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메시에 60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메시에 60(M60)은 E1.5형의 타원 은하로, 처녀자리 은하단에 속하며, 45억 태양 질량의 초대질량 블랙홀을 가지고 있다. 1779년 요한 고트프리트 쾨hler에 의해 발견되었으며, 2004년에는 Ia형 초신성 SN 2004W가 관측되었다. M60은 주변에 NGC 4647과 같은 다른 은하들과 상호 작용을 하는 것으로 보이며, M60-UCD1과 같은 위성 은하를 포함하는 M60 그룹의 지배적인 구성원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779년 발견한 천체 - 고리 성운
    고리 성운은 거문고자리 방향으로 2,300광년 떨어진 행성상성운으로, 1779년에 발견되었으며, 중심에 백색 왜성이 있고 팽창하며 다양한 색상의 방출선을 보인다.
  • 1779년 발견한 천체 - 메시에 67
    메시에 67은 게자리에 위치한 산개 성단으로, 태양과 비슷한 나이의 별들을 다수 포함하고 있어 태양 기원 연구에 중요한 자료가 되며, 외계 행성을 가진 별도 존재한다.
  • 처녀자리 은하단 - 메시에 91
    메시에 91은 샤를 메시에가 발견한 막대나선은하로, 처녀자리 은하단에 속하며 약 5200만 ~ 5800만 광년 거리에 있고, 우리 은하를 향해 접근하며 빈혈 은하라는 특징을 갖는다.
  • 처녀자리 은하단 - 메시에 85
    메시에 85는 머리털자리에 있는 렌즈형 은하로, 특이한 구조와 은하 병합 흔적을 지니며, 다른 은하들과 상호작용하고 초신성 및 밝은 적색 신성이 관측되었다.
  • 타원은하 - 스테빈스-휫퍼드 효과
  • 타원은하 - 메시에 105
    사자자리에 위치한 메시에 105는 렌즈형 은하와 유사한 막대 나선 은하로, 사자자리 은하단의 구성원이며 초대질량 블랙홀과 특이한 가스 원반, 늙은 별들로 이루어져 있고 작은 망원경으로도 관측 가능하다.
메시에 60
기본 정보
M60과 주변 영역, 하단 근처에 있는 초소형 왜소 은하 M60-UCD1 포함
M60과 주변 영역, 초소형 왜소 은하 포함
별칭M60, NGC 4649, PGC 42831, UGC 7898
별자리처녀자리
형태E1.5 또는 S0
적경'12h 43m 40.008s'
적위+11° 33′ 09.40″
적색 편이0.003726
시선 속도1108 km/s
거리약 5666만 광년 (17.38 Mpc)
겉보기 등급8.8
크기7.4′ × 6.0′
은하단처녀자리 은하단
식별 부호
NGC4649
관측 데이터
종류타원 은하
겉보기 크기7' × 6'
발견
발견일1779년 4월 11일
발견자요한 고트프리트 쾰러(Johann Gottfried Koehler)
발견 방법망원경 관측

2. 특징

메시에 60(M60)은 처녀자리 방향으로 약 6,000만 광년 떨어져 있는 타원 은하이다. 렌즈상 은하로 분류되기도 한다. M60은 E2형 은하로, 약 20% 정도 납작하며, 거의 둥근 모양을 하고 있다. 은하의 등광선은 단순한 타원 모양이 아닌 상자 모양을 띈다. 질량-광도비는 UBV 시스템의 V (시각) 밴드에서 거의 일정한 9.5이다. 유효 반경 내에서 약 10 kpc에 해당하며, 세 배 부피 내에서 약 1012 태양 질량의 추정 질량을 가진다. 이 중 거의 절반이 암흑 물질이다. X선 천문학에서 추정한 질량은 유효 반경의 5배 이내에서 이다.

