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한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한원은 전의 이씨 가문의 인물로, 분의정국공신 증자헌대부 공조판서를 지냈다. 그의 팔고조도는 8대 조상을 기록하고 있으며, 계보를 통해 전의 이씨 시조 이도부터 이한원에 이르는 가계 내력을 확인할 수 있다.
이한원의 가계는 조선 전기의 문신 가문으로, 고조부 이정간부터 손자 이각까지 여러 대에 걸쳐 관직을 역임했다. 특히, 증조부 이사관, 조부 이함장, 아버지 이수남은 모두 관찰사를 지냈으며, 아들 이용강과 손자 이충도 무관직을 역임하는 등 가문의 명성을 이어갔다.
[1]
문서
양간공(良簡公) 이수남(李壽男)의 졸기(卒記)
조선왕조실록
1471-06-03
2. 가계
관계 이름 설명 고조부 이정간(李貞幹)[32] 효정공(孝靖公), 강원도 도관찰사(都觀察使), 중추원사(中樞院使) 증조부 이사관(李士寬)[33] 강원도 관찰사, 경기도 관찰사, 한성부윤(漢城府尹) 조부 이함장(李諴長)[34] 강원도 관찰사, 경상도 관찰사, 예조참판(禮曹叅判) 아버지 이수남(李壽男)[35] 좌리공신 전산군(全山君), 황해도 관찰사, 시호 양간(良簡) 아들 이용강(李用剛)[36] 울진현령(蔚珍縣令), 강릉판관(江陵判官), 통훈대부 행 충훈부도사(通訓大夫行忠勳府都事) 아들 이용유(李用柔) 수의부위(修義副尉), 병절교위(秉節校尉) 아들 이용경(李用經) 효력 부위(効力副尉) 아들 이용륜(李用綸) 사위 조방종(趙邦宗) 문과 급제(文科及第), 성균관 사성(成均館司成), 강릉부사(江陵府使) 사위 남궁 후(南宮厚) 조산대부 행 예빈시 참봉(朝散大夫行禮賓寺叅奉) 사위 윤심(尹深) 충의위(忠義衛) 손자 이충(李忠)[37] 어모장군 행 충좌위 부호군(禦侮將軍行忠佐衛副護軍) 손자 이서(李恕) 손자 이각(李慤) 손녀사위 최홍한(崔弘僴) 문과 급제(文科及第), 전라도 관찰사[38][39]
2. 1. 고조부 ~ 아버지
2. 2. 아들 ~ 손자
3. 이한원(李翰元)의 팔고조도(八高祖圖)
부 조부 증조부 고조부 외고조부 이한원 이수남 이함장 이사관 한상경의 딸 이백신 김후의 딸 박수림의 딸 박수림 한계복의 딸 박지 안중로의 딸 rowspan="4" | rowspan="2" | 이정간 문달한의 딸 한상경 오준량[41]의 딸 rowspan="2" | 이거이 최연[42]의 딸 김후[43] 장강의 딸
4. 이한원(李翰元)의 계보(系譜)
이름 관직 등 이도 전의 이씨 시조, 고려 삼한 개국 익찬 이등공신, 삼중대광 태사 이강 정용위 대장군 이수영 병부상서 이문경 천우위 대장군 이윤관 형부시랑 이신 이순 보승별장 이천 응양군 대장군 이자원 직문한서, 증 대사성 이혼 첨의정승 이자화 선부전서 이언영 삼사좌윤 이승영 감찰규정 이득영 전법총랑 이언재 내부령 백문좌 사위, 전법좌랑 김계초 사위, 강릉인, 정의대부 통례문 부사 김우류 사위, 일선인, 봉익대부 우간의 우문관 직제학 지제교 박정 사위, 밀직 이구직 교주도 안렴사, 봉익대부 형조판서, 조선 개국 원종 공신, 가선대부 호조전서, 공주목사 의징대선사 출가하여 불교에 귀의하고 고승이 됨[45][46] 이사직 직문하 대호군[47] 박이 사위, 죽산인, 전서 박여 사위, 함양인, 지신사 이정간 강원도 도관찰사, 자헌대부 중추원사, 시호 효정 이진간 서령 이양간 지고주사, 자산군사, 지배천군사, 봉정대부 내섬소윤 이문간 군기시 부정[48] 권엄 사위, 안동인, 사헌부 집의 곽순 사위, 청주인, 봉상시 소경, 제학 이맹균 사위, 한산인, 의정부 좌찬성 이사흠 과의장군 충좌위 대호군 이사관 강원도 도관찰사, 경기도 도관찰사, 가정대부 한성부윤, 