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사분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무사분열은 유전 물질의 규칙적인 분리 없이 세포가 수축하여 두 개의 세포로 나뉘는 세포 분열 방식이다. 이는 염색체의 무작위 분포를 초래하며, 유사분열과는 대조적이다. 무사분열은 섬모충에서 보고되었으며, 포유류 세포 증식에서의 역할은 복제수 변이(CNV)와 관련하여 연구되고 있다. 무사분열은 다배수성 세포를 이배체 세포로 환원시키거나, 화학요법 저항성과 연관될 수 있으며, 다양한 메커니즘을 통해 발생한다. 이시카와 자궁내막 세포, 발달 중인 태아의 내장, 초파리 내장의 줄기세포 등에서 무사분열의 예시가 관찰되며, 세포 발달 및 손상 복구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세포 주기 - 감수분열
감수분열은 유성생식을 하는 생물에서 배우자를 형성하는 세포분열 과정으로, 염색체 수를 줄여 유전적 다양성을 확보하며, 감수분열 I과 II 두 단계로 구성되어 상동염색체 및 자매염색분체 분리, 독립적 분리 및 교차를 통해 유전적 다양성을 증가시키지만, 염색체 비분리 오류는 염색체 이상 질환을 유발할 수 있고 진핵생물 유성생식과 진화에 필수적인 과정이다. - 세포 주기 - 사이클린
사이클린은 세포 주기 조절에 중요한 단백질로, 사이클린 의존성 키나아제(Cdk)와 결합하여 세포 주기 단계에 따라 농도가 변하며 Cdk의 활성을 조절하고, 2001년 발견자들이 노벨 생리학·의학상을 수상했다.
무사분열 | |
---|---|
개요 | |
정의 | 세포 분열의 한 형태이며, 유사 분열 없이 일어나는 세포 증식임. |
특징 | 핵막이 사라지지 않음. 염색체의 분리가 관찰되지 않음. 세포질 분열이 불규칙하게 일어날 수 있음. |
과정 | |
핵 분열 | 핵이 길어지고 가운데가 잘록해지면서 두 개의 딸핵으로 나뉨. |
세포질 분열 | 세포질이 중앙에서 수축되어 두 개의 딸세포로 나뉨. |
분열 결과 | 딸세포들이 동일한 유전 물질을 갖지 않을 수 있음. |
발생 위치 | |
발생 위치 | 태반 세포 연골 세포 암 세포 세포 배양 환경 |
중요성 | |
생물학적 중요성 | 빠른 세포 증식이 필요한 경우 특정 조직의 분화 과정 병리적 조건에서의 세포 증식 |
2. 과정
1880년 발터 플레밍이 무사분열을 처음 기술했으며, 그는 유사분열과 다른 형태의 세포 분열도 함께 기술했다.[3] 초기에는 생물학자들이 세포가 유사분열과 무사분열 모두 할 수 있다고 생각했다.[4]
다분열 세포에 대한 광범위한 연구를 통해 비분열적 증식과 그 기저 메커니즘에 대한 추가적인 보고가 있었다. 세포 집단 내의 여러 게놈 사본은 세포의 환경 적응에 역할을 할 수 있다.[8] 다분열 세포는 무사분열에 의해 자주 이배체 세포로 "환원"된다.[9]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다분열 태반 세포는 이배체 또는 거의 이배체 보완의 DNA를 가진 핵을 생성한다. 다분열 태반 세포에서 유래한 핵은 현미경으로 식별 가능한 염색질 영역의 하나 이상의 사본을 받는다. 이 무사분열 과정은 염색질의 대표적인 전달을 초래할 수 있다. 쥐의 다분열 영양막 세포에서 거대 핵의 핵막이 이러한 분할에 관여한다.[10] 다분열 세포는 특정 세포에서 화학요법 저항성의 기저가 되는 생존 과정의 핵심일 수 있다.
일부 화학요법 프로토콜에 사용되는 것과 유사한 유사분열 억제 화학 물질로 배양 세포를 처리하면, 유도된 다분열 세포의 작은 집단이 생존한다. 이 집단은 여러 개의 이차 핵으로 분리되기 전에 간기 상태로 돌아가는 다분열 염색질 다발을 형성하여 "정상적인" 이배체 세포를 생성한다.[11] DNA의 제어된 자가포식 분해와 핵막 제한 시트의 생성이 이 과정을 동반한다.[12][13] 이러한 탈다분열 과정은 유사분열 염색체를 포함하므로, 무사분열의 광범위한 정의에 부합한다.
