막심 트란코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막심 트란코프는 러시아의 피겨 스케이팅 선수로, 페어 스케이팅 선수로 활동했다. 그는 마리아 무호르토바와 파트너십을 맺고 2003년부터 2010년까지 활동하며 2005년 세계 주니어 선수권 대회에서 우승하는 등 두각을 나타냈다. 이후 타티아나 볼로소자르와 파트너를 이뤄 2011년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은메달, 2013년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금메달을 획득하며 세계 정상에 올랐다. 2014년 소치 동계 올림픽에서는 단체전 금메달과 개인전 금메달을 획득하며 2관왕을 달성했다. 2014-2015 시즌 어깨 부상으로 수술을 받고 재활에 전념했으며, 2015-2016 시즌에 복귀하여 활동하다가 은퇴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05년 동계 유니버시아드 피겨스케이팅 참가 선수 - 박빛나
박빛나는 대한민국의 피겨 스케이팅 선수 출신으로, 선수 시절 동계 올림픽과 세계 선수권 대회 등 다양한 국제 대회에 참가했고, 은퇴 후에는 피겨 스케이팅 코치로 활동하며 여러 선수를 지도하고 있다. - 2005년 동계 유니버시아드 피겨스케이팅 참가 선수 - 다카하시 다이스케
다카하시 다이스케는 일본 최초로 올림픽 피겨 스케이팅 남자 싱글 메달을 획득하고 세계 선수권 등을 제패한 선수이자, 현재는 아이스 댄서 및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고 있다. - 페름 출신 - 세르게이 부르딘
세르게이 부르딘은 PFC CSKA 모스크바, 부천 SK, 성남 일화 천마에서 선수로 활동했으며, 1996년 K리그 베스트 11에 선정되었고, K리그 통산 96경기 출장, 35득점, 10도움을 기록했다. - 페름 출신 - 콘스탄틴 지랴노프
콘스탄틴 지랴노프는 왼쪽 미드필더로 활약하며 FC 제니트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러시아 프리미어 리그와 UEFA컵 우승을 경험하고, 러시아 축구 국가대표팀으로 UEFA 유로 2008 4강을 이끌었으며, 은퇴 후 감독으로 활동했다. - 러시아의 올림픽 피겨스케이팅 참가 선수 - 이리나 슬루츠카야
러시아의 전 피겨 스케이팅 선수인 이리나 슬루츠카야는 유럽 선수권 7회 우승, 올림픽 메달 획득, 세계 선수권 우승 등 뛰어난 업적을 남겼으며 은퇴 후에는 방송, 아이스쇼 출연과 정치인으로도 활동하고 있다. - 러시아의 올림픽 피겨스케이팅 참가 선수 - 아델리나 소트니코바
아델리나 소트니코바는 러시아의 피겨 스케이팅 선수로, 2014년 소치 동계올림픽 여자 싱글에서 금메달을 획득했지만 심판 판정 논란이 있었으며, 어린 시절 러시아 선수권 대회와 주니어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우승하는 등 뛰어난 실력을 보였으나 2016년 은퇴 후 부상과 건강 문제로 고생했고,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을 지지하여 비판을 받았다.
