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르조 투르순조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미르조 투르순조다는 소련의 정치인이자 시인이다. 소련 최고 소비에트 의원, 타지키스탄 공산당 중앙위원회 위원장 등을 역임했으며, 러시아어와 타지크어로 시를 썼다. 주요 작품으로는 《조국을 위하여!》, 《인도의 발라드》, 《아시아의 소리》 등이 있다. 노동적기훈장, 스탈린상, 레닌상을 받았으며, 사후 타지키스탄 영웅 칭호를 수여받았다. 그의 이름을 딴 도시 투르순조다가 있으며, 두샨베에는 문학 박물관과 동상이 건립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타지키스탄의 시인 - 아불카심 라후티
아불카심 라후티는 이란에서 태어나 혁명가이자 시인으로 활동하며 타지크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의 문학 발전에 기여했고, 이란 입헌 혁명 참여, 공산주의 활동, 사드리딘 아이니와 협력, 사회주의 리얼리즘 문학 작품 창작 등의 업적을 남겼다. - 타지키스탄의 시인 - 굴나자르 켈디
타지키스탄의 언론인이자 번역가인 굴나자르 켈디는 타지크 국립 대학교 졸업 후 "타지키스탄 콤소몰" 부편집장, "사도이 샤르크" 부국장, 아프가니스탄 소련 전문가 번역가로 활동했으며 타지키스탄 언론인 연맹 회원이었다. - 1977년 사망 - 찰리 채플린
찰리 채플린은 런던 빈민가 출신으로 뛰어난 코미디 연기와 영화 연출로 세계적인 명성을 얻었으며, "작은 방랑자" 캐릭터, 슬랩스틱 코미디, 판토마임 연기, 사회 비판적 메시지, 매카시즘 시대의 탄압, 아카데미 명예상 수상 등으로 대표되는 파란만장한 삶을 살았던 영국의 배우이자 영화 감독이다. - 1977년 사망 - 송영 (극작가)
송영은 일제 강점기와 북한에서 활동한 극작가로, 카프 계열 연극인으로 등단하여 노동 운동 풍자 작품을 발표했으나 친일 행적을 보였고, 광복 후 월북하여 북조선연극동맹 위원장을 지냈으며, 김일성 항일 무장 투쟁을 형상화한 희곡으로 알려졌으나 한설야 숙청 시기에 숙청되었을 가능성이 있지만 애국렬사릉에 안장된 것으로 보아 복권된 것으로 추정된다. - 지폐의 인물 - 이승만
이승만은 대한민국의 초대 대통령이자 독립운동가로서, 대한민국 임시정부 초대 대통령을 역임하고 해방 후 초대 대통령으로 선출되었으나, 독재적 통치와 부정부패에 대한 비판도 받으며 4·19 혁명 후 하와이로 망명하여 서거하였다. - 지폐의 인물 - 찰스 스튜어트 파넬
찰스 스튜어트 파넬은 19세기 후반 아일랜드의 국민주의 지도자였으며, 아일랜드 의회에서 토지 개혁과 자치 운동을 이끌었으나, 피곳 사건과 오셰이 부인과의 불륜으로 인해 정치적 몰락을 겪었다.
미르조 투르순조다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로마자 표기 | Mirzo Tursunzoda |
직업 | 시인 |
국적 | 타지키스탄 |
출생 | |
출생일 | 1911년 5월 2일 |
출생지 | 카라타그, 부하라 토후국 |
사망 | |
사망일 | 1977년 9월 24일 |
사망지 | 두샨베, 타지크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
가족 | |
자녀 | 있음 |
2. 생애
소련 최고 소비에트 의원, 타지키스탄 공산당 중앙위원회 위원, 소련 평화위원회 위원, 아시아 및 아프리카 국가들과의 연대를 위한 소련 위원회 위원 등을 역임했다. 1946년 타지키스탄 작가 동맹 위원장으로 임명되었고, 1951년 타지키스탄 과학 아카데미 회원으로 임명되었다.[1] 주로 러시아어, 타지크어로 시를 썼고, 러시아와 구소련 국가 작가들의 문학 작품을 번역하기도 했다.[1]
2. 1. 투르순조다 시와 기념물
1978년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된 도시인 투르순조다가 등장했고 1981년에는 두샨베에 그의 탄생 70주년을 기념하기 위해 건립된 문학 박물관이 개관했다.[1] 1소모니 지폐에는 그의 초상화가 그려져 있으며 두샨베에는 그의 동상이 건립되어 있다.[1]3. 주요 작품
제목 | 발표 연도 |
---|---|
《태양》 | 1936년 |
《가을, 봄》 | 1937년 |
《조국을 위하여!》 | 1941년 |
《조국의 아들》 | 1942년 |
《모스크바에서 온 신부》 | 1945년 |
《인도의 발라드》 | 1947년 ~ 1948년 |
《나는 동방의 자유인》 | 1950년 |
《하산 아르바케시》 | 1954년 |
《아시아의 소리》 | 1956년 |
《영원한 빛》 | 1957년 |
《내 사랑》 | 1960년 |
《갠지스강에서 크렘린으로》 | 1970년 |
4. 상훈
상훈 |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