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러시아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러시아어는 동슬라브어군에 속하는 언어로, 러시아, 벨라루스, 카자흐스탄, 키르기스스탄 등 여러 국가에서 공용어로 사용되며, 전 세계적으로 2억 5천만 명 이상이 사용한다. 러시아어의 역사는 고대 러시아어, 중세 러시아어, 현대 러시아어로 구분되며, 표트르 1세의 개혁과 알렉산드르 푸시킨의 문학적 업적을 통해 현대 문어의 기반이 다져졌다. 키릴 문자를 사용하며, 명사, 형용사, 동사의 격 변화와 상, 시제 등 문법 체계가 복잡하다. 다양한 방언이 존재하며, 다른 언어로부터 많은 단어를 차용하기도 했다. 유엔, 국제 우주 정거장 등 국제 기구에서도 사용되며, 웹상에서도 널리 사용되는 언어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몰도바의 언어 - 루마니아어
    루마니아어는 고대 로마 시대 속어 라틴어에서 기원하여 다키아 지역에서 발전, 주변 언어의 영향을 받았으며, 루마니아와 몰도바의 공용어이고, 다양한 언어의 영향을 받은 풍부한 어휘를 가진 로망스어이다.
  • 몰도바의 언어 - 가가우즈어
    가가우즈어는 튀르크어족에 속하며, 몰도바의 가가우지아 자치구에서 주로 사용되고, 터키어 알파벳을 기반으로 한 로마자를 사용하며, 슬라브어의 영향을 받아 튀르크어와 문법과 어휘에서 차이를 보인다.
  • 리투아니아의 언어 - 리투아니아어
    리투아니아어는 인도유럽어족 발트어파에 속하는 언어로, 라트비아어와 함께 현존하는 발트어족 언어 중 하나이며, 리투아니아에서 주로 사용되고 유럽 연합의 공용어로서, 문법과 음운의 보수성으로 인도유럽조어 재구성에 기여했고, 역사적 어려움 속에서 리투아니아 독립 후 국가의 공식 언어로 자리매김했다.
  • 리투아니아의 언어 - 카라임어
    카라임어는 튀르크어족 킵차크어군에 속하며 크림반도 등지에 거주하는 카라임인들이 사용하는 언어로, 여러 가설이 있는 기원과 다양한 언어의 영향을 받았고 교착어적 특징을 가지며 소멸 위기에 처해 있다.
  • 라트비아의 언어 - 리보니아어
    리보니아어는 발트해 연안의 리보니아인들이 사용했던 핀우그리아어족에 속하는 멸종된 언어로, 역사적 요인으로 쇠퇴하여 마지막 원어민 화자 사망 후 멸종되었으나, 현재 라트비아 대학교 리보니아 연구소 등을 중심으로 부활을 위한 연구와 교육이 진행 중이다.
  • 라트비아의 언어 - 라트갈레어
    라트갈레어는 라트비아 동부 라트갈레 지역에서 사용되는 인도유럽어족 발트어파에 속하는 언어로서 라트비아어의 역사적 변종으로 여겨지며 18세기부터 문학 전통이 발전해 21세기에 들어 문화계에서 부각되어 공공 표지판과 미디어에서의 사용이 늘고 있다.
러시아어
지도
기본 정보
이름러시아어
로마자 표기Russkiy yazyk
사용 국가러시아
벨라루스
카자흐스탄
키르기스스탄
타지키스탄
몰도바 (지역 수준)
가가우지아
드네스트르 강 좌안 지역
우크라이나 (지역 수준)
크림 자치 공화국
압하지야
남오세티야
트란스니스트리아
사용 지역동유럽, 북아시아, 카프카스, 중앙아시아, 동아시아
모국어 화자1억 4756만 6020명 (2020년 조사)
제2 언어 화자1억 782만 6500명 (2020년 조사)
전체 화자2억 5539만 2520명 (2020년 조사)
언어 순위8위
문자키릴 문자 (러시아어 알파벳), 러시아어 점자
공용어러시아
벨라루스
카자흐스탄
키르기스스탄
타지키스탄
트란스니스트리아
압하지야
남오세티야
국제 연합 및 기타 국제 기구
소수 언어루마니아
아르메니아
체코
슬로바키아
몰도바
우크라이나
중국
언어학적 정보
어족인도유럽어족
어파발트슬라브어파
어군슬라브어파
하위 어군동슬라브어군
조상 언어원시 인도유럽어
원시 발트슬라브어
원시 슬라브어
고대 동슬라브어
관리 기관V.V. 비노그라도프 러시아어 연구소
코드
ISO 639-1ru
ISO 639-2rus
ISO 639-3rus
글롯로그russ1263
링구아53-AAA-ea
기타
로마자 표기zamók, zámok
세계 러시아어 사용 현황
세계 러시아어 사용 현황 (공용어 지정 및 사용 인구 비율)

2. 역사

러시아어의 역사는 일반적으로 11세기부터 17세기까지의 ''고대 러시아어''와 그 이후의 ''현대 러시아어''로 나뉜다.[115] 보편적으로 받아들여지는 시대 구분은 없지만, 다음과 같은 시대로 구분되기도 한다.[113][114][115]


  • 고대 러시아어 또는 고대 동슬라브어 (14세기 또는 15세기까지)
  • 중세 러시아어 (14세기 또는 15세기부터 17세기 또는 18세기까지)
  • 현대 러시아어 (17세기 또는 18세기부터 현재까지)


1056년의 오스트로미르 복음서는 알려진 가장 오래된 두 번째 동슬라브어파 책으로, 러시아 국립도서관에 보존된 많은 중세 장식 사본 중 하나이다.


표트르 1세(Пётр Вели́кий, Pyótr Velíky)의 정치 개혁은 알파벳 개혁과 함께 진행되었고, 세속화와 서구화라는 목표를 달성했다. 서유럽 언어에서 전문 용어가 대량으로 도입되었다. 1800년까지 상당수의 귀족들은 매일 프랑스어를 사용했고, 독일어를 사용하는 경우도 있었다. 19세기의 많은 러시아 소설들, 예를 들어 레프 톨스토이(Лев Толсто́й)의 ''전쟁과 평화''에는 번역 없이 프랑스어로 된 전체 단락과 심지어 페이지까지 포함되어 있는데, 당시 교육받은 독자들은 번역이 필요 없다는 가정하에 이루어진 것이다.[116]

현대 문어는 일반적으로 19세기 초 알렉산드르 푸시킨(Алекса́ндр Пу́шкинru) 시대부터 시작된 것으로 여겨진다. 푸시킨은 당시 구어체에서 찾을 수 있는 문법과 어휘를 사용함으로써 고풍스러운 문법과 어휘(소위 высо́кий стильru—"고풍스러운 문체")를 거부하여 러시아 문학에 혁명을 일으켰다. 비교적 푸시킨이 사용한 단어 중 몇몇만이 고어가 되었거나 의미가 바뀌었기 때문에, 젊은 세대의 현대 독자들조차도 푸시킨의 텍스트에 있는 일부 단어를 이해하는 데 약간의 어려움만을 겪을 수 있다. 사실, 특히 푸시킨, 미하일 레르몬토프(Михаи́л Ле́рмонтовru), 니콜라이 고골(Никола́й Го́гольru), 알렉산드르 그리보예도프(Алекса́ндр Грибое́довru) 등 19세기 초 러시아 작가들이 사용한 많은 표현들은 속담이나 격언이 되어 현대 러시아 구어체에서도 자주 발견된다.[116]

러시아어 텍스트라틴 문자 표기한국어 번역
Зи́мний ве́черru'Zímnij véčer'겨울 저녁
Бу́ря мгло́ю не́бо кро́ет,ruBúrja mglóju nébo krójet,폭풍이 안개로 하늘을 덮고,
Ви́хри сне́жные крутя́;ruVíhri snéžnyje krutjá,눈보라를 휘몰아치네.
То, как зверь, она́ заво́ет,ruTo, kak zveŕ, oná zavójet,때로는 짐승처럼 울부짖고,
То запла́чет, как дитя́,ruTo zapláčet, kak ditjá,때로는 어린아이처럼 흐느끼네.
То по кро́вле обветша́лойruTo po króvle obvetšáloj때로는 낡아빠진 지붕 위에서
Вдруг соло́мой зашуми́т,ruVdrug solómoj zašumít,갑자기 짚을 바스락거리고,
То, как пу́тник запозда́лый,ruTo, kak pútnik zapozdályj때로는 늦은 나그네처럼,
К нам в око́шко застучи́т.ruK nam v okóško zastučít.우리 창문을 두드리네.



소비에트 시대 동안, 다양한 다른 민족 집단의 언어에 대한 정책은 실제로는 변동이 있었다. 각 구성 공화국에는 자체 공식 언어가 있었지만, 통합적인 역할과 우월한 지위는 러시아어에 보류되었으며, 비록 1990년에야 공용어로 선포되었지만 말이다.[117] 1991년 소련 붕괴 이후, 여러 신생 독립국가들은 그들의 모국어를 장려했는데, 이는 러시아어의 특권적인 지위를 부분적으로 역전시켰지만, 러시아어가 지역 전체에서 포스트소비에트 국가 담론의 언어로서의 역할은 계속되었다.[118]

소련 붕괴와 세계 러시아인 수 감소, 러시아(러시아어가 공용어임)의 총 인구 감소로 인해 세계적으로 러시아어 사용이 1991년 이후 감소했지만, 이후로 역전되었다.[45][121][119]

2006년 "Demoskop Weekly" 저널에 발표된 수치에 따르면, 러시아 교육과학부 사회학 연구 센터의 연구 부국장인 Arefyev A. L.[120]에 따르면, 러시아어는 전반적으로 그리고 특히 러시아에서 점차적으로 그 위상을 잃고 있다.[121][122][123][25] 2012년 A. L. Arefyev는 새로운 연구 "20세기 말~21세기 초 러시아어"를 발표했는데, 여기서 그는 소련 붕괴 이후 세계 여러 지역에서 러시아어 약화 추세에 대한 그의 결론을 확인했다(2013년 "Demoskop Weekly" 저널에 발표된 연구 결과).[45][124][125][126] 전 소비에트 연방 국가에서는 러시아어가 지역 언어로 대체되거나 함께 사용되고 있다.[45][127] 현재 세계 러시아어 화자 수는 세계 러시아인 수와 러시아 총 인구에 달려 있다.[45][121][119]

2. 1. 슬라브 조어

러시아어의 역사는 일반적으로 11세기부터 17세기까지의 ''고대 러시아어''와 그 이후의 ''현대 러시아어''로 나뉜다.[115] 보편적으로 받아들여지는 시대 구분은 없지만, 다음과 같은 시대로 구분되기도 한다.[113][114][115]

  • 고대 러시아어 또는 고대 동슬라브어 (14세기 또는 15세기까지)
  • 중세 러시아어 (14세기 또는 15세기부터 17세기 또는 18세기까지)
  • 현대 러시아어 (17세기 또는 18세기부터 현재까지)


표트르 1세(Пётр Вели́кий, Pyótr Velíky)의 정치 개혁은 알파벳 개혁과 함께 진행되었고, 세속화와 서구화라는 목표를 달성했다. 서유럽 언어에서 전문 용어가 대량으로 도입되었다. 1800년까지 상당수의 귀족들은 매일 프랑스어를 사용했고, 독일어를 사용하는 경우도 있었다. 19세기의 많은 러시아 소설들, 예를 들어 레프 톨스토이(Лев Толсто́й)의 ''전쟁과 평화''에는 번역 없이 프랑스어로 된 전체 단락과 심지어 페이지까지 포함되어 있는데, 당시 교육받은 독자들은 번역이 필요 없다는 가정하에 이루어진 것이다.[116]

현대 문어는 일반적으로 19세기 초 알렉산드르 푸시킨(Алекса́ндр Пу́шкинru) 시대부터 시작된 것으로 여겨진다. 푸시킨은 당시 구어체에서 찾을 수 있는 문법과 어휘를 사용함으로써 고풍스러운 문법과 어휘(소위 высо́кий стильru—"고풍스러운 문체")를 거부하여 러시아 문학에 혁명을 일으켰다.[116]

} || '''''Zímnij véčer''''' || '''Winter evening'''

|-

| Бу́ря мгло́ю не́бо кро́ет,ru || || ''Búrja mglóju nébo krójet,'' || The storm covers the sky with a haze

|-

| Ви́хри сне́жные крутя́;ru || || ''Víhri snéžnyje krutjá,'' || As it swirls heaps of snow in the air.