막심 트란코프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막심 레오니도비치 트란코프 |
로마자 표기 | Maksim Leonidovich Trankov |
출생일 | 1983년 10월 7일 |
출생지 | 페름, 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 소비에트 연방 |
거주지 | 모스크바, 러시아 |
신장 | 1.87m |
스케이팅 시작 | 1987년 |
파트너 | |
현재 파트너 | 타티야나 볼로소자르 |
이전 파트너 | 마리아 무호르토바, 나탈리아 셰스타코바, 이리나 울라노바 |
코치 | |
현재 코치 | 니나 모저, 스타니슬라프 모로조프 |
이전 코치 | 올레그 바실리예프, 아르투르 드미트리예프, 타마라 모스크비나, 니콜라이 벨리코프, 발레리 튜코프, 발렌티나 튜코바 |
안무가 | |
현재 안무가 | 니콜라이 모로조프 |
이전 안무가 | 알라 카프라노바, 알렉산드르 줄린, 알렉산드르 마트베예프, 타티아나 드루치니나, 타마라 모스크비나 |
스케이팅 클럽 | |
스케이팅 클럽 | 모스크바 스케이팅 학교 "Vorobyovy Gory" |
현재 훈련 장소 | 모스크바 |
이전 훈련 장소 | 상트페테르부르크 시카고 페름 |
세계 랭킹 (볼로소자르와 함께) | |
2017-18 | 38 |
2016-17 | 24 |
2015-16 | 7 |
2014-15 | 2 |
2013-14 | 1 |
2012-13 | 1 |
2011-12 | 2 |
2010-11 | 25 |
세계 랭킹 (무호르토바와 함께) | |
2009-10 | 5 |
2008-09 | 6 |
2007-08 | 10 |
2006-07 | 13 |
2005-06 | 12 |
2004-05 | 9 |
2003-04 | 26 |
개인 최고 기록 | |
총점 | 237.71 |
쇼트 프로그램 점수 | 84.17 (세계 기록) |
프리 스케이팅 점수 | 154.66 |
주요 대회 성적 | |
올림픽 | [[File:Olympic rings.svg|center|80px]] 2014 소치 페어 - 금메달 2014 소치 팀 - 금메달 |
세계 선수권 대회 | 2013 런던 - 금메달 2011 모스크바 - 은메달 2012 니스 - 은메달 |
유럽 선수권 대회 | 2012 셰필드 - 금메달 2013 자그레브 - 금메달 2014 부다페스트 - 금메달 2016 브라티슬라바 - 금메달 |
그랑프리 파이널 | 2012-2013 소치 - 금메달 2011-2012 퀘벡 - 은메달 2013-2014 후쿠오카 - 은메달 |
세계 주니어 선수권 대회 | 2005 키치너 - 금메달 2004 헤이그 - 동메달 |
주니어 그랑프리 파이널 | 2004-2005 헬싱키 - 금메달 2003-2004 말뫼 - 동메달 |
동계 유니버시아드 | 2005 인스브루크 - 동메달 |
2. 유년 시절
막심 트란코프는 1987년 가을, 부모님의 권유로 페름에서 처음 스케이트를 탔다. 잠시 스케이트를 그만두었다가 다시 시작하여 발레리 튜코프와 발렌티나 튜코바 부부 코치에게 지도를 받았다. 11살 때 코치의 권유로 페어 스케이팅을 시작했는데, 처음에는 여자 손을 잡는 것이 두려웠지만 시도해 보니 마음에 들었다고 회상했다.
막심 트란코프는 2003년에 마리아 무호르토바와 페어를 결성하여 류드밀라 벨리코바와 니콜라이 벨리코프의 지도를 받았다. 2005-06 시즌까지 주니어 무대에서 활동하며 2005년 세계 주니어 선수권 대회에서 우승했다.
처음 2년 동안은 올레샤 코르차기나와, 그 다음 2년 동안은 크세니아 바실리에바와, 그리고 이리나 보고몰로바와 함께 스케이트를 탔다. 1999년 여름, 15세의 나이에 류드밀라 스미르노바와 알렉세이 울라노프의 딸인 이리나 울라노바와 함께 스케이트를 타기 위해 상트페테르부르크로 초청받았다.
트란코프는 동료 페어 스케이터 알렉산드르 스미르노프와 함께 링크에서 생활하며 관중석이나 코치실에서 잠을 자고, 음식을 구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다. 하지만 부모님에게는 기숙사에서 지낸다고 말했다. 약 1년 반 후, 관람석 아래에 숙소를 가진 군인들과 함께 살게 되었다. 그는 하루에 한 끼의 무료 식사를 제공받았고, 가끔 누군가가 음식을 가져다주기도 했다. 3년 후, 그는 자기 소유의 아파트를 얻을 수 있었다.
3. 마리아 무호르토바와의 파트너십
시니어 무대로 전환한 이후, 무호르토바와 트란코프는 불안정한 파트너십과 잦은 코치 변경을 겪었다. 2006년에는 타마라 모스크비나에게 지도를 받았으나, 잦은 다툼으로 인해 아르투르 드미트리예프에게 보내졌다. 2006년 말, 올레크 바실리예프의 지도를 받으면서 점차 안정적인 파트너십을 구축했다.
2010년 동계 올림픽에서 7위, 2010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4위를 기록한 후, 무호르토바와 트란코프는 파트너십을 해체했다.
