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년 세계 피겨스케이팅 선수권 대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11년 세계 피겨스케이팅 선수권 대회는 원래 일본에서 개최될 예정이었으나, 동일본 대지진과 후쿠시마 원자력 발전소 사고의 영향으로 러시아 모스크바에서 개최되었다. 대회는 남자 싱글에서 패트릭 챈, 여자 싱글에서 안도 미키, 페어에서 알리오나 사브첸코/로빈 숄코비 조, 아이스 댄싱에서 메릴 데이비스/찰리 화이트 조가 우승했으며, 대한민국에서는 김연아가 여자 싱글에서 은메달을 획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11년 피겨스케이팅 - 2011년 동계 아시안 게임 피겨스케이팅
2011년 동계 아시안 게임 피겨스케이팅은 카자흐스탄 아스타나에서 8개국 선수들이 참가하여 남자 싱글(김현겸 금메달), 여자 싱글(안도 미키 금메달), 페어(팽청/장하오 금메달), 아이스 댄싱(황빙칭/우밍 금메달) 총 4종목에서 메달 경쟁을 펼쳤다. - 러시아에서 개최된 피겨스케이팅 대회 - 2014년 동계 올림픽 피겨스케이팅
2014년 동계 올림픽 피겨스케이팅은 2014년 2월 러시아 소치에서 5개의 세부 종목으로 진행되었으며, 러시아가 종합 1위를 차지했고, 하뉴 유즈루가 쇼트 프로그램 세계 신기록을 세웠으며, 여자 싱글 판정 논란이 있었다. - 2011년 러시아 - 스페크트르-R
스페크트르-R은 라디오아스트론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발사된 러시아의 우주 전파 망원경으로, 지상 망원경과 협력하여 초장기선 간섭계 기술을 통해 우주 전파를 관측하며 블랙홀, 퀘이사, 펄서 등 고에너지 천체의 구조와 활동을 연구하는 임무를 수행했으나 2019년 통신 두절로 종료되었다. - 2011년 러시아 - 2011-2013년 러시아 시위
2011-2013년 러시아 시위는 2011년 러시아 의회 선거 부정 의혹에서 비롯되어 푸틴 정부에 대한 불만으로 확대된 반정부 시위로, 선거 결과 재검토와 정권 퇴진 등을 요구하며 러시아 주요 도시에서 발생했고 다양한 계층이 참여했으며 정부는 진압과 친정부 집회로 대응했다.
2011년 세계 피겨스케이팅 선수권 대회 | |
---|---|
대회 개요 | |
대회 종류 | ISU 선수권 대회 |
시즌 | 2010–11 |
개최 기간 | 2011년 4월 25일 |
종료 기간 | 2011년 5월 1일 |
개최지 | 모스크바 |
국가 | 러시아 |
경기장 | 메가스포츠 아레나 |
이전 대회 | 2010년 세계 선수권 대회 |
다음 대회 | 2012년 세계 선수권 대회 |
![]() | |
우승자 | |
남자 싱글 | 패트릭 챈 |
여자 싱글 | 안도 미키 |
페어 | 알리오나 사브첸코 / 로빈 졸코비 |
아이스 댄싱 | 메릴 데이비스 / 찰리 화이트 |
2. 개최지 변경
이 대회는 본래 일본에서 유치했었다. 원래 개최지는 나가노로 정해졌으나,[14] 후에 도쿄로 변경하였다. 이에 따라 본 경기는 2011년 3월 21일 ~ 3월 27일 도쿄의 국립 요요기 경기장에서 열릴 예정이었다. 그런데 대회 개막 10일 전인 3월 11일, 도호쿠 대지진과 쓰나미 참사가 일어났다. 도쿄 지역도 지진의 영향을 받았으나, 경기장은 별 피해를 입지 않아서 일본 빙상 연맹은 처음에 대회 개최를 강행할 방침이었다.[15] 하지만 엄청난 대참사가 일어난 국가에서 이런 대회를 치르는 것이 분위기상 적절하지 않다는 의견이 나왔고, 후쿠시마 원자력 발전소 사고로 방사능 위험 때문에 일본 방문 자체를 자제해야 하는 상황이었다.
