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까마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까마귀는 한국 문화에서 다양한 의미로 해석되는 조류이다. 약식의 유래와 삼족오 전설에 등장하며, 칠석날 오작교를 놓는 존재로 묘사되기도 한다. 시조의 소재로도 자주 사용되며, '까먹다'라는 표현과 유사한 이름 때문에 건망증의 상징으로 여겨지기도 한다. 대한민국에서는 불길한 존재로 인식되기도 하지만, 실제로는 깨끗한 습성을 지니고 있으며 높은 지능을 가진 조류이다. 현대 사회에서는 밀렵으로 인한 개체 수 감소, 떼까마귀 출몰로 인한 피해 등의 문제와 관련되기도 한다. 까마귀는 잡식성으로 다양한 먹이를 섭취하며, 고양이의 천적이기도 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41년 기재된 새 - 노란눈펭귄
    노란눈펭귄은 뉴질랜드 남섬과 아남극 제도에 서식하며 눈 주위에 노란색 깃털띠가 특징인 중간 크기의 펭귄으로, 멸종위기종으로 분류되어 보존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 1841년 기재된 새 - 아델리펭귄
    아델리펭귄은 젠투펭귄속에 속하며, 남극 대륙과 주변 열도에 분포하고, 검은색과 흰색 깃털, 눈가의 흰 고리 무늬가 특징이며, 남극크릴을 주로 먹고, 기후 변화 등의 위협을 받는 종이다.
  • 까마귀속 - 큰까마귀
    18세기에 린네에 의해 처음 기재된 큰까마귀는 참새목 중 가장 크고 무거운 종으로, 높은 지능과 문제 해결 능력을 지니며 다양한 문화권에서 상징적인 의미를 갖는다.
  • 까마귀속 - 송장까마귀
    송장까마귀는 까마귀과의 조류로, 검은색 깃털과 녹색 또는 보라색 광택을 띠며 유라시아 대륙 등에 분포하고 잡식성으로 곤충 등을 먹으며 높은 지능을 가진 영리한 동물이다.
  • 야생생물 보호 및 관리에 관한 법률상 수렵할 수 있는 야생동물 - 까치
    까치는 까마귀과에 속하는 조류로, 동아시아에 분포하며 흑백의 뚜렷한 색상 대비와 긴 꼬리가 특징이고, 잡식성이며 나뭇가지 등으로 둥지를 짓고, 한국에서는 길조로 여겨지며 높은 지능을 가진 새로 알려져 있다.
  • 야생생물 보호 및 관리에 관한 법률상 수렵할 수 있는 야생동물 - 청둥오리
    청둥오리는 북반구에 널리 분포하며 녹색 머리를 가진 수컷과 갈색 깃털의 암컷을 특징으로 하는 오리류로, 잡식성이며 집오리의 조상이고, 사육 및 사냥의 대상이 되기도 하며, 보전 문제가 있는 관심대상종이다.
까마귀
기본 정보
Corvus corone orientalis (아오모리, 일본)
학명Corvus corone orientalis
명명자Eversmann, 1841
동의어Corvus orientalis
까마귀속
송장까마귀
아종까마귀
향명(ko)까마귀
향명(en)Eastern carrion crow (동양 송장 까마귀)
향명(ja)(좁은 부리 까마귀)
향명(zh)小嘴乌鸦 (작은 부리 까마귀)
향명(mn)ᠬᠠᠷ᠎ᠠ
ᠬᠡᠷᠢᠶ᠎ᠠ (검은 까마귀)
대한민국 환경부 지정유해
크기500 mm
상태 기준IUCN
상태LC
분류
진핵생물
동물계
척삭동물문
아문척추동물아문
조강
하강신악하강
참새목
까마귀과
참고 자료
외부 링크Eastern Carrion Crow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까마귀
한반도의 생물다양성까마귀
대한민국 환경부유해 야생동물 정보

2. 한국 문화 속 까마귀

한국 문화에서 까마귀는 여러 가지 상징과 의미를 가진다.


  • 약식의 유래는 까마귀가 임금을 암살 위기에서 구했다는 설화에 기반할 정도로, 까마귀는 한국인에게 친숙한 동물이다.
  • 까마귀는 '까먹다'라는 표현과 비슷한 이름 때문에 건망증이나 문맹의 상징으로 여겨지기도 한다.[6] 그러나 실제로는 조류 중에서도 지능이 높은 편에 속한다. 자신에게 해를 끼치거나 도움을 준 사람을 기억하고, 도로 위에 호두를 놓고 차 바퀴에 깨지면 속살을 먹는 등 영리한 행동을 보인다.
  • 삼족오는 태양에 산다는 전설 속의 새로, 까마귀로 여겨지기도 한다.
  • 칠월칠석에는 까마귀와 까치오작교를 만들어 견우와 직녀를 만나게 했다는 설화가 전해진다.
  • '까마귀 노는 곳에 백로야 가지마라', '까마귀 검다하고 백로야 웃지마라' 등의 시조에도 까마귀가 자주 등장한다.
  • 2016년 말부터 수원시 팔달구 인계동을 비롯한 수원시내 지역에 떼까마귀 수천 마리가 출몰하는 현상이 나타났다. 이들은 보통 12월 초에 수원에 왔다가 며칠 뒤 울산 등 남부 지방으로 이동했지만, 화성시 봉담읍, 향남읍, 당수동, 입북동 등에 먹잇감이 풍부해지면서 수원에 계속 머무르게 되었다. 이로 인해 떼까마귀 배설물 피해가 발생하여 수원시에서 배상하기도 했다.
  • 1990년대 말에는 까마귀가 정력에 좋다는 속설 때문에 마리당 30만에 약재로 팔려 씨가 마를 뻔한 적도 있다.
  • 한국에서는 까마귀를 불길한 존재로 여기는 경향도 있다.
  • 몸 전체가 새까맣기 때문에[6] 씻지 않아 지저분한 사람을 '까마귀가 형님이라 하겠다'고 놀리는 속담도 있지만, 실제로는 까마귀는 몸을 깨끗하게 잘 씻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2. 1. 전통과 상징