|-

| То, как зверь, она́ заво́ет,ru || || ''To, kak zveŕ, oná zavójet,'' || At times, it howls like a beast,

|-

| То запла́чет, как дитя́,ru || || ''To zapláčet, kak ditjá,'' || And then cries like a child;

|-

| То по кро́вле обветша́лойru || || ''To po króvle obvetšáloj'' || At times, on top of the threadbare roof,

|-

| Вдруг соло́мой зашуми́т,ru || || ''Vdrug solómoj zašumít,'' || It suddenly rustles straw,

|-

| То, как пу́тник запозда́лый,ru || || ''To, kak pútnik zapozdályj'' || And then, like a late traveller,

|-

| К нам в око́шко застучи́т.ru || || ''K nam v okóško zastučít.'' || It knocks upon our window.

|}

소비에트 시대 동안, 다양한 다른 민족 집단의 언어에 대한 정책은 실제로는 변동이 있었다. 각 구성 공화국에는 자체 공식 언어가 있었지만, 통합적인 역할과 우월한 지위는 러시아어에 보류되었으며, 비록 1990년에야 공용어로 선포되었지만 말이다.[117] 1991년 소련 붕괴 이후, 여러 신생 독립국가들은 그들의 모국어를 장려했는데, 이는 러시아어의 특권적인 지위를 부분적으로 역전시켰지만, 러시아어가 지역 전체에서 포스트소비에트 국가 담론의 언어로서의 역할은 계속되었다.[118]

소련 붕괴와 세계 러시아인 수 감소, 러시아(러시아어가 공용어임)의 총 인구 감소로 인해 세계적으로 러시아어 사용이 1991년 이후 감소했지만, 이후로 역전되었다.[45][121][119]

러시아어 텍스트발음라틴 문자 표기영어 번역
Зи́мний ве́черru{{IPA|ru|ˈzʲimnʲɪj ˈvʲetɕɪr|}
최근 러시아어 화자 수 추정치
출처모어 화자 수모어 순위총 화자 수총 순위
G. Weber, "Top Languages",
Language Monthly,
3: 12–18, 1997, ISSN 1369-9733
1억 6천만 명82억 8천 5백만 명5
세계 연감 (1999)1억 4천 5백만 명8 (2005)2억 7천 5백만 명5
SIL (2000 WCD)1억 4천 5백만 명82억 5천 5백만 명5–6 (아랍어와 동률)
CIA 월드 팩트북 (2005)1억 6천만 명8



2006년 "Demoskop Weekly" 저널에 발표된 수치에 따르면, 러시아 교육과학부 사회학 연구 센터의 연구 부국장인 Arefyev A. L.[120]에 따르면, 러시아어는 전반적으로 그리고 특히 러시아에서 점차적으로 그 위상을 잃고 있다.[121][122][123][25] 2012년 A. L. Arefyev는 새로운 연구 "20세기 말~21세기 초 러시아어"를 발표했는데, 여기서 그는 소련 붕괴 이후 세계 여러 지역에서 러시아어 약화 추세에 대한 그의 결론을 확인했다(2013년 "Demoskop Weekly" 저널에 발표된 연구 결과).[45][124][125][126] 전 소비에트 연방 국가에서는 러시아어가 지역 언어로 대체되거나 함께 사용되고 있다.[45][127] 현재 세계 러시아어 화자 수는 세계 러시아인 수와 러시아 총 인구에 달려 있다.[45][121][119]

세계 러시아어 화자 비율 변화
(Aref'eva 2012년 평가)[45][126]
연도세계
인구,

십억 명
러시아 제국,
소비에트 연방 및
러시아 연방
인구,

백만 명
세계 인구
중 비율,

%
러시아어
화자 총수,

백만 명
세계 인구
중 비율,

%
19001.650138.0 8.41056.4
19141.782182.2 10.21407.9
19402.342205.0 8.82007.6
19804.434265.0 6.02806.3
19905.263286.0 5.43125.9
20046.400146.0 2.32784.3
20106.820142.7 2.12603.8
20207.794147.3 1.82563.3


2. 2. 성 키릴로스와 성 메토디우스

러시아어의 역사는 고대 동슬라브어 (14세기 또는 15세기까지), 중세 러시아어 (14세기 또는 15세기부터 17세기 또는 18세기까지), 현대 러시아어 (17세기 또는 18세기부터 현재까지)로 구분된다.[113][114][115] 1056년의 오스트로미르 복음서는 알려진 가장 오래된 두 번째 동슬라브어파 책이다.[115]

표트르 1세의 정치 개혁은 알파벳 개혁과 함께 진행되었고, 서유럽 언어에서 전문 용어가 대량으로 도입되었다.[116] 19세기 레프 톨스토이의 ''전쟁과 평화''에는 프랑스어로 된 단락이 포함되어 있을 정도로, 당시 귀족들은 프랑스어를 많이 사용했다.[116]

현대 문어는 19세기 초 알렉산드르 푸시킨 시대부터 시작된 것으로 여겨진다. 미하일 레르몬토프, 니콜라이 고골, 알렉산드르 그리보예도프 등 19세기 초 작가들이 사용한 많은 표현들은 현대 러시아 구어체에서도 자주 발견된다.[116]

소비에트 시대에는 러시아어가 통합적인 역할과 우월한 지위를 가졌지만, 1990년에야 공용어로 선포되었다.[117] 1991년 소련 붕괴 이후, 여러 신생 독립국가들은 그들의 모국어를 장려했다.[118]

세계적으로 러시아어 사용은 1991년 이후 감소했지만, 이후 다시 증가하였다.[45][121][119] 2006년 러시아 교육과학부는 러시아어가 점차 그 위상을 잃고 있다고 발표했다.[120][121][122][123][25] 전 소비에트 연방 국가에서는 러시아어가 지역 언어로 대체되거나 함께 사용되고 있다.[45][127]

2. 3. 고대 동슬라브어

고대 동슬라브어(10세기 - 15세기)는 동슬라브족이 사용했던 언어로, 현대 러시아어의 기원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113][114][115] 키예프 대공국이 13세기에 붕괴된 후, 루스 지역은 몽골 제국의 지배(타타르의 멍에)를 받았다. 이 시기 타타르어튀르크어족몽골어의 영향이 현대 러시아어에 남아있으며, 특히 재정금융 관련 단어에서 그 흔적을 찾아볼 수 있다. 이후 북동 루스 변방(현재의 유럽 러시아)에서 모스크바 대공국이 성립되었고, 이 나라의 공용어가 러시아어로서 독자적인 발전을 이루었다.

러시아 제국 시대에는 1708년 표트르 1세의 알파벳 단순화를 시작으로 러시아어 개혁이 활발하게 진행되었다. 18세기 후반, 미하일 로모노소프는 최초의 러시아어 문법서를 저술하여 표준어 형성에 크게 기여했다. 19세기 초, 알렉산드르 푸슈킨은 현대적인 문어를 확립했다. 표트르 1세(Пётр Вели́кий, Pyótr Velíky)의 정치 개혁은 알파벳 개혁과 함께 진행되었고, 세속화와 서구화라는 목표를 달성했다. 서유럽 언어에서 전문 용어가 대량으로 도입되었다.[116] 당시 러시아 제국은 서유럽을 본보기로 근대화를 추진했기 때문에, 네덜란드어, 프랑스어, 독일어 등에서 대량의 전문 어휘가 도입되었다. 1800년까지 상당수의 귀족들은 매일 프랑스어를 사용했고, 독일어를 사용하는 경우도 있었다.[116] 한편, 당시 상류층은 프랑스어를 일상적으로 사용했으며[130], 레프 톨스토이(Лев Толсто́й)의 ''전쟁과 평화''를 포함한 19세기 소설들에는 프랑스어가 섞인 작품이 많다.

2. 4. 소련 시기

소련은 공식적인 공용어가 없었으나[177] 러시아어가 사실상 공용어로 기능하였다. 튀르크계 추바시인을 조상으로 둔 레닌은 오스트리아 마르크스주의와 카우츠키의 영향을 받아 쓴 1914년 논문 『강제적 국가 언어는 필요한가?』에서 국가 언어 제정을 비판하였다. 스탈린은 소수민족인 조지아인이자 민족 문제 전문가로서 민족어 장려 정책을 채택하였다. 그 결과, 소련 붕괴에 이르기까지 러시아어는 공용어가 되지 못했다.[178]

1918년 볼셰비키가 알렉세이 샤흐마토프의 철자 개혁안을 공포하였다. 이후 1942년 Ё가 포함되어 현재의 러시아어 정서법이 되었다. 1964년에도 소련 과학 아카데미에 의해 정서법 개혁안이 만들어졌으나 실시되지 않았다.[113][114][115]

소비에트 시대 동안, 다양한 다른 민족 집단의 언어에 대한 정책은 실제로는 변동이 있었다. 각 구성 공화국에는 자체 공식 언어가 있었지만, 통합적인 역할과 우월한 지위는 러시아어에 보류되었으며, 비록 1990년에야 공용어로 선포되었지만 말이다.[117] 1991년 소련 붕괴 이후, 여러 신생 독립국가들은 그들의 모국어를 장려했는데, 이는 러시아어의 특권적인 지위를 부분적으로 역전시켰지만, 러시아어가 지역 전체에서 포스트소비에트 국가 담론의 언어로서의 역할은 계속되었다.[118]

소비에트 연방에서는 러시아어가 사실상 공용어였고, 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을 제외한 소비에트 연방 구성 공화국에서 공통어로 기능했지만, 공식적으로는 공용어가 존재하지 않았다. 레닌은 오스트로-마르크시즘과 카우츠키의 영향을 받아, 1914년 논문 「강제적인 국가어는 필요한가?」에서 국가어 제정을 비판했다. 스탈린도 민족 문제 전문가로서 민족어 장려 정책을 채택한 결과, 소련은 붕괴될 때까지 러시아어를 공식적인 공용어의 지위에 올려놓지 못했다.[131]

1918년에는, 가 준비했던 알파벳 개혁안이 볼셰비키에 의해 실행에 옮겨져 현재의 러시아어 표기법이 성립되었다. 다만, Ё는 이 시점에서는 아직 공식적인 알파벳으로 인정받지 못했고, 공식적으로 포함된 것은 1942년의 일이다. 1964년에도 소련 과학 아카데미에 의해 표기법 개혁안이 만들어졌지만, 이것은 실시되지 않았다.

2. 5. 소련 붕괴 이후

1991년 말 소련 붕괴로 소련을 구성하던 각 공화국은 독립하였고, 이전까지 러시아어와 함께 사용되던 각 민족어가 제1공용어로 격상되었다. 그러나 이후 언어 상황은 다양하게 전개되었다.[118]

발트 3국에스토니아, 라트비아, 리투아니아에서는 소련으로부터의 독립 이후 각 민족어(에스토니아어, 라트비아어, 리투아니아어)의 사용 기회가 급증하였다. 소련 붕괴 후 30년 정도밖에 지나지 않았고, 러시아계 주민이 많은 지역에서는 러시아어가 여전히 사용되지만, 소련 시대와 비교하면 러시아어 사용은 상당히 줄었다. 특히 이 3개국이 2004년 EU에 가입한 이후로는 영어독일어가 더 널리 배우게 되었다.[132] 하지만, 라트비아에서는 독립 회복 후 제정한 국적법에 라트비아어 습득을 국적 취득 요건으로 규정하여 많은 러시아계 주민이 러시아로 이주하게 되었지만, 국적을 부여받지 못한 잔류 러시아인의 권리가 침해되고 있다는 러시아 정부의 항의를 받았고, 유럽 연합 집행위원회로부터도 이 언어 규정이 시민의 평등을 규정한 유럽 헌법에 위반된다는 지적을 받았다. 2018년 4월에는 교육법이 개정되어 러시아계 주민이 다니는 학교에서도 초등학교는 50% 이상, 중학교는 80%, 고등학교는 100%의 과목을 라트비아어로 교육하는 것이 의무화되었다.[132]

몰도바에서는 러시아어가 국내 공용어로 법정되었지만, 2018년 6월에 효력이 상실된 것으로 확인되었다.[132]

러시아 영향권으로부터 벗어나려는 우크라이나와 조지아에서도 러시아어 대신 우크라이나어와 그루지아어가 더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우크라이나에서는 서부를 중심으로 전통적으로 우크라이나어만 사용되는 지역이 있는 반면, 우크라이나어와 러시아어가 모두 사용되는 지역도 있으며, 동부와 크림 반도에서는 러시아어 사용자가 많은 지역도 있어 지역에 따라서는 장래에도 러시아어가 상당 기간 사용될 것으로 추정된다. 소련 붕괴 이후 러시아어가 우세했던 지역을 중심으로 우크라이나어에 러시아어 요소가 섞인 "수르지크"라는 혼합 언어가 확산되고 있다. 현재도 우크라이나 서부를 제외한 광범위한 지역에서 러시아어가 사용, 이해되고 있으며, 러시아어를 우크라이나어에 이은 제2공용어로 추가하려는 움직임도 있어, 기존의 러시아어 배척 움직임에서 전환점을 맞이하려 하고 있다.

