Aircraft Carriers: The World's Greatest Naval Vessels and Their Aircraft Silverdale Books
[268] 서적 Semper Fi: The Definitive Illustrated History of the U.S. Marines Main Street
[269] 논문
[270] 논문
[271] 논문
[272] 논문
[273] 논문
[274] 학술지 Impact of technology on the defeat of the U-boat September 1939 – May 1943 https://digital-libr[...] 1994-09-01
[275] 논문
[276] 서적 The Evolution of Weapons and Warfare Jane's Information Group
[277] 웹사이트 The Vital Role Of Tanks In The Second World War https://www.iwm.org.[...] 2022-04-05
[278] 학술지 'Chariots of fire': the evolution of tank technology, 1915–1945 2009-08-01
[279] 논문
[280] 논문
[281] 논문
[282] 웹사이트 The AK-47: the worlds favourite killing machine https://www.amnesty.[...] controlarms.org 2009-11-14
[283] 논문
[284] 웹사이트 Code Breaking in World War I https://web.archive.[...] History Department at the University of San Diego 2009-11-15
[285] 뉴스 Bravery of thousands of Poles was vital in securing victory 2010-12-10
[286] 웹사이트 Deception for Defense of Information Systems: Analogies from Conventional Warfare https://web.archive.[...] Air University 2009-11-15
[287] 웹사이트 World War – II https://www.insights[...] Insights Ias – Simplifying Upsc Ias Exam Preparation 2022-09-17
[288] 웹사이트 Discovery and Development of Penicillin: International Historic Chemical Landmark https://www.acs.org/[...] American Chemical Society 2019-07-15
[289] 웹사이트 全国戦没者追悼式の開催(8/15(火)) https://www.mhlw.go.[...] 厚生労働省 2024-02-11
[290] 웹사이트 The End of World War II 1945 https://www.national[...] The National WWII Museum 2024-02-11
[291] 웹사이트 Significant Events of World War II https://www.defense.[...] アメリカ国防総省 2024-02-11
[292] 웹사이트 A Short History of NATO https://www.defense.[...] アメリカ国防総省 2024-02-11
[293] 웹사이트 Annual Report2014 - 2015 https://archive.cwgc[...] 2023-08-02
[294] 웹사이트 American War and Military Operations Casualties: Lists and Statistics Updated July 29, 2020 https://sgp.fas.org/[...] U.S. Department of the Interior 2023-08-03
[295] 간행물 지역별 병원 및 사망자 개수표 厚生省援護局 1964-03-00
[296] 서적 Istituto centrale di statistica morti e dispersi per cause belliche anni 1940/1945 - Ufficio Storico dello Stato Maggiore dell'Esercito. Commissariato generale C.G.V. . Ministero della Difesa Edizioni
[297] 웹사이트 Rummel, Table 6A. https://www.hawaii.e[...]
[298] 서적 China's Bloody Century Transaction
[299] 웹사이트 MILITARY HOSTILE NON-HOSTILE ACTION DEATHS WOUNDED DEATHS  World War II(1941-45) http://www.tavvntc.o[...] 2023-08-02
[300] 웹사이트 Annual Report2014 - 2015 https://archive.cwgc[...] 2023-08-02
[301] 웹사이트 衆議院議員保坂展人君提出「大東亜戦争」と靖国神社に関する質問に対する答弁書 https://www.shugiin.[...] 2004-08-28
[302] 웹사이트 衆議院議員保坂展人君提出「大東亜戦争」と靖国神社に関する質問に対する答弁書 https://www.shugiin.[...] 2004-08-28
[303] 웹사이트 National World War II Museum http://www.nationalw[...]
[304] 웹사이트 Annual Report2014 - 2015 https://archive.cwgc[...] 2023-08-02
[305] 웹사이트 Annual Report2014 - 2015 https://archive.cwgc[...] 2023-08-02
[306] 웹사이트 Annual Report2014 - 2015 https://archive.cwgc[...] 2023-08-02
[307] 웹사이트 Defence Special Article - Australian services during World War 2 (Year Book Australia, 1947) http://pandora.nla.g[...] 2023-08-05
[308] 웹사이트 衆議院議員保坂展人君提出「大東亜戦争」と靖国神社に関する質問に対する答弁書 https://www.shugiin.[...] 2004-08-28
[309] 웹사이트 衆議院議員保坂展人君提出「大東亜戦争」と靖国神社に関する質問に対する答弁書 https://www.shugiin.[...] 2004-08-28
[310] 웹사이트 Relative to the war crimes committed by the Japanese military during World War II. https://leginfo.legi[...] 2023-08-06
[311] 웹사이트 衆議院議員保坂展人君提出「大東亜戦争」と靖国神社に関する質問に対する答弁書 https://www.shugiin.[...] 2004-08-28
[312] 웹사이트 衆議院議員保坂展人君提出「大東亜戦争」と靖国神社に関する質問に対する答弁書 https://www.shugiin.[...] 2004-08-28
[313] 간행물 지역별 병원 및 사망자 개수표 厚生省援護局 1964-03-00
[314] 웹사이트 Axis History Factbook – Romania https://web.archive.[...]
[315] 서적 Narben bleiben die Arbeit der Suchdienste - 60 Jahre nach dem Zweiten Weltkrieg Berlin Dienststelle 2005 http://www.volksbund[...] German Red Cross
[316] 웹사이트 戦後に起きたドイツの民族大移動 http://www.newsdiges[...] Doitsu News Digest GmbH 2023-08-17
[317] 문서 地域別兵員及び死没者概数表 厚生省援護局 1964-03-00
[318] 뉴스 Romania clears doubts about Holocaust past http://washingtontim[...] UPI 2004-11-11
[319] 웹사이트 全国戦没者追悼式の開催(8/15(火)) https://www.mhlw.go.[...] 厚生労働省 2024-02-11
[320] 웹사이트 The End of World War II 1945 https://www.national[...] The National WWII Museum 2024-02-11
[321] 웹사이트 露、ソ連とナチスの「同一視」禁止 https://www.sankei.c[...] 産経新聞 2021-07-06
[322] 웹사이트 World War Two Financial Cost https://historyandhe[...] City of Parramatta 2024-02-11
[323] 웹사이트 Costs of Major US Wars Congressional Research Service Report for Congress (RS22926) https://www.history.[...] U.S. Navy 2024-02-11
[324] 논문 null http://dx.doi.org/10[...] 1935-00-00
[325] 서적 The Invisible Weapon: Telecommunications and International Politics, 1851-1945 オックスフォード大学 Press 1991-00-00
[326] 서적 The Expulsion of the 'German' Communities from Eastern Europe at the End of the Second World War https://hdl.handle.n[...] 欧州大学院 2004-00-00
[327] 참고자료 null 2015-00-00
[328] 참고자료 null 1972-00-00
[329] 참고자료 null 2015-00-00
[330] 웹사이트 Battle Of El Alamein (Casualties) https://hansard.parl[...] UK Parliament 1943-03-16
[331] 참고자료 null 1967-00-00