3. 1. 초기 경력 (2003-2006)
막심 트란코프는 1987년 가을, 부모님의 권유로 페름에서 처음 스케이트를 탔다. 잠시 스케이트를 그만두었지만 다시 시작하여 발레리 튜코프와 발렌티나 튜코바 부부 코치에게 지도를 받았다. 11살 때 코치의 권유로 페어 스케이팅을 시작했는데, 처음에는 여자 손을 잡는 것이 두려워했지만 시도해 보니 마음에 들었다고 회상했다.
처음 2년 동안은 올레샤 코르차기나와, 그 다음 2년 동안은 크세니아 바실리에바와, 그리고 이리나 보고몰로바와 함께 스케이트를 탔다. 1999년 여름, 15세의 나이에 류드밀라 스미르노바와 알렉세이 울라노프의 딸인 이리나 울라노바와 함께 스케이트를 타기 위해 상트페테르부르크로 초청받았다.
트란코프와 동료 페어 스케이터 알렉산드르 스미르노프는 링크에서 생활하며 관중석이나 코치실에서 잠을 자고, 음식을 구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지만 부모님에게는 기숙사에서 지낸다고 말했다. 약 1년 반 후, 트란코프는 관람석 아래에 숙소를 가진 군인들과 함께 살게 되었다. 그는 하루에 한 끼의 무료 식사를 제공받았고, 가끔 누군가가 그에게 음식을 가져다주었다. 3년 후, 그는 자기 소유의 아파트를 얻을 수 있었다.
울라노바와 트란코프는 3년 동안 함께 스케이트를 탔고 러시아 주니어 선수권 대회에서 5위를 기록했지만, 18세가 되면서 키와 점프 문제로 인해 파트너십이 해체되었다. 지인이 미국에서 파트너를 제안했지만, 트란코프의 비자 신청은 거절되었다. 2002년 직후 류드밀라 벨리코바와 니콜라이 벨리코프 부부 코치에게 합류했다. 이후 나탈리아 셰스타코바와 1년 동안 스케이트를 탔다.
2003년, 마리아 무호르토바는 파벨 레베데프와의 갈등으로 인해 트란코프의 제안을 받아들여 파트너가 되었다. 트란코프와 무호르토바는 류드밀라 벨리코바와 니콜라이 벨리코프의 지도를 받았다. 함께한 첫 시즌인 2003-2004 시즌에 주니어 그랑프리 파이널과 세계 주니어 선수권 대회에서 동메달을 획득했다.
3. 2. 코치 변경과 성장 (2006-2010)
마리아 무호르토바와 팀을 이룬 후, 2006-07 시즌 스케이트 아메리카에서 5위, 로시컵에서 7위를 기록했다. 러시아 선수권 대회에서 우승하며 율리아 오베르타스 / 세르게이 슬라브노프를 14점 가까이 앞섰지만, 훈련 중 무코르토바의 부상으로 2007 유럽 선수권 대회는 기권했다.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는 11위를 기록했다.
2007-08 시즌, 트로페 에릭 봉파르에서 동메달, 로시컵에서 4위를 기록했다. 러시아 선수권 대회에서는 유코 카와구치 / 알렉산더 스미르노프에 이어 2위를 차지했고, 2008 유럽 선수권 대회에서는 은메달을 획득했다. 2008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는 7위를 기록했다.
2008-09 시즌, 2008 스케이트 아메리카에서 동메달, 2008 트로페 에릭 봉파르에서 은메달을 획득하여 그랑프리 파이널에 진출해 6위를 기록했다. 러시아 선수권 대회에서 2년 연속 2위를 차지한 후, 2009 유럽 선수권 대회에서 동메달, 2009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5위를 기록했다.
2009-10 시즌, 트로페 에릭 봉파르에서 알리오나 사브첸코 / 로빈 스졸코비를 제치고 금메달을 획득했다. 스케이트 캐나다에서 은메달을 획득했고, 2010 유럽 선수권 대회에서 동메달을 획득했다.
4. 타티아나 볼로소자르와의 파트너십
2010년 3월, 트란코프가 우크라이나 출신의 타티아나 볼로소자르와 팀을 이룰 수도 있다는 소문이 돌았다. 이후 트란코프는 훈련 장소를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모스크바로 옮겼고, 5월 17일부터 볼로소자르와 함께 훈련을 시작했다. 이들은 니나 모저의 지도를 받았으며, 스타니슬라프 모로조프가 기술 코치로 보조했다. 쇼트 프로그램 안무는 이고르 치나예프가, 롱 프로그램 안무는 니콜라이 모로조프가 맡았다.
