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시에 91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메시에 91은 1781년 샤를 메시에가 발견한 막대나선은하로, 처녀자리 은하단에 속해 있으며 약 5200만 ~ 5800만 광년 거리에 있다. 메시에가 위치를 잘못 기록하여 한동안 잃어버린 천체로 여겨졌으나, 1969년 윌리엄 C. 윌리엄스에 의해 재확인되었다. 우리 은하를 향해 접근하는 특이한 속도와 빈혈 은하라는 특징을 갖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처녀자리 은하단 - 메시에 85
메시에 85는 머리털자리에 있는 렌즈형 은하로, 특이한 구조와 은하 병합 흔적을 지니며, 다른 은하들과 상호작용하고 초신성 및 밝은 적색 신성이 관측되었다. - 처녀자리 은하단 - 암흑물질 은하
NGC 4388은 켄타우루스자리에 위치한 나선 은하로, 활발한 은하핵을 가지며 별 형성 활동이 활발하고, 처녀자리 은하단에 속하여 다양한 환경적 요인과 상호작용하며 연구되고 있다. - 1781년 발견한 천체 - 천왕성
천왕성은 태양계 일곱 번째 행성으로, 가스 행성 중 가장 가볍고 밀도가 낮으며, 암석 핵, 얼음 맨틀, 수소와 헬륨 대기층으로 구성되어 있고, 98도 기울어진 자전축, 낮은 내부 열, 희미한 고리, 비대칭적인 자기장, 27개의 위성을 가지고 있다. - 1781년 발견한 천체 - 메시에 109
메시에 109는 큰곰자리에 있는 막대 나선 은하로, 메시에 목록에서 가장 멀리 떨어져 있으며 M109 그룹의 가장 밝은 은하이고, 위성 은하를 거느리고 있으며 초신성 SN 1956A가 관측되었다. - 머리털자리 - NGC 4414
NGC 4414는 1974년, 2013년, 2021년, 2023년에 각각 발견된 4개의 초신성(SN 1974G, SN 2013df, SN 2021J, SN 2023hlf)이 관측된 은하이다. - 머리털자리 - 생쥐 은하
메시에 91 | |
---|---|
기본 정보 | |
![]() | |
메시에 번호 | M91 |
NGC | NGC 4548 |
UGC | UGC 7753 |
PGC | PGC 41934 |
별자리 | 머리털자리 |
형태 | SBb(rs) 막대나선은하 |
적색편이 | 0.001644 |
시선 속도 | 492 km/s |
거리 | 6,000만 광년 (약 18 Mpc) |
겉보기 등급 | 10.2 |
시직경 | 5.4' × 4.3' |
발견일 | 1781년 3월 18일 |
발견자 | 샤를 메시에 |
발견 방법 | 망원경을 이용한 관측 |
특징 | |
종류 | LINER, 활동 은하 핵 |
2. 발견 및 관측 역사
샤를 메시에는 1781년 3월 18일에 이 천체를 발견하고 별이 없는 성운이며, M90보다 희미하다고 묘사했다.[5][6] 그러나 메시에가 M91의 위치를 잘못 기록하는 바람에 오랫동안 이 천체의 실체가 확인되지 않았다.
2. 1. 메시에의 위치 오류
메시에가 M91의 위치를 계산할 때 M58을 기준으로 삼으려 했지만, 실수로 M89를 기준으로 삼아 오류가 발생했다.[5][6] 이로 인해 M91은 오랫동안 잃어버린 천체로 여겨졌다. 1969년 텍사스 주 포트워스의 아마추어 천문가 윌리엄 C. 윌리엄스에 의해 이 오류가 지적되었고, 21세기 현재는 NGC 4548이 M91이라는 설이 받아들여지고 있다.윌리엄스는 잃어버린 메시에 천체의 적경과 적위를 근처 은하 M89(각도상으로 근처에 주목할 만한 기준 별이 드물다)와 비교하여 측정함으로써 그 위치를 밝혀냈다. 이는 메시에가 1778년에 기록한 9등급 은하 M58이 아닌, 수정된 밤하늘의 "별 찾기" 기준점이었다. 이 기준점은 메시에의 수치와 적경에서 0.1 각분 (), 적위에서 1만큼 일치하며, 이는 1도의 60분의 1에 해당한다.
NGC 4548은 1784년 4월 8일에 윌리엄 허셜에 의해 독립적으로 발견되었다.
NGC 4548로 동일시되기 전에는 뛰어난 혜성 사냥꾼인 메시에가 은하와 혜성을 착각했다는 설, M58을 중복해서 세었다는 설, NGC 4571이라는 설 등이 후보로 거론되었다.