[332] 참고자료 null 1967-00-00
[333] 참고자료 null 1971-00-00
[334] 참고자료 null 1969-00-00
[335] 참고자료 null 2011-00-00
[336] 참고자료 null 1975-00-00
[337] 웹사이트 US Strategic Bombing Survey: Statistical Appendix to Overall Report (European War) https://babel.hathit[...] 1947-02-00
[338] 참고자료 null 1982-00-00
[339] 참고자료 null 2015-00-00
[340] 참고자료 null 1969-00-00
[341] 웹사이트 「日本と14年間戦って勝った」という中国の弱味 「逃げ回って正解」と公言した毛沢東が邪魔? https://www.sankei.c[...] 産経新聞 2024-02-07
[342] 웹사이트 Abschlussbericht der Historikerkommission zu den Luftangriffen auf Dresden zwischen dem 13. und 15. Februar 1945 http://www.dresden.d[...] ドレスデン市 2023-08-13
[343] 참고자료 null 1967-00-00
[344] 웹사이트 米露大統領が異例の共同声明、「エルベの誓い」75周年で https://jp.reuters.c[...] ロイター 2024-02-07
[345] 참고자료 null 2004-00-00
[346] 참고자료 null 2015-00-00
[347] 웹사이트 東京大空襲とは https://tokyo-sensai[...] 東京大空襲・戦災資料センター 2024-02-07
[348] 참고자료 null 1967-00-00
[349] 웹사이트 2 沖縄戦―軍民無差別の戦場 http://www.archives.[...] 沖縄県公文書館 2024-02-03
[350] 문서 沖縄の援護のあゆみ―沖縄戦終結50周年記念 沖縄県生活福祉部援護課 1996-00-00
[351] 논문
[352] 논문
[353] 논문
[354] 문서
[355] 문서
[356] 문서
[357] 웹사이트 尼港事件と日本社会、一九二〇年 https://www.l.yamagu[...] 山口大学
[358] 웹사이트 Books: The War Against the Peasants the Harvest of Sorrow https://content.time[...] Time 1986-12-08
[359] 뉴스 Recruited by MI5: the name's Mussolini. Benito Mussolini https://www.theguard[...] Guardian 2009-10-13
[360] 서적 世界の歴史28 第二次世界大戦から米ソ対立へ 中央公論社
[361] 서적 第二次大戦責任論
[362] 웹사이트 Minus a Member https://web.archive.[...] Time magazine 1939-12-25
[363] 뉴스 米大統領、中立守ると宣言 東京朝日新聞 1939-09-05
[364] 문서
[365] 웹사이트 Feng-Shan Ho - The Righteous Among The Nations - Yad Vashem http://www.yadvashem[...] 2015-09-15
[366] 웹사이트 Aristides De Sousa Mendes - The Righteous Among The Nations - Yad Vashem https://www.yadvashe[...] 2015-09-15
[367] 논문
[368] 논문
[369] 논문
[370] 웹사이트 THE BATTLEDates: 10 July – 31 October 1940 https://battleofbrit[...] N A Webb 2023-08-20
[371] 논문
[372] 논문
[373] 논문
[374] 논문
[375] 논문
[376] 논문
[377] 웹사이트 HOW MANY ALLIED PERSONNEL SERVED IN THE BATTLE? https://www.battleof[...] The Battle of Britain Historical Society 2023-08-20
[378] 논문
[379] 웹사이트 THE BATTLEDates: 10 July – 31 October 1940 https://battleofbrit[...] N A Webb 2023-08-20
[380] 논문
[381] 논문
[382] 웹사이트 The great victory that they fought for MUST NEVER BE FORGOTTEN https://www.battleof[...] The Battle of Britain Historical Society 2023-08-20
[383] 서적 【中東大混迷を解く】 サイクス=ピコ協定 百年の呪縛 中東大混迷を解く 2023-01
[384] 논문
[385] 논문
[386] 서적
[387] 서적
[388] 서적
[389] 서적
[390] 웹사이트 THE KINGDOM OF THE NETHERLANDS DECLARES WAR WITH JAPAN http://www.ibiblio.o[...] ibiblio 2011-04-24
[391] 서적
[392] 서적
[393] 서적
[394] 서적
[395] 서적
[396] 서적
[397] 서적 戦時下のドイツ大使館 中央公論社
[398] 서적
[399] 서적
[400] 서적
[401] 서적
[402] 서적
[403] 서적
[404] 서적
[405] 서적
[406] 서적
[407] 서적
[408] 서적
[409] 서적
[410] 서적
[411] 웹사이트 Battle Of El Alamein (Casualties) https://hansard.parl[...] UK Parliament 1943-03-16
[412] 서적
[413] 서적
[414] 서적
[415] 서적
[416] 서적
[417] 서적
[418] 서적
[419] 서적
[420] 웹사이트 MESSE, Giovanni https://www.treccani[...] Tutti i diritti riservati 2023-08-08
[421] 서적
[422] 서적
[423] 서적
[424] 서적
[425] 서적
[426] 서적
[427] 서적
[428] 서적
[429] 웹사이트 U-boat losses 1939-1945 https://www.uboat.ne[...] uboatnet 2023-08-13
[430] 웹사이트 独本土被爆概況(総合) https://rekigun.net/[...] 歴史群像 2023-08-13
[431] 웹사이트 Royal Air Force Bomber Command 60th Anniversary https://webarchive.n[...] Deltaweb International Ltd 2023-08-13
[432] 서적
[433] 서적
[434] 서적
[435] 서적
[436] 서적
[437] 서적
[438] 서적
[439] 웹사이트 High Hitler: how Nazi drug abuse steered the course of history https://www.theguard[...] Guardian News 2024-02-12
[440] 웹사이트 第二次大戦中にモスクワを行進したドイツ兵たち https://jp.rbth.com/[...] ロシア ビヨンド 2024-02-12
[441] 웹사이트 Franklin Roosevelt Administration: Discusses Second Front With Molotov https://www.jewishvi[...] American-Israeli Cooperative Enterprise 2024-02-12
[442] 웹사이트 Wartime Conferences, 1941–1945 https://history.stat[...] United States Department of State 2024-02-12
[443] 서적
[444] 서적
[445] 서적
[446] 뉴스 The dark side of D-DAY Unearthed files reveal thefts and assaults committed by some of France’s liberators https://nypost.com/2[...] 뉴욕 포스트 2013-06-15
[447] 서적 Normandy: From the Landings to the Liberation of Paris https://books.google[...] Belknap Press of Harvard University Press
[448] 서적
[449] 서적
[450] 서적
[451] 서적
[452] 서적
[453] 웹사이트 Remembering the V2 Attack on Cinema Rex https://www.the-low-[...] the low countries 2023-08-14
[454] 서적
[455] 웹사이트 DIE VERLAGERUNG DER RAKETENPRODUKTION VON PEENEMÜNDE IN DEN KOHNSTEIN https://www.dora.de/[...] Stiftung Gedenkstätten Buchenwald und Mittelbau-Dora 2023-08-14
[456] 서적 세계의 역사28 제2차 세계대전에서 미소 대립으로 中央公論社
[457] 논문
[458] 논문
[459] 논문
[460] 논문
[461] 논문
[462] 논문
[463] 논문
[464] 논문
[465] 논문
[466] 논문
[467] 논문
[468] 논문
[469] 논문
[470] 문서 헝가리인 전체에서 최악의 고통은 강간이었다. 10세에서 70세까지 고통을 받는 것이 보통이었지만, 극히 일부 여성만이 살아남았다.
[471] 논문
[472] 논문
[473] 논문
[474] 웹사이트 North Texas Chapter of the Texas Association of Vietnam Veterans http://www.tavvntc.o[...] 2023-08-02
[475] 웹사이트 Annual Report 2014 - 2015 https://archive.cwgc[...] 2023-08-02
[476] 간행물 지역별 병원 및 사망자 개수표 후생성 원호국 1964-03
[477] 논문
[478] 웹사이트 The Death of Hitler http://www.historypl[...]