조지아 정부는 러시아어 교육을 폐지하고, 러시아어 표기에 기반한 "그루지아"를 영어식 표기인 "조지아"로 변경할 것을 요청했다.[179] 또한 러시아에 많은 조지아인이 거주하는 등 러시아어는 현재도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 외 지역에서는 러시아어가 여전히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벨라루스, 카자흐스탄, 키르기스스탄, 우즈베키스탄, 투르크메니스탄 등에서는 비러시아인이라도 러시아어만 구사하는 사람이 많고, 다민족이 혼재하여 생활하는 중앙아시아 국가에서는 러시아어가 민족을 초월한 공용어로 사용되고 있다. 카프카스 지역과 몰도바에서도 현지인 간의 일상 대화에는 현지어가 사용되는 경우가 증가했지만, 러시아어로 대화하는 사람들도 적지 않다. 러시아와의 통합에 적극적인 알렉산드르 루카셴코 대통령의 독재 체제가 계속되는 벨라루스에서는 벨라루스어와 러시아어가 공용어로 지정되어 있지만, 이웃 우크라이나와는 반대로 러시아어 사용이 장려되고, 본래의 민족어인 벨라루스어가 경시되는 경향이 있다.

폴란드불가리아 등 구 공산권 국가에서는 공산주의 체제하에서 러시아어가 널리 교육되었지만, 민주화 이후 영어나 독일어[180] 등 서구 언어에 밀려 러시아어 학습은 시들해졌다. 또한 발트 3국과 동구권 국가는 헝가리 혁명이나 프라하의 봄에서 소련군에 의한 민주화 탄압이 있었기 때문에, 과거 제1외국어였던 러시아어 사용을 거부하는 사람들도 있다.

한편, 블라디미르 푸틴 정권에서 경제 회복에 성공한 러시아가 BRICS라는 경제 성장 지역 중 하나에 가입하고, 천연자원을 중심으로 한 다른 국가와의 경제 관계가 다시 확대됨에 따라 러시아어의 수요는 다시 증가하고 있다. 발트 3국 등에서도 러시아어에 대한 부정적 이미지는 소련 시대를 경험하지 않은 젊은 세대를 중심으로 점차 희미해지고 있으며, 러시아어는 영어독일어와 함께 비즈니스에 필요한 언어로 인식하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 또한 우주 개발에서는 국제 우주 정거장의 공용어가 되는 등 영어와 함께 필수적인 언어 중 하나가 되고 있다.

러시아 국내에서는 급속한 자본주의화와 신기술 도입에 따라 기존에는 존재하지 않았던 개념과 용어가 대량으로 도입되었다. 이에 러시아어의 신조어 창출 능력이 따라가지 못하여, 특히 영어를 중심으로 한 외래어가 그대로 러시아어에 도입되는 사례가 많아지고 있다.[181]

3. 지리적 분포



2004년 구 소련 국가(러시아 제외)의 러시아어 구사 능력


2010년 기준으로 전 세계 러시아어 화자는 2억 5,980만 명이었다. 러시아에는 1억 3,750만 명, 독립국가연합(CIS) 및 발트 국가에는 9,370만 명, 동유럽에는 1,290만 명, 서유럽에는 730만 명, 아시아에는 270만 명, 중동 및 북아프리카에는 130만 명,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에는 10만 명, 라틴 아메리카에는 20만 명, 미국, 캐나다,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에는 410만 명의 화자가 있었다. 따라서 러시아어는 영어, 중국어, 힌디어-우르두어, 스페인어, 프랑스어, 아랍어, 포르투갈어 다음으로 세계에서 모어 화자 수 기준 7번째로 큰 언어이다.[45][46][47]

러시아어는 유엔의 6개 공식 언어 중 하나이다. 러시아어 제2언어(RSL)와 러시아 및 많은 구 소련 공화국의 모어 화자 모두에게 러시아어 교육은 여전히 인기 있는 선택이다. 구 소련 공화국의 대부분에서 러시아어는 여전히 어린이들이 배워야 할 중요한 언어로 여겨진다.[48]

[[파일:Ruština ve světě.svg|오른쪽|300px|썸네일|'''러시아어 사용자 분포'''

]]

3. 1. 우크라이나

우크라이나 동부와 남부에서는 러시아어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68] 또한 우크라이나어와 러시아어의 사회 방언이 섞인 구어이자 혼합 언어인 수르지크어(суржик)도 사용되고 있다.[152] 우크라이나에서는 소련 붕괴 이후 언어를 둘러싼 정치 문제가 여러 번 발생하였다.

인터넷, 상점, 직장, 학교 등에서는 두 언어를 병기해서 모두 사용하지만 국가기관 및 공직자들은 우크라이나어 위주로 말한다. 다만 개인적인 대화, SNS, 블로그, 쇼핑몰에서는 러시아어가 더 많이 사용된다. 우크라이나 주민의 약 95%가 러시아어를 구사할 수 있다.[68] 2006년 기준으로 인구의 65%가 러시아어에 능통했으며, 38%가 가족, 친구 또는 직장에서 러시아어를 주요 언어로 사용했다.[49]

우크라이나의 2001년 인구조사에 따른 모국어로 러시아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의 비율


2014년에는 러시아어 화자가 많은 크림 공화국과 세바스토폴 특별시가 독립을 선언하였고 러시아 편입을 선언하기에 이르렀다(크림 위기). 이와 동시에 동부의 돈바스에서도 무장 분쟁이 발생하여 일부 지역이 도네츠크 인민공화국과 루간스크 인민공화국으로 사실상 독립하였다.

분쟁의 심화는 끝내 2022년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하는 사태로 이어졌으며, 9월 30일에는 러시아가 도네츠크, 루간스크 공화국 및 자포리자주와 헤르손주의 병합을 선언하였다.[152] 동부 및 남부와는 반대로 러시아어 화자가 적은 서부의 리비우주에서는 의회가 2018년 9월 18일 러시아어 음악을 공공 장소에서 틀거나 러시아어 서적을 출판하는 것을 금지하는 조례를 가결하였다.

2017년 9월 5일, 우크라이나 의회는 모든 학교에서 적어도 일부는 우크라이나어로 가르치도록 요구하는 "교육에 관한 새로운 법률"을 통과시켰으며, 원주민 언어와 소수 민족 언어를 국가 언어와 함께 사용할 수 있도록 규정했다.[69] 이 법은 러시아와 헝가리의 관리들로부터 비판을 받았다.[70][71]

2019년 우크라이나 법률 "국가 언어로서 우크라이나어 기능 보호에 관한 법률"은 공공 생활의 30개 이상 분야에서 우크라이나어를 우선시한다. 특히 공공행정, 미디어, 교육, 과학, 문화, 광고, 서비스업 등에서 우크라이나어를 우선적으로 사용한다. 이 법은 사적인 의사소통은 규제하지 않는다.[72][73]

2022년 3월 레이팅이 우크라이나가 통제하는 지역에서 실시한 여론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83%가 우크라이나어가 우크라이나의 유일한 국가 언어여야 한다고 생각한다. 이러한 의견은 모든 거시 지역, 연령대 및 언어 그룹에서 우세하다. 반면, 전쟁 전에는 우크라이나인의 거의 4분의 1이 러시아어에 국가 언어 지위를 부여하는 것을 찬성했지만, 러시아 침공 이후 이러한 지지율은 7%로 떨어졌다. 평화 시에는 러시아어의 지위 향상이라는 생각은 전통적으로 남부와 동부 주민들에 의해 지지되었다. 그러나 이 지역에서도 응답자의 3분의 1만이 찬성했으며, 러시아의 전면 침공 이후 그 수는 거의 절반으로 줄었다.[74]

레이팅이 2023년 8월 우크라이나가 통제하는 지역과 난민들 사이에서 실시한 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거의 60%가 주로 가정에서 우크라이나어를 사용하고, 약 30%는 우크라이나어와 러시아어를 모두 사용하며, 9%만이 러시아어를 사용한다. 2022년 3월 이후 일상생활에서 러시아어 사용이 눈에 띄게 감소하고 있다. 응답자의 82%에게 우크라이나어는 모국어이고, 16%에게 러시아어는 모국어이다. 국내 실향민과 해외 거주 난민은 의사소통을 위해 두 언어를 모두 사용하거나 러시아어를 사용할 가능성이 더 높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국내 실향민과 난민의 70% 이상이 우크라이나어를 모국어로 여긴다.[75]

3. 2. 벨라루스

알렉산드르 루카셴코는 1994년 대통령에 선출된 이후, 1995년 러시아어에 벨라루스어와 같은 지위를 부여하기 위한 국민투표를 실시하여 가결되었다.[77] 그 이후 현재까지 대규모의 러시아어화가 추진되고 있다.[77] 2019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총인구 9530.8만 명 중 벨라루스어 모어 화자는 53.2%였으나 러시아어 모어 화자는 41.5%였다.[50] 총인구의 4분의 3에 해당하는 도시 주민 중 벨라루스어 모어 화자는 44.1%였으며 가정 내에서의 사용 비율은 11.3%에 그쳤다.[50] 이는 러시아어화가 크게 진행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2009년 벨라루스 인구조사에 따른 가정에서 사용하는 언어 (녹색 — 벨라루스어, 파란색 — 러시아어) (구역별)


벨라루스에서는 벨라루스 헌법에 따라 러시아어가 벨라루스어와 함께 제2공용어이다.[77] 2019년 벨라루스 인구조사에 따르면, 9,413,446명의 인구 중 5,094,928명(총 인구의 54.1%)이 벨라루스어를 모국어로 지정했으며, 민족적으로 벨라루스인의 61.2%, 폴란드인의 54.5%가 벨라루스어를 모국어로 신고했다.[50] 벨라루스 사회의 일상생활에서는 러시아어가 우세하여, 2019년 인구조사에 따르면 6,718,557명(총 인구의 71.4%)이 가정에서 러시아어를 사용한다고 밝혔다.[50] 민족적으로 벨라루스인의 경우 61.4%, 러시아인은 97.2%, 우크라이나인은 89.0%, 폴란드인은 52.4%, 유대인은 96.6%가 가정에서 러시아어를 사용한다고 답했다.[50] 2,447,764명(총 인구의 26.0%)은 가정에서 주로 사용하는 언어가 벨라루스어라고 밝혔으며, 민족적으로 벨라루스인의 경우 28.5%이다.[50] 가정에서 벨라루스어를 사용하는 비율이 가장 높은 민족은 폴란드인으로 46.0%이다.[50]

3. 3. 에스토니아

러시아와의 역사적 관계로 인해 에스토니아에는 에스토니아어를 이해하지 못하는 러시아어 화자가 일부 존재한다.[182] 에스토니아 정부는 언어법 개정을 거듭하여 이들의 배제 또는 사회 통합을 꾀하였고, 법은 효과를 보여 젊은 러시아인은 에스토니아어 능력이 향상되었다.[182] 그러나 에스토니아어를 구사하지 못하는 주민은 북동부 이다비루주를 중심으로 아직도 존재하며 이들의 사회 통합은 과제로 남았다. 러시아와의 국경에 가까운 북동부 이다비루주 나르바에서는 러시아어 화자의 비율이 95% 이상을 차지하며 동 주에는 이외에도 러시아어 화자가 과반수를 차지하는 도시가 여럿 있다.[153]

2000년 에스토니아 인구조사에 따른 에스토니아 러시아어 사용자 비율


에스토니아 언어법 제11조에는 '모든 정주자의 과반수가 사용하는 언어가 에스토니아어가 아닌 지방자치단체에서는 지자체의 실무 언어로 에스토니아어에 더하여 모든 정주자의 과반수를 차지하는 소수민족의 언어를 사용할 수 있다'는 조문이 있다.[154] 이에 러시아인이 95% 이상을 차지하는 나르바시 의회는 의회에서 러시아어를 사용하고자 했으나, 정부는 에스토니아어 사용이 아직 보장되지 않고 있다며 신청을 각하하였다.[154] 그러나 러시아인들은 비합법적으로 공적 영역에서의 러시아어 사용을 계속하고 있다.[154] 2008년 수도인 탈린에서 러시아계 주민이 에스토니아 정부에 반발하여 일어난 대규모 폭동 청동의 밤은 부분적으로 러시아어 탄압 정책에 영향을 받았다.

