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모인모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모인모인은 플랫 파일과 폴더를 기반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는 위키 엔진이다. 플러그인, 매크로, 액션을 통해 기능을 확장할 수 있으며, 파서와 포맷터 개념을 사용하여 다양한 형식으로 출력이 가능하다. CamelCase 링크와 자유 링크를 지원하며, 접근 제어 목록(ACL)을 통한 콘텐츠 관리 시스템(CMS) 기능, GUI 편집 기능, 내장 검색 엔진 및 Xapian 기반 인덱싱 검색 엔진을 제공한다. XML-RPC를 통한 콘텐츠 동기화를 지원하여 분산 오프라인 편집도 가능하다. 파이썬으로 작성되었으며, 강력한 페이지 개정 관리, UTF-8 출력 및 국제화, WYSIWYG 에디터, 맞춤법 검사 기능 등을 제공한다. 데비안, 우분투, CAcert, FreeBSD 등 여러 오픈 소스 프로젝트에서 사용되었으며, 국내에서도 도입을 검토한 사례가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자유 위키 소프트웨어 - 미디어위키
    미디어위키는 위키백과 등 위키미디어 재단 프로젝트에서 사용되는 PHP 기반의 자유 소프트웨어 위키 엔진으로, 확장성, 다양한 기능, 사용자 지정 용이성 등을 바탕으로 위키 기반 웹사이트 구축 및 관리에 기여한다.
  • 자유 위키 소프트웨어 - 푸키위키
    푸키위키는 PHP로 작성되어 텍스트 파일 기반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는 위키 엔진으로, 플러그인과 스킨을 통해 기능 확장 및 외형 변경이 가능하며, 특히 일본 모바일 환경에 최적화된 레이아웃과 피처폰용 스킨을 제공하고 인터위키를 지원하는 GPL 라이선스의 자유 소프트웨어이다.
  • 파이썬 소프트웨어 - 패키지킷
    패키지킷은 다양한 리눅스 배포판에서 패키지 설치, 업데이트 및 관리를 단순화하기 위해 서로 다른 패키지 관리 시스템을 통합하여 일관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이다.
  • 파이썬 소프트웨어 - PyPy
    PyPy는 파이썬의 호환 가능하고 빠른 구현을 목표로 하는 동적 언어 구현 프레임워크이며, RPython을 사용하여 JIT 컴파일러를 생성하고, Python 2.7과 3.10 버전을 지원한다.
  • GPL 라이선스 소프트웨어 - F-Droid
    F-Droid는 2010년 키어런 걸트니엑스가 설립한 안드로이드용 자유 소프트웨어 앱 저장소로, 구글 플레이 스토어에 없는 자유/오픈 소스 소프트웨어 앱을 제공하며 감시, 검열 저항, 개인 정보 보호에 중점을 둔 클라이언트 앱, 저장소 관리 도구, 웹사이트 생성기 등의 하위 프로젝트로 구성된다.
  • GPL 라이선스 소프트웨어 - MySQL
    MySQL은 1994년 스웨덴에서 개발을 시작하여 현재 오라클에 인수된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으로, 오픈 소스 및 상업용 에디션을 제공하며 ANSI SQL 99 표준을 지원하고 다양한 스토리지 엔진과 프로그래밍 언어 API를 지원한다.
모인모인 - [IT 관련 정보]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MoinMoin 로고
MoinMoin 로고
개발자위르겐 헤르만, 토마스 발트만
최초 릴리스2000년 7월 29일
최신 릴리스 버전1.9.10
최신 릴리스 날짜2018년 9월 9일
프로그래밍 언어파이썬 2.7
운영 체제크로스 플랫폼
종류위키 소프트웨어
라이선스GPL v2 또는 그 이후 버전
웹사이트MoinMoin 공식 웹사이트

2. 기술적 특징

모인모인(MoinMoin)은 파이썬으로 작성된 위키 소프트웨어로, 다양한 기술적 특징을 가지고 있다.