2. 2. 윌리엄스의 재발견
1969년, 텍사스 주 포트워스의 아마추어 천문가 윌리엄 C. 윌리엄스는 샤를 메시에가 M91의 위치를 계산할 때 M58을 기준으로 삼으려 했으나, 실수로 M89를 기준으로 삼았다는 오류를 지적했다. 윌리엄스는 M89가 각도상으로 근처에 주목할 만한 기준 별이 드물기 때문에, 메시에가 1778년에 기록한 9등급 은하 M58이 아닌 M89를 기준으로 잃어버린 메시에 천체의 적경과 적위를 측정하여 그 위치를 밝혀냈다. 이 수정된 밤하늘의 "별 찾기" 기준점은 메시에의 수치와 적경에서 0.1 각분(′), 적위에서 1′로 일치하며, 이는 1도의 60분의 1에 해당한다.윌리엄스의 발견 이후, 21세기 현재는 NGC 4548이 M91이라는 설이 받아들여지고 있다. 참고로 NGC 4548은 1784년 4월 8일에 윌리엄 허셜에 의해 독립적으로 발견되었다.
NGC 4548로 동일시되기 전에는 뛰어난 혜성 사냥꾼인 메시에가 은하와 혜성을 착각했다는 설, M58을 중복해서 세었다는 설, NGC 4571이라는 설 등이 후보로 거론되었다.
2. 3. 윌리엄 허셜의 독립적 발견
윌리엄 허셜은 1784년에 같은 천체를 관측했다.[5][6]3. 특징
메시에 91은 1997년 세페이드 변광성 관측을 통해 처녀자리 은하단의 구성원임이 확인되었으며, 그 거리는 약 5260만 광년으로 추정된다.[5] 막대 구조가 매우 뚜렷하게 나타나며, 북쪽 방향에서 동쪽으로 측정했을 때 위치각이 65도에서 245도 사이로 관측된다.[5]
3. 1. 특이한 속도
메시에 91은 처녀자리 은하단 내에서 우리 은하를 향해 약 700km/s의 특이한 속도로 접근하고 있다.[5] 이는 은하단의 후퇴 속도와 상쇄되어 관측되는 후퇴 속도는 약 400km/s로 줄어든다.[5] 다른 자료에서는 후퇴 속도를 803km/s로 제시하고 있다.[7]3. 2. 빈혈 은하
메시에 91은 빈혈 은하로 분류되는데, 이는 다른 유형의 은하에 비해 별 생성과 가스 함량이 적은 나선 은하를 의미한다.[8][9]4. 천문학적 의의
메시에 91은 1997년에 세페이드 변광성을 관측하여 처녀자리 은하단에 속한다는 것이 확인되었으며, 그 거리는 으로 추정된다.[5]
막대 구조가 매우 뚜렷하게 나타나며, 북쪽 방향에서 동쪽으로 측정했을 때 위치각이 65도에서 245도 사이로 관측된다.[5]
처녀자리 은하단 내에서 우리를 향한 특이한 (국소적) 속도, 즉 약 700km/s의 반대 방향 속도가 존재하는데, 이는 약 1100km/s의 은하단 후퇴 속도와 상쇄되어 관측되는 후퇴 속도가 단지 약 400km/s에 불과하게 만든다.[5] 다른 자료에서는 후퇴 속도를 803km/s로 제시하고 있다.[7]
메시에 91은 또한 빈혈 은하로 분류되는데, 이는 다른 유형의 은하에 비해 별 생성과 가스 함량이 적은 나선 은하를 의미한다.[8][9]
참조
[1]
웹사이트
NASA/IPAC Extragalactic Database
http://nedwww.ipac.c[...]
2006-12-13
[2]
논문
The SBF Survey of Galaxy Distances. IV. SBF Magnitudes, Colors, and Distance
2001
[3]
웹사이트
Messier 91
https://messier.seds[...]
2022-04-30
[4]
간행물
Letter
http://messier.seds.[...]
Sky and Telescope
1969-12
[5]
웹사이트
Messier 91
http://messier.seds.[...]
Students for the Exploration and Development of Space
2011-04-14
[6]
웹사이트
Messier 91
http://www.universet[...]
2010-04-14
[7]
웹사이트
Virgo cluster
http://www.atlasofth[...]
[8]
논문
Kinematics of the anemic cluster galaxy NGC 4548. Is stripping still active?
1999
[9]
논문
Molecular Hydrogen Deficiency in H I-poor Galaxies and its Implications for Star Formation
2009
[10]
웹인용
NASA/IPAC Extragalactic Database
http://nedwww.ipac.c[...]
2006-12-13
[11]
저널
The SBF Survey of Galaxy Distances. IV. SBF Magnitudes, Colors, and Distances
http://adsabs.harva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