  • 한반도에서는 전통음식 중 하나인 약식의 유래가 까마귀가 임금을 암살 위기에서 구했다는 설화에 근거할 정도로 친숙한 동물이다.
  • 태양에 산다는 전설 속의 삼족오는 까마귀로 여겨지기도 한다.
  • 칠월칠석날에 까마귀와 까치오작교를 만들어 견우와 직녀를 서로 만나게 했다는 설도 있다.
  • '까마귀 노는 곳에 백로야 가지마라', '까마귀 검다하고 백로야 웃지마라' 등의 시조에서 소재로 자주 사용된다.
  • 까마귀는 '까먹다'는 표현과 유사한 이름 때문에 건망증과 문맹의 상징으로 여겨지기도 한다.[6] 하지만 실제 까마귀의 지능은 조류 중 높은 편에 속하며, 자신을 괴롭히거나 구해주는 등 사람을 모두 기억하고, 도로 위에 호두를 놓고 껍데기가 바퀴에 깨지면 속살을 먹기도 한다.
  • 대한민국에서는 까마귀를 불길한 존재로 여기기도 한다.
  • 몸 전체가 새까맣기 때문에, 씻지 않아 지저분한 사람을 일컬어 '까마귀가 형님이라 하겠다.'는 속담이 있다. 하지만 실제로는 까마귀는 잘 씻는 편으로 알려졌다.

2. 2. 현대 사회와 까마귀

약식의 유래는 까마귀가 임금을 암살 위기에서 구했다는 설화에 근거할 정도로, 까마귀는 한반도에서 친숙한 동물이었다. 그러나 '까먹다'라는 표현과 유사한 이름 때문에 건망증과 문맹의 상징으로 여겨지기도 한다. 실제 까마귀의 지능은 조류 중 매우 높은 편으로, 자신에게 호의나 적의를 보인 사람을 기억하고, 도로 위에 호두를 놓고 차 바퀴에 깨지면 속살을 먹는 등 영리한 행동을 보인다.[6]

태양에 산다는 전설 속의 '삼족오'는 까마귀로 여겨지기도 하며, 칠월칠석날 까마귀와 까치오작교를 만들어 견우와 직녀를 만나게 했다는 설화도 있다. '까마귀 노는 곳에 백로야 가지마라', '까마귀 검다하고 백로야 웃지마라' 등의 시조에도 까마귀가 자주 등장한다.

2016년 말부터 수원시 팔달구 인계동을 비롯한 수원시내 지역에 떼까마귀 수천 마리가 출몰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이 떼까마귀는 보통 12월 초에 수원에 나타나 며칠 머문 뒤 울산 등 남부 지방으로 이동했으나, 인근 화성시 봉담읍, 향남읍, 당수동, 입북동 등에 먹잇감이 풍부해지면서 수원에 계속 머무르게 되었다. 이로 인해 떼까마귀 배설물 피해가 발생했고, 수원시에서 배상하기도 했다.

1990년대 말에는 까마귀가 정력에 좋다는 속설 때문에 밀렵꾼들에게 마리당 300000KRW에 팔려 씨가 마를 뻔한 사건도 있었다. 이는 생태계 보호의 중요성을 보여주는 사례이다.

대한민국에서는 까마귀를 불길한 존재로 여기는 인식이 있다. 몸 전체가 새까맣기 때문에[6] 씻지 않아 지저분한 사람을 '까마귀가 형님이라 하겠다'고 놀리는 속담도 있지만, 실제로는 까마귀는 깨끗하게 잘 씻는 동물로 알려져 있다.

3. 생태

까마귀는 잡식성으로, 고기, 채소, 과일 등 다양한 먹이를 먹는다. 고양이의 먹이를 빼앗기도 하며, 고양이의 천적 중 하나이다.

3. 1. 식성

까마귀는 잡식성으로 고기는 물론 채소과일도 먹는 등 다양하게 먹이를 먹는다. 가끔은 고양이의 먹이를 빼앗기도 해서, 고양이의 천적 중 하나이다.

참조

[1] 웹사이트 Eastern Carrion Crow https://archive.toda[...] Foundation for Ecological Security 2012-07-06
[2] 웹사이트 https://species.nibr[...]
[3] 백과사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4] 간행물 한반도의 생물다양성
[5] 웹사이트 Eastern Carrion Crow https://archive.toda[...] Foundation for Ecological Security 2012-07-06
[6] 문서 이것이 까마귀를 불길하다 여기는 이유 중 하나이다.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