2011년 월드 팩트북 추정치에 따르면 에스토니아 인구의 29.6%가 러시아어를 사용하며,[83] 공식적으로는 외국어로 간주된다.[77] 에스토니아 정치에서 러시아어 교육은 매우 논쟁적인 문제이며, 2022년 의회는 학년도까지 모든 러시아어 학교와 유치원을 폐쇄하는 법안을 승인했다. 에스토니아어만 사용하는 학교와 유치원으로의 전환은 2024-2025 학년도에 시작될 것이다.[51][52]

3. 4. 카자흐스탄

카자흐스탄은 소련에서 독립한 후에도 다른 중앙아시아 국가들에 비하여 러시아어가 사용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카자흐어는 국어, 러시아어는 실질적 공용어의 지위를 확립하였다.[155] 카자흐스탄 헌법 제7조에 따라 국가 및 지방 행정에서 카자흐어와 동등한 지위를 누리고 있다.[77] 도시 지역에는 카자흐어보다 러시아어를 잘하는 카자흐인이 적지 않다.[155] 2009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15세 이상 인구의 84.8%인 1,030만 9,500명이 러시아어를 읽고 쓰고 말하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고 보고되었다.[80]

이러한 상황에서 카자흐스탄 정부는 카자흐어 진흥을 추진하였다.[156] 이로 인한 카자흐어의 급속한 대두와 러시아어의 중요성 저하에 대해 거부감을 느끼는 이들이 있다. 한편 대중매체에서의 러시아어가 갖는 지배적 지위를 의문스럽게 여기는 의견도 있다.[155]

하지만 최근에는 러시아어에서 벗어나려는 움직임이 있다. 카자흐어 표기가 키릴 문자에서 라틴 문자로 이행되는 초안이 제출되었다.[157] 그러나 이는 국민들에게 보편화되어 있지 않다. 또한 카자흐어 자체도 러시아어 차용어가 많다.[158] 2023년 10월, 카자흐스탄은 러시아어보다 카자흐어 사용을 늘리기 위한 미디어 법안을 마련했는데, 이 법안은 2025년부터 연간 5%씩 증가하여 텔레비전과 라디오에서 국가어의 비율을 50%에서 70%로 높여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81]

3. 5. 우즈베키스탄

우즈베키스탄에서는 독립 이후 한동안 우즈베크어와 러시아어가 공적 문서에서 사용되었다.[159] 그러나 1995년 12월 헌법 개정으로 우즈베키스탄 헌법 제4조[160] 및 「국가언어법」에 따라[161] 우즈베크어가 공용어가 되었다. 우즈베크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시대에는 우즈베크어와 러시아어가 공용어였다.

현재 러시아어는 전체 인구의 14.2%가 제1언어로 사용하며, 그 외 사람들도 대부분 제2언어로 사용하는 등 민족 간 공통어·준공용어로 사용된다.[83] 러시아어는 사회뿐만 아니라 국가 행정에서도 활발하게 사용되고 있다.[6][7][8][77][85]

지방에서는 우즈베크어 모어 화자의 비율이 높지만, 수도 타슈켄트에서는 인구의 절반 가량이 러시아어 화자이며 러시아어가 일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다.[162] 대학에서는 우즈베크어와 러시아어로 강의가 이루어지며 연구 활동을 하는 사람은 대부분 러시아어 환경에서 연구하고 있다.[162] 한편 영어가 통하는 경우는 적어서 2005년 조사에서는 영어를 할 수 있다고 답한 사람들이 9%에 불과했다. 반면 러시아어를 할 수 있다고 대답한 사람들의 비율은 중앙아시아 전체에서 80%를 넘었다.[163] 우즈베키스탄에서는 우즈베크어와 러시아어 외에 주로 소수민족에 의해 타지크어, 키르기스어, 투르크멘어, 카자흐어, 카라칼파크어, 타타르어, 노가이어 등이 튀르크계 언어 이 외에는 아제르바이잔어, 위구르어 등이 사용되고 있다.

3. 6. 타지키스탄

타지키스탄에서는 러시아어가 제정 러시아부터 소련 시기까지의 공용어였기 때문에 현재도 제2언어로서 교육·비즈니스 등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다.[164] 타지키스탄 헌법에 따라 러시아어가 여러 민족 간의 의사소통 언어로 사용되며 공식 문서에도 사용이 허용된다.[77] 2006년 인구의 28%가 러시아어에 능통했고, 7%는 가족, 친구 또는 직장에서 러시아어를 주요 언어로 사용했다.[49] 세계 정보 연감(World Factbook)은 러시아어가 정부와 사업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고 언급하고 있다.[83]

그러나 2009년 10월 국어법이 제정되어 공문서나 간판, 신문은 타지크어를 사용하도록 의무화되었다.[164] 소련 붕괴 후에 타지키스탄 내전이 일어나 많은 러시아인이 빠져나갔고 러시아어의 통용도가 급격히 낮아졌다. 그러나 현재는 대부분의 이주 노동이 러시아에서 이루어지며 고등교육에는 러시아어 습득이 불가결하기 때문에 러시아어 교육도 중요시되고 있고 국민들의 러시아어 학습열이 강하다.[164]

3. 7. 키르기스스탄

키르기스스탄에서는 러시아어가 공용어로, 키르기스어국어로 지정되어 있다(헌법 제10조 제1항, 제2항).[165] 2017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모어 사용자 비율은 키르기스어가 55.2%, 우즈베크어가 4.7%, 러시아어가 34.0%이다. 독립 이후 공용어에서 제외된 우즈베키스탄 등과는 달리, 키르기스스탄에서는 러시아어가 계속 공용어로 지정되어 있다. 이는 국가 중추를 차지했던 러시아인 등 러시아어 사용 주민의 해외 유출(두뇌 유출)을 막기 위한 것이며, 현재도 산악 지대를 제외한 전국에서 통용되고, 교육, 비즈니스 및 정부 기관에서 널리 사용된다. 또한 의학 용어 등은 러시아어로만 번역된 단어가 있어 러시아어를 이해하지 못하면 생활에 어려움을 겪을 수도 있다. 수도 비슈케크와 그 주변 지역에서는 많은 주민들이 러시아어를 사용하며, 키르기스어를 유창하게 구사하지 못하는 키르기스인도 적지 않다. 이 때문에 현지 출신 러시아인 중에는 키르기스어를 못하는 사람이 대부분이다.

3. 8. 기타 구 소련권

에스토니아 외에도 유럽 연합 회원국인 라트비아, 리투아니아 등의 구 소련 국가에서도 러시아계 주민을 중심으로 러시아어가 널리 쓰인다. 다만 이들 국가에서는 러시아어가 국가적으로 공인된 공용어나 소수 언어가 아니며, 따라서 EU 공용어에도 러시아어가 포함되지 않고 있다.[166] 소련 붕괴 이래로 러시아에 대한 반감과 위상 저하를 배경으로 우크라이나, 카자흐스탄 외에도 라트비아, 몰도바에서 러시아어 이탈 움직임이 있다.[166] 그러나 소련 시절부터 러시아인 거주 비율이 10% 정도였던 리투아니아를 제외하면 위의 각 나라에서 러시아계 주민 비율은 상대적으로 높고, 특히 중앙아시아에서는 상대적으로 임금 수준이 높은 러시아 도시에서 돈을 버는 경향이 있어 노동자 유출이 계속되고 있기 때문에 러시아어가 구소련권의 상업·행정적 공통언어(링구아 프랑카)로 현재도 사용이 계속되고 있다.

아르메니아에서는 러시아어가 공식적인 지위를 갖고 있지는 않지만, 국가 소수민족 보호를 위한 기본 협약에 따라 소수 언어로 인정받고 있다.[77] 2006년 당시 인구의 30%가 러시아어에 능통했으며, 2%는 가족, 친구 또는 직장에서 러시아어를 주요 언어로 사용했다.[49]

아제르바이잔에서는 러시아어가 공식적인 지위를 갖고 있지는 않지만, 사실상 공용어 역할을 하고 있다.[77] 2006년 당시 인구의 26%가 러시아어에 능통했으며, 5%는 가족, 친구 또는 직장에서 러시아어를 주요 언어로 사용했다.[49]

조지아에서는 러시아어가 공식적인 지위를 갖고 있지는 않지만, 국가 소수민족 보호를 위한 기본 협약에 따라 소수 언어로 인정받고 있다.[77] 세계 정보 연감에 따르면 러시아어는 인구의 9%가 사용하는 언어이다.[78] 에스놀로그는 러시아어를 조지아의 사실상 공용어로 언급하고 있다.[79]

카자흐스탄에서는 러시아어가 국가어는 아니지만, 카자흐스탄 헌법 제7조에 따라 국가 및 지방 행정에서 카자흐어와 동등한 지위를 누리고 있다.[77] 2009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15세 이상 인구의 84.8%인 1,030만 9,500명이 러시아어를 읽고 쓰고 말하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고 보고되었다.[80] 2023년 10월, 카자흐스탄은 러시아어보다 카자흐어 사용을 늘리기 위한 미디어 법안을 마련했는데, 이 법안은 2025년부터 연간 5%씩 증가하여 텔레비전과 라디오에서 국가어의 비율을 50%에서 70%로 높여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81]

키르기스스탄에서는 키르기스스탄 헌법 제5조에 따라 러시아어가 공용어이다.[77] 2009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48만 2,200명(전체 인구의 8.99%)이 러시아어를 모국어로 사용하고 있다.[82] 또한 15세 이상 키르기스스탄 거주자 185만 4,700명(해당 연령대 인구의 49.6%)이 러시아어를 유창하게 제2언어로 사용하고 있다.[82]

타지키스탄에서는 타지키스탄 헌법에 따라 러시아어가 여러 민족 간의 의사소통 언어로 사용되며 공식 문서에도 사용이 허용된다.[77] 2006년 인구의 28%가 러시아어에 능통했고, 7%는 가족, 친구 또는 직장에서 러시아어를 주요 언어로 사용했다.[49] 세계 정보 연감(World Factbook)은 러시아어가 정부와 사업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고 언급하고 있다.[83]

투르크메니스탄에서는 1996년 러시아어가 공식 공용어의 지위를 상실했다.[77] 소련 시대에 성장한 인구의 12%[83]가 러시아어를 구사할 수 있지만, 다른 세대의 시민들은 러시아어를 전혀 모른다. 러시아어로 이루어지는 초·중등 교육은 거의 존재하지 않는다.[84]

우즈베키스탄에서는 러시아어가 여러 민족 간의 의사소통 언어이다.[6][7][8] 러시아어는 공식 문서에서 사용이 허용되는 등 일부 공식적인 역할을 하고 있으며, 국가의 공용어이자 엘리트 계층의 언어이다.[77][85] 세계 정보 연감(World Factbook)의 비공개 추정치에 따르면 인구의 14.2%가 러시아어를 사용한다.[83]

중국에서는 러시아어가 공식 언어로 지정되어 있지는 않지만, 북동부 헤이룽장과 북서부 신장 위구르 자치구의 소규모 러시아인 공동체에서 사용되고 있다. 1949년부터 1964년까지 중국 학교에서는 러시아어가 주요 외국어로 가르쳐지기도 했다.

2005년 몽골에서 러시아어는 가장 널리 가르치는 외국어였으며,[86] 2006년에는 7학년부터 제2외국어로 의무적으로 가르치게 되었다.[87]

2017년 기준으로 약 150만 명의 이스라엘인이 러시아어를 사용했다.[88] 이스라엘 언론과 웹사이트는 정기적으로 러시아어 자료를 게시하고 있으며, 이스라엘에는 러시아어 신문, 텔레비전 방송국, 학교 및 소셜 미디어 매체가 있다.[89] 이스라엘 플러스를 통해 러시아어로 주로 방송하는 이스라엘 TV 채널이 있다. 이스라엘의 러시아어도 참조하십시오.