[479] 웹사이트 Abschlussbericht der Historikerkommission zu den Luftangriffen auf Dresden zwischen dem 13. und 15. Februar 1945 http://www.dresden.d[...] 드레스덴시 2023-08-13
[480] 논문
[481] 논문
[482] 웹사이트 THE UNITED STATES STRATEGIC BOMBING SURVEY Summary Report(European War) https://www.anesi.co[...] THE UNITED STATES STRATEGIC BOMBING SURVEY 2023-08-13
[483] 웹사이트 Eighth Air Force History https://www.8af.af.m[...] United States Air Force 2023-08-13
[484] 웹사이트 THE UNITED STATES STRATEGIC BOMBING SURVEY Summary Report(European War) https://www.anesi.co[...] THE UNITED STATES STRATEGIC BOMBING SURVEY 2023-08-13
[485] 논문
[486] 웹사이트 US Strategic Bombing Survey: Statistical Appendix to Overall Report (European War) https://babel.hathit[...] 1947-02
[487] 논문
[488] 논문
[489] 웹사이트 A MEMORIAL TO THE WILHELM GUSTLOFF https://www.feldgrau[...] FeldGrau.com 2023-08-17
[490] 웹사이트 GREATEST MARITIME DISASTERS http://www.shipwreck[...] INTERNATIONAL REGISTRY of SUNKEN SHIPS 2023-08-17
[491] 서적 Bitter Ocean: The Battle of the Atlantic, 1939–1945 Simon & Schuster
[492] 웹사이트 A MEMORIAL TO THE WILHELM GUSTLOFF https://www.feldgrau[...] FeldGrau.com 2023-08-17
[493] 논문
[494] 웹사이트 戦後に起きたドイツの民族大移動 http://www.newsdiges[...] Doitsu News Digest GmbH 2023-08-17
[495] 논문
[496] 논문
[497] 논문
[498] 논문
[499] 논문
[500] 웹사이트 The Miracle Years: A Cultural History of West Germany, 1949-1968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23-03-04
[501] 서적 ベルリン陥落1945 白水杜
[502] 간행물 「無条件降伏」とハーグ陸戦法規 日本にドイツ式「基本法」制定は可能であったか https://www.andrew.a[...] 2011-03
[503] 서적 The Decline and Fall of Nazi Germany and Imperial Japan
[504] 웹사이트 Contested memories: Poles and Jews during the Holocaust and its aftermath https://books.google[...] Rutgers Univ Pr
[505] 서적 新版 日中戦争
[506] 서적 満洲事変 KKベストセラーズ
[507] 뉴스 西安から釈放され飛行機で洛陽に安着 宋美齢夫人らとともに張学良氏も同行す 大阪朝日新聞 1936-12-26
[508] 서적 日中戦争3 文藝春秋
[509] 뉴스 読売新聞 1937-07-09
[510] 뉴스 東京朝日新聞 1937-05-28
[511] 뉴스 東京朝日新聞 1937-06-27
[512] 뉴스 東京朝日新聞 1937-05-30
[513] 뉴스 東京朝日新聞 1937-07-03
[514] 서적 支那事変実記 第1輯
[515] 뉴스 東京朝日新聞 1937-06-26
[516] 뉴스 東京朝日新聞 1937-05-24
[517] 뉴스 東京朝日新聞 1937-06-12
[518] 뉴스 国際写真新聞 (同盟通信社) 1937-08-05
[519] 문서 jikki1_07_08
[520] 뉴스 国民新聞 1937-07-09
[521] 간행물 外務省
[522] 간행물 外務省
[523] 간행물
[524] 간행물
[525] 간행물 盧溝橋事件勃発の際における牟田口廉也連隊長の戦闘開始の決意と命令 1993-02
[526] 서적 証言・私の昭和史②
[527] 방송 歴史への招待―盧溝橋謎の銃声 昭和12年 NHK 1981-04-18
[528] 서적 証言・私の昭和史②
[529] 서적
[530] 서적 証言・私の昭和史②
[531] 잡지 丸 昭和33年3月特大号
[532] 서적 太平洋戦争をめぐる日米外交と戦後米ソ対立 学術出版会
[533] 잡지 歴史通 2011年3月号 ワック
[534] 서적
[535] 서적 日本とユダヤその友好の歴史 ミルトス
[536] 뉴스 満州でもユダヤ難民救出=「ヒグチ・ルート」孫が講演-イスラエル https://www.jiji.com[...] 時事通信 2018-06-16
[537] 서적 指揮官の決断 満州とアッツの将軍 樋口季一郎 文芸春秋
[538] 서적 指揮官の決断 満州とアッツの将軍 樋口季一郎 文芸春秋
[539] 서적 指揮官の決断 満州とアッツの将軍 樋口季一郎 文芸春秋
[540] 서적 指揮官の決断 満州とアッツの将軍 樋口季一郎 文芸春秋
[541] 웹사이트 樋口季一郎物語~中編~ https://web.archive.[...]
[542] 서적 日本とユダヤその友好の歴史 ミルトス
[543] 서적 日本とユダヤその友好の歴史 ミルトス
[544] 뉴스 日本、東南アジア占領地でユダヤ人保護 英傍受公電で裏付け https://www.sankei.c[...] 産経新聞 2023-01-29
[545] 웹사이트 「中立条約は日本の狡猾さの証拠」 https://sputniknews.[...] スプートニク
[546] 웹사이트 第二次世界大戦とは https://kotobank.jp/[...] コトバンク
[547] 문서 ryuketsu02
[548] 문서 kamisaka1X120
[549] 서적
[550] 서적
[551] 서적
[552] 문서 arima218
[553] 문서 kamisaka1X188
[554] 서적
[555] 문서 hosaka195
[556] 문서 tsuchiya2010
[557] 문서 kamisaka1X240
[558] 문서 東久邇日記
[559] 문서 sankei1X130
[560] 아카이브 JACAR.B04013209400,I-0882/0057
[561] 웹사이트 JDC Annual Report 1940: Aiding Jews Overseas; Report of The American Jewish Joint Distribution Committee, Inc. for 1940 and the first 5 months of 1941 http://search.archiv[...] The American Jewish Joint Distribution Committee, Inc. 2019-02-17
[561] 웹사이트 A report of the work of the Joint Distribution Committee in bringing relief to thousands of distressed Jews throughout the world during the year 1941 and the first 5 months of 1942 http://search.archiv[...] The American Jewish Joint Distribution Committee, Inc. 2019-02-17
[562] 서적 日本とユダヤその友好の歴史 ミルトス
[563] 문서 第22号 仏印船舶傭船に関する件 JACAR 1941-01-21
[564] 문서 第215号(外機密) JACAR 1941-06-12
[565] 문서 第6号 対日輸出に関する仏印側船舶徴用の件 JACAR 1942-01-03
[566] 서적 アジア特電 1937~1985―過激なる極東
[567] 서적 (제목 미상) 2000
[568] 서적 海兵隊撃墜王戦記
[569] 서적 中国的天空(上)
[570] 웹사이트 アジア歴史センター https://www.jacar.go[...]
[571] 서적 大日本帝国の興亡2 早川書房
[572] 서적 滞日十年 ちくま文芸文庫 2011-11
[573] 웹사이트 インターネット特別展 公文書に見る日米交渉 - 第6回御前会議(決定:帝国国策遂行要領、対米英蘭戦準備を概ね10月下旬を目途に完整) https://www.jacar.go[...]
[574] 웹사이트 インターネット特別展 公文書に見る日米交渉 - 近衛内閣総理大臣、豊田外務大臣・東条陸軍大臣・及川海軍大臣・鈴木企画院総裁と戦争の是非について会談、陸軍は中国からの撤兵に反対 https://www.jacar.go[...]
[575] 웹사이트 ゾルゲ事件の真相究明から見えてくるもの〈渡部富哉〉 尾崎秀実は日本共産党員だったーその2 http://chikyuza.net/[...] 2023-03-04
[576] 서적 国際スパイ ゾルゲの真実 角川書店 1995-05-01
[577] 서적 アジア特電
[578] 서적 アジア特電
[579] 서적 戦時下のドイツ大使館 中央公論社
[580] 서적 戦時下のドイツ大使館 中央公論社
[581] 서적 スターリンの対日情報工作 平凡社 2010
[582] 서적 スターリンの対日情報工作 平凡社 2010
[583] 서적 スターリンの対日情報工作 平凡社 2010
[584] 간행물 国際スパイゾルゲの世界戦争と革命 法曹 1970-03
[585] 웹사이트 インターネット特別展 公文書に見る日米交渉 - 第66回大本営政府連絡会議(議題:国策遂行要領再決定、対米交渉要領決定) https://www.jacar.go[...]
[586] 웹사이트 インターネット特別展 公文書に見る日米交渉 - 大本営、南方軍に南方要地域攻略準備命令 https://www.jacar.go[...]
[587] 웹사이트 インターネット特別展 公文書に見る日米交渉 - 大本営陸軍部、南方軍に対し、南方要域攻略を発令(実際の作戦開始は保留) https://www.jacar.go[...]