과학 문헌은 세포 증식에 무사분열이 관여함을 확인하고 "유사분열 염색체" 없이 "자손 핵"을 생성할 수 있는 다양한 무사분열 메커니즘을 탐구한다. 무사분열의 한 형태는 핵이 염색체를 포함하지 않고 둘로 분열되는 분열이다. 이는 쥐의 태반 조직과 그러한 조직에서 배양된 세포,[14] 인간과 쥐의 영양막 세포에서 보고되었다.[15] 분열에 의한 무사분열은 포유류 간 세포[16]와 인간 부신 세포에서도 보고되었다.[17] Chen과 Wan[18]은 쥐 간에서 무사분열을 보고했으며, 염색질 가닥이 재생산되어 핵이 둘로 분열될 때 딸 세포에 동일하게 분포되는 4단계 무사분열 과정의 메커니즘을 제시했다. Tetrahymena의 거핵 무사분열에서는 γ-튜불린 매개 MT 조립이 필요했다.[19]
핵이 다분열 세포의 세포막을 통해 싹이 트는 무사분열의 여러 보고가 있다. 이 과정은 바이러스에 의해 변형된 양막 세포[20]와 발암 물질에 노출된 쥐 배아 섬유아세포주에서 관찰되었다.[21] 밍크 영양막 세포에 대해 압출이라고 하는 유사한 과정이 설명되었으며, 이 조직에서도 분열이 관찰된다.[22] 비대칭 세포 분열은 다분열 거대 암세포와 낮은 진핵 세포에서 설명되었으며, 분열, 싹트기 또는 폭발과 같은 무사분열 과정을 통해 발생한다고 보고된다.[23]
분열이 비교적 짧은 시간 안에 여러 개의 분화된 핵을 형성하는 데 특히 적합한 무사분열의 예는 부착성 이시카와 자궁내막 단층 세포에서 약 20시간 동안 돔이라고 하는 유체 함유 반구가 분화되는 동안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24][25] 분화 초기(처음 6시간 이내)에 단층 융합체의 핵 집합체는 미토콘드리아 막에 덮이는 독특한 과정을 거친다. 이 구조는 미토핵이라고 하며, 그 주변에 공포가 형성되어 상승한다. 이는 뚜렷한 세포 조직화 및 분화 과정을 나타내며, 발달 과정에서 세포 구조 사이의 복잡한 상호 작용을 강조한다.[26] 다른 시스템에서는 이러한 변화가 세포 자멸사를 동반하지만, 분화하는 이시카와 세포에서는 그렇지 않으며, 이 과정은 새로 생성된 분화된 돔 세포에 필수적인 DNA 변화를 동반하는 것으로 보인다. 마지막으로, 이 과정에서 나오는 염색질 필라멘트는 핵 외막 제한 시트가 관여하는 것으로 보이는 가운데 약 3시간에 걸쳐 수십 개의 돔 핵이 무사분열적으로 생성되는 덩어리를 형성한다.[12]
발달 중인 태아의 내장(5~7주), 결장 선종 및 선암종을 검사한 결과 튜브형 융합체로 둘러싸인 속이 빈 종 모양으로 보이는 핵이 발견되었다. 이 구조는 무사분열 핵분열 과정을 통해 대칭적으로 분열하여 새로운 "종"을 형성하거나, 비대칭적으로 분열하여 7가지 다른 핵 형태 중 하나를 생성할 수 있는데, 이 중 5가지는 성체에서 드물게 관찰되므로 발달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27]
현재 문헌에 따르면 무사분열은 인체의 세포 발달,[8] 특히 세포 대부분이 생성되는 태아 및 배아 발달 단계에서 관여할 수 있다고 한다.