M60은 거대한 은하로, 희미한 구상 성단으로 둘러싸여 있다. 할턴 아프는 M60이 NGC 4647에 접근하여 교란을 일으키는 은하라고 보았으며, 1966년 아프 아틀라스에서 Arp 116으로 다루었다. M60은 처녀자리 은하단에서 큰 타원 은하 중 하나이며, 2000년 허블 우주 망원경 관측 결과 중심부에 태양 질량의 약 20억 배에 달하는 천체가 존재함을 확인했다.

쌍안경으로도 관측이 가능하지만 쉽지 않다. 10cm 망원경에 80배 정도의 넓은 시야를 가진 아이피스를 사용하면 M59와 함께 시야에 들어온다. 20cm 망원경으로는 NGC 4647도 관측 가능하다. 30cm 망원경으로는 M59, M60 주위에 5개의 은하가 모여 있는 모습을 볼 수 있다.

2. 1. 초대질량 블랙홀

M60의 중심에는 의 초대질량 블랙홀(SMBH)이 있으며, 이는 역대 발견된 것 중 가장 큰 것 중 하나이다. 현재는 비활성 상태이다. 은하에서 방출되는 X선은 과거 활동 기간 동안 블랙홀이 방출한 제트에 의해 생성된 공동을 보여주며, 이는 약한 전파 로브에 해당한다. 이러한 특징을 생성하는 데 필요한 일률은 (초당 에르그) 범위이다.

2. 2. 초신성

2004년, 초신성 ''SN 2004W''가 메시에 60에서 관측되었다.[1] 이 초신성은 핵에서 서쪽으로 51.6arcsecond, 남쪽으로 78.7arcsecond 떨어진 곳에서 발견된 Ia형 초신성이다.[2]

릭 천문대에서 2004년 1월 28일에 Ia형 초신성 SN 2004W를 관측하였다.

3. 환경

M60은 처녀자리 은하단에서 세 번째로 밝은 거대 타원 은하이며, 네 개의 은하로 구성된 M60 그룹의 지배적인 구성원이다. M60 그룹은 가장 가까운 고립된 조밀 은하 그룹으로 알려져 있다. M60은 여러 개의 위성 은하를 가지고 있으며, 그 중 하나는 2013년에 발견된 초소형 왜소 은하 M60-UCD1이다. M60이 은하단 매질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은하의 외부 헤일로에서 반경 12km 이상 떨어진 가스가 램 압력 벗기기를 겪고 있다.

M60은 거대한 은하로, 그 주위에는 매우 희미한 구상 성단이 둘러싸고 있다. 2000년 허블 우주 망원경 관측에서는 태양의 약 20억 배의 질량이 중심부에 존재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쌍안경으로 포착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꽤 어렵다. 구경 10cm 망원경으로 80배 정도의 넓은 시야를 가진 아이피스를 사용하면 M59와 같은 시야로 포착할 수 있다. 구경 20cm 망원경으로는 인접한 NGC 4647도 볼 수 있다. 구경 30cm 망원경으로는 M59, M60 주위에 5개나 되는 은하가 집중되어 있는 모습을 볼 수 있다.

2004년 1월 28일, Ia형 초신성 SN 2004W가 릭 천문대에서 관측되었다.

3. 1. NGC 4647과의 관계

M60은 처녀자리 은하단에서 세 번째로 밝은 거대 타원 은하이며, 네 개의 은하로 구성된 M60 그룹의 지배적인 구성원이다. M60은 여러 개의 위성 은하를 가지고 있으며, 그 중 하나는 2013년에 발견된 초소형 왜소 은하 M60-UCD1이다.

NGC 4647은 메시에 60에서 약 2.5′ 떨어진 곳에 위치하며, 두 은하의 광학적 디스크가 겹쳐져 있다. 이러한 겹침은 두 은하가 상호 작용하고 있음을 시사하지만, 두 은하의 사진 이미지에서는 두 은하가 물리적으로 가깝게 위치해 있다면 나타날 중력 상호 작용의 증거가 보이지 않는다. 이는 두 은하가 서로 다른 거리에 있으며, 상호 작용이 약하거나 아예 없을 수 있음을 시사한다. 그러나 허블 우주 망원경을 이용한 연구 결과, 조석 상호 작용이 막 시작되었을 수 있다는 징후가 나타났다.