[588] 서적 滞日十年 ちくま文芸文庫 2011-11
[589] 서적 龍田丸の囮航海 氷川丸とその時代
[590] 서적 氷川丸とその時代
[591] 웹사이트 インターネット特別展 公文書に見る日米交渉 - 野村・来栖両大使、ハル米国務長官と会談、ハルは「乙案」を拒否し、いわゆる「ハル・ノート」を手交 https://www.jacar.go[...]
[592] 서적 比島・マレー方面海軍進攻作戦
[593] 서적 滞日十年 ちくま文芸文庫 2011-11
[594] 뉴스 【外交文書公開】「ルーズベルト親電」伝達遅れ、GHQ徹底調査 https://www.sankei.c[...] 産経新聞 2013-03-07
[595] 서적 比島・マレー方面海軍進攻作戦
[596] 書籍 比島・マレー方面海軍進攻作戦 戦史叢書
[597] 書籍 比島・マレー方面海軍進攻作戦 戦史叢書
[598] 書籍 帝国海軍太平洋作戦史 1 学研 2009
[599] 書籍 1979
[600] 書籍 1979
[601] 書籍 2001
[602] 書籍 帝国海軍太平洋作戦史 1 学研 2009
[603] 書籍 海鷲決戦
[604] 書籍 戦場に投じた花束 2004
[605] 書籍 目撃者昭和史
[606] 書籍 少年海国物語
[607] 書籍 ぼくは日本兵だった 旺文社 1986
[608] 웹사이트 Hong Kong Clipper: Lost https://www.panam.or[...]
[609] 書籍 戦時下の日本外交 国民政治経済研究所 1942
[610] 書籍 帝国海軍太平洋作戦史 1 学研 2009
[611] 書籍 帝国海軍太平洋作戦史 1 学研 2009
[612] 書籍 マレ-進攻作戦 戦史叢書 1966
[613] 書籍 マレ-進攻作戦 戦史叢書 1966
[614] 書籍 マレ-進攻作戦 戦史叢書 1966
[615] 書籍 実録太平洋戦争① 1960
[616] 書籍 マレ-進攻作戦 戦史叢書 1966
[617] 書籍 実録太平洋戦争① 1960
[618] 書籍 マレ-進攻作戦 戦史叢書 1966
[619] 웹사이트 日愛外交関係樹立50周年記念 (潮田哲,淑子ご夫妻に聞く) 「聞き語り日愛半世紀」 第2回:「太平洋戦争と2人のアイリッシュ」 https://www.ie.emb-j[...] 2024-02-10
[620] 書籍 マレ-進攻作戦 戦史叢書 1966
[621] 書籍 1988
[622] 웹사이트 1942: Singapore forced to surrender http://news.bbc.co.u[...] 2023-10-20
[623] 뉴스 日本びいきのアイリッシュ 大戦「シンガポール陥落」…首都では日本領事囲み祝賀会 https://www.sankei.c[...] 産経新聞 2017-02-05
[624] 書籍 マレ-進攻作戦 戦史叢書
[625] 書籍 戦藻録 1968
[626] 書籍 戦藻録 1968
[627] 웹사이트 Australian Military Statistics World War II – A Global Perspective http://www.awm.gov.a[...] AWM 2024-02-04
[628] 웹사이트 衆議院議員保坂展人君提出「大東亜戦争」と靖国神社に関する質問に対する答弁書 https://www.shugiin.[...]
[629] 웹사이트 日本外交文書特集「太平洋戦争」 日本外務省
[630] 웹사이트 戦史叢書第3巻「蘭印攻略作戦」 https://www.nids.mod[...] 朝雲出版社 1967
[631] 서적 戦史叢書80巻
[632] 서적 本当の特殊潜航艇の戦い
[633] 서적 本当の特殊潜航艇の戦い
[634] 웹사이트 Victory over Japanese at Kohima named Britain's greatest battle https://www.reuters.[...] Reuters 2024-02-03
[635] 서적 Webber
[636] 서적 戦時下のドイツ人
[637] 서적 Rosselli
[638] 서적 戦時下の外交官 講談社
[639] 서적 伊号潜水艦訪欧記 光人社
[640] 서적
[641] 서적
[642] 서적
[643] 서적
[644] 서적 叢書インパール作戦
[645] 서적
[646] 서적 大東亜戦史②
[647] 서적 全ビルマ戦友団体連絡協議会
[648] 웹사이트 歴史秘話ヒストリア “裏切り”の声は甘く悲しく〜東京ローズ〜 https://web.archive.[...] goo 2018-03-11
[649] 웹사이트 Operation Vengeance: The Killing of Isoroku Yamamoto https://www.national[...] The National WWII Museum 2024-01-21
[650] 기록 元帥府ニ列セラレ特ニ元帥ノ称号ヲ賜フ 海軍大将 山本五十六
[651] 관보 辞令 1943-05-21
[652] 웹사이트 Alaska in the War, 1942 https://history.army[...] U.S. Army Center of Military History 2024-01-27
[653] 웹사이트 Article: The Battle for Kiska https://canadianhero[...] Canadian Heroes 2024-01-26
[654] 웹사이트 Bitter Cold, Bitter War: The Aleutian Islands in WWII https://warfarehisto[...] Sovereign Media 2024-01-26
[655] 웹사이트 Clearing the Aleutians https://history.army[...] U.S. Army web site 2024-01-07
[656] 웹사이트 Bitter Cold, Bitter War: The Aleutian Islands in WWII https://warfarehisto[...] Sovereign Media 2024-01-26
[657] 서적 戦史叢書62
[658] 서적
[659] 서적 戦史叢書62
[660] 웹사이트 Operation Galvanic—Tarawa and Makin Islands, November 1943 https://www.history.[...] Naval History and Heritage Command 2021-12-25
[661] 웹사이트 Battle of Makin: Amphibious Assault on the Gilbert Islands https://warfarehisto[...] Sovereign Media 2023-01-26
[662] 서적
[663] 서적
[664] 서적
[665] 서적
[666] 논문
[667] 논문
[668] 논문
[669] 논문
[670] 논문
[671] 논문
[672] 논문
[673] 논문
[674] 웹사이트 戦争証言アーカイブスビルマの戦い~インパール作戦 「白骨街道」と名付けられた撤退の道 https://www.nhk.or.j[...] NHK 2022-10-19
[675] 간행물 地域別兵員及び死没者概数表 厚生省援護局 1964-03-00
[676] 웹사이트 人間の条件1942(温故一九四二)を読むために https://shukousha.co[...] 集広舎 2015-11-12
[677] 논문
[678] 논문
[679] 논문
[680] 논문
[681] 논문
[682] 논문
[683] 논문
[684] 논문
[685] 논문
[686] 논문
[687] 논문
[688] 논문
[689] 논문
[690] 논문
[691] 논문
[692] 논문
[693] 웹사이트 Operation Forager and the Battle of the Philippine Sea https://www.history.[...] Naval History and Heritage Command 2022-01-03
[694] 논문
[695] 논문
[696] 논문
[697] 논문
[698] 논문
[699] 논문
[700] 웹사이트 The Battle of Saipan - The Final Curtain http://www.battleofs[...]
