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태권도 연맹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미국 태권도 연맹(USAT)은 미국을 대표하는 태권도 단체이다. 1970년대 전미 아마추어 육상 연맹(AAU) 전국 태권도 협회로 시작하여 AAU에서 분리된 후 미국 태권도 연맹(USTU)으로 설립되었다. 2004년 미국 올림픽 위원회(USOC)의 관할권을 인수받아 2005년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으며, 본사는 콜로라도주 콜로라도 스프링스에 위치해 있다. USAT는 올림픽에서 미국 태권도 선수들의 메달 획득을 지원했으며, 1988년 서울 올림픽 시범 종목에서 우수한 성적을 거두었고, 이후 올림픽 정식 종목에서도 꾸준히 메달을 획득해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범아메리카 태권도 연맹의 가맹 단체 - 우루과이 태권도 연맹
미국 태권도 연맹 | |
---|---|
기본 정보 | |
![]() | |
설립 | 1978년 |
유형 | 스포츠 협회 |
상태 | 연맹 |
목적 | 미국 내 태권도 스포츠 발전 |
본부 | 콜로라도 스프링스, 원 올림픽 플라자 |
위치 | 미국 |
활동 지역 | 미국 |
웹사이트 | 미국 태권도 연맹 공식 웹사이트 |
조직 | |
회장 | 스티븐 맥널리 |
상위 단체 | 세계 태권도 연맹 범아메리카 태권도 연맹 미국 올림픽 패럴림픽 위원회 |
2. 역사
미국 태권도 연맹(USTU)은 1970년대에 AAU 전국 태권도 협회로 결성되었다가 AAU에서 분리되어 설립되었다. 2004년 미국 올림픽 위원회(USOC)가 USTU의 관할권을 인수하면서 2005년에 USA 태권도로 명칭이 변경되었고, 2006년에 회원들에 의해 USAT의 첫 이사회가 선출되었다.[5] USAT의 본사는 콜로라도 스프링스, 콜로라도에 있다.[1]
2. 1. 초기 (1970년대 ~ 2005년)
1970년대에 이 단체는 AAU 전국 태권도 협회로 결성되었지만, 이후 AAU에서 분리되어 미국 태권도 연맹(USTU)을 설립하였다. 2004년 미국 올림픽 위원회(USOC)가 USTU의 관할권을 인수하면서 2005년에 단체 명칭이 USA 태권도로 변경되었다. 2006년에는 USAT의 첫 이사회가 회원들에 의해 선출되었다.[5]2. 2. 명칭 변경 및 현재 (2005년 ~ 현재)
1970년대에 이 단체는 AAU 전국 태권도 협회로 결성되었지만, 이후 AAU에서 분리되어 미국 태권도 연맹(USTU)을 설립했다. 2004년 미국 올림픽 위원회(USOC)가 USTU의 관할권을 인수하면서 2005년에 단체 명칭이 USA 태권도로 변경되었다.[5] 2006년에는 USAT의 첫 이사회가 회원들에 의해 선출되었다.[5]USAT의 본사는 콜로라도 스프링스, 콜로라도에 있다.[1]
3. 역대 지도부
직책 | 이름 | 재임 기간 |
---|---|---|
전국 미국 아마추어 육상 연맹 태권도 위원회 위원장 | 켄 민 | 1974년 ~ 1978년 |
전국 미국 아마추어 육상 연맹 태권도 연맹 위원장 | 양동자 | 1979년 ~ 1984년 |
미국 태권도 연맹 회장 | 이무영 | 1985년 ~ 1986년 |
미국 태권도 연맹 회장 | 안경원 | 1986년 ~ 1988년, 1989년 ~ 1992년 |
미국 태권도 연맹 회장 | 화종 | 1993년 ~ 1996년 |
미국 태권도 연맹 회장 | 이상철 | 1997년 ~ 2000년 |
미국 태권도 협회 의장 | 하비 버키 | 2006년 |
미국 태권도 협회 의장 | 론다 스위트 | 2007년 ~ 2009년 |
미국 태권도 협회 의장 | 케빈 파디야 | 2010년 ~ ? |
미국 태권도 협회 CEO | 데이비드 아스키나스 | 2006년 ~ 2011년 |
미국 태권도 협회 CEO | 에릭 파르텐 | 2011년 ~ 2012년 |
미국 태권도 협회 CEO | 브루스 해리스 | 2013년 ~ 2016년 |
미국 태권도 협회 CEO | 키스 퍼거슨 | 2016년 ~ 2017년 |
미국 태권도 협회 CEO | 스티브 맥낼리 | 2017년 ~ 현재 |
4. 올림픽에서의 성과
미국 태권도 연맹(USAT)을 대표하여 올림픽에 출전한 많은 선수들이 역사적으로 메달을 획득하였다.[1] 1988년 서울 올림픽과 1992년 바르셀로나 올림픽에서는 시범 종목으로, 2000년 시드니 올림픽부터는 정식 종목으로 태권도가 채택되었다.
