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명도는 색상 공간에서 색의 밝기를 나타내는 속성이다. HSV 색 공간에서 명도는 0에서 100 사이의 값으로 표현되며, RGB 색 공간의 각 채널 값이 동일한 비율로 변화하여 표현된다. 먼셀 색상 체계, HCL 색 공간, CIELAB 색 공간 등에서는 명도가 무채색의 최대 및 최소 제한을 제약하며 색상과 채도와 관계없이 작동한다. HSL, HSV 색 공간에서는 명도 값은 색상과 채도에 상대적이며, 컴퓨터 기술 성능이 낮았던 시대에 만들어져 계산이 단순하지만 정밀도는 떨어진다. 디지털 이미지에서 명도는 색상, 채도와 함께 이미지의 중요한 속성으로 사용되며, 색 공간에 따라 명도 추출 결과가 달라질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측광학 - 람베르트 반사
람베르트 반사는 이상적인 난반사면의 특징으로 관찰 방향에 관계없이 동일한 휘도를 갖지만, 표면의 법선 방향과 이루는 각도에 따라 광도가 달라지는 반사 특성이며, 컴퓨터 그래픽스에서 확산 반사를 모델링하는 데 사용되고 빛뿐만 아니라 초음파와 같은 다른 파동에도 적용될 수 있다. - 측광학 - 감마 보정
감마 보정은 영상 시스템에서 빛의 강도를 비선형적으로 인코딩 및 디코딩하여 인간 시각의 비선형적 밝기 반응을 보완하고, 디스플레이 장치의 출력 특성을 조정하여 시각적으로 정확한 이미지를 얻는 데 사용되는 기술이다. - 색 - 보호색
보호색은 생물이 주변 환경과 유사한 색, 무늬, 형태 등으로 자신을 숨기는 위장 전략으로, 시각적 위장뿐 아니라 후각, 청각적 위장도 포함하며 포식자-피식자 간 공진화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 색 - 테라코타
테라코타는 점토를 구워 만든 다공성 재료로, 다양한 색상과 질감을 가지며 벽돌, 기와, 조각상, 건축 장식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고, 용도에 따라 표면 연마나 유약 처리가 필요하다.
명도 | |
---|---|
개요 | |
정의 | 빛의 밝고 어두운 정도를 나타내는 시각적인 인상 |
다른 이름 | 밝기 |
설명 | 색의 3속성 중 하나 색의 밝고 어두운 정도를 나타내는 속성 빛의 양과는 다른 개념으로, 인간의 시각에 의해 인지되는 주관적인 밝기 |
측정 | |
단위 | cd/m² (니트, nit) 피트-램버트 |
색상과의 관계 | |
설명 | 유채색의 경우, 명도가 높을수록 맑고 깨끗한 느낌을 주며, 낮을수록 탁하고 어두운 느낌을 줌 무채색의 경우, 흰색에 가까울수록 명도가 높고, 검은색에 가까울수록 명도가 낮음 |
광도와의 비교 (Photometry) | |
기호 | L |
SI 단위 | cd/m² |
차원 | JTL |
설명 | 측정 단위 표 |
기타 | |
관련 용어 | 색상 채도 색의 3속성 CIECAM02 |
2. 색 공간과 명도
HSV 색공간에서 명도는 0~100 사이의 값을 가지며, RGB 색공간에서는 빨강(R), 초록(G), 파랑(B) 채널값이 동일한 비율로 변화하여 표현된다. 명도 0은 가장 어두운 검정을 의미한다.
먼셀 색상 체계, HCL color space|HCL 색 공간영어, CIELAB 등 일부 색 공간에서는 명도(value)가 무채색의 최대 및 최소 제한을 제약하고 색상 및 채도와 관계없이 작동한다. 예를 들어 먼셀 밸류 0은 "순수한 검정", 10은 "순수한 흰색"이므로, 색상을 식별 가능한 색은 이 두 극단 사이의 값을 가진다.
HSL 색 공간과 HSV 색 공간은 표시되는 휘도가 특정 명도 값의 색상 및 채도에 상대적이므로, 명도 값이 실제 표시되는 휘도나 인지를 나타내는 것은 아니다. HSL, HSV 및 유사 공간은 단일 색상 선택/조정에 유용하나, 인지적으로 균일하지 않아 컴퓨터 기술 성능이 낮았던 시대에 계산 단순화를 위해 정밀도를 희생했다.