초파리의 내장에서 줄기 세포(ISC)가 심각하게 감소하면 무사분열을 사용하여 손상을 복구한다. 내장의 다른 부분인 장세포의 세포는 정상적인 분열 과정을 거치지 않고 염색체 수를 줄인다. 이는 손실된 ISC를 대체하여 내장이 제대로 기능하도록 돕는다.[28]
2. 1. 염색체 분리
무사분열은 간기 상태의 세포 분열로, 유전 물질의 규칙적인 분리 없이 간단한 수축을 통해 두 개의 때로는 불균등한 반으로 나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5] 이 과정은 딸 세포 내에서 부모 염색체의 무작위 분포를 초래하며, 이는 정확한 염색체 분리를 포함하는 유사분열과는 대조적이다. 무사분열은 염색질이 염색체로 최대 응축되는 과정을 포함하지 않는데, 이는 광학 현미경으로 관찰할 수 있는 분자적 현상으로, 자매 염색분체가 중기판에 정렬될 때 나타난다.2. 2. 핵분열의 특징
무사분열은 간기 상태의 세포 분열로, 유전 물질의 규칙적인 분리 없이 간단하게 수축하여 두 개(때로는 불균등한)로 나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5] 이 과정은 딸 세포 내에서 부모 염색체의 무작위 분포를 초래하며, 이는 정확한 염색체 분리를 포함하는 유사분열과는 대조적이다. 무사분열은 염색질이 염색체로 최대로 응축되는 과정을 포함하지 않는데, 이는 광학 현미경으로 관찰할 수 있는 분자적 현상으로, 자매 염색분체가 중기판에 정렬될 때 나타난다.무사분열은 섬모충에서 보고되었지만, 포유류 세포 증식에서의 역할은 아직 확인되지 않았다. 복제수 변이(CNV)가 기관 내 포유류 세포에서 발견되면서,[6] 생물체의 모든 세포가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부모 게놈의 정확한 사본을 상속해야 한다는 가정에 의문이 제기되었다. CNV는 유사분열의 오류가 아닌 무사분열에서 발생했을 수 있으며, 심지어 세포에 유익할 수도 있다. 또한, 섬모충은 대핵의 무사분열 동안 개별 유전자의 복제수를 조절하는 메커니즘을 가지고 있다.[7]
3. 메커니즘
무사분열은 간기 상태의 세포 분열로, 유전 물질이 규칙적으로 분리되지 않고 간단하게 수축하여 두 개의 (때로는 불균등한) 반으로 나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5] 이 과정은 딸 세포 내에서 부모 염색체의 무작위 분포를 초래하며, 이는 정확한 염색체 분리를 포함하는 유사분열과는 대조적이다. 무사분열은 염색질이 염색체로 최대한 응축되는 과정을 포함하지 않는데, 이는 광학 현미경으로 관찰할 수 있는 분자적 현상으로, 자매 염색분체가 중기판에 정렬될 때 나타난다.
섬모충에서 무사분열이 보고되었지만, 포유류 세포 증식에서의 역할은 아직 확인되지 않았다. 복제수 변이(CNV)가 기관 내 포유류 세포에서 발견되면서[6], 생물체의 모든 세포가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부모 게놈의 정확한 사본을 상속해야 한다는 가정에 의문이 제기되었다. CNV는 유사분열의 오류가 아닌 무사분열에서 발생했을 수 있으며, 심지어 세포에 유익할 수도 있다. 또한, 섬모충은 대핵의 무사분열 동안 개별 유전자의 복제수를 조절하는 메커니즘을 가지고 있다.[7] 다분열 세포에 대한 광범위한 연구를 통해 비분열적 증식에 대한 추가 보고와 그 기저 메커니즘에 대한 통찰력이 나타났다. 세포 집단 내의 여러 개의 게놈 사본은 세포의 환경 적응에 역할을 할 수 있다.[8]