볼로소자르와 트란코프는 기술적인 면에서 약간의 차이를 보였는데, 볼로소자르는 트위스트 진입 속도를 변경하고 던지기 점프 동안 다른 홀드에 적응해야 했으며, 트란코프는 새로운 파트너에 맞춰 점프를 조정해야 했다.
볼로소자르/트란코프는 러시아 국내 컵 대회 및 기타 평가전에 참가했다. 2010년 12월 말, 2011년 러시아 선수권 대회에서 유코 카와구치 / 알렉산더 스미르노프를 꺾고 금메달을 획득했다.
국제빙상경기연맹(ISU) 규정에 따라 볼로소자르는 2010년 동계 올림픽에서 우크라이나 대표로 출전한 이후 1년 동안 국제 대회 출전이 금지되었다. 그 결과, 그랑프리 시리즈와 유럽 선수권 대회를 포함한 2010-11 시즌 대부분의 대회 참가가 불가능했다. 2011년 2월 16일, 볼로소자르는 국제 대회 출전 자격을 얻었고, 세계 선수권 대회 출전을 위해 몽블랑 트로피에 참가하여 우승했다.
2011년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볼로소자르/트란코프는 쇼트 프로그램 3위, 프리 스케이팅 2위를 차지하며 알료나 사브첸코 / 로빈 졸코비에 이어 은메달을 획득했다. 이는 두 선수 모두에게 첫 세계 선수권 메달이었다.
이후, 볼로소자/트란코프는 2012-13 시즌, 2013-14 시즌을 거치며 세계 최정상급 페어 스케이팅 조로 성장하였다. 2013년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는 첫 금메달을 획득하였다.
2014-2015 시즌에는 트란코프의 어깨 부상으로 인해 잠시 휴식기를 가졌으나, 2015-2016 시즌에 복귀하여 다시 한번 좋은 성적을 거두었다.
4. 1. 파트너십 결성과 초기 (2010-2011)
2010년 3월, 트란코프가 우크라이나의 타티아나 볼로소자르와 팀을 이룰 수도 있다는 소문이 돌았다. 트란코프는 훈련 장소를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모스크바로 옮겼고, 5월 17일부터 볼로소자르와 함께 훈련을 시작했다. 이들은 니나 모저의 지도를 받았으며, 스타니슬라프 모로조프가 기술 코치로 보조했다. 쇼트 프로그램 안무는 이고르 치나예프가, 롱 프로그램 안무는 니콜라이 모로조프가 맡았다.볼로소자르와 트란코프는 러시아 국내 컵 대회와 평가전에 참가하며 호흡을 맞췄다. 2010년 12월 말, 2011년 러시아 선수권 대회에서 유코 카와구치 / 알렉산더 스미르노프 조를 꺾고 금메달을 획득했다.
국제빙상경기연맹(ISU) 규정에 따라 볼로소자르는 1년 동안 국제 대회 출전이 금지되었고, 이로 인해 이들은 2010-11 시즌 대부분의 주요 대회에 참가하지 못했다. 2011년 2월 16일, 볼로소자르가 국제 대회 출전 자격을 얻으면서 세계 선수권 대회 출전을 위해 몽블랑 트로피에 참가하여 우승했다.
2011년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볼로소자/트란코프는 쇼트 프로그램 3위, 프리 스케이팅 2위를 기록하며 알료나 사브첸코 / 로빈 졸코비에 이어 은메달을 획득했다. 이는 두 선수 모두에게 첫 세계 선수권 메달이었다.
4. 2. 세계 정상에 서다 (2011-2014)
2010년 동계 올림픽에서 우크라이나 대표로 출전했던 타티아나 볼로소자르와 2010년 3월부터 팀을 이루어 훈련을 시작했다. 훈련 장소를 모스크바로 옮기고, 니나 모저의 지도를 받으며, 스타니슬라프 모로조프의 코치 보조를 받았다. 이고르 치나예프와 니콜라이 모로조프가 각각 쇼트 프로그램과 롱 프로그램 안무를 맡았다.볼로소자르/트란코프 조는 2011년 러시아 선수권 대회에서 유코 카와구치 / 알렉산더 스미르노프 조를 꺾고 금메달을 획득했다.