4. 1. 1988년 서울 올림픽 (시범 종목)
1988년 서울 올림픽에서 태권도는 시범 종목으로 채택되었다. 이 대회에서 다나 히, 지미 김이 금메달을, 이한원이 동메달을 획득하는 등 재미 한국계 선수들이 좋은 성적을 거두었다.[1]선수 | 메달 |
---|---|
다나 히 | 금메달 |
알린 리마스 | 금메달 |
린넷 러브 | 금메달 |
지미 김 | 금메달 |
데브라 할로웨이 | 은메달 |
후안 모레노 | 은메달 |
마유미 페조 | 동메달 |
샤론 주얼 | 동메달 |
이한원 | 동메달 |
그레그 베이커 | 동메달 |
제이 워윅 | 동메달 |
4. 2. 1992년 바르셀로나 올림픽 (시범 종목)
4. 3. 2000년 시드니 올림픽 ~ 2016년 리우데자네이루 올림픽
2000년 시드니 올림픽에서 태권도가 올림픽 정식 종목으로 채택된 이후, 미국 태권도 연맹(USAT) 소속 선수들은 올림픽에서 꾸준히 메달을 획득해왔다.연도 | 대회 | 메달 | 선수 |
---|---|---|---|
2000 | 2000년 시드니 올림픽 | 금메달 | 스티븐 로페즈 |
2004 | 2004년 아테네 올림픽 | 금메달 | 스티븐 로페즈 |
2004 | 2004년 아테네 올림픽 | 은메달 | 니아 압달라 |
2008 | 2008년 베이징 올림픽 | 은메달 | 마크 로페즈 |
2008 | 2008년 베이징 올림픽 | 동메달 | 다이애나 로페즈 |
2008 | 2008년 베이징 올림픽 | 동메달 | 스티븐 로페즈 |
2012 | 2012년 런던 올림픽 | 동메달 | 페이지 맥퍼슨 |
2012 | 2012년 런던 올림픽 | 동메달 | 테렌스 제닝스 |
2016 | 2016년 리우데자네이루 올림픽 | 동메달 | 재키 갤러웨이 |
특히, 스티븐 로페즈는 2000년 시드니 올림픽과 2004년 아테네 올림픽에서 금메달을 획득하며 미국 태권도 역사에 큰 족적을 남겼다.
참조
[1]
웹사이트
About Us
https://web.archive.[...]
2014-12-21
[2]
웹사이트
Black Belt
https://books.google[...]
2000-10
[3]
웹사이트
USAT Announces UFC Partnership Agreement
https://web.archive.[...]
2015-01-12
[4]
웹사이트
Being Prepared for Any Outcome
https://web.archive.[...]
2015-01-12
[5]
서적
Marketing the Sports Organisation: Building Networks and Relationships - Alain Ferrand, Scott McCarthy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08-08-20
[6]
웹사이트
Under fire, Askinas out as CEO of USA Taekwondo
http://gazette.com/u[...]
2014-12-21
[7]
뉴스
USA Taekwondo Confirms Steve M c N a l l y a s N e w Ex e c u t i v e D i r e c t o r Upon Keith Ferguson's Departure
Tae Kwon Do Life Magazine
2017-12
[8]
웹인용
미국 태권도 연맹
http://www.worldtaek[...]
세계 태권도 연맹
[9]
웹인용
About Us
http://www.teamusa.o[...]
2014-12-21
[10]
웹인용
Black Belt
https://books.google[...]
2000-10-05
[11]
웹인용
USAT Announces UFC Partnership Agreement
http://www.teamusa.o[...]
2015-01-12
[12]
웹인용
Being Prepared for Any Outcome
http://www.teamusa.o[...]
2015-01-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