소수의 아프가니스탄 사람들이 러시아어를 제2언어로 사용하고 있다.[90]

베트남에서는 러시아어가 중국어일본어와 함께 초등 교육 과정에 추가되었으며, 영어와 동등한 수준으로 베트남 학생들이 배우는 "제1외국어"로 지정되었다.[91]

3. 9. 이스라엘

1999년 통계에 따르면 이스라엘로 이주한 구소련 출신 인구는 75만 명에 달하며, 러시아어 방송을 하는 TV 및 라디오 방송국도 있다. 이스라엘의 공용어는 히브리어뿐이지만, 이민의 영향으로 인해 공용어가 아닌 영어처럼 러시아어도 널리 쓰이고 있다.

3. 10. 미국

미국의 러시아어 화자에는 러시아계 미국인과 러시아 통치 시기 알래스카 주민들의 후손들이 있다.[92]

러시아 제국은 러시아 정교회 주류가 고의식파, 몰로칸파, 유대교 등을 억압했으며, 특히 유대인에 대한 포그롬으로 1880년대 이후 유대인들이 뉴욕, 샌프란시스코 등 미국 도시로 집단 이주했다. 1917년 러시아 혁명러시아 내전 이후 1922년 소련 성립으로 구 지배층과 일반 민중 일부가 미국으로 망명했는데, 이들을 '백계 러시아인'이라 부르며, 이들은 미국에서 러시아어와 러시아 문화를 전파했다. 1933년 소련과의 국교 수립 후 일부 지식인들의 미국 이주가 허용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냉전으로 이주가 제한되었으나, 1970년대 소련 정부가 유대인의 이스라엘 이주를 허용하면서 일부가 미국으로 재이주했다. 1980년대 페레스트로이카와 1991년 소련 붕괴 이후 러시아인들의 미국 이주가 다시 증가했는데, 정치·경제적 이유와 러시안 마피아에 의한 비합법 이주, 국제결혼 등이 포함된다.

2000년 인구 조사에서 70만 명이 러시아어 화자라고 답했으며, 러시아계 미국인은 약 300만 명으로 추산된다.

한편, 러시아 제국은 1784년 코디액 섬에 근거지를 두고 1799년 알래스카 영유권을 선언, 1821년 러시아령 아메리카를 성립했다. 1867년 알래스카를 미국에 매각한 후, 러시아 제국 관리 등은 귀환했으나 고의식파는 미국에 남아 '러시아어 원어민 미국인'이 되었다. 소련 성립 후 알래스카와 시베리아의 교류가 단절되면서 알래스카 일부 지역에는 러시아 제국 당시의 고의식파 신앙과 러시아어가 보존되었다. 특히 니닐치크(Ninilchik, Alaska)에서는 20세기 말부터 모스크바 대학교 등에서 언어 수집을 하고 있다. 알래스카주 니콜라예프스크에서는 러시아어가 영어보다 더 많이 사용된다.[92] 뉴욕시, 필라델피아, 보스턴 등 대도시에도 상당한 러시아어 사용자 공동체가 존재한다.[92]

4. 국제적 위상

러시아어는 유엔, 국제 원자력 기구, 국제 민간 항공 기구, 유네스코, 세계 보건 기구 등 여러 국제기구의 공식 언어 중 하나이다.[94] 국제 표준화 기구에서는 영어, 프랑스어와 함께 사용되며, 상하이 협력 기구에서는 중국어와 함께 공식 언어로 지정되어 있다. 독립국가연합(CIS), 집단안보조약기구(CSTO), 유라시아 경제 연합에서도 공식 언어로 사용된다. 유럽 연합도 필요에 따라 러시아어를 사용하기도 한다.

[[파일:Ruština ve světě.svg|오른쪽|300px|썸네일|'''러시아어 사용자 분포'''

]]

냉전 시대에는 바르샤바 조약 기구의 공식 언어가 러시아어였다. 서유럽권에서도 의사 소통을 위해 러시아어를 사용하는 경우가 있었는데, 이는 당시 국제 언어로 널리 쓰였기 때문이다.

러시아어는 국제우주정거장의 두 가지 공식 언어 중 하나이기도 하다. 미항공우주국(NASA) 우주비행사들은 러시아 우주비행사와의 협력을 위해 러시아어 과정을 수강하며, 이러한 관행은 1975년 아폴로-소유즈 테스트 계획 임무에서부터 시작되었다.[94]

2013년 3월, 러시아어는 웹사이트에서 영어 다음으로 많이 사용되는 언어로, 전체 웹사이트의 5.9%를 차지했다.[95] 이는 독일어보다 약간 앞선 수치이다. 러시아어는 .ru 사이트의 89.8%, 이전 소련 영토 도메인 .su 사이트의 88.7%에서 사용되었다. 전 소련 회원국의 웹사이트에서도 러시아어 사용률이 높게 나타났는데, 우크라이나 79.0%, 벨라루스 86.9%, 카자흐스탄 84.0%, 우즈베키스탄 79.6%, 키르기스스탄 75.9%, 타지키스탄 81.8%였다.[95]

5. 방언

러시아어에는 여러 방언이 존재한다. 크게 북부, 중부, 남부 방언으로 나뉜다. 표준어는 모스크바 방언을 기반으로 한다. 모스크바 방언은 원래 남부 방언이었으나 북부 방언의 영향을 받아 중부 방언으로 변화했다.


  • 북부 방언: 아르한겔스크 방언, 올로네츠 방언, 노브고로드 방언, 비야트카 방언, 블라디미르 방언 등이 있다.
  • '''오카니예'''(оканьеru): 무성음절 를 명확하게 발음한다.
  • 후치 정관사 '-to', '-ta', '-te'가 존재한다. (불가리아어/български езикbg와 마케도니아어/македонски јазикmk와 유사)
  • 중부 방언: 모스크바 방언, 트베리 방언 등이 있다. 북부와 남부 방언의 특징이 혼합되어 있다.
  • '''북부 방언적 특징''': 파열음 , 동사 현재 3인칭 형 어미 -т 등.
  • '''남부 방언적 특징''': 아카니예, 이카니예 등.
  • 남부 방언: 오룔(돈) 방언, 랴잔 방언, 투라 방언, 스몰렌스크 방언 등이 있다.
  • '''야카니예'''(яканьеru): 유성구개음화된 자음 뒤, 강세 음절 앞 무성음절 와 가 로 발음된다.
  • 유성 연구개 마찰음 , 반모음 및 이 있다.


민족마다 러시아어 억양이 다르기도 하다. 예를 들어 우크라이나, 캅카스, 중앙아시아 등에서 사용되는 러시아어는 각 지역의 영향을 받은 억양을 가지고 있다.

5. 1. 러시아어 유래의 변종 방언

페냐는 러시아에서 행상인, 부랑민, 범죄자 집단 사이에서 암호처럼 사용된 은어 체계이다.[102] 중세 언어의 특징이 반영되었다고 하며, 문법적으로는 일부 변형이 있고 어휘 면에서는 전혀 별개의 언어이다. 퀠리아어는 독일어와 러시아어가 혼합된 언어이다. 수르지크어는 우크라이나 일부 지역에서 쓰이는 우크라이나-러시아어이다.[102] 트라샨카어는 벨라루스에서 쓰이는 벨라루스-러시아어이다.

러시아노르웨이어스발바르 제도콜라반도에서 러시아인노르웨이인들이 의사소통을 위해 혼합된 언어였으나, 지금은 소멸되었다. 러시아 영어는 러시아식 영어이다. 캬흐타어는 러시아어와 중국어가 혼합된 언어였으나, 지금은 소멸되었다. 시베리아 방언은 러시아어와 시베리아의 소수민족들의 언어 (알타이어, 투바어, 부랴트어 등)가 혼합되어 쓰인다.

발라츠카는 1793년 이주한 우크라이나 코사크들이 가져온 크라스노다르 지방, 돈, 쿠반, 테렉에서 사용되던 우크라이나 방언으로, 소위 "남서부 러시아" 방언(우크라이나 방언)을 기반으로 한다. 1920년대부터 1950년대까지 상기 지역의 러시아화 과정 동안 러시아어로 대체되었다.

에스페란토는 러시아어와 슬라브어에서 유래한 단어를 일부 포함하고 있으며, 그 문법의 일부 특징은 러시아어에서 유래했을 수 있다.[102] 로즈반은 1985년 러시아어 사용자 수를 고려하여 6개의 원천 언어 중 하나로 러시아어를 포함하고 있다.[103] 메드니 알류트어는 베링 섬에서 사용되었던 멸종된 혼합어로, 알류트어 명사와 러시아어 동사가 특징이다. 파돈카프스키 은어는 루넷의 파돈키가 개발한 속어이다.

렁글리시는 러시아어-영어 피진이다. 이 단어는 영어 사용자들이 러시아인들이 러시아어 형태론이나 구문을 사용하여 영어를 구사하려고 할 때 사용하는 방식을 설명하는 데에도 사용된다. 루세노르스크어는 주로 러시아어 어휘와 주로 노르웨이어 문법을 사용하는 멸종된 피진 언어로, 러시아인과 노르웨이 상인들이 핀마르크와 콜라 반도에서 포모르 무역으로 소통할 때 사용되었다. 수르직은 우크라이나와 러시아어의 혼합된 (마카로니) 사회 방언으로 우크라이나와 인접 지역의 특정 지역에서 사용된다. 트라시안카는 벨라루스의 농촌 인구의 상당 부분이 사용하는 러시아어화된 벨라루스어 변종이다. 타이미르 피진 러시아어는 타이미르 반도의 응가산족이 사용한다.

알래스카 러시아어는 미국 알래스카주의 일부 지역에서 사용되는 러시아어 방언이다. 알래스카가 러시아 영토였던 시대에 니닐치크(Ninilchik, Alaska) 마을(러시아어: Нинилчик)에 정착하여 현지 주민과 융합한 러시아인들은 1867년 알래스카 매입 이후 러시아와의 접촉이 감소했고, 1917년 10월 혁명에 따른 러시아의 공산화, 그리고 제2차 세계대전 이후 미소 냉전으로 인해 접촉 기회가 완전히 사라지면서 표준 러시아어로부터 완전히 고립된 상태로 약 100년 동안 독자적인 발전을 거듭해 왔다. 시베리아 방언, 영어, 에스키모-알류트어족 언어, 아사바스카어족 언어의 단어가 섞여 있으며, 중성 명사가 사라졌고, 여성 명사도 상당히 줄어들었다. 2013년 현재 니닐치크 마을에서는 영어가 사용되고 있으며, 러시아어를 기억하는 주민은 20명 정도에 불과하며, 모두 75세 이상이다.[173]

6. 문자

러시아어는 키릴 문자를 사용한다.[104] 1574년 이반 표도로프(Ivan Fyodorov)가 리비우에서 인쇄한 최초의 동슬라브어 인쇄 교과서인 《아즈부카》(Azbuka, 알파벳 책)에는 키릴 문자가 나와 있다.

1574년 이반 표도로프(Ivan Fyodorov)가 리비우에서 인쇄한 최초의 동슬라브어 인쇄 교과서인 《아즈부카》(Azbuka, 알파벳 책)의 한 페이지. 이 페이지에는 키릴 문자가 나와 있다.


러시아어 알파벳은 33개의 문자로 구성되며, 다음 표는 각 문자의 일반적인 발음에 대한 IPA 값과 함께 형태를 보여준다.