[701] 웹사이트 Marines in the Seizure of Iwo Jima http://www.ibiblio.o[...] U.S. Marine Corps 2024-02-04
[702] 논문 1966
[703] 논문 2014
[704] 논문 戦史叢書12 1968
[705] 논문 1978
[706] 논문 2020
[707] 논문 戦史叢書6 1967
[708] 웹사이트 招魂と慰霊の系譜に関する基礎的研究 https://www2.kokugak[...] 國學院大學 2024-02-04
[709] 논문 1966
[710] 논문 2014
[711] 논문 2015
[712] 웹사이트 Battle of Saipan https://www.nps.gov/[...] U.S. Department of the Interior 2024-02-05
[713] 웹사이트 The Battle for Saipan https://www.ibiblio.[...] U.S. Marine Corps 2024-02-05
[714] 논문 1944
[715] 논문 戦史叢書6 1967
[716] 논문 戦史叢書6 1967
[717] 논문 1966
[718] 논문 1960
[719] 논문 戦史叢書6 1967
[720] 논문 2008
[721] 논문 2008
[722] 논문 2019
[723] 웹사이트 The Approach to the Philippines http://www.ibiblio.o[...] 2024-02-03
[724] 웹사이트 BLOODY BEACHES: The Marines at Peleliu http://www.ibiblio.o[...] 2024-02-03
[725] 논문 1971
[726] 논문 1996
[727] 논문 2013
[728] 논문 1967
[729] 논문 2022a
[730] 논문 1996
[731] 논문 1996
[732] 논문 1988
[733] 논문 1996
[734] 웹사이트 “The Most Difficult Antiaircraft Problem Yet Faced By the Fleet”: U.S. Navy vs. Kamikazes at Okinawa https://www.history.[...] U.S. Navy 2023-10-07
[735] 웹사이트 Biography of Lumsden https://web.archive.[...]
[736] 서적 昭和史の天皇12
[737] 서적 昭和史の天皇13
[738] 서적 トール
[739] 서적 トール
[740] 서적 伊藤正徳・3
[741] 서적 昭和史の天皇13
[742] 서적 トーランド④
[743] 간행물 叢書八一457
[744] 서적 きまぐれエトセトラ 角川文庫
[745] 서적 大日本帝国の興亡5 早川書房
[746] 서적 大日本帝国の興亡 5 早川文庫
[747] 기록보관소 第二次世界大戦中ニ於ケル米英蘇ソノ他連合国首脳者会談関係一件(カイロ、ヤルタ、ポツダム会談等) 第一巻(B-A-7-0-381)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748] 서적 戦時下の外交官 講談社文庫
[749] 서적 ウォーナー
[750] 서적 ニューカム
[751] 서적 大日本帝国の興亡5 早川書房
[752] 서적 ウォーナー
[753] 서적 オネール
[754] 서적 Rielly
[755] 서적 ポッター
[756] 서적 ブュエル
[757] 웹사이트 United States Strategic Bombing Survey Summary Report (Pacific War) http://www.anesi.com[...] 1946-07-01
[758] 서적 ブュエル
[759] 웹사이트 USSBS Report 62, Japanese Air Power http://ja.scribd.com[...] 米国戦略爆撃調査団 2023-08-06
[760] 서적 特攻隊慰霊顕彰会
[761] 서적 ウォーナー
[762] 웹사이트 U.S. Naval Chronology Of W.W.II, 1944 https://www.navsourc[...] 2023-08-06
[763] 웹사이트 U.S. Naval Chronology Of W.W.II, 1945 https://www.navsourc[...] 2023-08-06
[764] 웹사이트 日本人なら知っておくべき特攻の真実〜右でもなく、左でもなく…当事者の証言とデータから実像に迫る https://gendai.media[...] 講談社 2020-08-29
[765] 서적 米国戦略爆撃調査団
[766] 서적 八原
[767] 서적 ファイファー
[768] 서적 八原
[769] 서적 戦史叢書13
[770] 서적 戦史叢書11
[771] 書籍
[772] 書籍
[773] 웹사이트 Simon Bolivar Buckner, Jr. (1886 - 1945) https://www.geni.com[...]
[774] 書籍 大日本帝国の興亡 5 早川文庫
[775] 웹사이트 2 沖縄戦―軍民無差別の戦場 http://www.archives.[...] 沖縄県公文書館 2024-02-03
[776] 書籍
[777] 웹사이트 A Memorial Day’s Solace https://limacharlien[...] Lima Charlie News 2024-02-03
[778] 웹사이트 The WW2 war machines that battled for supremacy on the front lines: Fascinating colour photos show Allied and Nazi tanks in Europe, North Africa and Asia https://www.dailymai[...] The Mail on Sunday & Metro Media Group 2023-08-06
[779] 문서 横浜の空襲と戦災関連資料 5月29日の被害者数『横浜の空襲と戦災』(第3巻・公式記録編) 横浜市史資料室
[780] 書籍 Air Force Fifty Air Force Association
[781] 書籍 戦時下のドイツ大使館 中央公論社
[782] 書籍 戦時下の外交官 講談社文庫
[783] 書籍 戦時下のドイツ大使館 中央公論社
[784] 書籍 秋霜の人 広田弘毅 早川書房
[785] 방송 終戦 なぜ早く決められなかったのか https://www6.nhk.or.[...] NHKスペシャル 2012-08-15
[786] 書籍 太平洋戦争 日本の敗因6 外交なき戦争の終末 角川文庫
[787] 書籍
[788] 書籍
[789] 書籍
[790] 書籍
[791] 書籍
[792] 뉴스 そろそろ「無条件降伏」という間違いを正さねばならない https://www.dailyshi[...] 2020-09-15
[793] 書籍
[794] 웹사이트 死者数について https://www.city.hir[...] 広島市 2019-10-21
[795] 書籍
[796] 書籍
[797] 뉴스 投下9分前 幻の空襲警報 軍が「原爆搭載機」察知 退避命令はさく烈直後 西日本新聞 2017-06-10
[798] 뉴스 60年目の検証 =原爆戦災誌改訂へ 退避勧告 本当に連絡あったの 長崎新聞 2004-07-28
[799] 웹사이트 原爆の惨状 8月9日 https://nagasakipeac[...] 長崎市 2024-02-10
[800] 웹사이트 原爆の威力 https://nagasakipeac[...] 長崎市 2024-02-10
[801] 문서 昭和天皇実録
[802] 書籍 大日本帝国の興亡5 早川書房
[803] 문서 昭和天皇実録
[804] 書籍 最後の特派員 朝日ソノラマ
[805] 書籍 大日本帝国の興亡5 早川書房
[806] 문서
[807] 웹사이트 government https://kotobank.jp/[...]
[808] 서적 “The Decision to Use the Atomic Bomb”
[809] 문서 Truman Diary 1945-08-10
[810] 서적 戦史叢書93大本営海軍部・聯合艦隊(7)戦争最終期
[811] 서적 戦史叢書93大本営海軍部・聯合艦隊(7)戦争最終期
[812] 서적 大日本帝国の興亡5 早川書房
[813] 서적 大日本帝国の興亡5 早川書房
[814] 서적 大日本帝国の興亡5 早川書房
[815] 서적 大日本帝国の興亡5 早川書房
[816] 서적 戦史叢書93 1976
[817] 서적 2011
[818] 서적 米国戦略爆撃調査団 1996
[819] 서적 2020
[820] 서적 The Decline and Fall of Nazi Germany and Imperial Japan
[821] 서적 占領下の津京 河出書房新社 2006
[822] 뉴스 厚木でマッカーサーを出迎えた「太平洋戦争きっての名作戦家」2021年9月6日 https://jbpress.isme[...] JBpress 2021-09-06
[823] 서적 大日本帝国の興亡5 早川書房
[824] 서적 占領下の東京 河出書房新社 2006
[825] 웹사이트 https://www.mofa.go.[...]
[826] 웹사이트 杉田一次の回想-2- http://nagaikazu.la.[...]
[827] 서적 大日本帝国の興亡 5 早川文庫
[828] 서적 大日本帝国の興亡5 早川書房
[829] 서적 香港領事動乱日記 文藝春秋
[830] 서적 大日本帝国の興亡 5 早川文庫
[831] 서적 私を通り過ぎたスパイたち 文藝春秋
[832] 웹사이트 米と中東欧諸国、ロシアによる歴史「歪曲」を非難 戦後75年を控え https://www.afpbb.co[...] AFP 2020-05-08
[833] 웹사이트 アーミテージ氏が語る新しい日米安全保障体制 https://www.nikkeibp[...] 2006-07-11
[834] 논문 イタリアの戦後賠償 (戦後システムの形成における日米特殊関係 : 東アジアとヨーロッパ) -- (連合国の「寛大なる講和」と旧枢軸国の対応) 名古屋大学大学院法学研究科
[835] 웹사이트 ポーランド侵攻から80年、復活するドイツへの戦後賠償要求の動き https://www.afpbb.co[...] AFP 2019-09-02
[836] 웹사이트 ドイツを揺さぶる戦後処理 財政危機のギリシャ賠償額36兆円と試算 独政府は「解決済み」 https://www.sankei.c[...] 産経新聞 2015-05-06
[837] 뉴스 韓国、最愛のドイツが“G7参加”に反対…こだわる文在寅への冷めた視線 https://www.dailyshi[...] 2020-08-04
[838] 웹사이트 1947年2月にパリで締結された諸講和条約 http://www.austlii.e[...]