국제 빙상 연맹(ISU)은 2011년 3월 14일, 도쿄 개최 불가 및 재편성 또는 취소 가능성을 발표했다.[6] ISU는 다른 국가에서 개최하는 방안을 포함한 다양한 가능성을 고려했으며, 새로운 개최 후보 기준을 제시했다. 기준에는 4~5월 개최, 700개 호텔 객실, TV 제작, 2개 링크 (8000석 규모 경기 링크, 연습 링크) 등이 포함되었으며, 현지 전문성, 교통 인프라, 신속한 비자 발급도 중요 요소로 고려되었다.
밴쿠버(캐나다), 레이크플래시드/콜로라도스프링스(미국), 모스크바(러시아), 자그레브(크로아티아), 투르쿠(핀란드), 그라츠(오스트리아) 등 6개 후보가 신청했다. 2011년 3월 24일, ISU는 모스크바의 메가스포츠 아레나가 대체 개최지로 선정되었다고 발표했다.
러시아는 비자 발급 절차를 신속하게 처리하겠다고 약속했으며, 블라디미르 푸틴 총리는 촉박한 일정 속에서 대회를 조직하는 비용에 대한 우려를 일축했다.
개회식에서는 하얀 링크에 커다란 일장기가 비춰지고, 참가국의 민족 의상을 입은 스케이터들이 연대를 표시하며 묵념하는 등 다양한 세레모니가 거행되었다.[12]
2. 1. 동일본 대지진 및 쓰나미의 영향
2011년 세계 피겨스케이팅 선수권 대회는 본래 일본 도쿄 국립 요요기 경기장에서 3월 21일부터 27일까지 열릴 예정이었다.[14] 그러나 대회 개막 10일 전인 3월 11일, 도호쿠 대지진과 쓰나미 및 후쿠시마 제1원자력 발전소 사고가 발생하면서 상황이 급변했다.[4][5]일본 스케이트 연맹(JSF)은 초기에는 경기장이 피해를 입지 않아 대회 개최를 강행하려 했으나,[15] 대참사로 인한 국가적 분위기와 방사능 위험으로 인해 대회 개최는 어려워졌다. 국제빙상경기연맹(ISU)은 대회 취소를 고려하기 시작했고, 독일 등 일부 국가는 선수단 파견을 철회하기도 했다.
대부분의 외국 선수들은 일본 입국 예정이었으나, 각국 정부의 여행 경고로 인해 귀국 권고를 받았다. 결국 2011년 3월 14일, ISU는 대회 연기를 발표했고, 새로운 개최지를 물색하기 시작했다.
대체 개최지로는 여러 도시가 거론되었고, 최종적으로 러시아 모스크바가 선정되었다.[10] 대회 개회식에서는 동일본 대지진으로 피해를 입은 일본에 대한 연대감을 표명하는 세레모니가 거행되었다.[12] 러시아 총리 블라디미르 푸틴도 일본에 대한 연대감을 표명했다.[11]
2. 2. 개최지 재선정
이 대회는 본래 일본에서 유치했었다. 원래 개최지는 나가노로 정해졌으나,[14] 후에 도쿄로 변경하였다. 이에 따라 본 경기는 2011년 3월 21일 ~ 3월 27일 도쿄의 국립 요요기 경기장에서 열릴 예정이었다. 그런데 대회 개막 10일 전인 3월 11일, 도호쿠 대지진과 쓰나미 참사가 일어났다.[15] 도쿄 지역도 지진의 영향을 받았으나, 경기장은 별 피해를 입지 않아서 일본 빙상 연맹은 처음에 대회 개최를 강행할 방침이었다.[15] 하지만 엄청난 대참사가 일어난 국가에서 이런 대회를 치르는 것이 분위기상 적절하지 않다는 의견이 나왔고, 후쿠시마 원자력 발전소 사고로 방사능 위험 때문에 일본 방문 자체를 자제해야 하는 상황이었다.[15]국제 빙상 연맹(ISU)은 2011년 3월 14일, 도쿄 개최 불가 및 재편성 또는 취소 가능성을 발표했다.[6] ISU는 다른 국가에서 개최하는 방안을 포함한 다양한 가능성을 고려했으며, 새로운 개최 후보 기준을 제시했다. 기준에는 4~5월 개최, 700개 호텔 객실, TV 제작, 2개 링크 (8000석 규모 경기 링크, 연습 링크) 등이 포함되었으며, 현지 전문성, 교통 인프라, 신속한 비자 발급도 중요 요소로 고려되었다.