과학 문헌은 세포 증식에 무사분열이 관여함을 확인하고 "유사분열 염색체" 없이 "자손 핵"을 생성할 수 있는 다양한 무사분열 메커니즘을 탐구한다. 무사분열의 한 형태는 핵이 염색체를 포함하지 않고 둘로 분열되는 분열이다. 이는 쥐의 태반 조직과 그러한 조직에서 배양된 세포,[14]뿐만 아니라 인간과 쥐의 영양막 세포에서도 보고되었다.[15] 분열에 의한 무사분열은 또한 포유류 간 세포[16]와 인간 부신 세포에서도 보고되었다.[17] Chen과 Wan[18]은 쥐 간에서 무사분열을 보고했으며, 염색질 가닥이 재생산되어 핵이 둘로 분열될 때 딸 세포에 동일하게 분포되는 4단계 무사분열 과정의 메커니즘을 제시했다. Tetrahymena의 거핵 무사분열에서는 γ-튜불린 매개 MT 조립이 필요했다.[19]
핵이 다분열 세포의 세포막을 통해 싹이 트는 무사분열의 여러 보고가 있다. 이 과정은 바이러스에 의해 변형된 양막 세포[20]와 발암 물질에 노출된 쥐 배아 섬유아세포주에서 관찰되었다.[21] 밍크 영양막 세포에 대해 압출이라고 하는 유사한 과정이 설명되었으며, 이 조직에서도 분열이 관찰된다.[22] 비대칭 세포 분열은 또한 다분열 거대 암세포와 낮은 진핵 세포에서 설명되었으며, 분열, 싹트기 또는 폭발과 같은 무사분열 과정을 통해 발생한다고 보고된다.[23]
3. 1. 다배수성 세포의 환원
다배수성 세포는 무사분열에 의해 자주 이배체 세포로 "환원"된다.[9]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다배수성 태반 세포는 이배체 또는 거의 이배체 수준의 DNA를 가진 핵을 생성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다배수성 태반 세포에서 유래한 이러한 핵은 현미경으로 식별 가능한 염색질 영역의 하나 이상의 사본을 받는다. 이 무사분열 과정은 염색질의 대표적인 전달을 초래할 수 있다. 쥐의 다배수성 영양막 세포에서 거대 핵의 핵막이 이러한 분할에 관여한다.[10] 다배수성 세포는 또한 특정 세포에서 화학요법 저항성의 기저가 되는 생존 과정의 핵심일 수 있다.일부 화학요법 프로토콜에 사용되는 것과 유사한 유사분열 억제 화학 물질로 배양 세포를 처리한 후, 유도된 다배수성 세포의 작은 집단이 생존한다. 결국 이 집단은 여러 개의 이차 핵으로 분리되기 전에 간기 상태로 돌아가는 다배수성 염색질 다발을 형성하여 "정상적인" 이배체 세포를 생성한다.[11] DNA의 제어된 자가포식 분해와 핵막 제한 시트의 생성이 이 과정을 동반한다.[13] 이러한 탈다배수성 과정은 유사분열 염색체를 포함하기 때문에, 이는 무사분열의 광범위한 정의에 부합한다.
3. 2. 염색질 전달
무사분열은 간기 상태의 세포 분열로, 유전 물질의 규칙적인 분리 없이 간단하게 수축하여 두 개의 반(때로는 불균등한)으로 나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5] 이 과정은 딸 세포 내에서 부모 염색체의 무작위 분포를 초래하며, 이는 정확한 염색체 분리를 포함하는 유사분열과는 대조적이다. 무사분열은 염색질이 염색체로 최대한 응축되는 과정을 포함하지 않는데, 이는 광학 현미경으로 관찰할 수 있는 분자적 현상으로, 자매 염색분체가 중기판에 정렬될 때 나타난다.쥐의 다분열 영양막 세포에서 거대 핵의 핵막이 이러한 분할에 관여한다.[10] 다분열 세포는 또한 특정 세포에서 화학요법 저항성의 기저가 되는 생존 과정의 핵심일 수 있다.