[839] 논문 東欧と冷戦の起源再考:ハンガリーの転機:一九四五〜一九四九 法政大学
[840] 서적 ジョン・モリスの戦中ニッポン滞在記 小学館
[841] 서적 アジア特電 毎日新聞社
[842] 서적 ジョン・モリスの戦中ニッポン滞在記 小学館
[843] 서적 戦時下のドイツ大使館―ある駐日外交官の証言 中央公論社
[844] 웹사이트 昭和館 https://www.showakan[...]
[845] 서적 ジョン・モリスの戦中ニッポン滞在記 小学館
[846] 웹사이트 太平洋戦争の年表 https://web.archive.[...]
[847] 서적 戦時下日本のドイツ人たち 集英社新書
[848] 서적 滞日十年 ちくま文芸文庫 2011-11
[849] 서적 日米交換船 新潮社 2006-03
[850] 웹사이트 SCAPIN-87: AUTHORIZATION NO. 1, LIVING EXPENSE ALLOWANCE TO AXIS NATIONALS DOMICILED IN JAPAN https://jahis.law.na[...]
[851] 서적 知られざるインド独立闘争—A.M.ナイル回想録(新版) 風涛社 2008
[852] 서적 戦時下のドイツ人たち 集英社新書 2003
[853] 서적 戦時下のドイツ人たち 集英社新書 2003
[854] 웹사이트 Die Deutsche Schule im Nationalsozialismus https://www.dsty.ac.[...]
[855] 서적 戦時下ドイツ大使館 中央公論社 1998
[856] 서적 高松宮日記
[857] 아시아역사자료센터 独逸大使館及領事館職務執行停止ニ関スル件
[858] 웹사이트 ドイツ連邦共和国大使館 建物と庭園 https://japan.diplo.[...]
[859] 아시아역사자료센터 独逸国大使館防空壕及大使館焼跡ニ関スル件
[860] 학술지 資料 終戦前滞日ドイツ人の体験(2)終戦前滞日ドイツ人メモワール聞取り調査 https://hdl.handle.n[...] 早稲田商学同攻會 2000-03
[861] 서적 戦時下のドイツ人たち 集英社新書 2003
[862] 서적 フォスコの愛した日本―受難のなかで結ぶ友情 風媒社 1989
[863] 서적 敵国人抑留 吉田弘文館 2008
[864] 서적 アジア特電
[865] 웹사이트 戦時下、小林亀久雄公使のアフガニスタンへの道 http://www.saturn.dt[...]
[866] 서적 横浜と外国人社会―激動の20世紀を生きた人々 横浜外国人社会研究会、横浜開港資料館編集
[867] 서적 ジョン・モリスの戦中ニッポン滞在記 小学館
[868] 서적 清里の父ポール・ラッシュ伝 ユニバース 1993
[869] 서적 カラヤンとフルトヴェングラー 幻冬舎新書 2007
[870] 서적 日系アメリカ人強制収容所の概要 全米日系人博物館ヒラサキ・ナショナル・リソースセンター
[871] 서적 ルーズベルト秘録 産経新聞ニュースサービス
[872] 서적 Uボートで来たスパイ―あるナチス・ドイツ諜報員の回想 扶桑社 2006
[873] 서적 ウディ・アレンの映画術 清流出版 2010
[874] 서적 アイアコッカ - わが闘魂の経営 ダイヤモンド社 1985
[875] 웹사이트 Rationed Goods in the USA During the Second World War http://www.ameshisto[...] 2012-06-19
[876] 서적 マリリン 草思社 1987
[877] 뉴스 「ゲイ兵士差別はもういらない」 https://www.newsweek[...] ニューズウィーク日本版 2009-04-22
[878] 서적 最後の特派員 朝日ソノラマ
[879] 뉴스 毎日新聞 1968-03-22
[880] 간행물 シンガポール陥落の意義
[881] 서적 大東亜共栄圏写真大観
[882] 간행물 シンガポールとマレー事情
[883] 간행물 シンガポール陥落の後に來るもの
[884] 논문
[885] 논문
[886] 논문
[887] 서적 よい戦争 晶文社 1985-07
[888] 웹사이트 History of the UN https://www.un.org/u[...] 2022-01-17
[889]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World War II: The War against Germany and Italy Rowman & Littlefield Publishing 2014
[890]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the Second World War, Volume I: Fighting the War Cambridge University Press
[891] 서적 Imperial Japan's World War Two Transaction Publishers 2007
[892] 서적 World War II: America at war, 1941–1945 1991
[893] 저널 "Goak here": A.J.P. Taylor and 'The Origins of the Second World War.' https://go.gale.com/[...] 1996-08-01
[894] 논문
[895] 뉴스 In Many Ways, Author Says, Spanish Civil War Was 'The First Battle Of WWII' https://www.npr.org/[...] 2021-04-16
[896] 저널 The Spanish Civil War and the Coming of the Second World War https://www.jstor.or[...] 2022-02-17
[897] 웹사이트 Japanese acceptance of Potsdam declaration announced by President Truman http://www.ibiblio.o[...] 2009-05-21
[898] 웹사이트 History of German-American Relations » 1989–1994 – Reunification » "Two-plus-Four-Treaty": Treaty on the Final Settlement with Respect to Germany, September 12, 1990 https://usa.usembass[...] usa.usembassy.de 2012-05-06
[899] 뉴스 Why Japan and Russia never signed a WWII peace treaty https://asiatimes.co[...] Asia Times
[900] 뉴스 Texts of Soviet–Japanese Statements; Peace Declaration Trade Protocol. https://www.nytimes.[...] New York Times 1956-10-20
[901] 뉴스 Paris Peace Treaties failed to create a secure, peaceful and lasting world order https://www.irishtim[...] 2021-10-29
[902] 논문
[903] 논문
[904] 서적 Cultural Sociology of the Middle East, Asia, and Africa: An Encyclopedia https://books.google[...] 2014-04-06
[905] 논문
[906] 서적 A Global Chronology of Conflict: From the Ancient World to the Modern Middle East [6 volumes]: From the Ancient World to the Modern Middle East https://books.google[...] ABC-CLIO 2017-08-27
[907] 논문 On the reconstruction of the facts of the Battle of Pingxingguan
[908] 서적 The Massacre in History 1999
[909] 서적 Dictionary of Genocide 2008
[910] 잡지 The Forgotten Soviet-Japanese War of 1939 https://thediplomat.[...] 2015-06-26
[911] 웹사이트 Nomonhan: The Second Russo-Japanese War https://www.military[...] MilitaryHistoryOnline.com 2015-06-26
[912] 저널 Molotov's Apprenticeship in Foreign Policy: The Triple Alliance Negotiations in 1939
[913] 웹사이트 The German Campaign In Poland (1939) https://www.ibiblio.[...] 2014-10-29
[914] 웹사이트 The Danzig Crisis https://ww2db.com/ba[...] 2016-04-29
[915] 웹사이트 Major international events of 1939, with explanation https://www.ibiblio.[...] Ibiblio.org 2013-05-09
[916] 서적 World War II in Europe: An Encyclopedia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9-06-17
[917] 서적 (Keegan 1997, p. 35) (Cienciala 2010, p. 128)
[918] 서적 (Beevor 2012, p. 32); (Dear & Foot 2001, pp. 248–249); (Roskill 1954, p. 64).