데이터 저장은 별도의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없이 플랫 파일과 폴더 구조를 기반으로 이루어진다. 이는 서버 관리자가 텍스트 편집기를 통해 직접 내용을 확인하고 수정하기 용이하게 만든다. 또한, 플러그인, 매크로, 액션, 다양한 테마를 통해 기능을 확장할 수 있으며, 파서와 포맷터가 분리되어 있어 HTML 외 다른 형식으로의 출력도 비교적 쉽게 구현할 수 있다.

링크 방식으로는 CamelCase 링크와 자유 링크(비-CamelCase 링크)를 모두 지원한다. 다만, CamelCase 링크를 일시적으로 비활성화하는 기능에는 제약이 있다.[5][6] 접근 제어 목록(ACL) 기능을 폭넓게 지원하여 콘텐츠 관리 시스템(CMS)으로서의 활용성을 높였으며,[7] GUI 편집 기능과 WYSIWYG 에디터도 제공한다.[7]

검색 기능은 내장된 기본 검색 엔진 외에, 더 빠르고 이전 버전 및 첨부 파일 검색까지 가능한 Xapian 기반 인덱싱 검색 엔진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8] XML-RPC 인터페이스를 통해 여러 모인모인 인스턴스 간의 콘텐츠 동기화를 지원하여 분산 환경에서의 오프라인 편집도 가능하다.[9]

버전 1.6.0부터는 내장 웹 서버를 포함하여 설치 및 사용이 간편해진 "데스크톱 에디션"이 표준 릴리스에 통합되었으며, 새로운 마크업 구문이 도입되었다.[10] 이 외에도 강력한 페이지 개정 관리 기능, UTF-8 표준 지원, 맞춤법 검사 기능 등을 갖추고 있다.

이러한 기술적 특징들을 바탕으로 모인모인은 아파치 소프트웨어 재단, 젠, 페도라, 데비안, 우분투 등 여러 저명한 오픈 소스 프로젝트에서 공식 위키 시스템으로 채택하여 사용하고 있다.

2. 1. 저장 메커니즘

모인모인(MoinMoin)은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 별도의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을 사용하지 않는다. 대신 플랫 파일과 폴더 구조를 기반으로 내용을 저장한다. 이러한 방식은 서버 관리자가 필요한 경우 텍스트 편집기를 이용해 직접 파일 내용을 쉽게 확인하고 수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스팸 공격 등으로 인해 내용 수정이 필요할 때도 수정 관리를 통해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페이지 저장은 텍스트 파일을 사용하며, MySQL과 같은 RDBMS는 필요하지 않다.

2. 2. 확장성

모인모인(MoinMoin)은 플러그인, 매크로, 액션을 통해 기능을 확장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테마를 이용할 수 있다.

독립적인 파서와 포매터 개념을 사용하여 유연성을 높였다. 예를 들어, 위키 문법을 분석하는 파서와 HTML 코드를 출력하는 포매터가 분리되어 있으며, 이 둘 사이는 SAX와 유사한 인터페이스로 연결된다. 이러한 구조 덕분에 HTML 외에 다른 형식으로 내용을 출력하기 쉽다. 예를 들어, DocBook 형식으로 출력하고 싶다면 해당 포맷터 인터페이스를 구현하는 'docbook-포맷터'만 작성하면 된다. 이렇게 하면 기존의 모든 파서가 자동으로 새로운 출력 형식을 지원하게 된다.