밴쿠버(캐나다), 레이크플래시드/콜로라도스프링스(미국), 모스크바(러시아), 자그레브(크로아티아), 투르쿠(핀란드), 그라츠(오스트리아) 등 6개 후보가 신청했다. 2011년 3월 24일, ISU는 모스크바의 메가스포츠 아레나가 대체 개최지로 선정되었다고 발표했다.
러시아는 비자 발급 절차를 신속하게 처리하겠다고 약속했으며, 블라디미르 푸틴 총리는 촉박한 일정 속에서 대회를 조직하는 비용에 대한 우려를 일축했다.
개회식에서는 하얀 링크에 커다란 일장기가 비춰지고, 참가국의 민족 의상을 입은 스케이터들이 연대를 표시하며 묵념하는 등 다양한 세레모니가 거행되었다.[12]
3. 경기 결과
남자 싱글 | 패트릭 챈 | 고즈카 다카히코 | 아르투르 가친스키 |
여자 싱글 | 안도 미키 | 김연아 | 카롤리나 코스트너 |
페어 | 알리오나 사브첸코 / 로빈 숄코비 | 타티야나 볼로소자르 / 막심 트란코프 | 팡칭 / 퉁젠 |
아이스댄싱 | 메릴 데이비스 / 찰리 화이트 | 테사 버추 / 스콧 모이어 | 마이아 시부타니 / 알렉스 시부타니 |
남자 싱글에서 패트릭 챈은 쇼트 프로그램과 프리 스케이팅, 총점에서 모두 세계 신기록을 세우며 우승했다. 고즈카 다카히코는 은메달, 아르투르 가친스키는 동메달을 차지했다.
여자 싱글에서는 안도 미키가 2007년에 이어 두 번째 세계 선수권 우승을 차지했다. 김연아는 은메달, 카롤리나 코스트너는 동메달을 획득했다.
페어에서는 알리오나 사브첸코 / 로빈 숄코비 조가 프리 스케이팅과 총점에서 세계 신기록을 세우며 우승을 차지했다. 타티야나 볼로소자르 / 막심 트란코프 조는 은메달, 팡칭 / 퉁젠 조는 동메달을 획득했다.
아이스 댄싱에서는 메릴 데이비스 / 찰리 화이트 조가 미국 최초로 세계 선수권 우승을 차지했다. 테사 버추 / 스콧 모이어 조는 은메달, 마이아 시부타니 / 알렉스 시부타니 조는 동메달을 획득하며 북미가 시상대를 휩쓸었다.
3. 1. 입상자 목록
wikitext남자 싱글 | 패트릭 챈 | 고즈카 다카히코 | 아르투르 가친스키 |
여자 싱글 | 안도 미키 | 김연아 | 카롤리나 코스트너 |
페어 | 알리오나 사브첸코 / 로빈 숄코비 | 타티야나 볼로소자르 / 막심 트란코프 | 팡칭 / 퉁젠 |
아이스댄싱 | 메릴 데이비스 / 찰리 화이트 | 테사 버추 / 스콧 모이어 | 마이아 시부타니 / 알렉스 시부타니 |
남자 싱글에서 패트릭 챈은 쇼트 프로그램과 프리 스케이팅, 총점에서 모두 세계 신기록을 세우며 우승했다. 고즈카 다카히코는 은메달, 아르투르 가친스키는 동메달을 차지했다.
여자 싱글에서는 안도 미키가 2007년에 이어 두 번째 세계 선수권 우승을 차지했다. 김연아는 은메달, 카롤리나 코스트너는 동메달을 획득했다.
페어에서는 알리오나 사브첸코 / 로빈 숄코비 조가 프리 스케이팅과 총점에서 세계 신기록을 세우며 우승을 차지했다. 타티야나 볼로소자르 / 막심 트란코프 조는 은메달, 팡칭 / 퉁젠 조는 동메달을 획득했다.
아이스 댄싱에서는 메릴 데이비스 / 찰리 화이트 조가 미국 최초로 세계 선수권 우승을 차지했다. 테사 버추 / 스콧 모이어 조는 은메달, 마이아 시부타니 / 알렉스 시부타니 조는 동메달을 획득하며 북미가 시상대를 휩쓸었다.