아들 다섯(이예장, 이지장, 이함장, 이효장, 이서장) 모두 문과 급제[49], 둘째 아들 이의장은 무과 급제 이사신 첨지중추원사 이사민 철원부사 이사혜 봉렬대부 지영암군사 허성 사위, 하양인, 이조판서, 예문관 대제학 김계성 사위, 경주인, 산원, 증 병조판서 허비 사위, 양천인, 양양부사 이인장 녹사 이의장 무과 급제, 충청도 병마우후, 하동현감[50] 이예장 문과 급제, 정난공신, 좌익공신, 전성군, 병조참의, 시호 평간[51] 이지장 문과 급제, 승정원 주서, 증 좌찬성[52] 이함장 문과 급제, 강원도 관찰사, 경상도 관찰사, 예조참판[53] 이효장 문과 급제, 사헌부 대사헌, 경상도 관찰사[54] 이서장 문과 급제, 적개공신 전성군, 경상도 관찰사, 한성부 좌윤, 사헌부 대사헌, 호조참판, 전라도 관찰사, 시호 양간[55] 송의 사위, 진천인, 좌랑, 한성 소윤, 군기시 부정, 통례원 우통례, 절충장군 행 대호군, 첨지 김승중 사위, 영광인, 통덕랑, 장성현감 이수치 통정대부 여주목사, 첨지중추부사 이수남 문과 급제, 좌리공신, 전산군, 가선대부, 황해도 관찰사, 시호 양간 이수아 통훈대부, 행 용인현령, 좌랑 이수해 안주판관 이수영 예빈시 봉사 박인렬 사위, 밀양인, 현령[56] 나처경 사위, 수성인, 밀양부사 이한생 생원 이한원 정국공신, 전성군, 통정대부, 양주목사
참조
[2]
문서
좌리원종공신녹권(佐理原從功臣錄券)
[3]
문서
읍취헌(挹翠軒) 박은(朴誾)의 읍취헌유고(挹翠軒遺稿) 권사(卷四) 행장(行狀)
[4]
문서
[5]
문서
[6]
문서
[7]
문서
[8]
문서
눌옹선생유사(訥翁先生遺事)의 정지교부계(情志交孚契)
[9]
문서
사마방목(司馬榜目)
[10]
문서
전의이씨성보(全義李氏姓譜)
[11]
문서
[12]
문서
[13]
문서
[14]
문서
정국공신 회맹문(靖國功臣會盟文)
[15]
문서
문화류씨세보(文化柳氏世譜)
[16]
문서
[17]
문서
유명조선국통정대부수황해도관찰사겸병마수군절도사리공묘지명병서
[18]
문서
정국원종공신녹권(靖國原從功臣錄券)
[19]
문서
[20]
웹인용
조방종
http://people.aks.ac[...]
[21]
문서
[22]
문서
[23]
문서
[24]
문서
[25]
문서
[26]
웹인용
남궁지
http://people.aks.ac[...]
[27]
웹인용
윤형
http://encykorea.aks[...]
[28]
문서
[29]
문서
[30]
문서
[31]
웹인용
이한원
http://people.aks.ac[...]
[32]
문서
[33]
문서
[34]
문서
[35]
문서
[36]
문서
충훈부도사 이용강의 묘소 이장 정보
[37]
문서
어모장군 행 충좌위 부호군 이충의 묘소 이장 정보
[38]
웹인용
최홍한
http://people.aks.ac[...]
[39]
문서
이용강과 최홍한 관련 정보
[40]
문서
팔고조도 설명
[41]
문서
판도판서 오준량 관련 정보
[42]
문서
최잉은 최잉의 이명
[43]
문서
김후의 묘소 위치 정보
[44]
문서
백천의 백 발음 정보
[45]
문서
의징대선사 관련 정보
[46]
문서
학덕이나 덕행이 높은 승려
[47]
문서
조선시대 직문하 관직 정보
[48]
문서
이문간 관련 정보
[49]
문서
조선시대 5형제 문과 급제 관련 정보
[50]
문서
충청 병마우후 이의장 영세 불망비 정보
[51]
문서
이예장의 묘소 위치 정보
[52]
문서
이지장 관련 정보 및 묘소 이장 정보
[53]
문서
예조참판 이함장 묘소 위치 정보
[54]
문서
이효장의 묘소 위치 정보
[55]
문서
이서장의 묘소 위치 정보
[56]
문서
박인렬 관련 정보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