과학 문헌은 세포 증식에 무사분열이 관여함을 확인하고 "유사분열 염색체" 없이 "자손 핵"을 생성할 수 있는 다양한 무사분열 메커니즘을 탐구한다. 무사분열의 한 형태는 핵이 염색체를 포함하지 않고 둘로 분열되는 분열이다. 이는 쥐의 태반 조직과 그러한 조직에서 배양된 세포,[14]뿐만 아니라 인간과 쥐의 영양막 세포에서도 보고되었다.[15] 분열에 의한 무사분열은 또한 포유류 간 세포[16]와 인간 부신 세포에서도 보고되었다.[17] Chen과 Wan[18]은 쥐 간에서 무사분열을 보고했으며, 염색질 가닥이 재생산되어 핵이 둘로 분열될 때 딸 세포에 동일하게 분포되는 4단계 무사분열 과정의 메커니즘을 제시했다. Tetrahymena의 거핵 무사분열에서는 γ-튜불린 매개 MT 조립이 필요했다.[19]
핵이 다분열 세포의 세포막을 통해 싹이 트는 무사분열의 여러 보고가 있다. 이 과정은 바이러스에 의해 변형된 양막 세포[20]와 발암 물질에 노출된 쥐 배아 섬유아세포주에서 관찰되었다.[21] 밍크 영양막 세포에 대해 압출이라고 하는 유사한 과정이 설명되었으며, 이 조직에서도 분열이 관찰된다.[22] 비대칭 세포 분열은 또한 다분열 거대 암세포와 낮은 진핵 세포에서 설명되었으며, 분열, 싹트기 또는 폭발과 같은 무사분열 과정을 통해 발생한다고 보고된다.[23]
3. 3. 화학 요법 저항성
일부 화학 요법 프로토콜에 사용되는 것과 유사한 유사분열 억제 화학 물질로 배양 세포를 처리하면, 유도된 다분열 세포의 작은 집단이 생존한다. 이들은 결국 여러 개의 이차 핵으로 분리되기 전에 간기 상태로 돌아가는 다분열 염색질 다발을 형성하여 "정상적인" 이배체 세포를 생성한다.[11] 이 과정에는 DNA의 제어된 자가포식 분해와 핵막 제한 시트의 생성이 동반된다.[12][13] 이러한 탈다분열 과정은 유사분열 염색체를 포함하기 때문에, 이는 무사분열의 광범위한 정의에 부합한다. 다분열 세포는 특정 세포에서 화학요법 저항성의 기저가 되는 생존 과정의 핵심일 수 있다.3. 4. 기타 메커니즘
섬모충에서 무사분열이 보고되었지만, 포유류 세포 증식에서의 역할은 아직 확인되지 않았다. 복제수 변이(CNV)가 기관 내 포유류 세포에서 발견되면서[6], 생물체의 모든 세포가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부모 게놈의 정확한 사본을 상속해야 한다는 가정에 의문이 제기되었다. CNV는 유사분열의 오류가 아닌 무사분열에서 발생했을 수 있으며, 심지어 세포에 유익할 수도 있다. 또한, 섬모충은 대핵의 무사분열 동안 개별 유전자의 복제수를 조절하는 메커니즘을 가지고 있다.[7] 다분열 세포에 대한 광범위한 연구를 통해 비분열적 증식에 대한 추가 보고와 그 기저 메커니즘에 대한 통찰력이 나타났다. 세포 집단 내의 여러 개의 게놈 사본은 세포의 환경 적응에 역할을 할 수 있다.[8]다분열 세포는 무사분열에 의해 자주 이배체 세포로 "환원"된다.[9]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다분열 태반 세포는 이배체 또는 거의 이배체 보완의 DNA를 가진 핵을 생성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다분열 태반 세포에서 유래한 이러한 핵은 현미경으로 식별 가능한 염색질 영역의 하나 이상의 사본을 받는다. 이 무사분열 과정은 염색질의 대표적인 전달을 초래할 수 있다. 쥐의 다분열 영양막 세포에서 거대 핵의 핵막이 이러한 분할에 관여한다.[10] 다분열 세포는 또한 특정 세포에서 화학요법 저항성의 기저가 되는 생존 과정의 핵심일 수 있다.
일부 화학요법 프로토콜에 사용되는 것과 유사한 유사분열 억제 화학 물질로 배양 세포를 처리한 후, 유도된 다분열 세포의 작은 집단이 생존한다. 결국 이 집단은 여러 개의 이차 핵으로 분리되기 전에 간기 상태로 돌아가는 다분열 염색질 다발을 형성하여 "정상적인" 이배체 세포를 생성한다.[11] DNA의 제어된 자가포식 분해와 핵막 제한 시트의 생성이 이 과정을 동반한다.[12][13] 이러한 탈다분열 과정은 유사분열 염색체를 포함하기 때문에, 이는 무사분열의 광범위한 정의에 부합한다.