3. 1. 1. 종합
남자 싱글 | 패트릭 챈 | 고즈카 다카히코 | 아르투르 가친스키 |
여자 싱글 | 안도 미키 | 김연아 | 카롤리나 코스트너 |
페어 | 알리오나 사브첸코 / 로빈 숄코비 | 타티야나 볼로소자르 / 막심 트란코프 | 팡칭 / 퉁젠 |
아이스댄싱 | 메릴 데이비스 / 찰리 화이트 | 테사 버추 / 스콧 모이어 | 마이아 시부타니 / 알렉스 시부타니 |
남자 싱글에서 패트릭 챈은 쇼트 프로그램과 프리 스케이팅, 총점에서 모두 세계 신기록을 세우며 우승했다. 고즈카 다카히코는 은메달, 아르투르 가친스키는 동메달을 차지했다.
여자 싱글에서는 안도 미키가 2007년에 이어 두 번째 세계 선수권 우승을 차지했다. 김연아는 은메달, 카롤리나 코스트너는 동메달을 획득했다.
페어에서는 알리오나 사브첸코 / 로빈 숄코비 조가 프리 스케이팅과 총점에서 세계 신기록을 세우며 우승을 차지했다. 타티아나 볼로소자르 / 막심 트란코프 조는 은메달, 팡칭 / 퉁젠 조는 동메달을 획득했다.
아이스 댄싱에서는 메릴 데이비스 / 찰리 화이트 조가 미국 최초로 세계 선수권 우승을 차지했다. 테사 버추 / 스콧 모이어 조는 은메달, 마이아 시부타니 / 알렉스 시부타니 조는 동메달을 획득하며 북미가 시상대를 휩쓸었다.
3. 1. 2. 쇼트 프로그램/쇼트 댄스
- '''남자 싱글'''
패트릭 챈(캐나다)은 쇼트 프로그램에서 93.02점으로 1위를 차지했다. 오다 노부나리(일본)가 81.81점으로 2위, 다카하시 다이스케(일본)가 80.25점으로 3위를 차지했다.
순위 | 이름 | 국가 | 총점 | 쇼트 | 프리 | ||
---|---|---|---|---|---|---|---|
1 | 패트릭 챈 | 280.98 | 1 | 93.02 | 1 | 187.96 | |
2 | 고즈카 다카히코 | 258.41 | 6 | 77.62 | 2 | 180.79 | |
3 | 아르투르 가친스키 | 241.86 | 4 | 78.34 | 3 | 163.52 | |
4 | 미할 브제지나 | 233.61 | 7 | 77.50 | 5 | 156.11 | |
5 | 다카하시 다이스케 | 232.97 | 3 | 80.25 | 6 | 152.72 | |
6 | 오다 노부나리 | 232.50 | 2 | 81.81 | 9 | 150.69 | |
7 | 플로랑 아모디오 | 229.68 | 5 | 77.64 | 7 | 152.04 | |
8 | 브라이언 주베르 | 227.67 | 9 | 71.29 | 4 | 156.38 | |
9 | 리처드 돈부시 | 222.42 | 11 | 70.54 | 8 | 151.88 | |
10 | 하비에르 페르난데스 | 218.26 | 14 | 69.16 | 10 | 149.10 | |
11 | 로스 미너 | 217.93 | 13 | 70.40 | 11 | 147.53 | |
12 | 토마시 베르너 | 216.87 | 8 | 75.94 | 13 | 140.93 | |
13 | 라이언 브래들리 | 212.71 | 12 | 70.45 | 12 | 142.26 | |
14 | 데니스 텐 | 209.99 | 10 | 71.00 | 14 | 138.99 | |
15 | 페터 리버스 | 205.59 | 16 | 67.73 | 15 | 137.86 | |
16 | 안톤 코발레프스키 | 201.64 | 17 | 65.16 | 16 | 136.48 | |
17 | 케빈 반 데르 페렌 | 197.10 | 15 | 68.34 | 18 | 128.76 | |
18 | 사무엘 콩테스티 | 196.40 | 18 | 64.59 | 17 | 131.81 | |
19 | 요릭 헨드릭스 | 188.24 | 22 | 60.74 | 19 | 127.50 | |
20 | 케빈 레이놀즈 | 187.23 | 19 | 64.36 | 21 | 122.87 | |
21 | 파올로 바치니 | 183.13 | 23 | 58.96 | 20 | 124.17 | |
22 | 쏭 난 | 176.09 | 20 | 63.78 | 23 | 112.31 | |
23 | 킴 루신 | 171.93 | 24 | 58.81 | 22 | 113.12 | |
24 | 조이 러셀 | 168.73 | 21 | 61.69 | 24 | 107.04 |
- '''여자 싱글'''
김연아(대한민국)는 쇼트 프로그램에서 65.91점으로 1위를 차지했고, 안도 미키(일본)가 65.58점으로 2위를 차지했다.
