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금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명금류는 참새목에 속하는 조류의 한 분류군으로, 발성 기관인 사륜이 발달하여 다양한 소리를 낼 수 있는 특징을 지닌다. 2019년 연구에 따르면, 덤불새과와 금조과를 포함하는 기저 분류군, 까마귀하목, 참새하목으로 나뉜다. 명금류는 노래를 통해 영역 표시, 구애, 의사소통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며, 수컷은 암컷을 유인하기 위해 노래 레퍼토리를 넓히는 경향이 있다. 깃털이 두꺼워 추운 환경에서도 체온을 유지할 수 있으며, 한국에도 다양한 종류의 명금류가 서식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명금류 - [생물]에 관한 문서 | |
---|---|
일반 정보 | |
![]() | |
학명 | Passeri |
명명자 | Linnaeus, 1758 |
아목 | 참새목 |
영명 | Songbird (송버드) |
일본어 | 鳴禽類 (めいきんるい) 메이킨루이 |
한국어 | 명금류 (鳴禽類) |
분류 | |
기저 분류군 | 덤불새과 (Atrichornithidae) 금조과 (Menuridae) 나무타기과 (Climacteridae) 바우어새과 (Ptilonorhynchidae) 요정굴뚝새과 (Maluridae) 수염솔새과 (Dasyornithidae) 보석새과 (Pardalotidae) 오스트레일리아솔새과 (Acanthizidae) 꿀빨기새과 (Meliphagidae) 오스트레일리아꼬리치레과 (Pomatostomidae) 나무달리기딱새과 (Orthonychidae) 크네모필루스과 (Cnemophilidae) 멜라노카리스과 (Melanocharitidae) 카라이아과 (Callaeidae) 스티치과 (Notiomystidae) |
하목 | 까마귀하목 (Corvides) 참새하목 (Passerides) |
진화 | |
화석 범위 | 초기 에오세 ~ 현재 (5600만년 전 ~ 0년 전) |
2. 계통 분류
명금류의 계통 분류는 2019년 올리버로스(Oliveros) 등의 연구[25][26][27]에 기반하며, 크게 덤불새류와 참새아목으로 나뉜다. 참새아목은 다시 까마귀하목과 참새하목으로 나뉜다.
시블리-알퀴스트 분류에서는 명금류를 Corvida와 Passerida로 나누었으나, 이후 분자 연구 결과에 따르면 이는 오류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Corvida"는 측계통군으로 밝혀져 현재는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15]
명금류의 기원과 초기 진화는 오스트레일리아 대륙과 관련이 깊은 것으로 추정된다.[5] 붉은관목새와 굴뚝새는 가장 오래된 명금류 계통을 대표한다.[17]
2. 1. 하위 분류
명금류는 크게 명금류 기저 분류군, 까마귀하목, 참새하목으로 나뉜다.- '''명금류 기저 분류군'''
- * 덤불새과 (Atrichornithidae)
- * 금조과 (Menuridae)
- * 나무타기과 (Climacteridae)
- * 바우어새과 (Ptilonorhynchidae)
- * 요정굴뚝새과 (Maluridae)
- * 수염솔새과 (Dasyornithidae)
- * 보석새과 (Pardalotidae)
- * 오스트레일리아솔새과 (Acanthizidae)
- * 꿀빨기새과 (Meliphagidae)
- * 오스트레일리아꼬리치레과 (Pomatostomidae)
- * 통나무발발이과 또는 나무달리기딱새과 (Orthonychidae)
2. 1. 1. 덤불새류
- 덤불새과 (Atrichornithidae)
- 금조과 (Menuridae)
2. 1. 2. 참새아목
Passeri영어 또는 참새하목은 명금류의 두 주요 계통 중 하나이다. 과거에는 아목으로 분류되어 참새아목으로 번역되기도 했다. Menurae영어 계통의 위치는 오랫동안 논쟁의 대상이었으나, 명관과 등골의 특징으로 Passeres영어와 근연 관계에 있으며, 이 둘을 합쳐 참새아목(Passeri영어)이 되었다.과거의 시블리-알퀴스트 분류에서는 참새하목을 까마귀소목과 참새소목으로 나누었다. 참새소목은 몇 차례 수정을 거쳐 현재에도 널리 사용되지만, 까마귀소목은 기저적인 측계통군이어서 현재는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 참새소목과 까마귀소목을 자매군이 되도록 재정의하는 경우도 있지만, 이 협의의 까마귀소목의 단계통군성은 최근 다시 의문시되고 있다.[20]
Irestedt & Ohlson (2008)[20]에 따르면, 기존에 지지받던[21][22] 좁은 의미의 까마귀 소목 (까마귀상과 + 파푸아꿀벌레과 + 극락조모이과 + 뉴질랜드휘파람새과 + 아마도 흰수염꿀빨기새과)의 단일 계통성은 부정되었다. 흰수염새과[23]와 흰수염꿀빨기새과[24]의 위치는 다른 연구에 의한 것이다.