2. 3. 링크 지원

모인모인은 CamelCase 링크와 자유 링크(비-CamelCase 링크)를 모두 지원한다. CamelCase 링크는 기본적으로 활성화되어 있으며, 일회성으로 비활성화하는 기능은 제공하지 않는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다른 파서를 사용하는 방법이 있지만[5], 이 방법은 WYSIWYG 편집기에서는 작동하지 않는 한계가 있다.[6]

2. 4. 접근 제어

모인모인(MoinMoin)은 접근 제어 목록(ACL) 기능을 폭넓게 지원하여 콘텐츠 관리 시스템(CMS)으로서의 활용성을 크게 높였다.[7]

2. 5. 편집 기능

GUI 편집 기능을 제공한다.[7] WYSIWYG 에디터를 지원하여 위키 문법을 잘 모르는 사용자도 쉽게 내용을 편집하고 수정할 수 있다. 다만, CamelCase 링크를 비활성화하는 옵션은 WYSIWYG 편집기에서는 작동하지 않는 제약이 있다.[6]

또한, 플러그인, 매크로, 액션 등을 통해 편집 기능을 확장할 수 있으며, 맞춤법 검사 기능도 내장하고 있다.

2. 6. 검색 기능

모인모인(MoinMoin)은 두 가지 종류의 검색 엔진을 제공한다. 하나는 내장된 검색 엔진으로, 속도는 다소 느리지만 다른 프로그램 설치 없이 바로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다른 하나는 Xapian을 기반으로 하는 인덱싱 검색 엔진이다. 이 엔진은 검색 속도가 더 빠를 뿐만 아니라, 과거에 수정된 문서 내용이나 첨부 파일 안의 내용까지 검색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8]

2. 7. 콘텐츠 동기화

XML-RPC를 통해 인스턴스 간 콘텐츠 동기화를 허용하여 분산된 환경에서도 오프라인 편집이 가능하다.[9]

3. DesktopEdition

'''MoinMoin DesktopEdition'''을 사용하면 로컬 머신에서 쉽게 개인용 위키로 활용할 수 있다.[14] 원래 MoinMoin "데스크톱 에디션"은 호스트 머신에 Python만 설치하면 되는 내장 웹 서버를 사용하여 페이지를 표시했기 때문에 사용이 간편했다. 버전 1.6.0부터 "데스크톱 에디션"은 표준 릴리스에 통합되었다.[10]

배포 패키지를 설치하고 `wikiserver.py`를 실행하면 localhost의 8080 포트에서 웹 서버가 시작되어, 모든 기능을 갖춘 MoinMoin에 접근할 수 있게 된다.

4. MoinMoin을 채택한 프로젝트

모인모인은 여러 유명 오픈 소스 프로젝트를 포함하여 다양한 분야의 웹사이트에서 위키 엔진으로 채택하여 사용하고 있다.

4. 1. 주요 해외 프로젝트

참조

[1] 웹사이트 GPL https://moinmo.in/GP[...] MoinMoin 2011-05-12
[2] 웹사이트 MoinMoin Usage Statistics http://trends.builtw[...] builtwith.com 2014-12-15
[3] 웹사이트 Other sites using the MoinMoin wiki engine https://moinmo.in/ 2008-10-01
[4] 웹사이트 Python3 https://moinmo.in/Py[...] MoinMoin 2019-08-05
[5] 웹사이트 ParserMarket/NoCamelCase2 https://moinmo.in/Pa[...] MoinMoin 2012-02-08
[6] 웹사이트 ParserMarket/NoCamelCase2 https://moinmo.in/Pa[...] MoinMoin 2012-02-08
[7] 웹사이트 MoinMoinFeatures https://moinmo.in/Mo[...] MoinMoin 2009-06-20
[8] 웹사이트 HelpOnSearching https://moinmo.in/He[...] MoinMoin 2012-12-06
[9] 문서 WikiSynchronisation https://moinmo.in/Wi[...]
[10] 간행물 CHANGES https://github.com/m[...] MoinMoin Wiki Engine 2022-05-10
[11] 웹사이트 MoinMoinEtymology https://moinmo.in/Mo[...] 2008-11-29
[12] 웹사이트 MoinMoinFeatures https://moinmo.in/Mo[...] 2008-11-29
[13] 웹사이트 MoinMoinWikis https://moinmo.in/Mo[...] 2008-11-29
[14] 문서 利用にはPythonのインストールが必要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