순위 | 이름 | 국가 | 총점 | 쇼트 | 프리 | ||
---|---|---|---|---|---|---|---|
1 | 안도 미키 | 195.79 | 2 | 65.58 | 1 | 130.21 | |
2 | 김연아 | 194.50 | 1 | 65.91 | 2 | 128.59 | |
3 | 카롤리나 코스트너 | 184.68 | 6 | 59.75 | 3 | 124.93 | |
4 | 알레나 레오노바 | 183.92 | 5 | 59.75 | 4 | 124.17 | |
5 | 앨리사 시즈니 | 182.25 | 4 | 61.47 | 5 | 120.78 | |
6 | 아사다 마오 | 172.79 | 7 | 58.66 | 6 | 114.13 | |
7 | 크세니아 마카로바 | 167.22 | 3 | 61.62 | 9 | 105.60 | |
8 | 무라카미 카나코 | 167.10 | 10 | 54.86 | 7 | 112.24 | |
9 | 키이라 코르피 | 164.80 | 9 | 55.09 | 8 | 109.71 | |
10 | 엘레네 게데바니슈빌리 | 156.24 | 15 | 51.61 | 10 | 104.63 | |
11 | 사라 헤켄 | 155.83 | 12 | 52.73 | 11 | 103.10 | |
12 | 레이철 플랫 | 154.61 | 8 | 57.22 | 14 | 97.39 | |
13 | 신시아 파뇌프 | 152.78 | 13 | 52.62 | 12 | 100.16 | |
14 | 메-베레니스 메이테 | 150.44 | 11 | 53.26 | 15 | 97.18 | |
15 | 요시 헬게손 | 149.08 | 16 | 50.25 | 13 | 98.83 | |
16 | 아멜리 라코스테 | 144.76 | 14 | 51.98 | 18 | 92.78 | |
17 | 빅토리아 헬게손 | 142.52 | 24 | 45.40 | 16 | 97.12 | |
18 | 겅빙와 | 140.78 | 19 | 47.89 | 17 | 92.89 | |
19 | 이라 바뉘트 | 138.28 | 17 | 49.34 | 20 | 89.05 | |
20 | 율리아 투르키라 | 136.68 | 22 | 45.70 | 19 | 90.98 | |
21 | 첼시 리 | 133.65 | 18 | 48.20 | 21 | 85.45 | |
22 | 옐레나 글레보바 | 124.78 | 20 | 46.28 | 22 | 78.50 | |
23 | 이리나 모프찬 | 123.15 | 23 | 45.68 | 23 | 77.47 | |
24 | 제나 맥코켈 | 영국 | 121.76 | 21 | 45.99 | 24 | 75.77 |
- '''페어'''
팡칭 / 퉁젠(중국) 조가 쇼트 프로그램에서 74.00점으로 1위를 차지했고, 알료나 사브첸코 / 로빈 졸코비(독일) 조가 72.98점으로 2위, 타티아나 볼로소자르 / 막심 트란코프(러시아) 조가 70.35점으로 3위를 차지했다.