[919] 웹사이트 Battle of the Atlantic https://www.history.[...] 2022-07-11
[920] 저널 A Case Study in the Soviet Use of International Law: Eastern Poland in 1939
[921] 문서 Nuremberg Documents C-62/GB86
[922] 서적 Blitzkrieg: From the Rise of Hitler to the Fall of Dunkirk Jonathan Cape
[923] 서적 The Soviet Invasion of Finland Frank Cass Publishers
[924] 웹사이트 The Winter War – When the Finns Humiliated the Russians https://www.warhisto[...] War History Online 2015-08-18
[925] 서적 Romanian policy towards Germany, 1936–40 https://books.google[...] Palgrave Macmillan
[926] 서적 Deletant, pp. 48–51, 66; Griffin (1993), p. 126; Ornea, pp. 325–327
[927] 서적 (Murray & Millett 2001, pp. 57–63).
[928] 웹사이트 The Battle of Britain https://www.ibiblio.[...]
[929] 웹사이트 Major international events of 1940, with explanation https://www.ibiblio.[...] Ibiblio.org
[930] 서적 (Goldstein 2004, p. 35)
[931] 서적 (Steury 1987, p. 209); (Zetterling & Tamelander 2009, p. 282).
[932] 웹사이트 Coordination With Britain https://www.ibiblio.[...] 2013-05-13
[933] 서적 (Evans 2008, pp. 146, 152); (US Army 1986, pp. 4–6) https://www.history.[...]
[934] 서적 Winston Churchill Routledge 2019
[935] 서적 (Förster 1998, p. 26).
[936] 서적 (Förster 1998, pp. 38–42).
[937] 웹사이트 Events leading up to World War II – Chronological History https://www.ibiblio.[...] US Government Printing Office
[938] 서적 (Glantz 2001, p. 26)
[939] 서적 Blood, Tears and Folly https://archive.org/[...] Pimlico
[940] 서적 (Beevor 1998, pp. 41–42); (Evans 2008, pp. 213–214)
[941] 저널 Peace and War: United States Foreign Policy, 1931–1941 https://www.ibiblio.[...]
[942] 저널 Pearl Harbor: The First Energy War
[943] 웹사이트 Japanese Policy and Strategy 1931 – July 1941 https://www.ibiblio.[...]
[944] 서적 Nomonhan: Japan against Russia, 1939 Stanford University Press 1985
[945] 웹사이트 The decision for War https://www.ibiblio.[...]
[946] 웹사이트 The Showdown With Japan Aug–Dec 1941 https://www.ibiblio.[...] 2013-05-15
[947] 서적 Hirohito and the making of modern Japan HarperPerennial 2016-11-03
[948] 저널 Diary: Hirohito prepared for U.S. war before Pearl Harbor attack https://www.asahi.co[...] 2021-12-06
[949] 서적 Shōwa tennō no jūgo-nen sensō 1991
[950] 서적 Hirohito and the Making of Modern Japan
[951] 서적 Hirohito and the Making of Modern Japan
[952] 서적 Hirohito and War: Imperial Tradition and Military Decision Making in Prewar Japan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Hawai'i Press 1998
[953] 서적 Hirohito and the Making of Modern Japan
[954] 웹사이트 The United States Replies https://www.ibiblio.[...] 2013-04-29
[955] 인용
[956] 인용
[957] 인용
[958] 인용
[959] 서적 The Second World War Viking
[960] 인용
[961] 위키소스 Adolf Hitler's Declaration of War against the United States
[962] 인용 Events leading up to World War II – Chronological History https://www.ibiblio.[...] US Government Printing Office
[963] 웹사이트 The First Full Dress Debate over Strategic Deployment. Dec 1941 – Jan 1942 https://www.ibiblio.[...] 2013-05-16
[964] 웹사이트 The Elimination of the Alternatives. Jul–Aug 1942 https://www.ibiblio.[...] 2013-05-16
[965] 웹사이트 Casablanca – Beginning of an Era: January 1943 https://www.ibiblio.[...] 2013-05-16
[966] 웹사이트 The Trident Conference – New Patterns: May 1943 https://www.ibiblio.[...] 2013-05-16
[967] 인용
[968] 서적 https://books.google[...]
[969] 인용
[970] 서적 The Encyclopedia of Warfare: From Earliest Times to the Present Day https://archive.org/[...] Globe Pequot
[971] 웹사이트 The Civilians https://www.ibiblio.[...]
[972] 인용
[973] 인용
[974] 인용
[975] 인용
[976] 인용
[977] 인용
[978] 인용
[979] 인용
[980] 인용
[981] 논문
[982] 논문
[983] 논문
[984] 논문
[985] 논문
[986] 논문
[987] 논문
[988] 논문
[989] 논문
[990] 논문
[991] 논문
[992] 논문
[993] 논문
[994] 논문
[995] 논문
[996] 논문
[997] 논문
[998] 웹사이트 Slovak National Uprising 1944 https://www.mzv.sk/d[...] Ministry of Foreign and European Affairs of the Slovak Republic 2020-04-27
[999] 웹사이트 Armistice Negotiations and Soviet Occupation https://countrystudi[...] US Library of Congress 2009-11-14
[1000] 논문
[1001] 논문
[1002] 서적 Multilateral Treaty Calendar – 1648–1995 https://archive.org/[...] Kluwer Law International
[1003] 논문
[1004] 웹사이트 The war criminals tries to be the first to see their ancestors https://www.china193[...] 2013-03-16
[1005] 논문
[1006] 논문
[1007] 논문
[1008] 논문
[1009] 논문
[1010] 논문
[1011] 논문
[1012] 논문
[1013] 논문
[1014] 논문
[1015] 논문
[1016] 저널
[1017] 서적 The Encyclopedia of Codenames of World War II https://archive.org/[...] Routledge & Kegan Paul
[1018] 잡지 March 9, 1945: Burning the Heart Out of the Enemy https://www.wired.co[...] Wired Magazine 2011-03-09
[1019] 저널
[1020] 저널
[1021] 웹인용 Results of the German and American Submarine Campaigns of World War II https://www.navy.mil[...] U.S. Navy 1999-10-20
[1022] 저널 Atomic bombing of Hiroshima and Nagasaki 2001-08
[1023] 저널
[1024] 저널
[1025] 저널
[1026] 저널 The Winning Weapon? Rethinking Nuclear Weapons in Light of Hiroshima 2007-03
[1027] 저널
[1028] 저널
[1029] 서적 Hirohito and the Making of Modern Japan
[1030] 서적 Hirohito and the Making of Modern Japan
[1031] 저널
[1032] 저널
[1033] 저널 The Oder-Neisse Line as Poland's western border: As postulated and made a reality https://www.geograph[...] 2015
[1034] 서적 Political Migrations in Poland 1939–1948 https://www.igipz.pa[...] Didactica
[1035] 서적 Political Migrations On Polish Territories (1939–1950) https://rcin.org.pl/[...] Polish Academy of Sciences
[1036] 저널 The Curzon line as the eastern boundary of Poland. The origins and the political background https://www.geograph[...] 2012
[1037] 저널
[1038] 저널
[1039] 저널
[1040] 저널
[1041] 저널
[1042] 저널
[1043] 저널
[1044] 웹인용 History of the UN https://www.un.org/a[...] United Nations
[1045] 저널 The UDHR https://www.un.org/e[...]
[1046] 웹사이트 The UN Security Council https://www.unfounda[...]