참새하목은 다음과 같이 분류된다.
명금류는 사륜이라는 발성 기관이 고도로 발달되어 있어, 복잡하고 다양한 노래를 부를 수 있다. 사륜은 기관이 폐로 이어지는 분기 기관지 튜브와 만나는 곳에 위치하며, 뼈로 된 단단한 구조이다. 명금류의 노래 상자는 크기와 복잡성이 다양하지만, 이것이 반드시 새의 노래 능력을 결정하는 것은 아니다. 연구자들은 기관의 길이가 노래 능력과 더 관련이 있다고 믿는다.[8]
[1]
서적
IOC World Bird List 5.1
3. 특징
명금류의 노래는 영역 표시, 구애, 의사소통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수컷 명금류는 암컷을 유인하기 위해 더 크고 복잡한 노래 레퍼토리를 가지는 경향이 있으며, 이는 성 선택의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7] 일부 개체군에서는 암컷이 수컷의 노래 레퍼토리 규모에 따라 짝을 선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7] 수컷은 다른 수컷에게 우위를 주장하거나 암컷을 흥분시키기 위해 노래하며, 드물게 암컷도 짝과 듀엣으로 노래하기도 한다.[12]
나이팅게일이나 개개비처럼 다양한 노래를 부르는 종도 있지만, 까마귀처럼 거친 소리로 의사소통하는 종도 있다. 그러나 까마귀도 구애 시에는 부드러운 지저귐을 낸다.[9] 흉내지빠귀와 같이 다른 새의 소리나 환경 소리를 모방하는 데 능숙한 명금류도 있다.[9] 수컷 명금류는 구애 기간 동안 다른 종의 노래를 모방하여 레퍼토리를 늘리기도 하는데, 이는 짝짓기 성공과 긍정적인 관계가 있다.[13]
명금류는 깃털이 두꺼워 추운 환경에서도 체온을 유지할 수 있다. 깃털은 바깥 부분과 안쪽 부분으로 나뉘며, 안쪽의 솜털이 더 부드럽고 따뜻하여 보온성을 높인다.[10]
참조
[2]
웹사이트
Passeriformes. Perching Birds, Passerine Birds. Version 06 February 2013 (under construction).
http://tolweb.org/Pa[...]
2022-10-31
[3]
논문
Phylogeny and diversification of the largest avian radiation
[4]
논문
A new time tree reveals Earth history's imprint on the evolution of modern birds
2015
[5]
간행물
Where Song Began: Australia's Birds and How They Changed the World
Penguin Australia
[6]
서적
The Ascent of Birds
Pelagic Publishing
2018
[7]
논문
Female mate choice and songbird song repertoires
[8]
웹사이트
Songbird
https://www.britanni[...]
2020-12-02
[9]
웹사이트
The Northern Mockingbird: Nature's Copycat
https://fsuornitholo[...]
2011-12-11
[10]
논문
Elevation and body size drive convergent variation in thermo-insulative feather structure of Himalayan birds
[11]
논문
Potential trade-off between vocal ornamentation and spatial ability in a songbird
[12]
웹사이트
Songbird
https://www.britanni[...]
2020-12-02
[13]
논문
Female preferences drive the evolution of mimetic accuracy in male sexual displays
[14]
웹사이트
The Development of Birdsong
https://www.nature.c[...]
2020-12-02
[15]
문서
A Paleogene origin for crown passerines and the diversification of the Oscines in the New World
https://www.scienced[...]
[16]
웹사이트
Oscines. Songbirds. Version 31 July 2006 (under construction).
http://tolweb.org/Os[...]
2020-09-19
[17]
뉴스
How songbirds island-hopped their way from Australia to colonise the world
https://theconversat[...]
The Conversation
2016-08-31
[18]
논문
Total-evidence dating and the phylogenetic affinities of early fossil passerines
https://www.tandfonl[...]
2024-12-31
[19]
서적
Assembling the tree of life
オックスフォード大学出版局
[20]
논문
The division of the major songbird radiation into Passerida and ‘core Corvoidea’ (Aves: Passeriformes) — the species tree vs. gene trees
http://www.nrm.se/do[...]
[21]
논문
Phylogeny and diversification of the largest avian radiation
http://www.pnas.org/[...]
[22]
논문
African endemics span the tree of songbirds (Passeri): molecular systematics of several evolutionary ‘enigmas’
http://www.tc.umn.ed[...]
[23]
논문
Systematic placement of an enigmatic Southeast Asian taxon Eupetes macrocerus and implications for the biogeography of a main songbird radiation, the Passerida
http://rsbl.royalsoc[...]
[24]
논문
A new endemic family of New Zealand passerine birds: adding heat to a biodiversity hotspot
[25]
저널
Earth history and the passerine superradiation
[26]
웹인용
Family Index
https://www.worldbir[...]
International Ornithologists' Union
2021-02-19
[27]
저널
Earth history and the passerine superradiatio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