할턴 아프는 M60이 NGC 4647에 접근하여 교란을 일으키는 은하라고 하여, 1966년의 아프 아틀라스에서 Arp 116으로 다루고 있다.

4. 관측사

에드윈 허블은 1929년 논문에서 후퇴 속도와 거리의 관계를 다루면서 메시에 60을 가장 빠른 속도로 움직이는 은하로 포함시켰다.[2] 허블은 후퇴 속도를 1090 km/s로 사용했는데, 이는 최근 값인 약 1110 km/s (적색 편이 0.003726 기준)보다 1.8% 적은 값이다. 그러나 그는 이 은하의 거리를, 처녀자리 은하단의 세 성운 (메시에 85, 49, 87)과 마찬가지로 200만 파섹으로 추정했는데, 이는 현재 값인 약 1600만 파섹과는 차이가 있다. 이러한 거리 오차 때문에 그는 허블 상수를 500 km/s/Mpc로 제안했지만, 현재 추정치는 약 70 km/s/Mpc이다.

1779년 4월 11일, Johann Gottfried Koehler|요한 고트프리트 쾨hler|요한 고트프리트 쾰러영어는 혜성을 관측하던 중 M59와 함께 메시에 60을 발견했다. 그 다음 날, 이탈리아 천문학자 Barnaba Oriani|바르나바 오리아니|바르나바 오리아니영어는 M59는 놓쳤지만, M60을 독립적으로 발견했다. 쾰러의 발견 4일 후인 4월 15일에는 샤를 메시에가 M58과 M59를 동시에 발견했다. 메시에는 "M58, M59보다 더 선명하다. 3개의 성운에는 별이 포함되어 있지 않다"라고 기록했다. 윌리엄 헨리 스미스는 "이중 성운. 중심 거리는 2'~3'. 선행하는 쪽은 매우 희미하다. 밝은 쪽이 뒤따른다. 1779년 메시에의 기록은 불완전하다. 북쪽과 남쪽에 각각 별 하나씩 배치되어 있으며, 93배 시야는 작은 성운으로 북적거린다. M59의 북서쪽은 가장자리와 상단에 작은 쪽이 보이며, 실제로 4개의 성운이 한 번에 보인다"라고 기록했다. 웹은 "이중 성운으로 뒤따르는 쪽은 극도로 희미하여 3.7인치로는 보이지 않는다. 넓은 시야에서 M59의 북서쪽과 남서쪽에 흐릿한 것이 보인다"고 했다.

5. 관측

에드윈 허블은 1929년 논문에서 후퇴 속도와 거리의 관계를 다루면서 메시에 60을 가장 빠른 속도로 움직이는 은하로 포함했다.[2] 허블은 후퇴 속도 값으로 1090km/s를 사용했는데, 이는 최근 값인 약 1110km/s (적색 편이 0.003726 기준)보다 1.8% 적은 값이다. 그러나 그는 이 은하의 거리를 200만 파섹으로 추정했는데, 이는 현재 받아들여지는 약 1600만 파섹과는 차이가 있다.

쌍안경으로 포착하는 것은 꽤 어렵다. 구경 10cm 망원경에 80배 정도의 넓은 시야를 가진 아이피스를 사용하면 M59와 같은 시야로 포착할 수 있다. 구경 20cm 망원경으로는 인접한 NGC 4647도 볼 수 있다. 구경 30cm 망원경으로는 M59, M60 주위에 5개나 되는 은하가 집중되어 있는 모습을 볼 수 있다.

2004년 1월 28일, Ia형 초신성 SN 2004W가 릭 천문대에서 관측되었다.

참조

[1] 웹사이트 Messier 60 https://messier.seds[...] 2022-04-29
[2] 논문 A relation between distance and radial velocity among extra-galactic nebulae 192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