컬러 이미지에서 색상, 채도, 명도 등의 구성 요소 추출 시 색 공간에 따라 결과가 크게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sRGB 색 공간의 불꽃 이미지에서 CIELAB의 는 인지적 균일 명도를 나타내 원래 이미지와 유사하게 보인다. 반면, 루마는 유사하지만 고채도에서 차이가 나며, HSL의 과 HSV의 는 인지 명도 및 휘도와 관련하여 균일하지 않다.
아래 표는 주황색 기준 명도값 변화를 나타낸다.
웹 색상 | B 값 | HSB 좌표 | RGB 좌표 |
---|---|---|---|
#FF8800 | 100 | (32,100,100) | (255,136,0) |
#CC6D00 | 80 | (32,100,80) | (204,109,0) |
#995200 | 60 | (32,100,60) | (153,82,0) |
#663600 | 40 | (32,100,40) | (102,54,0) |
#331B00 | 20 | (32,100,20) | (51,27,0) |
#000000 | 0 | (0,0,0) | (0,0,0) |
2. 1. HSV 색 공간
HSV 색공간에서는 명도를 0~100 사이의 값을 갖는 명도값 B로 표현한다. RGB 색공간에서는 빨강(R), 초록(G), 파랑(B)의 채널값이 동일한 비율로 증가하거나 감소하여 명도를 표현한다.RGB 색공간의 명도값 뮤()는 다음의 수식으로 계산할 수 있다.
명도 0은 가장 어두운 상태이므로 오직 검정만을 의미한다.
HSL 색 공간과 HSV 색 공간에서는 표시되는 휘도는 특정 명도 값의 색상 및 채도에 상대적이다. 즉, 명도 값은 실제로 표시되는 휘도 또는 그 인지를 나타내는 것이 아니다. 두 시스템 모두 좌표에 3개의 구성 요소를 사용하며, 많은 3개의 구성 요소를 동일한 색상에 매핑할 수 있다.
HSV 색 공간에서 값이 0인 모든 트리플은 순수한 검정색이다. 색상과 채도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경우 값을 키우면 휘도가 증가하고, 값 1이 특정 색상과 채도에서 가장 밝은 색상이 된다. HSL도 마찬가지지만, 명도 1의 모든 트리플이 순수한 흰색이라는 점이 다르다. 두 모델 모두 모든 순수한 포화 색상은 동일한 명도 또는 값을 나타내지만, 이는 색상에 의해 결정되는 표시되는 휘도와는 관련이 없다. 즉, 명도의 값이 특정 숫자로 설정되어 있어도 노란색은 파란색보다 휘도가 높아진다.
HSL 색 공간, HSV 색 공간 및 유사한 공간은 단일 색상을 선택하거나 조정하는 데 충분한 역할을 하지만, 인지적으로 균일하지 않다. 이는 컴퓨터 기술의 성능이 낮았던 시대에 만들어졌기 때문에 계산이 단순한 반면 정밀도를 희생했다.
컬러 이미지에서 색상, 채도, 명도와 같은 구성 요소를 추출하는 경우 색 공간에 따라 크게 다른 결과가 나올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음 불꽃 이미지를 보자(그림 1). 원본 이미지는 sRGB 색 공간의 컬러 이미지이다. HSL 색 공간의 과 HSV 색 공간의 는 인지의 명도에 균일하지 않으며, 휘도와 관련해서도 균일하지 않다.