문자문자 명칭음가 (IPA)발음상의 주의 사항 등
러시아어라틴어 표기가타카나 표기경음연음
Ааa/а}}abe
Ввv/вэ}}veヴェ어말에서는 로 발음. 또한 명확하지 않은 발음에서는 특히 모음 사이에 있는 ʋ/в}} 는 「ワ」와 비슷한 음가 ge형용사·대명사 활용의 어미에서는 ɣ/в}} 로 읽는 것이 있다. 또한 특정 감탄사나 교회 슬라브어 유래의 단어에서는 전통적으로 유성 연구개 마찰음 de연음은 실제로 설첨음의 와 같이 발음된다.
Ееje/е}}jeイェjo). 많은 경우 트레마 없이 Eru 와 같이 쓰이지만 읽는 데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Жжʐ/жэ}}zheジェ. 일본어에는 없지만, 예를 들어 중국어의 「肉」(pinyin|ròu) 발음 의 는 이와 가깝다.
Ззz/зэ}}ze같은 슬라브어파의 폴란드어와 달리 연음의 경우 가 되는 정도이며, 일본어의 「가사」 의 유성 치경 경구개 마찰음(자음 )까지 되지는 않는다.
Ииi/и}}ii kratkojeイ・クラトカヤ-(짧은 「이」)
Ккk/ка}}ka일본어와 달리 무성 경구개 파열음(「키」가 「치」와 같은 발음 )이 되는 등의 사투리에 해당하는 현상은 러시아어에는 존재하지 않으며, 러시아어 화자에게는 주로 тьru 나 чru 로 들려 오해를 불러일으킬 수 있다.
Ллɫ/эль}}el'エル경음은 영어 feel 의 L 발음과, 연음은 million 의 L 발음과 각각 비슷하다.
Ммm/эм}}emエム
Ннn/эн}}enエヌ경음은 항상 환경에 관계없이 「나」의 자음 이며, 일본어의 「ん」과는 실제로 상당히 다르다. 특히 많은 언어와 대조적으로 연구개 비음 이 되는 일조차 없다.
Ооo/о}}o pe
Ррr/эр}}erエル치경 진동음(말린 혀 )로 발음된다. 연음화하면 구개화한 가 되고, 발음 메커니즘의 특징에서 에 대해 는 약간 진동하기 어렵다.
Ссs/эс}}esエス같은 슬라브어파의 폴란드어와 달리 연음화의 경우 가 되는 정도이며, 일본어의 「시」의 무성 치경 경구개 마찰음(자음 )까지 되지는 않는다.
Ттt/тэ}}te연음은 실제로 설첨음의 와 같이 발음된다.
Ууu/у}}uefエフ영어나 중국어에도 볼 수 있는 음성 . 일본어의 「후」의 자음 가 아니다. 주로 외래어의 표기에 사용된다.
Ххx/ха}}kha무성 연구개 마찰음(「카」와 같이 발음되는 「하」)이지만, 구개화(연음화)하면 일본어의 표준적인 「히」의 자음과 거의 같다.
Ццʦ/цэ}}tseツェcheチェ-shaシャ. 일본어에는 없지만, 예를 들어 중국어나 산스크리트어(범어)에 있는 음소 는 이러한 소리이다(예: 중국어 「상하이」pinyin|shànghǎi , 범어 कृष्णsa 「크리슈나」 등의 ).
Щщɕː/ща}}shchaシシャ(シチャ)-)과 비슷하지만, 약간 길다)
Ъътвёрдый знакrutvjordɨj znak트뵤르드이즈나크-경음 기호, 비구개화[168][169]
Ыыɨ/ы}}ɨウィ 의 모음 비원순 중설 좁은 모음 는 이러한 소리이다.
Ьь◌ʲ/мягкий знак}}mjagkij znak먀기이즈나크eju 로 발음한다.
Яяja/я}}ja 로 발음한다.



А, Ы, У, Э, О는 경모음이고, Я, И, Ю, Е, Ё는 연모음이다. Й는 반자음이다. 정서법의 규칙에 따라 г ,к, х, ж, ч, ш, щru 뒤에는 я, ы, юru를 두지 않고, 대신 각각 а, и, уru 를 사용한다. 단, 이 규칙이 적용되지 않는 경우도 있다. 자음 문자 j/й}} 는 일반적으로 모음의 바로 앞에는 사용되지 않고, 대신 {{IPAru + 모음의 음 결합을 나타내는 я, и, ю, е, ёru 가 사용된다. 그러나 특히 외래어에서는 Йокога́маru(요코가마=요코하마)와 같이 단어의 앞에 두는 경우도 있다.

7. 음운

러시아어의 음절 구조는 매우 복잡하여, 최대 4개의 자음이 연속적으로 어두와 어미에 나타날 수 있다. 핵(모음)을 V, 자음을 C로 나타내는 공식을 사용하면, 최대 구조는 다음과 같이 설명할 수 있다.

(C)(C)(C)(C)V(C)(C)(C)(C)

한국어의 억양과는 달리, 강세(強弱アクセント)를 가진다. 강세가 있는 음절은 강하게, 약간 길게 발음된다.

의문사가 없는 의문문에서는, 가장 듣고 싶은 부분의 단어의 강세를 높여 억양으로 발음한다.

ёru는 역사적으로 강세가 있는 еru가 변화한 것이므로 원칙적으로 강세가 있으며, 한 단어에 한 번만 나타난다.[171](어형 변화에 따라 강세가 사라진 경우, 문자상으로는 еru로 변화한다). 하지만 접두사 трёх-ru와 같은 예외도 있다.

уru를 제외한 모음은 강세가 없으면 소리가 약화된다. 강세의 전후, 위치에 따라 소리가 변한다. аru, a/о}}는 는 는 잘 됐다). 이것은 표준 러시아어의 기반이 된 모스크바 방언의 발음이며, 반면 북부 방언에서는 강세가 없는 оru, еru를 그대로 "오", "예"로 발음한다. 또한 е, иru의 발음이 "야"에 가까워지는 방언도 존재한다.

7. 1. 모음

러시아어가 갖는 모음의 개수는 학파에 따라 의견이 다른데, 모스크바 음운학파에 따르면 러시아어의 강세 붙은 모음은 <а>, <э>, <и>, <о>, <у> (/a, e, i, o, u/)의 5개이고 상트페테르부르크 음운학파 (레닌그라드 음운학파)는 여기에 <ы>(/ɨ/)를 추가한다.[107][108] 모음은 강세에 따라 이음을 가지는데 강세가 없는 모음은 약화되어 2~4가지의 음운(경자음 뒤에서 /i, u, a/, 연자음 뒤에서 /i, u/)으로 발음된다.

트로피모프와 존스(1923, 55쪽)에 따른 러시아어 모음 도표


러시아어는 강세 모음으로 /i, u, e, o, a/의 다섯 또는 여섯 개의 모음을 가지고 있으며, 어떤 분석에서는 /ɨ/를 포함하기도 한다. 하지만 대부분의 경우, 무강세 모음은 두 개에서 네 개로 축약된다. 경음 뒤에서는 /i, u, a/ (또는 /ɨ, u, a/)가 되고, 연음 뒤에서는 /i, u/가 된다. 이러한 모음들은 여러 가지의 동소변이체를 가진다.

러시아어는 일반적으로 5모음 체계이다. ɨ/ы}} 의 조건 변이음이다 (예: iˈtalʲijə/Италия}} {{IPAru).[107][108]

전설중설후설
i(ɨ)u
eo
a


7. 2. 자음

러시아어의 자음은 양순음, 순치음, 치음, 치경음, 권설음, 치경구개음, 경구개음, 연구개음 등으로 분류된다.

자음 음소
colspan="2" rowspan="2" |순음치음/
치경음
후치경음경구개음연구개음
비음
파열음무성
유성
파찰음()
마찰음무성ː
유성(ː)()()
유사음
전동음



러시아어는 대부분의 자음이 구개화 여부에 따라 구분되는 특징을 갖는다. 예를 들어, 'брать' (bratʲ, "잡다")와 'брат' (brat, "형제")는 구개화 여부로 의미가 달라진다.

//는 일반적으로 항상 경구개음으로 간주되지만, Цюрих(Zürich)와 같은 외래어와 일부 신조어는 //를 포함한다. 구개화된 자음 /tʲ/, /dʲ/는 혀가 약간의 마찰음을 생성할 만큼 올라가며, /t, d, ts, s, z, n, rʲ/ 음은 잇몸능선이 아닌 치아에 혀끝이 닿아 발음되는 치음이다. 일부 언어학자들은 "무구개" 자음이 후설음화된다고 보기도 한다.

역행동화에 의해 연자음 앞에 있는 경자음은 연음화된다 (예: е'''сл'''и ). 러시아어에는 자음이 없어, 외래어의 는 로 바뀌지만, 'туалет' (toilette)처럼 발음 그대로 문자가 적용된 경우도 있다. 서유럽 언어에는 없는 , 등의 자음 연쇄가 다양하게 나타난다(예: зна́ниеru (지식)).

8. 문법

러시아어는 인도유럽어 특유의 종합굴절 구조를 잘 보존하고 있으나 형태적 단순화도 진행되었다.[109] 형태론적 관점에서 러시아어는 명사, 대명사, 형용사, 수사에서 고도의 굴절성을 가진다.

명사는 주격, 생격(슬라브어 소유격), 대격, 여격, 도구격, 전치격의 6가지 과 2가지 수(단수와 복수) 및 3가지 성(남성, 여성, 중성)에 따라 변화한다. 또한 호격이 일부 용례로서 불완전하게 남아있다.

명사는 남성, 중성, 여성의 세 가지 으로 나뉜다. 러시아어 명사는 예외가 있지만 대체로 단수 주격형에 대해 남성 명사는 자음 또는 연음 기호 -ьru로, 여성 명사는 모음 -а, -яru 또는 연음 기호 -ьru로, 중성 명사는 모음 -о, -еru 또는 -мяru로 끝난다. 이에 더해 명사는 단어의 의미에 따라 사람이나 동물을 나타내는 활동체와 그 외의 것을 나타내는 비활동체로 나뉜다.

는 단수와 복수의 구별이 있다. 복수에서는 성의 대립이 약해지고, 주격, 생격, 대격을 제외하면 어떤 성의 명사도 동일한 격 어미를 가진다. 복수 주격의 남성 및 여성 명사는 -ыru 또는 -иru로 끝나고, 중성 명사는 -аru 또는 -яru로 끝난다. 역사적으로 단수·복수 외에 쌍수(눈, 손, 발 등 두 개 한 쌍의 것을 사용하는 수)가 있었지만, 현재는 흔적만 남아있다.

명사의 주격, 생격, 여격, 목적격, 조격, 전치격의 여섯 종류이다. 일부에는 호격(예: Боже!ru 신이시여!), 처격, 소유격(притяжательный падежru), 분리격(разделительный падежru)이 남아있다.[172] 은 어미에 의해 나타나고, 성·수와 함께 어형 변화를 일으키는 문법범주이다. 예외적으로 어미가 변하지 않는 명사도 있지만, 대부분 격에 따라 단어의 문장 속 역할이 나타나므로 어순은 비교적 자유롭게 바꿀 수 있다.

그 외 큰 특징으로 '''출몰 모음'''이 있다. 이것은 어형 변화에 따라 나타나거나 사라지는 모음이며, 주로 о, еru가 사용된다. 예를 들어, пирожокru(피로시키)을 복수형으로 하면 마지막 оru가 사라져 пирожкиru가 된다. 통시적으로 보면 출몰 모음 о, еru는 원래 슬라브 원어에 있던 약화 모음 ъ, ь에서 유래한 것이다.

수사와 관련된 명사는 특수한 변화를 보인다. 1은 단수 주격이지만, 2-4는 단수 생격, 5 이상이 복수 생격을 취한다. 2-4의 단수 생격은 오래된 쌍수형의 명잔이다.

동사의 경우 시제는 과거, 현재, 미래의 3가지가 있으며 상은 완료상과 미완료상으로 나뉜다. 또한 동사에는 의미의 변화를 주는 다양한 접두사가 붙을 수 있다.[110]

구어는 문어의 영향을 받았지만 독특한 형태를 계속 유지하고 있다. 방언은 다양한 비표준 문법적 특징을 보인다.[109]

실제 문법 측면에서 러시아어에는 세 가지 시제(과거, 현재, 미래)가 있으며, 각 동사에는 두 가지 상(완료상과 미완료상)이 있다.

동사는 일회성 동작이나 시작과 끝이 명확하게 인식되는 일련의 동작을 나타내는 완료상(완료체, совершенный видru)과, 진행·지속·반복하는 동작 또는 동작 자체를 나타내는 미완료상(미완료체, несовершенный видru)의 두 가지 상으로 분류되며, 많은 동사에서 짝을 이룬다.

