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주산골영화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무주산골영화제는 둥글고 따뜻한 느낌을 표현한 심볼을 사용하며, '창', '판', '락', '숲', '길'의 다섯 가지 섹션으로 프로그램을 구성한다. 한국 장편 영화 경쟁 부문인 '창' 섹션에서 뉴비전상, 나봄상, 영화평론가상, 무주관객상 등을 시상한다. 2019년부터는 차세대 배우를 조명하는 '넥스트 액터' 프로그램을 운영하며, 산골 책방, 반딧불이 신비탐사 등 다양한 부대 행사도 진행한다. 무주예체문화관 등 9개의 상영관에서 영화 상영이 이루어지며, 무주산골영화제 조직위원회가 주최하고 무주산골영화제 집행위원회 등이 주관한다.
'산'은 뾰족한 이미지이지만 '산골'이 주는 어감은 모나지 않고 둥글둥글하다. 이 '산골'이라는 이름에 착안하여 둥글고 따뜻한 느낌을 표현했다. 또한 나무 하나하나가 모여 숲을 이루듯 둥글고 부드러운 원기둥 모듈 하나하나를 조각 맞추기처럼 형상화했다.
무주산골영화제는 '창' 섹션(한국장편영화경쟁부문)을 통해 뉴비전상(대상), 나봄상(감독상), 영화평론가상, 무주관객상 등을 시상한다. '창' 섹션에서는 한국 장편 영화들이 경쟁하며, 이 중 뛰어난 작품과 감독에게 상금과 함께 상이 주어진다.
2. 심볼, 로고
3. 시상 내역
3. 1. 뉴비전상 (대상)
한국장편영화경쟁부문인 '창' 섹션에서 상영되는 9편의 영화 중 한국영화의 미학적 지평을 넓히고, 새로운 시선과 도전적인 방식으로 자신의 영화적 비전을 보여준 최우수 영화에 1000만원을 수여한다.
3. 2. 나봄상 (감독상)
한국장편영화경쟁부문인 '창' 섹션에서 상영되는 10편의 영화 중에서 자신만의 확고하고 개성 있는 영화언어를 통해 한국영화의 지평을 확장하고 새로운 가능성을 보여준 영화의 감독에게 500만원을 수여한다.
3. 3. 영화평론가상
한국장편영화경쟁부문인 '창' 섹션에 상영되는 10편의 영화 중 영화평론가 3인으로 구성된 심사위원이 선정한 최우수 영화에 300만원을 수여한다. 3인의 평론가는 영화제 이후 수상작 1편을 포함한 각 1편의 영화를 선정하여 영화비평을 작성하고, 그 비평들은 영화제 홈페이지 또는 다른 매체를 통해 공개된다.
3. 4. 무주관객상
영화제를 찾은 관객 투표를 통해 가장 많은 사랑을 받은 영화를 선정하여 상금 200만원을 수여한다. 한국장편영화경쟁부문인 '창' 섹션에서 상영되는 10편의 영화 중에서 선정한다.
4. 역대 수상 정보
상 연도 작품명 감독 뉴비전상 2020년 남매의 여름밤 윤단비 2019년 작은 빛 조민재 2018년 죄 많은 소녀 김의석 2017년 밤섬해적단 서울불바다, 재꽃 정윤석, 박석영 2016년 소년, 달리다 강석필 2015년 한여름의 판타지아 장건재 2013년 춤추는 숲 강석필 나봄상 2020년 증발 김성민 건지상 2016년 델타 보이즈 고봉수 2014년 이것이 우리의 끝이다 김경묵 전북영화비평포럼상 2018년 초현실 김응수 2017년 아기와 나 손태겸 2016년 델타 보이즈 고봉수 2015년 한여름의 판타지아 장건재 2013년 아버지의 이메일 홍재희 영화평론가상 2020년 에듀케이션 김덕중 2019년 작은빛 조민재 무주관객상 2019년 김군 강상우 2018년 살아남은 아이 신동석 2017년 공동정범 이혁상 외 1명 2016년 스틸 플라워 박석영 2015년 위로공단 임흥순
4. 1. 뉴비전상
한국장편영화경쟁부문인 '창' 섹션에서 상영되는 9편의 영화 중 한국영화의 미학적 지평을 넓히고, 새로운 시선과 도전적인 방식으로 자신의 영화적 비전을 보여준 최우수 영화에 1000만원을 수여한다.
5. 프로그램
무주산골영화제의 프로그램은 '창(窓)', '판(場)', '락(樂)', '숲(林)', '길(路)'로 구성되어 있다.
개막식 공연을 시작으로 축제 기간 동안 유명 가수 및 인디밴드의 콘서트, 배우 및 감독의 인터뷰 토크, 폐막식 공연 등 다채로운 공연이 펼쳐진다.
넥스트 액터(NEXT ACTOR)무주산골영화제는 2019년부터 한국 영화를 이끌어갈 차세대 배우 1인을 선정하여 집중 조명하는 배우 특집 프로그램 '넥스트 액터(NEXT ACTOR)'를 선보였다. 이는 다양한 관객과 소통하며 영화제로서의 전문성을 강화하기 위함이다. 백은하 배우연구소와 공동으로 기획 및 진행하는 본 프로그램은 매년 독특한 개성과 높은 잠재력을 가진 배우 1인을 선정하여 그의 연기 세계를 입체적이고 집중적으로 조명한다.
이는 단순한 배우의 스타성을 활용하는 것이 아니라, 전문 직업인으로서의 배우의 가치, 배우가 보여주는 예술로서의 연기, 그 연기에 담긴 의미, 그리고 배우와 연기의 상관관계를 다시 생각하게 하는 프로그램이다.
2019년에는 배우 박정민이, 2020년에는 배우 고아성이 넥스트 액터의 주인공으로 선정되었다.
산골 책방무주산골영화제 관객에게 책과 휴식의 공간을 제공한다.
산골 소풍무주산골영화제는 영화제와 더불어 무주를 즐기러 온 여행객 및 가족 관객을 위해 무주에서만 경험할 수 있는 '무주 반딧불이 신비탐사'를 무주군과 함께 산골소풍으로 준비했다. 반딧불이 신비탐사는 자연 속 서식지에서 직접 반딧불이의 반짝임과 생태환경을 관찰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자연의 소중함과 생명의 귀중함을 일깨우고 어린이에게는 꿈과 희망의 불빛을, 성인에게는 옛 고향의 정취를 안겨주는 소중한 추억을 선사한다.
산골 공방가족 관객들이 현장에서 자연과 더 가까이하며 프로그램을 직접 체험하고 즐길 수 있도록 산골공방 체험 공간을 마련했다.
6. 상영관 및 행사장
무주산골영화제한국어의 상영관은 실내 상영관 5곳, 야외 상영관 3곳, 이동 상영관 1곳으로 총 9곳이다.
구분 | 장소 |
---|---|
실내 상영관 | 무주예체문화관 다목적홀, 무주산골영화관 2개관, 무주전통문화의 집, 무주전통생활문화체험관 |
야외 상영관 | 무주등나무운동장, 무주등나무운동장 옆 지남공원, 덕유산국립공원 대집회장 |
이동 상영관 | 향로산 자연휴양림 |
7. 주최 및 주관
무주산골영화제 조직위원회, 무주산골영화제 집행위원회, (재)무주산골문화재단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