순위 | 이름 | 국가 | 총점 | 쇼트 프로그램 | 프리 스케이팅 | ||
---|---|---|---|---|---|---|---|
1 | 알료나 사브첸코 / 로빈 졸코비 | 217.85 | 2 | 72.98 | 1 | 144.87 | |
2 | 타티아나 볼로소자르 / 막심 트란코프 | 210.73 | 3 | 70.35 | 2 | 140.38 | |
3 | 팡칭 / 퉁젠 | 204.12 | 1 | 74.00 | 3 | 130.12 | |
4 | 유코 가와구치 / 알렉산더 스미르노프 | 187.36 | 5 | 62.54 | 4 | 124.82 | |
5 | 베라 바자로바 / 유리 라리오노프 | 187.13 | 4 | 64.64 | 5 | 122.49 | |
6 | 케이틀린 양코우스카스 / 존 코플린 | 175.94 | 8 | 58.76 | 6 | 117.18 | |
7 | 메건 뒤아멜 / 에릭 래드퍼드 | 173.03 | 7 | 58.83 | 7 | 114.20 | |
8 | 커스틴 무어-타워스 / 딜런 모스코비치 | 163.17 | 10 | 56.86 | 8 | 106.31 | |
9 | 타카하시 나루미 / 머빈 트란 | 160.10 | 6 | 59.16 | 10 | 100.94 | |
10 | 스테파니아 베르톤 / 온드레이 호타레크 | 157.15 | 9 | 57.63 | 11 | 99.52 | |
11 | 아만다 에보라 / 마크 래드위그 | 155.91 | 11 | 54.64 | 9 | 101.27 | |
12 | 마일린 하우쉬 / 다니엘 벤데 | 149.65 | 12 | 53.90 | 12 | 95.75 | |
13 | 장 위에 / 왕 레이 | 147.38 | 13 | 52.25 | 13 | 95.13 | |
14 | 동 후이보 / 우 이밍 | 137.75 | 14 | 49.29 | 14 | 88.46 | |
15 | 클라라 카들레코바 / 페트르 비다르 | 132.51 | 15 | 45.20 | 15 | 87.31 | |
16 | 나탈리아 자비야코 / 세르게이 쿨바흐 | 126.56 | 16 | 44.35 | 16 | 82.21 |
- '''아이스 댄싱'''
테사 버츄 / 스콧 모이어(캐나다) 조는 쇼트 댄스에서 74.29점으로 1위를 차지했으며, 메릴 데이비스 / 찰리 화이트(미국) 조가 73.76점으로 2위, 나탈리 페샬라 / 파비앙 부르자(프랑스) 조가 70.97점으로 3위를 차지했다.
{| class="wikitable sortable"
|-
! 순위
! 이름
! 국가
! 총점
! colspan="2" width="80px" | SD
! colspan="2" width="80px" | FD
|- bgcolor="gold"
| align="center" | '''1'''
| 메릴 데이비스 / 찰리 화이트
|
| align="center" | 185.27
| align="center" | 2
| align="center" | 73.76
| align="center" | 1
| align="center" | 111.51
|- bgcolor="silver"
| align="center" | '''2'''
| 테사 버츄 / 스캇 모이어
|
| align="center" | 181.79
| align="center" | 1
| align="center" | 74.29
| align="center" | 2
| align="center" | 107.50
|- bgcolor="cc9966"
| align="center" | '''3'''
| 마이아 시부타니 / 알렉스 시부타니
|
| align="center" | 163.79
| align="center" | 4
| align="center" | 66.88
| align="center" | 3
| align="center" | 96.91
|-
! 4
| 나탈리 페샬라 / 파비앙 부르자
|
| align="center" | 163.54
| align="center" | 3
| align="center" | 70.97
| align="center" | 6
| align="center" | 92.57
|-
! 5
| 케이틀린 위버 / 앤드류 포제
|
| align="center" | 160.32
| align="center" | 7
| align="center" | 65.07
| align="center" | 4
| align="center" | 95.25
|-
! 6
| 예카테리나 보브로바 / 드미트리 솔로비예프
|
| align="center" | 160.23
| align="center" | 5
| align="center" | 65.88
| align="center" | 5
| align="center" | 94.35
|-
! 7
| 엘레나 일리니흐 / 니키타 카찰라포프
|
| align="center" | 154.50
| align="center" | 6
| align="center" | 65.51
| align="center" | 10
| align="center" | 88.99
|-
! 8
| 안나 카펠리니 / 루카 라노테
|
| align="center" | 153.77
| align="center" | 8
| align="center" | 64.12
| align="center" | 9