아래의 표는 주황색을 기준으로한 명도값의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웹 색상 | B 값 | HSB 좌표 | RGB 좌표 |
---|---|---|---|
#FF8800 | 100 | (32,100,100) | (255,136,0) |
#CC6D00 | 80 | (32,100,80) | (204,109,0) |
#995200 | 60 | (32,100,60) | (153,82,0) |
#663600 | 40 | (32,100,40) | (102,54,0) |
#331B00 | 20 | (32,100,20) | (51,27,0) |
#000000 | 0 | (0,0,0) | (0,0,0) |
2. 2. 먼셀 색 체계
색 공간 또는 색상 체계 중 먼셀 색상 체계, HCL color space영어, CIELAB 등에서는 명도(value)가 무채색의 최대 및 최소 제한을 제약하며 색상 및 채도와 관계없이 작동한다. 예를 들어 먼셀 밸류 0은 "순수한 검정"이고, 먼셀 밸류 10은 "순수한 흰색"이다. 따라서 색상을 식별할 수 있는 색상은 이 두 극단 사이의 밸류를 가진다.[1]감산 혼색 모델(페인트, 염료, 잉크 등)에서는 흰색, 검정색 또는 회색을 각각 추가하여 다양한 색조를 통해 색상의 명도가 변화한다. 이 때문에 채도도 낮아진다.[1]
2. 3. HCL 색 공간


색 공간 또는 색상 체계 중 먼셀 색상 체계, HCL color space|HCL 색 공간영어, CIELAB 등에서는 명도(value)가 무채색에서 최대 및 최소 제한을 제약하고 색상 및 채도와 관계없이 작동한다. 예를 들어 먼셀 밸류 0은 "순수한 검정"이고 먼셀 밸류 10은 "순수한 흰색"이므로, 색상을 식별할 수 있는 색상은 이 두 극단 사이의 밸류를 가진다.
HSL 색 공간과 HSV 색 공간에서 표시되는 휘도는 특정 명도 값의 색상 및 채도에 상대적이다. 즉, 명도 값은 실제로 표시되는 휘도 또는 그 인지를 나타내는 것이 아니다. 두 시스템 모두 좌표에 3개의 구성 요소를 사용하며, 많은 3개의 구성 요소를 동일한 색상에 매핑할 수 있다.
HSV 색 공간에서 값이 0인 모든 트리플은 순수한 검정색이다. 색상과 채도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경우 값을 키우면 휘도가 증가하고, 값 1이 특정 색상과 채도에서 가장 밝은 색상이 된다. HSL도 마찬가지지만, 명도 1의 모든 트리플이 순수한 흰색이라는 점이 다르다. 두 모델 모두 모든 순수한 포화 색상은 동일한 명도 또는 값을 나타내지만, 이는 색상에 의해 결정되는 표시되는 휘도와는 관련이 없다. 즉, 명도의 값이 특정 숫자로 설정되어 있어도 노란색은 파란색보다 휘도가 높아진다.
HSL 색 공간, HSV 색 공간 및 유사한 공간은 단일 색상을 선택하거나 조정하는 데는 유용하지만, 인지적으로 균일하지 않다. 이는 컴퓨터 기술의 성능이 낮았던 시대에 만들어졌기 때문에 계산이 단순한 반면 정밀도를 희생했기 때문이다.
컬러 이미지에서 색상, 채도, 명도와 같은 구성 요소를 추출하는 경우 색 공간에 따라 매우 다른 결과가 나올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음 불꽃 이미지를 보자(그림 1). 원본 이미지는 sRGB 색 공간의 컬러 이미지이다. CIELAB 색 공간의 는 CIE XYZ 색 공간의 휘도 에서 유도된 인지적으로 균일한 명도를 나타낸다. 이는 인지되는 밝기가 원래 컬러 이미지와 유사하다. 루마 는 나 와 같은 일부 비디오 인코딩 시스템에서 감마 인코딩된 휘도 구성 요소이다. 이는 거의 유사하지만, 고채도에서 다르며, 선형 휘도의 무채색 신호 나 비선형의 명도 와도 매우 다르다. HSL 색 공간의 과 HSV 색 공간의 는 인지의 명도에 균일하지 않으며, 휘도와 관련해서도 균일하지 않다.
2. 4. CIELAB 색 공간
CIELAB 색 공간의 는 CIE XYZ 색 공간의 휘도 에서 유도된 인지적으로 균일한 명도를 나타낸다. 이는 인지되는 밝기가 원래 컬러 이미지와 유사하다.
2. 5. sRGB 색 공간
HSV 색공간에서는 명도를 0~100 사이의 값을 갖는 명도값 B로 표현한다. RGB 색공간에서는 빨강(R), 초록(G), 파랑(B)의 채널값이 동일한 비율로 증가하거나 감소하여 명도를 표현한다.컬러 이미지에서 색상, 채도, 명도와 같은 구성 요소를 추출하는 경우 색 공간에 따라 크게 다른 결과가 나올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의 불꽃 이미지를 보면, 원본 이미지는 sRGB 색 공간의 컬러 이미지이다. CIELAB 색 공간의 는 CIE XYZ 색 공간의 휘도 에서 유도된 인지적으로 균일한 명도를 나타낸다. 이는 인지되는 밝기가 원래 컬러 이미지와 유사하다. 루마 는 나 와 같은 일부 비디오 인코딩 시스템에서 감마 인코딩된 휘도 구성 요소이다. 이는 거의 유사하지만, 고채도에서 다르며, 선형 휘도의 무채색 신호 나 비선형의 명도 와도 크게 다르다. HSL 색 공간의 과 HSV 색 공간의 는 인지의 명도에 균일하지 않으며, 휘도와 관련해서도 균일하지 않다.
