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주공용버스터미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무주공용버스터미널은 전라북도 무주군에 위치한 버스 터미널이다. 시외버스와 농어촌버스 노선을 운영하며, 전북고속, 금남고속 등의 운송업체가 운행한다. 시외버스는 광주, 구천동, 금산, 대전, 서울남부, 영동, 전주 방면으로 운행하며, 농어촌버스는 무주군 내 각 지역과 영동군으로 운행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무주군의 건축물 - 태권도원
태권도원은 태권도 진흥을 위해 전라북도 무주군에 조성된 태권도 관련 시설이며, 1997년 건립 건의를 시작으로 2014년 개관하여 체험, 수련, 상징 공간과 조경 공간을 갖추고 있다. - 무주군의 건축물 - 무주향교 대성전
무주향교 대성전은 공자를 비롯한 유학자의 위패를 모시고 제사를 지내는 곳으로, 조선 태조 7년(1398)에 건립되어 여러 차례 위치를 옮긴 후 현재는 제사 기능만 수행하고 있다. - 무주군의 교통 - 국도 제37호선
국도 제37호선은 경상남도 거창군에서 경기도 파주시까지 총 연장 405km에 걸쳐 6개 도를 연결하며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하지만, 노선 변경에 따른 주민 불편과 일부 구간의 교통 혼잡 문제도 안고 있는 일반국도이다. - 무주군의 교통 - 구천동로
구천동로는 경상남도 거창군 고제면에서 전북특별자치도 무주군 설천면까지 이어지는 도로로, 신풍령과 라제통문삼거리 등의 주요 지점을 지나며 국도 제30호선과 연결되고, 주변에 구천동 휴게소, 보건진료소, 우체국, 초등학교 등의 시설이 있다. - 전북특별자치도의 버스 교통 - 군산시의 시내버스
군산시 시내버스는 2002년 노선 개편 후 단일 체계를 유지하며 2009년 대한민국 최초로 모든 버스를 천연가스버스로 교체, 새만금 방조제 연결로 신설 노선이 생겼고, 근대관광 활성화를 위한 버스 신설 등 대중교통 인프라 확충을 통해 지역 발전에 기여하며, 현재는 인구 변화에 따른 노선 조정 및 스마트 대중교통 시스템 구축을 위해 노력 중이다. - 전북특별자치도의 버스 교통 - 익산시의 시내버스
익산시의 시내버스는 익산시 전역을 운행하는 대중교통 시스템으로 도시순환, 좌석, 간선, 일반 버스 등 다양한 노선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카드 이용 시 환승이 가능하고 시민 편의 증진을 위한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무주공용버스터미널 | |
---|---|
기본 정보 | |
공식 명칭 | 무주공용버스터미널 |
종류 | 터미널 |
주소 | 전북특별자치도 무주군 무주읍 한풍루로 351 (당산리) |
개장 | 1972년 |
이전 | 1989년 |
운영 기관 | 무주공용터미널 |
표기 | 무주 |
고속버스 운행 여부 | 미운행 |
시외버스 운행 여부 | 운행 |
시내버스 운행 여부 | 운행 |
웹사이트 | 무주신문 기사 |
2. 시외버스
전북고속이 무주를 기점으로 하여 여러 지역으로 가는 시외버스를 운행하고 있다. 주요 노선은 다음과 같다.
운행 노선 | 운행 구간 | 주요 경유지 |
---|---|---|
무주 ↔ 광주 | 무주 ↔ 광주 | 안성, 장계, 장수, 번암, 남원, 문화동 |
무주 ↔ 구천동 | 무주 ↔ 구천동 | 설천 |
무주 ↔ 금산 | 무주 ↔ 금산 | 무정차 |
무주 ↔ 대전 | 무주 ↔ 대전 | 무정차 |
무주 ↔ 서울남부 | 무주 ↔ 서울남부 | 무정차 |
무주 ↔ 영동 | 무주 ↔ 영동 | 학산 |
무주 ↔ 전주 | 무주 ↔ 전주 | 안성, 장계 (일부), 진안 |
2. 1. 주요 노선
막차: 19:25 (무주 기준)막차: 20:40 (무주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