| align="center" | 89.65
|-
! 9
| 매디슨 초크 / 그레그 주얼린
|
| align="center" | 151.86
| align="center" | 9
| align="center" | 61.47
| align="center" | 7
| align="center" | 90.39
|-
! 10
| 바네사 크론 / 폴 푸아리에
|
| align="center" | 151.13
| align="center" | 10
| align="center" | 61.01
| align="center" | 8
| align="center" | 90.12
|-
! 11
| 넬리 지간시나 / 알렉산더 가시
|
| align="center" | 140.95
| align="center" | 12
| align="center" | 55.53
| align="center" | 11
| align="center" | 85.42
|-
! 12
| 페르넬 카론 / 로이드 존스
|
| align="center" | 140.86
| align="center" | 11
| align="center" | 57.68
| align="center" | 12
| align="center" | 83.18
|-
! 13
| 캐시 리드 / 크리스 리드
|
| align="center" | 133.33
| align="center" | 13
| align="center" | 54.86
| align="center" | 13
| align="center" | 78.47
|-
! 14
| 이자벨라 토비아스 / 데이비다스 스타그니우나스
|
| align="center" | 131.01
| align="center" | 14
| align="center" | 53.16
| align="center" | 14
| align="center" | 77.85
|-
! 15
| 시반 히킨-캐니디 / 알렉산더 샤칼로프
|
| align="center" | 128.70
| align="center" | 15
| align="center" | 52.31
| align="center" | 15
| align="center" | 76.39
|-
! 16
| 페니 콤스 / 니콜라스 버클랜드
| 영국
| align="center" | 126.29
| align="center" | 17
| align="center" | 51.75
| align="
3. 1. 3. 프리 스케이팅/프리 댄스
|thumb|300px|페어 메달리스트]]
- 남자 싱글
패트릭 챈은 쇼트 프로그램과 프리 스케이팅, 총점에서 모두 세계 신기록을 세우며 우승했다. 고즈카 다카히코는 은메달, 아르투르 가친스키는 동메달을 차지했다.
남자 싱글 프리 스케이팅에서 브라이언 주베르는 스케이트 날에 손을 베였고, 다카하시 다이스케는 스케이트 나사가 풀리는 사고를 겪었다. 오다 노부나리는 점프 실수로 13점을 잃었다. 플로랑 아모디오는 가사가 있는 음악을 사용했지만 감점을 받지 않았다.
- 여자 싱글
안도 미키가 프리 스케이팅에서 1위를 차지하며 2007년에 이어 두 번째 세계 선수권 금메달을 획득했다. 김연아는 은메달, 카롤리나 코스트너는 동메달을 획득했다.
- 페어
알리오나 사브첸코 / 로빈 숄코비 조가 프리 스케이팅에서 우승하며 세 번째 세계 선수권 타이틀을 획득했다. 타티야나 볼로소자르 / 막심 트란코프 조는 은메달, 팡칭 / 퉁젠 조는 동메달을 획득했다.
쇼트 프로그램에서 메건 뒤아멜의 팔꿈치에 에릭 래드퍼드의 코가 부러지는 사고가 발생했지만, 경기를 중단하지 않고 종합 7위를 기록했다.
- 아이스 댄싱
메릴 데이비스 / 찰리 화이트 조가 프리 댄스에서 우승하며 미국 최초로 아이스 댄싱 세계 선수권 타이틀을 획득했다. 테사 버추 / 스콧 모이어 조는 은메달, 마이아 시부타니 / 알렉스 시부타니 조는 동메달을 획득했다.
4. 참가 선수 및 국가
이 대회는 2010년 7월 1일까지 15세가 된 ISU 회원국의 피겨 스케이팅 선수들에게 참가 자격이 주어졌다. 2010년 세계 피겨 스케이팅 선수권 대회의 결과를 바탕으로 각 국가는 종목별로 1명에서 3명까지의 출전 선수를 허용했다.
참가 선수 수가 많아 남자 싱글, 여자 싱글, 아이스 댄싱 경기에는 본 경기 전에 예선 라운드가 필요했다. 상위 12명의 남자 싱글과 여자 싱글 선수, 그리고 상위 10팀의 아이스 댄싱 팀이 쇼트 프로그램에 진출했다.
195명의 선수들이 44개국에서 참가할 예정이었다.
국제빙상경기연맹에 가맹하는 각국의 피겨 스케이팅 총괄 단체에 출전 자격이 주어지며, 각국에 대한 출전 자격은 종목별로 전년도 대회의 결과에 따라 1명부터 3명까지로 정해졌다.
종목별로 2명 이상을 출전시킨 국가:
출전 선수 수 | 남자 싱글 | 여자 싱글 | 페어 | 아이스 댄싱 |
---|---|---|---|---|
3 | | | | |
2 | | 대한민국 | | 영국 |
4. 1. 대한민국 참가 선수
2011년 세계 피겨스케이팅 선수권 대회에는 44개국에서 195명의 선수들이 참가했다. 대한민국에서는 남자 싱글에 김민석, 여자 싱글에 김연아, 곽민정이 참가했다.5. 대회 일정
2011년 세계 피겨스케이팅 선수권 대회는 모스크바 시간(UTC+4)으로 다음과 같이 진행되었다.