3. 명도와 색상
아래의 표는 명도값 B의 차이에 따른 색상의 변화를 비교한 것이다. 표 안의 좌표는 HSB 값이며, 비교를 위해 채도를 최댓값으로 고정하였다.
H | B=100 | B=75 | B=50 | B=25 |
---|---|---|---|---|
0 | (0,100,100) | (0,100,75) | (0,100,50) | (0,100,25) |
60 | (60,100,100) | (60,100,75) | (60,100,50) | (60,100,25) |
120 | (120,100,100) | (120,100,75) | (120,100,50) | (120,100,25) |
180 | (180,100,100) | (180,100,75) | (180,100,50) | (180,100,25) |
240 | (240,100,100) | (240,100,75) | (240,100,50) | (240,100,25) |
300 | (300,100,100) | (300,100,75) | (300,100,50) | (300,100,25) |
360 | (360,100,100) | (360,100,75) | (360,100,50) | (360,100,25) |
먼셀 색상 체계, HCL color space영어, CIELAB 등 일부 색 공간 또는 색상 체계에서는 명도(value)는 무채색에서 최대 및 최소 제한을 제약하고 색상 및 채도와 관계없이 작동한다. 예를 들어 먼셀 밸류 0은 "순수한 검정"이고 먼셀 밸류 10은 "순수한 흰색"이다. 따라서 색상을 식별할 수 있는 색상은 이 두 극단 사이의 밸류를 가진다.
감산 혼색 모델(페인트, 염료, 잉크 등)에서는 흰색, 검정색 또는 회색을 각각 추가하여 다양한 색조를 통해 색상의 명도가 변화한다. 이로 인해 채도도 낮아진다.
HSL 색 공간과 HSV 색 공간에서 표시되는 휘도는 특정 명도 값의 색상 및 채도에 상대적이다. 즉, 명도 값은 실제로 표시되는 휘도 또는 그 인지를 나타내는 것이 아니다. 두 시스템 모두 좌표에 3개의 구성 요소를 사용하며, 많은 구성 요소가 동일한 색상에 매핑될 수 있다.
HSV 색 공간에서 값이 0인 모든 조합은 순수한 검정색이다. 색상과 채도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경우 값을 키우면 휘도가 증가하고, 값 1이 특정 색상과 채도에서 가장 밝은 색상이 된다. HSL도 마찬가지지만, 명도 1의 모든 조합이 순수한 흰색이라는 점이 다르다. 두 모델 모두 모든 순수한 포화 색상은 동일한 명도 또는 값을 나타내지만, 이는 색상에 의해 결정되는 표시되는 휘도와는 관련이 없다. 즉, 명도의 값이 특정 숫자로 설정되어 있어도 노란색은 파란색보다 휘도가 높아진다.
HSL 색 공간, HSV 색 공간 및 유사한 공간은 단일 색상을 선택하거나 조정하는 데는 충분하지만, 인지적으로 균일하지 않다. 이는 컴퓨터 기술의 성능이 낮았던 시대에 만들어졌기 때문에 계산은 단순하지만 정밀도를 희생했다.
컬러 이미지에서 색상, 채도, 명도와 같은 구성 요소를 추출하는 경우 색 공간에 따라 크게 다른 결과가 나올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음 불꽃 이미지를 보자(그림 1). 원본 이미지는 sRGB 색 공간의 컬러 이미지이다. CIELAB 색 공간의 는 CIE XYZ 색 공간의 휘도 에서 유도된 인지적으로 균일한 명도를 나타낸다. 이는 인지되는 밝기가 원래 컬러 이미지와 유사하다. 루마 는 나 와 같은 일부 비디오 인코딩 시스템에서 감마 인코딩된 휘도 구성 요소이다. 이는 거의 유사하지만, 고채도에서 다르며, 선형 휘도의 무채색 신호 나 비선형 명도 와도 크게 다르다. HSL 색 공간의 과 HSV 색 공간의 는 인지적 명도에 균일하지 않으며, 휘도와 관련해서도 균일하지 않다.