과학 문헌은 세포 증식에 무사분열이 관여함을 확인하고 "유사분열 염색체" 없이 "자손 핵"을 생성할 수 있는 다양한 무사분열 메커니즘을 탐구한다. 무사분열의 한 형태는 핵이 염색체를 포함하지 않고 둘로 분열되는 분열이다. 이는 쥐의 태반 조직과 그러한 조직에서 배양된 세포,[14]뿐만 아니라 인간과 쥐의 영양막 세포에서도 보고되었다.[15] 분열에 의한 무사분열은 또한 포유류 간 세포[16]와 인간 부신 세포에서도 보고되었다.[17] Chen과 Wan은[18] 쥐 간에서 무사분열을 보고했으며, 염색질 가닥이 재생산되어 핵이 둘로 분열될 때 딸 세포에 동일하게 분포되는 4단계 무사분열 과정의 메커니즘을 제시했다. Tetrahymena의 거핵 무사분열에서는 γ-튜불린 매개 MT 조립이 필요했다.[19]
핵이 다분열 세포의 세포막을 통해 싹이 트는 무사분열의 여러 보고가 있다. 이 과정은 바이러스에 의해 변형된 양막 세포[20]와 발암 물질에 노출된 쥐 배아 섬유아세포주에서 관찰되었다.[21] 분열이 또한 관찰되는 조직인 밍크 영양막 세포에 대해 압출이라고 하는 유사한 과정이 설명되었다.[22] 비대칭 세포 분열은 또한 다분열 거대 암세포와 낮은 진핵 세포에서 설명되었으며, 분열, 싹트기 또는 폭발과 같은 무사분열 과정을 통해 발생한다고 보고된다.[23]
4. 예시
무사분열의 예시는 다음과 같다:
- 이시카와 자궁내막 세포: 부착성 이시카와 자궁내막 단층 세포에서 약 20시간 동안 돔이라고 하는 유체 함유 반구가 분화되는 동안 발생한다.
- 발달 과정: 발달 중인 태아의 내장(5~7주), 결장 선종 및 선암종을 검사한 결과 튜브형 융합체로 둘러싸인 속이 빈 종 모양으로 보이는 핵이 발견되었다.
- 초파리 내장 줄기세포: 초파리 내장에서 줄기 세포(ISC)가 심각하게 감소하면 무사분열을 사용하여 손상을 복구한다.
4. 1. 이시카와 자궁내막 세포
부착성 이시카와 자궁내막 단층 세포에서 약 20시간 동안 돔이라고 하는 유체 함유 반구가 분화되는 동안 무사분열이 발생한다. 분화 초기(특히 처음 6시간 이내)에 단층 융합체의 핵 집합체는 미토콘드리아 막에 덮이는 독특한 과정을 거친다.[24][25] 이 결과 구조는 미토핵이라고 하며, 그 주변에 공포가 형성되어 상승한다. 이는 뚜렷한 세포 조직화 및 분화 과정을 나타내며, 발달 과정에서 세포 구조 사이의 복잡한 상호 작용을 강조한다.[26] 다른 시스템에서는 이러한 변화가 세포 자멸사를 동반하지만, 분화하는 이시카와 세포에서는 그렇지 않다. 이 과정은 새로 생성된 분화된 돔 세포에 필수적인 DNA 변화를 동반하는 것으로 보인다. 마지막으로, 이 과정에서 나오는 염색질 필라멘트는 핵 외막 제한 시트가 관여하는 것으로 보이는 가운데 약 3시간에 걸쳐 수십 개의 돔 핵이 무사분열적으로 생성되는 덩어리를 형성한다.[12]4. 2. 발달 과정
발달 중인 태아의 내장(5~7주), 결장 선종 및 선암종을 검사한 결과 튜브형 융합체로 둘러싸인 속이 빈 종 모양으로 보이는 핵이 발견되었다. 이러한 구조는 무사분열 핵분열 과정을 통해 대칭적으로 분열하여 새로운 "종"을 형성하거나, 비대칭적으로 분열하여 7가지 다른 핵 형태 중 하나를 생성할 수 있는데, 이 중 5가지는 성체에서 드물게 관찰되기 때문에 발달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27]현재 문헌에 따르면 무사분열은 인체의 세포 발달,[8] 특히 이러한 세포의 대부분이 생성되는 태아 및 배아 발달 단계에서 관여할 수 있다고 한다.