국제빙상경기연맹(ISU) 규정에 따라 볼로소자르는 1년 동안 국제 대회 출전이 금지되어, 2010-11 시즌 대부분의 대회에 참가하지 못했다. 2011년 2월 16일 국제 대회 출전 자격을 얻은 후, 세계 선수권 대회 참가 자격을 얻기 위해 출전한 몽블랑 트로피에서 우승했다.
2011년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쇼트 프로그램 3위, 프리 스케이팅 2위를 기록하며, 알료나 사브첸코 / 로빈 졸코비 조에 이어 은메달을 획득했다. 이는 두 선수 모두에게 첫 세계 선수권 메달이었다.

2012-13 시즌 2012 스케이트 아메리카와 2012 러시아 컵에서 우승하며 그랑프리 파이널에 진출, 쇼트 프로그램 1위, 프리 스케이팅 2위로 베라 바자로바 / 유리 라리오노프 조를 제치고 금메달을 획득했다. 2013년 러시아 선수권 대회에서 두 번째 우승을 차지했다.
2013년 유럽 선수권 대회 직전 트란코프의 아버지가 심장마비로 사망했지만, 대회에 출전하여 총점 212.45점으로 금메달을 획득했다.
2013년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프리 스케이팅과 총점에서 페어 세계 신기록(225.71점)을 세우며 첫 번째 세계 선수권 타이틀을 획득했다. 2013년 세계 팀 트로피에서 팀 러시아는 4위를 기록했다.
4. 3. 부상과 복귀 (2014-2016)
2014년 소치 동계 올림픽 이후, 막심 트란코프는 어깨 부상으로 2014-2015 시즌 그랑프리 시리즈 출전을 보류했다.[9] 2014년 11월 9일 훈련을 재개했으나, 어깨 부상이 악화되어 독일 뮌헨에서 수술을 받았다.[10] 결국 2014-2015 시즌은 재활과 쇼 출연에 전념하며 휴식을 취했다.2015-2016 시즌, 2015년 네벨혼 트로피에서 복귀하여 우승했다. 2015년 에릭 봉파르에서도 우승했으나, 2015년 NHK 트로피는 타티아나 볼로소자르의 다리 부상으로 출전을 포기했다.[11] 러시아 선수권 대회에서 세 번째 우승을 차지했고, 유럽 선수권 대회에서 2년 만에 네 번째 우승을 했다. 그러나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는 6위에 그쳐 페어 결성 이후 처음으로 메달 획득에 실패했다.
5. 은퇴 이후
2014-2015 그랑프리 시즌에 볼로소자/트란코프는 스케이트 아메리카와 로스텔레콤 컵에 배정되었다.[3] 그러나 트란코프의 어깨 부상으로 수술이 필요해지면서 기권했다. 이들은 트란코프의 수술 재활을 위해 해당 시즌 전체를 쉬기로 결정했다.
6. 개인 생활
막심 트란코프는 페름에서 태어났다. 그의 어머니는 육상과 400m 허들 경기에 출전했으며, 아버지 레오니트는 승마 스포츠에 참여하여 그에게 승마를 가르쳤다. 레오니트 트란코프는 2013년 1월 20일에 사망했다.
트란코프는 러시아 힙합의 팬이며, 직접 음악을 작곡하기도 한다. 그는 형 알렉세이가 있다.