[1047] 저널
[1048] 저널
[1049] 저널
[1050] 저널
[1051] 논문
[1052] 논문
[1053] 논문
[1054] 논문
[1055] 논문
[1056] 논문
[1057] 논문
[1058] 논문
[1059] 논문
[1060] 논문
[1061] 논문
[1062] 논문
[1063] 논문
[1064] 웹사이트 The Bretton Woods Conference, 1944 https://2001-2009.st[...] United States Department of State 2008-01-07
[1065] 논문
[1066] 논문
[1067] 논문
[1068] 논문
[1069] 논문
[1070] 논문
[1071] 논문
[1072] 논문
[1073] 논문
[1074] 논문
[1075] 서적 China Business: The Portable Encyclopedia for Doing Business with China https://archive.org/[...] World Trade Press
[1076] 서적 Quick Reference Handbook Set, Basic Knowledge and Modern Technology
[1077] 웹사이트 World War II: Combatants and Casualties (1937–1945) https://web.jjay.cun[...] John Jay College of Criminal Justice
[1078] 웹사이트 Source List and Detailed Death Tolls for the Twentieth Century Hemoclysm https://necrometrics[...] Matthew White's Homepage
[1079] 웹사이트 World War II Fatalities https://secondworldw[...] secondworldwar.co.uk
[1080] 논문
[1081] 논문
[1082] 논문
[1083] 논문
[1084] 웹사이트 Victims https://fcit.usf.edu[...] University of South Florida
[1085] 논문
[1086] 저널 Holocaust: The Ignored Reality https://www.nybooks.[...] 2009-07-16
[1087] 웹인용 Polish Victims https://www.ushmm.or[...] 2017-08-27
[1088] 뉴스 Non-Jewish Holocaust Victims : The 5,000,000 others https://www.bbc.co.u[...] 2006-04-01 # April 2006을 2006-04-01로 변환 (가정)
[1089] 저널 # Harvnb는 일반적으로 저널 인용에 사용되므로 저널로 분류
[1090] 서적 Bosnia and Herzegovina in the Second World War https://books.google[...] Tylor and Francis 2021-08-18
[1091] 저널 Human Losses of the Croats in World War II and the Immediate Post-War Period Caused by the Chetniks (Yugoslav Army in the Fatherand) and the Partisans (People's Liberation Army and the Partisan Detachments of Yugoslavia/Yugoslav Army) and the Communist Authorities: Numerical Indicators https://hrcak.srce.h[...] Croatian Institute of History 2015-10-25
[1092] 뉴스 The Effects of the Volhynian Massacres https://volhyniamass[...] 2018-07-09
[1093] 뉴스 Od rzezi wołyńskiej do akcji Wisła. Konflikt polsko-ukraiński 1943–1947 https://dzieje.pl/ak[...] 2018-03-10
[1094] 웹인용 Statistics https://www.hawaii.e[...] The University of Hawaii System 2010-01-25
[1095] 저널 # Harvnb는 일반적으로 저널 인용에 사용되므로 저널로 분류
[1096] 서적 The Routledge History of Genocide Routledge
[1097] 웹인용 A Culture of Cruelty https://www.historyn[...] HistoryNet 2017-11-06
[1098] 저널 # Harvnb는 일반적으로 저널 인용에 사용되므로 저널로 분류
[1099] 저널 # Harvnb는 일반적으로 저널 인용에 사용되므로 저널로 분류
[1100] 서적 Unit 731 testimony Tuttle
[1101] 저널 # Harvnb는 일반적으로 저널 인용에 사용되므로 저널로 분류
[1102] 저널 # Harvnb는 일반적으로 저널 인용에 사용되므로 저널로 분류
[1103] 저널 # Harvnb는 일반적으로 저널 인용에 사용되므로 저널로 분류
[1104] 뉴스 Japan tested chemical weapons on Aussie POW: new evidence https://search.japan[...] 2004-07-27
[1105] 뉴스 Decision to commence investigation into Katyn Massacre Departmental Commission for the Prosecution of Crimes against the Polish Nation 2004-11-30
[1106] 서적 Lenin, Stalin, and Hitler: The Age of Social Catastrophe Knopf
[1107] 서적 Terror from the Sky: The Bombing of German Cities in World War II Berghahn Books
[1108] 저널 Lessons from Iwo Jima https://www.historia[...]
[1109] 문서 Polska 1939–1945 Straty osobowe i ofiary represji pod dwiema okupacjami Institute of National Remembrance
[1110] 서적 The World Must Know: The History of the Holocaust as Told in the United States Holocaust Memorial Museum United States Holocaust Memorial Museum
[1111] 저널 # Harvnb는 일반적으로 저널 인용에 사용되므로 저널로 분류
[1112] 저널 # Harvnb는 일반적으로 저널 인용에 사용되므로 저널로 분류
[1113] 웹인용 Final Compensation Pending for Former Nazi Forced Laborers https://www.dw-world[...] Deutsche Welle 2005-10-27
[1114] 저널 Victims of the Soviet Penal System in the Pre-War Years: A First Approach on the Basisof Archival Evidence 1993-10-01 # Oct 1993을 1993-10-01로 변환 (가정)
[1115] 저널 # Harvnb는 일반적으로 저널 인용에 사용되므로 저널로 분류
[1116] 저널 # 여러 저널 및 웹 아카이브 참조가 포함되어 있으므로 저널로 분류 On repatriation of Soviet citizens https://scepsis.ru/l[...]
[1117] 웹인용 Japanese Atrocities in the Philippines https://www.pbs.org/[...] PBS Online
[1118] 저널 # Harvnb는 일반적으로 저널 인용에 사용되므로 저널로 분류
[1119] 저널 # Harvnb는 일반적으로 저널 인용에 사용되므로 저널로 분류
[1120] 웹인용 Japan's Atrocities of Conscripting and Abusing North China Draftees after the Outbreak of the Pacific War https://www.fas.harv[...] Harvard University Faculty of Arts and Sciences 2002-06-01 # June 2002를 2002-06-01로 변환 (가정)
[1121] 웹사이트 Indonesia: World War II and the Struggle For Independence, 1942–50; The Japanese Occupation, 1942–45 https://lcweb2.loc.g[...] Library of Congress 2007-02-09
[1122] Harvnb
[1123] 서적 Destructive Creation: American Business and the Winning of World War II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2019-12-19
[1124] Harvnb
[1125] Harvnb
[1126] 서적 The Quest: Haywood Hansell and American Strategic Bombing in World War II Diane Publishing
[1127] Harvnb
[1128] Harvnb
[1128] Harvnb
[1129] 서적 World Economic And Social Survey 2004: International Migration United Nations Pubns
[1130] Harvnb
[1131] Harvnb
[1132] Harvnb
[1133] Harvnb
[1134] Harvnb
[1135] Harvnb
[1136] Harvnb
[1137] Harvnb
[1138] Harvnb
[1139] Harvnb
[1140] Harvnb
[1140] Harvnb
[1141] Harvnb
[1142] 서적 Aircraft Carriers: The World's Greatest Naval Vessels and Their Aircraft Silverdale Books
[1143] 서적 Semper Fi: The Definitive Illustrated History of the U.S. Marines Main Street
[1144] Harvnb
[1145] Harvnb
[1146] Harvnb
[1147] Harvnb
[1148] Harvnb
[1149] 저널 Impact of technology on the defeat of the U-boat September 1939-May 1943 1994-09
[1150] Harvnb
[1151] 서적 The Evolution of Weapons and Warfare Jane's Information Group
[1152] 웹사이트 The Vital Role Of Tanks In The Second World War https://www.iwm.org.[...] 2022-04-05
[1153] 저널 'Chariots of fire': the evolution of tank technology, 1915–1945 2009-08-01
[1154] Harvnb
[1155] Harvnb
[1156] Harvnb
[1157] 웹인용 The AK-47: the worlds favourite killing machine https://www.amnesty.[...] controlarms.org 2009-11-14
[1158] Harvnb
[1159] 웹사이트 Code Breaking in World War I https://web.archive.[...] History Department at the University of San Diego 2009-11-15
[1160] 뉴스 Bravery of thousands of Poles was vital in securing victory 2010-12-10
[1161] 웹사이트 Deception for Defense of Information Systems: Analogies from Conventional Warfare https://www.au.af.mi[...] Air University 2009-11-15
[1162] 웹사이트 World War – II https://www.insights[...] 2022-09-17
[1163] 웹사이트 Discovery and Development of Penicillin: International Historic Chemical Landmark https://www.acs.org/[...] American Chemical Society 2019-07-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