초파리의 내장에서 줄기 세포(ISC)가 심각하게 감소하면 무사분열을 사용하여 손상을 복구한다. 내장의 다른 부분인 장세포의 세포는 정상적인 분열 과정을 거치지 않고 염색체 수를 줄인다. 이는 손실된 ISC를 대체하여 내장이 제대로 기능하도록 돕는다.[28]
4. 3. 초파리 내장 줄기세포
초파리 내장에서 줄기세포(ISC)가 심각하게 감소하면 무사분열을 사용하여 손상을 복구한다. 내장의 다른 부분인 장세포의 세포는 정상적인 분열 과정을 거치지 않고 염색체 수를 줄인다. 이는 손실된 ISC를 대체하여 내장이 제대로 기능하도록 돕는다.[28]5. 연구 동향 및 의의
(이전 출력이 없으므로, 수정할 내용이 없습니다. 원본 소스와 함께 다시 요청해주세요.)
참조
[1]
간행물
Orchestrating nuclear envelope disassembly and reassembly during mitosis
2009-03
[2]
간행물
Amitosis and endocycles in early cultured mouse trophoblast
1991
[3]
간행물
Amitosis in Cells Growing in Vitro
https://www.biodiver[...]
1916-06
[4]
간행물
Vicenzo Colucci's 1886 memoir, Intorno alla rigenerazione degli arti e della coda nei tritoni, annotated and translated into English as: Concerning regeneration of the limbs and tail in salamanders
[5]
간행물
Apparent amitosis in the binucleate dinoflagellate Peridinium balticum
1976-07
[6]
간행물
Extensive genetic variation in somatic human tissues
2012-10
[7]
간행물
The DNA of ciliated protozoa
1994-06
[8]
간행물
The ploidy conveyor of mature hepatocytes as a source of genetic variation
2010-10
[9]
간행물
Polyploidization in the trophoblast and uterine glandular epithelium of the endotheliochorial placenta of silver fox (Vulpes fulvus Desm.), as revealed by the DNA content
2001-05
[10]
간행물
Modifications of nuclear envelope during differentiation and depolyploidization of rat trophoblast cells
2008-07
[11]
간행물
Polyploid tumour cells elicit paradiploid progeny through depolyploidizing divisions and regulated autophagic degradation
2011-07
[12]
간행물
Retinoic acid induction of nuclear envelope-limited chromatin sheets in HL-60
1998-11
[13]
간행물
Nuclear envelope-limited chromatin sheets are part of mitotic death
2002-03
[14]
간행물
Histologic characteristics of cells cultured from rat placental tissue
1976-02
[15]
간행물
Preparation of highly purified cytotrophoblast from human placenta with subsequent modulation to form syncytiotrophoblast in monolayer cultures
1980-08
[16]
간행물
"[Ultrastructure of amitosis and mitosis of the liver]"
1992-09
[17]
간행물
Amitosis in human adrenal cells
1991-04
[18]
간행물
A study on amitosis of the nucleus of the mammalian cell. I. A study under the light and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1986
[19]
간행물
Amitosis requires γ-tubulin-mediated microtubule assembly in Tetrahymena thermophila
2011-02
[20]
간행물
The origin of transformed cells. studies of spontaneous and induced cell transformation in cell cultures from marsupials, a snail, and human amniocytes
2002-02
[21]
간행물
Neosis: a novel type of cell division in cancer
2004-02
[22]
간행물
"[Frequency ratio of two forms of amitotic division of trophoblast cell nuclei in the mink blastocysts during the period of delayed implantation]"
2003-07
[23]
간행물
Asymmetric cell division in polyploid giant cancer cells and low eukaryotic cells
2014
[24]
간행물
Differentiation in human endometrial cells in monolayer culture: dependence on a factor in fetal bovine serum
1995-02
[25]
간행물
Structure and function of cultured endometrial epithelial cells
1999
[26]
간행물
Role of biotin-containing membranes and nuclear distribution in differentiating human endometrial cells
1998-12
[27]
간행물
Bell-shaped nuclei dividing by symmetrical and asymmetrical nuclear fission have qualities of stem cells in human colonic embryogenesis and carcinogenesis
2006-01
[28]
간행물
Amitosis of Polyploid Cells Regenerates Functional Stem Cells in the Drosophila Intestine
2017-05
[29]
웹인용
산림청 - 행정정보 > 산림지식 > 산림임업용어사전
https://www.forest.g[...]
2024-05-19
[30]
저널 인용
Amitosis in Cells Growing in Vitro
https://www.biodiver[...]
1916-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