2015년 2월, 그와 그의 스케이팅 파트너 타티아나 볼로소자르가 약혼했음이 공개적으로 발표되었다. 2014년 12월 31일, 발리에서 볼로소자르에게 프로포즈를 했고,[5] 2015년 8월 18일, 모스크바에서 결혼식을 올렸다.[6] 아델리나 소트니코바가 신부 들러리, 스테판 랑비엘과 표도르 클리모프가 신랑 들러리를 섰다.[6]
2017년 2월 16일, 첫째 딸 안젤리카가 태어났다.[7] 2021년 1월 27일, 볼로소자르는 2021년 5월 말/6월 초에 아들을 가질 예정이라고 발표했다.[1] 2021년 5월, 아들 테오도어가 태어났다.[2]
7. 주요 대회 기록
타티야나 볼로소자르와 함께한 경기 결과 | ||||||
---|---|---|---|---|---|---|
국제 대회 | ||||||
경기 | 2010-11 | 2011-12 | 2012-13 | 2013-14 | 2015-16 | |
올림픽 | ||||||
세계 선수권 대회 | 6위 | |||||
유럽 선수권 대회 | ||||||
그랑프리 파이널 | ||||||
GP 에릭 봉파르 | [4] | |||||
GP NHK 트로피 | ||||||
GP 로스텔레콤 | ||||||
GP 스케이트 아메리카 | ||||||
GP 스케이트 캐나다 | ||||||
네벨혼 | ||||||
온드레이 네펠라 | ||||||
몽블랑 | ||||||
국내 대회 | ||||||
러시아 선수권 대회 | ||||||
단체전 | ||||||
올림픽 | ||||||
세계 팀 | 4위 T 1위 P |
마리아 무호르토바와 함께한 경기 결과 | |||||||
---|---|---|---|---|---|---|---|
국제 대회 | |||||||
경기 | 2003–04 | 2004–05 | 2005–06 | 2006–07 | 2007–08 | 2008–09 | 2009–10 |
올림픽 | 7위 | ||||||
세계 선수권 대회 | 12위 | 11위 | 7위 | 5위 | 4위 | ||
유럽 선수권 대회 | |||||||
그랑프리 파이널 | 6위 | 4위 | |||||
GP 봉파르 | |||||||
GP 러시아 컵 | 6위 | 4위 | 7위 | 4위 | |||
GP 스케이트 아메리카 | 5위 | ||||||
GP 스케이트 캐나다 | 7위 | ||||||
핀란디아 트로피 | |||||||
네벨혼 트로피 | |||||||
유니버시아드 | |||||||
국제 대회: 주니어 | |||||||
주니어 세계 선수권 대회 | |||||||
JGP 파이널 | |||||||
JGP 중국 | |||||||
JGP 체코 | |||||||
JGP 독일 | |||||||
JGP 폴란드 | |||||||
국내 대회 | |||||||
러시아 선수권 대회 | J. | WD |
''(쇼트 프로그램과 프리 프로그램에 대한 작은 메달은 ISU 선수권 대회(세계 선수권 대회, 유럽 선수권 대회, 주니어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만 수여됩니다. 팀 이벤트에서는 팀 결과에 대해서만 메달이 수여됩니다.)''
8. 프로그램
시즌 | 쇼트 프로그램 | 프리스케이팅 | 갈라 |
---|---|---|---|
2015-2016[15] | Nagada Sang Dhol Nagada Sang Dhol|나가다 상 돌영어 작곡: Siddharth-Garima | 영화 『드라큘라』에서 작곡: 보이치에흐 키라르 영화 『반 헬싱』에서 작곡: 앨런 실베스트리 | Let's Do It 보컬: 티나 루이즈 Stars 곡: 넬리 퍼타도 스노우 스톰 보컬: 알라 푸가초바, 크리스티나 오르바카이테 |
2014-2015[16] | |||
2013-2014[17][18] | 가면무도회 작곡: 아람 하차투리안 | 뮤지컬 『지저스 크라이스트 슈퍼스타』에서 작곡: 앤드루 로이드 웨버 | 007 스카이폴 곡: 아델 One Man's Dream 연주: 야니 스노우 스톰 보컬: 알라 푸가초바, 크리스티나 오르바카이테 Somebody to Die For 곡: 허츠 피아노 협주곡 2번 작곡: 세르게이 라흐마니노프 |
2012-2013 | 사랑의 테마 영화 『대부』에서 작곡: 니노 로타 | 바이올린 뮤즈 (원곡: 샤콘느) 작곡: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 연주: 카와이 이쿠코 | 브링 미 투 라이프 작곡: 에바네센스 스노우 스톰 보컬: 알라 푸가초바, 크리스티나 오르바카이테 Benedictus 연주: 2Cellos 녹턴 작곡: 시크릿 가든 |
2011-2012 | 브링 미 투 라이프 작곡: 에바네센스 | 영화 『블랙 스완』에서 작곡: 표트르 차이콥스키 편곡: 클린트 만셀 | 브링 미 투 라이프 작곡: 에바네센스 슈퍼 마리오 브라더스 작곡: 콘도 코지 |
2010-2011 | 카르미나 부라나 작곡: 카를 오르프 | 로미오와 줄리엣 작곡: 세르게이 프로코피예프 | 슈퍼 마리오 브라더스 작곡: 콘도 코지 Aimer 뮤지컬 『로미오와 줄리엣』에서 작곡: 제라르 프레스귀르빅 |