시제는 간단히 과거·현재·미래의 세 가지뿐이다. 기본적으로 모든 동사는 과거형과 현재형만 갖는다(유일한 예외는 영어의 be동사에 해당하는 бытьru로 과거형·현재형·미래형의 세 가지 형태를 갖는다). 현재형은 주어의 인칭·수에 따라, 과거형은 성·수에 따라 변화한다. 미래형은 완료상과 미완료상에서 표현 방식이 다르며, 완료상의 경우 그 현재형이 그대로 의미상의 미래를 나타내는 반면, 미완료상에서는 조동사 бытьru의 미래형과 결합하여 표현된다.

서술 동사(…'''이다''') бытьru의 현재형은 기본적으로 명시되지 않는다. 과거에는 주어의 인칭과 수에 일치하는 бытьru가 사용되었지만, 그러한 기능은 현재의 бытьru에서는 거의 완전히 사라졌으며, 현재형이 사용되는 경우는 소유를 나타내는 경우로 한정된다.

또한, естьru는 존재만을 문제로 하고 있으므로, 존재하는 것이 전제가 되는 경우에는 불필요해진다. 부정의 표현(…'''가 없다''', …'''가 없다''')는 нетru를 사용하고, 존재를 부정하는 명사를 생격으로 바꾼다.

동사가 변화한 것으로 형용동사(서구 언어의 분사처럼 형용사의 역할을 하는)와 부사동사(부사의 역할을 하는)가 있다. сяru동사라고 불리는 동사 무리(어미에 재귀 대명사 сяru가 붙는)는 프랑스어 등의 재귀 동사와 마찬가지로 사용되고, 또한 상호 동작이나 수동 표현에도 사용된다.

형용사는 명사와 마찬가지로 성, 수, 격에 따라 변화하며, 한정적 용법(명사를 수식하는 경우)에서는 성, 수, 격이 일치한다. 서술적 용법에서는 어미가 짧은 「단어미형」도 사용된다.

9. 어휘

지난 2세기 동안 출판된 주요 사전들에 수록된 단어 또는 항목 수는 다음과 같다.[111][112]

저작연도단어 수비고
학술 사전, 초판1789–179443,257러시아어와 교회 슬라브어, 일부 고대 러시아어 어휘 포함.
학술 사전, 2판1806–182251,388러시아어와 교회 슬라브어, 일부 고대 러시아어 어휘 포함.
학술 사전, 3판1847114,749러시아어와 교회 슬라브어, 고대 러시아어 어휘 포함.
살아있는 위대한 러시아어의 설명 사전 (달의)1880–1822195,84444,000개의 어휘적으로 그룹화된 항목; 완전한 구어체 언어를 목록화하려는 시도. 많은 방언, 지역 및 구식 단어 포함.
러시아어 설명 사전 (우샤코프의)1934–194085,289현대어, 일부 고어 포함.
러시아어 학술 사전 (오제고프의)1950–1965
1991(2판)
120,480현대어의 "완전한" 17권 사전. 20권으로 구성된 2판은 1991년에 시작되었지만 모든 권이 완성되지는 않았습니다.
로파틴 사전1999–2013약 200,000정서법, 현대어, 여러 판본
러시아어 대 설명 사전1998–2009약 130,000현대어, 1998년 초판 이후 여러 후속 판본 존재.
러시아어 위키낱말사전2021년 10월 11일442,533Русский язык (러시아어) 범주에 있는 항목 수



1694년 모스크바에서 인쇄된 "ABC" 책의 이 페이지는 '''П''' 문자를 보여줍니다.


러시아어는 다른 언어로부터 많은 단어를 차용했다.

일본어러시아어의미 및 참고
아지트агитпунктru선동 본부
이쿠라икраru어란
인텔리(인텔리겐치야)интеллигенцияru지식층
보드카водкаru증류주
카츄샤Катюшаru여성 이름 예카테리나의 애칭. ※헤어밴드를 의미하는 것은 일본 고유의 명칭
캠페인кампанияru캠페인
글라스노스트гласностьru정보 공개
코민테른Коминтернru국제 공산당, 제3인터내셔널. Коммунистический интернационалru의 약어.
콜호즈(소련의 집단농장)колхозru집단 농장. коллективное хозяйствоru의 약어.
콤비나트комбинатru기업 집단
사모바르самоварru러시아식 물 끓이는 기구
스텝степьru초원
바다코끼리сивучru바다표범
소비에트Советru회의
소프호즈(구 소련의 국영 농장)совхозru소비에트의 농장. советское хозяйствоru의 약어
소유즈союзru소비에트 연방과 러시아의 우주선. 원래는 동맹, 연합의 의미
타이가тайгаru밀림
체르노젬 чернозёмru흑토: 지리 용어
차르царьru황제, 왕
툰드라тундраru(원래는 사미어에서 러시아어를 거쳐 온 것)
테트리스тетрисru컴퓨터 게임
토치카точкаru점, 지점
트로이카тройкаru3인조, 3두 마차
트로츠키스트троцкистru(종종 경멸적인 의미로 사용됨)
노멘클라투라номенклатураru지배 계급에 속한 사람들
노르마нормаru생산이나 제조의 기준량
발라이카балалайкаru
피로시키пирожкиru
브 나로드в народru인민 속으로
페치카печкаru난로, 스토브
페레스트로이카перестройкаru개혁
포드졸подзолru시베리아 지방에서 볼 수 있는 산성 토양(지리 용어)
볼셰비키большевикиru다수파
멘셰비키меньшевикиru소수파



러시아어에서 일본어로 들어온 단어는 18세기 이후 양국 간의 교류를 통해 러시아 문화가 일본에 소개된 것과 1917년의 러시아 혁명과 그 이후 소비에트 체제의 성립에 따라 사회주의(공산주의) 사상과 함께 일본에 도입된 것의 두 가지가 많다. 전자는 일상생활에서 사용되는 예가 있지만(예: 이쿠라), 후자는 오히려 소련·러시아 사회의 특정 조직이나 현상을 가리키는 고유명사로 여겨지는 것이 많다(예: 콜호즈, 페레스트로이카). 하지만 후자에도 러시아에서 벗어나 일본 사회의 사건을 설명할 때 사용되는 용어도 있다(예: 콤비나트, 노르마).
문자 вru 는, 오래전에 들어온 외래어의 경우 “와·위·우·웨·워”로 표기하고, 비교적 새로운 것은 “바·비·브·베·보”로 표기한다. 하지만 여성의 성씨 어미 -ваru는 현재에도 “와”로 표기하는 관습이 남아 있다(예: 마리아 샤라포바).

일본어에서 러시아어로의 단어 유입은 일본 문화 유물이 러시아에 소개될 때 단어가 사용되는 경우가 많으며, 기술 용어나 학술 용어에서는 예가 적다.


  • 바따/Ватаru - 탈지면[175]
  • 쥬도/Дзюдоru - 유도
  • 까라쩨/Каратеru/까라떼/каратэru - 가라테
  • 지우지쓰/Джиу-джитсуru/지우지쭈/джиу-джицуru/쥬쥬우/дзюдзюцуru - 유술
  • 쑤모/Сумоru - 스모
  • 까미까지/Камикадзеru - 특별공격대(神風特攻隊에서 유래)
  • 까따/Катаru - 유도나 가라테의 형
  • 끼모노/Кимоноru - 기모노
  • 게이샤/Гейшаru - 게이샤
  • 가부키/Кабукиru - 가부키
  • 하이꾸/Хайкуru - 하이쿠
  • 단까/Танкаru - 단카
  • 쭈나미/Цунамиru - 쓰나미
  • 싸꾸라/Сакураru - 벚꽃
  • 본사이/Бонсайru - 분재
  • 싸이라/Сайраru - 꽁치
  • 이바시/Ивасиru - 정어리
  • 사케/Сакеru - 일본주
  • 쏘야/Сояru - 대두
  • 쑤시/Сушиru - 스시
  • 싸무라이/Самурайru - 사무라이, 무사
  • 까따나/Катанаru - 일본도
  • 하라끼리/Харакириru - 할복(腹切り에서 유래)
  • 닌쟈/Ниндзяru - 닌자
  • 까이젠/Кайдзенru - 개선
  • 반자이/Банзайru/반자이/бандзайru - 만세
  • 민따이/Минтайru - 명태의 지역별 명칭에서 유래
  • 릭샤/Рикшаru - 인력거
  • 후지야마/Фудзиямаru - 후지산의 오독
  • 이오꼬가마/Иокогамаru[176] - 요코하마
  • 아니메/Анимеru - 애니메이션
  • 망가/Мангаru - 일본 만화
  • 오따꾸/Отакуru - 오타쿠
  • 까와이/Каваийru - 귀여운(형용사)
  • 헨따이/Хентайru - 변태
  • 야쿠자/Якудзаru - 야쿠자, 폭력단
  • 미까도/Микадо (игра)ru - 미카도 (게임)
  • 다따미/Татамиru - 다다미
  • 오리가미/Оригамиru - 오리가미