4. 명도와 채도
HSV 색공간에서 색상값 H가 240인 파랑 계열 색의 명도값 B가 100(파랑)일 때와 75, 50(남색), 25로 변화할 때 채도의 변화에 따른 색상의 변화는 아래 표와 같다. 표 안의 좌표는 HSB 값이다. 채도가 낮을수록 같은 밝기의 무채색에 가까워진다.
S 값 | B=100 | B=75 | B=50 | B=25 |
---|---|---|---|---|
100 | (240,100,100) | (240,100,75) | (240,100,50) | (240,100,25) |
80 | (240,80,100) | (240,80,75) | (240,80,50) | (240,80,25) |
60 | (240,60,100) | (240,60,75) | (240,60,50) | (240,60,25) |
40 | (240,40,100) | (240,40,75) | (240,40,50) | (240,40,25) |
20 | (240,20,100) | (240,20,75) | (240,20,50) | (240,20,25) |
0 | (0,0,100) | (0,0,75) | (0,0,50) | (0,0,25) |
채도값 S가 0일 때는 무채색이 되므로 색상값 H는 0이 된다.
먼셀 색상 체계, HCL color space|HCL 색공간영어, CIELAB 등 일부 색 공간 또는 색상 체계에서는 명도(value)는 무채색에서 최대 및 최소 제한을 제약하고 색상 및 채도와 관계없이 작동한다. 예를 들어 먼셀 밸류 0은 "순수한 검정"이고 먼셀 밸류 10은 "순수한 흰색"이다. 따라서 색상을 식별할 수 있는 색상은 이 두 극단 사이의 밸류를 가진다.
감산 혼색 모델(페인트, 염료, 잉크 등)에서는 흰색, 검정색 또는 회색을 각각 추가하여 다양한 색조를 통해 색상의 명도가 변화한다. 이로 인해 채도도 낮아진다.
HSL 색 공간과 HSV 색 공간에서 표시되는 휘도는 특정 명도 값의 색상 및 채도에 상대적이다. 즉, 명도 값은 실제로 표시되는 휘도 또는 그 인지를 나타내는 것이 아니다. 두 시스템 모두 좌표에 3개의 구성 요소를 사용하며, 많은 3개의 구성 요소를 동일한 색상에 매핑할 수 있다.
HSV 색 공간에서 값이 0인 모든 조합은 순수한 검정색이다. 색상과 채도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경우 값을 키우면 휘도가 증가하고, 값 1이 특정 색상과 채도에서 가장 밝은 색상이 된다. HSL도 마찬가지지만, 명도 1의 모든 조합이 순수한 흰색이라는 점이 다르다. 두 모델 모두 모든 순수한 포화 색상은 동일한 명도 또는 값을 나타내지만, 이는 색상에 의해 결정되는 표시되는 휘도와는 관련이 없다. 즉, 명도의 값이 특정 숫자로 설정되어 있어도 노란색은 파란색보다 휘도가 높아진다.
HSL 색 공간, HSV 색 공간 및 유사한 공간은 단일 색상을 선택하거나 조정하는 데는 충분하지만, 인지적으로 균일하지 않다. 이러한 공간은 컴퓨터 기술의 성능이 낮았던 시대에 만들어졌기 때문에 계산이 단순한 반면 정밀도를 희생했다.
컬러 이미지에서 색상, 채도, 명도와 같은 구성 요소를 추출하는 경우 색 공간에 따라 크게 다른 결과가 나올 수 있다. 예를 들어 아래 불꽃 이미지를 보자(그림 1). 원본 이미지는 sRGB 색 공간의 컬러 이미지이다. CIELAB 색 공간의 는 CIE XYZ 색 공간의 휘도 에서 유도된 인지적으로 균일한 명도를 나타낸다. 이는 인지되는 밝기가 원래 컬러 이미지와 유사하다. 루마 는 나 와 같은 일부 비디오 인코딩 시스템에서 감마 인코딩된 휘도 구성 요소이다. 이는 거의 유사하지만, 고채도에서 다르며, 선형 휘도의 무채색 신호 나 비선형 명도 와도 크게 다르다. HSL 색 공간의 과 HSV 색 공간의 는 인지적 명도에 균일하지 않으며, 휘도와 관련해서도 균일하지 않다.