- 4월 24일 일요일: 공식 연습
- 4월 25일 월요일: 남자 예선
- 4월 26일 화요일: 아이스 댄싱 예선, 여자 예선
- 4월 27일 수요일: 남자 쇼트 프로그램, 페어 쇼트 프로그램
- 4월 28일 목요일: 남자 프리스케이팅, 페어 프리스케이팅
- 4월 29일 금요일: 여자 쇼트 프로그램, 쇼트 댄스
- 4월 30일 토요일: 여자 프리스케이팅, 프리 댄스
- 5월 1일 일요일: 갈라 쇼
6. 메달 집계
wikitable
종목 | 금메달 | 은메달 | 동메달 |
---|---|---|---|
남자 싱글 | 패트릭 챈 | 고즈카 다카히코 | 아르투르 가친스키 |
여자 싱글 | 안도 미키 | 김연아 | 카롤리나 코스트너 |
페어 | 알리오나 사브첸코 / 로빈 쇼코비 | 타티아나 볼로소자 / 막심 트란코프 | 팡칭 / 퉁젠 |
아이스 댄싱 | 메릴 데이비스 / 찰리 화이트 | 테사 버츄 / 스콧 모이어 | 마이아 시부타니 / 알렉스 시부타니 |
6. 1. 전체 순위 메달
종목 | 금메달 | 은메달 | 동메달 |
---|---|---|---|
남자 싱글 | 패트릭 챈 | 고즈카 다카히코 | 아르투르 가친스키 |
여자 싱글 | 안도 미키 | 김연아 | 카롤리나 코스트너 |
페어 | 알리오나 사브첸코 / 로빈 쇼코비 | 타티아나 볼로소자 / 막심 트란코프 | 팡칭 / 퉁젠 |
아이스 댄싱 | 메릴 데이비스 / 찰리 화이트 | 테사 버츄 / 스콧 모이어 | 마이아 시부타니 / 알렉스 시부타니 |
6. 2. 대한민국 메달 획득 현황
2011년 세계 피겨스케이팅 선수권 대회에서 김연아는 여자 싱글 부문에서 은메달을 획득했다. 김연아는 쇼트 프로그램에서 1위를 차지했으나, 프리스케이팅에서 2위를 기록, 총점 194.50점으로 일본의 안도 미키에 이어 은메달을 차지했다. 이로써 김연아는 5번째 세계 선수권 대회 메달을 획득하게 되었다.7. 각주
참조
[1]
웹사이트
Japan gets 2014 figure skating world championships
https://www.usatoday[...]
2011-06-14
[2]
뉴스
ISU World Figure Skating Championships 2011 – Preview
http://www.isu.org/v[...]
2011-04-23
[3]
뉴스
スケート連盟:世界フィギュアの開催地変更
http://mainichi.jp/e[...]
毎日新聞
2010-01-21
[4]
웹사이트
http://www.isu.org/v[...]
[5]
웹사이트
http://www.theglobea[...]
[6]
웹사이트
ISU Announcement - March 16
http://www.isu.org/v[...]
[7]
뉴스
Japan still hopes to host worlds
http://search.japant[...]
japantimes.co.jp
2011-03-17
[8]
뉴스
世界フィギュア、日本開催返上…候補地選定困難
https://web.archive.[...]
読売新聞社
2011-03-22
[9]
웹사이트
http://newsblogs.chi[...]
[10]
뉴스
Moscow to host of Figure Skating World Championships
http://news.bbc.co.u[...]
2011-03-24
[11]
뉴스
【東日本大震災】ロシア首相、フィギュア選手権開会式で日本との連帯示せ
http://sankei.jp.msn[...]
MSN産経ニュース
[12]
뉴스
震災被災者に哀悼の意=世界フィギュア開会式で-プーチン首相
http://www.jiji.com/[...]
時事通信
2011-04-28
[13]
웹사이트
http://217.158.112.2[...]
[14]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isu.sportcent[...]
2011-03-13
[15]
웹사이트
http://www.asiae.c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