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시에 22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메시에 22는 궁수자리에 있는 구상 성단이다. 1665년 8월 26일 요한 아브라함 일레가 토성의 원일점 부근의 움직임을 관측하던 중 발견했다. 1716년 에드먼드 핼리는 이 성단을 "동지점에 가깝고 작으며 밝게 빛난다"고 기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구상성단 - NGC 6397
NGC 6397은 우리 은하의 구상성단으로, 천문학적으로 별의 질량 하한선 규명, 백색왜성 집중으로 밝혀진 중심부 밀집성 천체 성질 규명, 초기 우주 은하 형성 연구 자료 제공 등 중요한 발견에 기여했다. - 구상성단 - 메시에 75
메시에 75는 밀도가 높고 밝게 보이는 구상 성단으로, 은하계 내 메시에 천체 중 가장 멀리 떨어져 있으며, 1780년 피에르 메생에 의해 발견된 후 여러 천문학자들에 의해 관측되었다. - 궁수자리 - 메시에 24
메시에 24는 샤를 메시에가 발견한 은하수 내 성운으로, 밝기가 다양한 별들이 흩어져 있으며 NGC 6603을 포함하고, 존 허셜의 관측 기록은 추후 연구에 혼란을 주기도 했다. - 궁수자리 - 아치스 성단
아치스 성단은 짙은 먼지로 둘러싸여 가시광선 관측이 어렵지만 엑스선, 적외선, 전파 관측으로 연구되는, 반지름 약 1광년의 젊고 뜨거운 별 약 150개로 이루어진 성단으로, 별들은 밝고 빠른 항성풍을 방출하며 수백만 년 안에 수소를 소모한다.
메시에 22 | |
---|---|
기본 정보 | |
![]() | |
고유 명칭 | 메시에 22 |
기타 명칭 | NGC 6656, GCl 99 |
형태 | 구상 성단 |
별자리 | 궁수자리 |
적경 (J2000) | 18h 36m 23.94s |
적위 (J2000) | -23° 54′ 17.1″ |
겉보기 등급 | 5.1 |
겉보기 크기 | 32 arcmin |
시선 속도 | -148 km/s |
거리 | 10,600 광년 (3.19 kpc) |
반지름 | 50 ± 5 광년 |
금속 함량 | -1.49 |
나이 | 12 Gyr |
질량 | 2.9 × 10^5 M☉ |
특징 | |
설명 | 행성상 성운을 포함하는 것으로 알려진 4개의 구상 성단 중 하나임. |
식별 | |
NGC 번호 | 6656 |
기타 식별 | Mel 208 |
2. 관측사
1665년 독일 천문학자 Johann Abraham Ihle|요한 아브라함 일레영어가 처음 발견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에드먼드 핼리는 이 성단에 대한 관측 기록을 남겼다. 케네스 글린 존스는 "왜곡된 축은 육안 관측과 사진이 다르다"고 주장했다.
2. 1. 초기 관측
에드먼드 핼리는 1665년 8월 26일 독일의 천문학자 Johann Abraham Ihle|요한 아브라함 일레영어가 토성의 원일점 부근을 관측하던 중 이 성단을 발견했다고 기록했다. 윌리엄 헨리 스미스는 1665년 이전에 요하네스 헤벨리우스가 발견했다는 설을 제시했지만, 일레와 헤벨리우스는 서로 긴밀하게 연락을 취하고 있었으므로 스미스의 설은 신빙성이 낮다. 1716년 핼리는 "이 성단은 동지점에 가깝고 작으며 밝게 빛난다"고 기록했다.2. 2. 현대의 관측
적외선 천문 위성 IRAS의 관측 결과, 이 성단 안에서 행성상 성운이 발견되었다. 이는 M15에 이어 구상 성단으로는 두 번째 발견 사례이다.1999년 2월부터 6월까지, 허블 우주 망원경은 이 성단의 앞을 가로지르는 행성 크기 천체에 의한 중력 마이크로렌즈 효과를 관측했다.
3. 특징
M22는 M13에 필적하는 밝기를 가지고 있어, 관측 조건이 좋으면 맨눈으로도 볼 수 있다. 쌍안경으로 관측하면 둥글고 밝은 모습을 볼 수 있으며, 구경 8cm 이상의 망원경으로는 주변부에 흩어져 있는 별들을 관측할 수 있다. 구경 30cm 이상의 망원경을 사용하면 모든 별이 분리되어 보인다.
3. 1. 물리적 특징
메시에 22는 황도에서 1도밖에 떨어져 있지 않아, 종종 행성에 의한 엄폐를 관측할 수 있다.밝기는 M13에 필적하며, 조건이 좋으면 육안으로도 확인할 수 있다. 쌍안경으로도 둥글고 밝게 보인다. 구경 8cm 정도의 망원경으로도 충분히 밝기 때문에 배율을 올려보면 흩어져 있는 주변부의 별들이 보이고, 중앙부의 별도 보이기 시작한다. 중앙부의 별을 분리하려면 구경 15cm 정도의 망원경이 필요하다. 구경 30cm 이상에서는 모든 별이 뭉개지지 않고 분리되어 볼 수 있다. 보이는 모습이 하늘의 조건에 상당히 영향을 받는 천체로, 조건만 좋다면 소구경으로도 꽤 볼만한 모습을 볼 수 있다.
적외선 천문 위성 IRAS의 관측으로, 이 성단 안에서 행성상 성운이 발견되었는데, 이는 M15에 이어 구상 성단으로는 두 번째 발견 사례이다.
1999년 2월부터 6월에 걸쳐, 이 성단의 앞을 가로지르는 행성 크기의 천체에 의한 중력 마이크로렌즈 효과가 허블 우주 망원경에 의해 관측되었다.
4. 갤러리
참조
[1]
문서
trigonometry
[2]
서적
Burnham's Celestial Handbook vol.3
Dover
1978
[3]
간행물
Annus II. Ephemeridum Motuum Coelestium Ad Annum Aerae Christianae M. DC. LXXXII. …
Heirs of Friedrich Lanckisch
1682
[4]
논문
The Mass-Spectrum Relation for Giant Stars in the Globular Cluster Messier 22
1930
[5]
논문
Color-magnitude diagram for the globular cluster M22
1959
[6]
논문
Cyanogen strengths and ultraviolet excesses of evolved stars in 17 globular clusters from DDO photometry
1977
[7]
논문
On the Question of a Metallicity Spread in Globular Cluster M22 (NGC 6656)
2004
[8]
논문
IRAS 18333-2357 – an unusual source in M22
1986
[9]
논문
The peculiar planetary nebula in M22
https://authors.libr[...]
1989
[10]
웹사이트
Astronomers discover twin black holes
http://www.abc.net.a[...]
Australian Broadcasting Corporation
2012-10-04
[11]
논문
Two stellar-mass black holes in the globular cluster M2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