5. 디지털 이미지에서의 명도
먼셀 색 체계, HCL color space|HCL 색공간영어 등 일부 색 공간 또는 색상 체계에서 명도(value)는 무채색에서 최대 및 최소 제한을 제약하고 색상 및 채도와 관계없이 작동한다. 예를 들어 먼셀 밸류 0은 "순수한 검정"이고 먼셀 밸류 10은 "순수한 흰색"이다. 따라서 색상을 식별할 수 있는 색상은 이 두 극단 사이의 밸류를 가진다.
감산 혼색 모델(페인트, 염료, 잉크 등)에서는 흰색, 검정색 또는 회색을 각각 추가하여 다양한 색조를 통해 색상의 명도가 변화한다. 이로 인해 채도도 낮아진다.
HSL 색 공간과 HSV 색 공간에서는 표시되는 휘도는 특정 명도 값의 색상 및 채도에 상대적이다. 즉, 명도 값은 실제로 표시되는 휘도 또는 그 인지를 나타내는 것이 아니다. 두 시스템 모두 좌표에 3개의 구성 요소를 사용하며, 많은 3개의 구성 요소를 동일한 색상에 매핑할 수 있다.
HSV 색 공간에서 값이 0인 모든 트리플은 순수한 검정색이다. 색상과 채도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경우 값을 키우면 휘도가 증가하고, 값 1이 특정 색상과 채도에서 가장 밝은 색상이 된다. HSL도 마찬가지지만, 명도 1의 모든 트리플이 순수한 흰색이라는 점이 다르다. 두 모델 모두 모든 순수한 포화 색상은 동일한 명도 또는 값을 나타내지만, 이는 색상에 의해 결정되는 표시되는 휘도와는 관련이 없다. 즉, 명도의 값이 특정 숫자로 설정되어 있어도 노란색은 파란색보다 휘도가 높아진다.
HSL 색 공간, HSV 색 공간 및 유사한 공간은 단일 색상을 선택하거나 조정하는 데 충분한 역할을 하지만, 인지적으로 균일하지 않다. 이는 컴퓨터 기술의 성능이 낮았던 시대에 만들어졌기 때문에 계산이 단순한 반면 정밀도를 희생했다.
컬러 이미지에서 색상, 채도, 명도와 같은 구성 요소를 추출하는 경우 색 공간에 따라 크게 다른 결과가 나올 수 있다. 예를 들어 불꽃 이미지(그림 1)를 보면, 원본 이미지는 sRGB 색 공간의 컬러 이미지이다. CIELAB 색 공간의 는 CIE XYZ 색 공간의 휘도 에서 유도된 인지적으로 균일한 명도를 나타낸다. 이는 인지되는 밝기가 원래 컬러 이미지와 유사하다. 루마 는 나 와 같은 일부 비디오 인코딩 시스템에서 감마 인코딩된 휘도 구성 요소이다. 이는 거의 유사하지만, 고채도에서 다르며, 선형 휘도의 무채색 신호 나 비선형의 명도 와도 크게 다르다. HSL 색 공간의 과 HSV 색 공간의 는 인지의 명도에 균일하지 않으며, 휘도와 관련해서도 균일하지 않다.
참조
[1]
웹사이트
Bright Definition & Meaning
http://www.merriam-w[...]
[2]
논문
Some comments on using the CIECAM97s colour-appearance model
[3]
간행물
Brightness
http://www.its.bldrd[...]
Federal Standard 1037C, the Federal Glossary of Telecommunication Terms
1996
[4]
웹사이트
Miscellaneous Symbols and Pictographs
https://unicode.org/[...]
Unicode Consortium
2023
[5]
웹사이트
Shopping for Light Bulbs
https://www.consumer[...]
United States Federal Trade Commission
2017-03-13
[6]
서적 #추정
2024-08-00 # 페이지 번호가 없어서 날짜만 기입
[7]
웹사이트
質問:色の三属性とは何か知りたい。(解決)
https://crd.ndl.go.j[...]
国立国会図書館(2110049)
2014-10-31
[8]
서적
色彩工学入門 定量的な色の理解と活用
森北出版株式会社
2007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군산 섬 주민들이 직접 찍은 ‘필름 카메라’ 사진전
‘왕초보’도 할 수 있는 ‘경·공매’ 재테크…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