2009-2010 | 열정 곡: 시크릿 가든 | 영화 『러브 스토리』사운드트랙에서 작곡: 프란시스 레이 영화 『시네마 천국』사운드트랙에서 작곡: 안드레아 모리코네 | Une Vie D'amour 보컬: 미레유 마티유, 샤를 아즈나부르 |
2008-2009 | Nobody Home 작곡: 핑크 플로이드 연주: 런던 심포니 오케스트라 | 아가씨와 건달 작곡: 드미트리 쇼스타코비치 | Соглашайся хотя бы на рай в шалаше 보컬: 디아나 알베니나 |
2007-2008 | 가을에 작곡: 라울 디 브라시오 | 전주곡 다단조 작곡: 세르게이 라흐마니노프 | 아다지오 작곡: 시크릿 가든 |
2006-2007 | Music for Cinema 작곡: 알프레트 슈니트케 | 엘레지 작곡: 세르게이 라흐마니노프 | Tale of Wandering 작곡: 알프레트 슈니트케 |
2005-2006 | Baxter | 파가니니 주제에 의한 광시곡 작곡: 세르게이 라흐마니노프 | 영화 『The Turkish Gambit』에서 |
2004-2005 | 키담 『태양의 서커스』에서 작곡: 르네 뒤프레 | 닿을 수 없는 사랑 작곡: 카를로스 가르델 | |
2003-2004 | 영화 『백야의 선율』에서 작곡: 이삭 슈바르츠 |
참조
[1]
웹사이트
Татьяна Волосожар и Максим Траньков: "Ждем сына!"
https://www.wday.ru/[...]
2021-01-28
[2]
웹사이트
Instagram Announcement
https://www.instagra[...]
2021-06-09
[3]
웹사이트
2014–15 ISU Grand Prix of Figure Skating - Pairs
http://isuprod.blob.[...]
2014-07-22
[4]
문서
[5]
뉴스
Татьяна Волосожар и Максим Траньков: съемка на Бали и интервью о помолвке
http://ru.hellomagaz[...]
[6]
뉴스
Олимпийская свадьба Волосожар и Транькова
http://www.gazeta.ru[...]
[7]
뉴스
У Татьяны Волосожар -- Максима Транькова родилась дочь
http://www.fsrussia.[...]
[8]
웹사이트
Volosozhar and Trankov overcome family tragedy to claim Pairs gold at Europeans
http://www.goldenska[...]
[9]
뉴스
Татьяна Волосожар – Максим Траньков пропустят этапы Гран-при
http://fsrussia.ru/n[...]
[10]
뉴스
Максим Траньков: Немецкие врачи оптимистично смотрят на перспективы моего восстановления
http://www.sovsport.[...]
[11]
뉴스
Татьяна Волосожар – Максим Траньков не смогут принять участие в Гран-при в Японии
http://fsrussia.ru/n[...]
[12]
뉴스
Пара фигуристов Волосожар/Траньков не будет торопиться со стартом сезона - Мозер
http://rsport.ru/fig[...]
[13]
뉴스
Тренер Мозер: российские фигуристы Волосожар/Траньков пропустят текущий сезон целиком
http://rsport.ru/fig[...]
[14]
문서
[15]
뉴스
Волосожар и Траньков хотят в следующем сезоне усложнить силовые элементы в программах
http://rsport.ru/fig[...]
[16]
뉴스
Станислав Морозов: короткая программа Волосожар и Транькова будет под индийские мотивы, произвольная – под микс музыки из фильмов «Дракула» и «Ван Хельсинг»
http://www.team-russ[...]
[17]
뉴스
Новости фигурного катания в России сегодня, 14 августа
http://rusbiathlon.r[...]
[18]
웹사이트
Adios Gracias, 김연아의 겨울왕국
http://music.naver.c[...]
[19]
뉴스
https://news.naver.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