참조

[1] 웹사이트 Article 68. Constitution of the Russian Federation http://www.constitut[...] 2013-06-18
[2] 웹사이트 Article 17. Constitution of the Republic of Belarus http://president.gov[...] 1998-05-11
[3] 웹사이트 Article 7. Constitution of the Republic of Kazakhstan http://www.constcoun[...] 2005-12-04
[4] 웹사이트 Официальный сайт Правительства КР https://www.gov.kg/k[...] 2020-02-16
[5] 웹사이트 КОНСТИТУЦИЯ РЕСПУБЛИКИ ТАДЖИКИСТАН http://prokuratura.t[...] Parliament of Tajikistan 2020-01-09
[6] 웹사이트 Бесправен, но востребован. Русский язык в Узбекистане http://mytashkent.uz[...] Дружба Народов 2016-05-27
[7] 웹사이트 Почему русский язык нужен узбекам? http://365info.kz/20[...] 2015-09-11
[8] 웹사이트 Русский язык: жизнь после смерти. Язык, политика и общество в современном Узбекистане http://magazines.rus[...] Неприкосновенный запас 2016-05-27
[9] 웹사이트 Article 16. Legal code of Gagauzia (Gagauz-Yeri) http://www.gagauzia.[...] 2008-08-05
[10] 웹사이트 Конституция Республики Абхазия http://www.abkhaziag[...] 2009-01-18
[11] 웹사이트 КОНСТИТУЦИЯ РЕСПУБЛИКИ ЮЖНАЯ ОСЕТИЯ http://cominf.org/no[...] 2009-08-11
[12] 웹사이트 Law of the Moldavian Soviet Socialist Republic on the Functioning of Languages on the Territory of the Moldavian SSR http://usefoundation[...] U.S. English Foundation Research 2016
[13] 웹사이트 Romania : Languages of Romania http://www.ethnologu[...] 1999-02-19
[14] 웹사이트 List of declarations made with respect to treaty No. 148 (Status as of: 21/9/2011) http://conventions.c[...] Council of Europe 2012-05-22
[15] 웹사이트 National Minorities Policy of the Government of the Czech Republic http://www.vlada.cz/[...] Vlada.cz 2012-05-22
[16] 웹사이트 Președintele CCM: Constituția nu conferă limbii ruse un statut deosebit de cel al altor limbi minoritare https://deschide.md/[...] Deschide.md 2021-01-22
[17] 웹사이트 Article 10 http://www.rada.gov.[...]
[18] 웹사이트 少数民族的语言文字有哪些? http://fujian.gov.cn[...] 2022-09-13
[19] 웹사이트 中国语言文字概况(2021年版) http://www.moe.gov.c[...] 2021-08-27
[20] 웹사이트 Russian Language Institute http://www.ruslang.r[...] 2010-05-16
[21] 논문 Language and National Survival Franz Steiner Verlag 1996
[22] 기타
[23] 기타 Constitution and Fundamental Law of the Union of Soviet Socialist Republics
[24] 웹사이트 Russian Language Enjoying a Boost in Post-Soviet States http://www.gallup.co[...] Gallup 2008-08-01
[25] 논문 Падение статуса русского языка на постсоветском пространстве http://www.demoscope[...]
[26] 웹사이트 Russian https://www.ethnolog[...] Ethnologue
[27] 웹사이트 The 10 Most Spoken Languages in Europe https://www.tandem.n[...] 2019-09-12
[28] 웹사이트 Russian https://learn.utoron[...] University of Toronto
[29] 웹사이트 The World's Most Widely Spoken Languages http://www2.ignatius[...]
[30] 웹사이트 My Long Mission in Space https://global.jaxa.[...] JAXA
[31] 웹사이트 Official Languages https://www.un.org/e[...] United Nations
[32] 웹사이트 Most used languages online by share of websites 2024 https://www.statista[...]
[33] 웹사이트 Most similar languages to Russian http://www.ezglot.co[...]
[34] 백과사전
[35] 논문 The Turkic Languages of Central Asia: Problems of Planned Culture Contact
[36] 웹사이트 Falling Sonoroty Onsets, Loanwords, and Syllable contact http://roa.rutgers.e[...] 2015-05-04
[37] 웹사이트 Russian Loanword Adoptation in Persian; Optimal Approach http://roa.rutgers.e[...] 2015-05-04
[38] 학술지 Russian Loanwords in Persian and Tajiki Language https://www.academia[...] 2015-05-04
[39] 서적 Encyclopedia of Bilingualism and Bilingual Education https://books.google[...] Multilingual Matters
[40] 웹사이트 Language Learning Difficulty http://aboutworldlan[...] 2014-05-25
[41] 서적 Languages, Regional Conflicts and Economic Development: Russia http://link.springer[...] Palgrave Macmillan UK 2016
[42] 서적 The Language of Russian Peasants in the Twentieth Century: A Linguistic Analysis and Oral History Lexington Books
[43] 서적 The Language of Russian Peasants in the Twentieth Century: A Linguistic Analysis and Oral History Lexington Books
[44] 서적 Ibid.
[45] 웹사이트 Демографические изменения – не на пользу русскому языку http://demoscope.ru/[...] Demoscope.ru 2014-04-23
[46] 웹사이트 Statistical Summaries. Summary by language size. Language size https://www.ethnolog[...] SIL International 2019-01-06
[47] 웹사이트 Сжимающееся русскоязычие. Демографические изменения — не на пользу русскому языку http://demoscope.ru/[...] 2014-01-23
[48] 웹사이트 Russia's Language Could Be Ticket in for Migrants http://www.gallup.co[...] Gallup 2010-05-26
[49] 웹사이트 Русскоязычие распространено не только там, где живут русские http://demoscope.ru/[...]
[50] 웹사이트 Общая численность населения, численность населения по возрасту и полу, состоянию в браке, уровню образования, национальностям, языку, источникам средств к существованию по Республике Беларусь https://belstat.gov.[...] 2020-10-06
[51] 웹사이트 Riigikogu kiitis heaks eestikeelsele õppele ülemineku https://www.err.ee/1[...] 2022-12-12
[52] 웹사이트 Estonia's Russian schools to switch to Estonian-language schooling https://estonianworl[...] 2022-12-13
[53] 웹사이트 Referendum on the Draft Law 'Amendments to the Constitution of the Republic of Latvia' http://web.cvk.lv/pu[...] Central Election Commission of Latvia
[54] 웹사이트 Results of the referendum on the Draft Law 'Amendments to the Constitution of the Republic of Latvia' http://www.tn2012.cv[...] Central Election Commission of Latvia
[55] 뉴스 Latvia pushes majority language in schools, leaving parents miffed https://www.dw.com/e[...] 2018-09-08
[56] 뉴스 Moscow threatens sanctions against Latvia over removal of Russian from secondary schools https://www.telegrap[...] 2018-04-03
[57] 웹사이트 Latvia to gradually transition to education only in official language https://bnn-news.com[...] 2022-09-29
[58] 웹사이트 In Latvia, from 2025, all children will be taught in Latvian only https://babel.ua/en/[...] 2022-05-13
[59] 웹사이트 Saeima approves updated National Security concept for Latvia https://eng.lsm.lv/a[...] 2023-09-28
[60] 웹사이트 Statistics Lithuania: 78.5% of Lithuanians speak at least one foreign language | News https://in.mfa.lt/in[...] 2013-09-27
[61] 웹사이트 Employees fluent in three languages – it's the norm in Lithuania https://investlithua[...] Outsourcing&More 2018-09-26
[62] 웹사이트 Ethnic and Language Policy of the Republic of Lithuania: Basis and Practice http://alppi.eu/wp-c[...]
[63] 웹사이트 Gyventojai pagal tautybę, gimtąją kalbą ir tikybą https://osp.stat.gov[...]
[64] 웹사이트 The Court examined the constitutionality of the Law on the Usage of Languages Spoken on the Territory of the Republic of Moldova https://www.constcou[...] 2021-01-01
[65] 뉴스 Moldovan court overturns special status for Russian language https://www.reuters.[...] 2021-01-21
[66] 웹사이트 The Population of the Republic of Moldova at the time of the Census was 2 998 235 https://statistica.g[...] 2017-03-31
[67] 웹사이트 Демоскоп Weekly. Об итогах Всероссийской переписи населения 2010 года. Сообщение Росстата http://demoscope.ru/[...] Demoscope.ru 2014-04-23
[68] 웹사이트 Падение статуса русского языка на постсоветском пространстве http://demoscope.ru/[...]
[69] 웹사이트 New education law becomes effective in Ukraine https://www.unian.in[...]
[70] 뉴스 Ukraine defends education reform as Hungary promises 'pain' https://www.irishtim[...] 2017-09-27
[71] 뉴스 Ukrainian Language Bill Facing Barrage Of Criticism From Minorities, Foreign Capitals https://www.rferl.or[...] 2017-09-24
[72] 웹사이트 Про забезпечення функціонування української мови як державної https://zakon.rada.g[...] 2023-11-21
[73] 웹사이트 Кому варто боятися закону про мову? http://language-poli[...] 2019-05-16
[74] 웹사이트 Шосте загальнонаціональне опитування: мовне питання в Україні (19 березня 2022) https://ratinggroup.[...]
[75] 웹사이트 Соціологічне дослідження до Дня Незалежності УЯВЛЕННЯ ПРО ПАТРІОТИЗМ ТА МАЙБУТНЄ УКРАЇНИ https://ratinggroup.[...]
[76] 웹사이트 Europeans and their Languages http://ec.europa.eu/[...] 2006
[77] 웹사이트 Введение http://www.fundeh.or[...]
[78] 웹사이트 Georgia https://www.cia.gov/[...] Central Intelligence Agency
[79] Ethnologue
[80] 간행물 Results of the 2009 National Population Census of the Republic of Kazakhstan http://liportal.giz.[...] Deutsche Gesellschaft für Internationale Zusammenarbeit
[81] 뉴스 Kazakhstan drafts media law to increase use of Kazakh language over Russian https://www.theguard[...] 2023-10-06
[82] 간행물 Population And Housing Census Of The Kyrgyz Republic Of 2009 http://unstats.un.or[...] UN Stats
[83] 웹사이트 Languages https://www.hannasle[...] The World Factbook
[84] 웹사이트 Russian Language Status in Central Asian Countries https://cabar.asia/e[...] Central Asian Bureau for Analytical Reporting 2019-02-28
[85] 웹사이트 Law on Official Language https://www.justice.[...] Government of Uzbekistan
[86] 뉴스 For Mongolians, E Is for English, F Is for Future https://nytimes.com/[...] 2005-02-15
[87] 뉴스 http://www.nr2.ru/83[...] 2006-09-21
[88] 웹사이트 К визиту Нетаньяху: что Россия может получить от экономики Израиля http://www.forbes.ru[...] Forbes Russia 2017-03-09
[89] 웹사이트 Russians in Israel https://www.myjewish[...]
[90] 서적 2003
[91] 웹사이트 Vietnam to add Chinese, Russian to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https://e.vnexpress.[...] 2016-09-20
[92] 웹사이트 Ninilchik http://languagehat.c[...] languagehat.com 2009-01-01
[93] 웹사이트 Language Use in the United States: 2007 https://www.census.g[...]
[94] 웹사이트 My Long Mission in Space https://global.jaxa.[...] JAXA
[95] 웹사이트 Russian is now the second most used language on the web http://w3techs.com/b[...] Q-Success 2013-03-19
[96] 서적 The Linguasphere Register of the World's Languages and Speech Communities Linguasphere Press 2000
[97] 웹사이트 The Language of the Russian Village http://www.gramota.r[...]
[98] 웹사이트 The Language of the Russian Village http://www.gramota.r[...]
[99] 서적 Context and the Lexicon in the Development of Russian Aspect
[100] 서적
[101] 웹사이트 Similar languages to Russian https://www.ezglot.c[...] EZ Glot
[102] 논문 Esperanto: its origins and early history http://www2.math.uu.[...] Polska Akademia Umiejętności 2008
[103] 서적 The Shape Of Words To Come: Lojban Morphology – The Lojban Reference Grammar https://lojban.githu[...] Logical Language 1997
[104] 웹사이트 RusKey: mapping the Russian keyboard layout into the Latin alphabets http://www.codeproje[...] The Code Project 2007-02-15
[105] 논문 Tracing the Origins of the First Soviet Computers, Beyond Legends https://ieeexplore.i[...] 2023-10-12
[106] 논문 Lexical stress assignment and reading skills of Russian heritage children https://www.research[...]
[107] 웹사이트 Russian Vowels: All the Rules You Need to Know {{!}} FluentU Russian Blog https://www.fluentu.[...] 2020-01-27
[108] 논문 Palatalization and Intrinsic Prosodic Vowel Features in Russian 2011
[109] 웹사이트 Can Russians from different parts of the country understand each other? https://www.rbth.com[...]
[110] 논문 Path and Manner: An Image-Schematic Approach to Russian Verbs of Motion 2008
[111] 웹사이트 What types of dictionaries exist? http://www.gramota.r[...]
[112] 웹사이트 {section.caption} http://yarus.asu.edu[...]
[113] 서적 Языки мира. Славянские языки Academia (Soviet publishing house)
[114] 서적 Development of Tense and Aspect Systems John Benjamins Publishing Company 2022
[115] 서적 The structure and development of Russian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3
[116] 서적 The ideology of English: French perceptions of English as a world language https://books.google[...] Walter de Gruyter
[117] 웹사이트 Закон СССР от 24 April 1990 О языках народов СССР http://legal-ussr.na[...]
[118] 웹사이트 Language and Geopolitics: A Case Study of the Former Soviet Union https://wp.towson.ed[...] 2021-12-08
[119] 웹사이트 журнал "Демоскоп". Где есть потребность в изучении русского языка http://demoscope.ru/[...] 2012-05-23
[120] 웹사이트 http://www.socioprog[...] Socioprognoz.ru
[121] 웹사이트 http://www.demoscope[...] Demoscope.ru
[122] 웹사이트 http://www.demoscope[...] Demoscope.ru
[123] 웹사이트 http://www.demoscope[...] Demoscope.ru
[124] 웹사이트 http://demoscope.ru/[...] Demoscope.ru
[125] 웹사이트 http://demoscope.ru/[...] Demoscope.ru
[126] 웹사이트 Русский язык на рубеже XX-XXI веков http://www.civisbook[...]
[127] 웹사이트 http://demoscope.ru/[...]
[128] 웹사이트 Universal Declaration of Human Rights – Russian (Russky) https://www.ohchr.or[...]
[129] 뉴스 Universal Declaration of Human Rights https://www.un.org/e[...]
[130] 웹사이트 第5回 ロシア人と外国語――欧米文化に復帰するロシア人 http://www.tmu.co.jp[...] TMU CONSULTING
[131] 서적 「スターリン言語学」精読 岩波書店
[132] 뉴스 旧ソ連圏で相次ぐ“ロシア語離れ” 反露感情、ロシアの地位低下を反映か https://www.sankei.c[...] 産経新聞 2018-09-30
[133] 서적 北槎聞略・大黒屋光太夫ロシア漂流記 岩波書店(岩波文庫)
[134] 간행물 ロシア語の黎明期 http://www.tufs.ac.j[...] 1983-09
[135] 일반
[136] 일반
[137] 웹사이트 概要 http://apop.chicappa[...] 早稲田大学文学学術院文学部 ロシア語ロシア文学コース
[138] 일반
[139] 일반
[140] 일반
[141] book
[142] text
[143] text
[144] 웹사이트 ロシア語、第二外国語となる―戦後の東京大学の場合 https://id.fnshr.inf[...] 2020-12-13
[145] 웹사이트 東京物語 Токио Моногатари - ニコライ堂 http://tokyomonogata[...] ロシア語通訳協会 2020-12-13
[146] text
[147] text
[148] text
[149] 웹사이트 京都市も「キーウ」に ウクライナ首都の呼称、4月1日から https://www.47news.j[...] 2022-04-01
[150] 웹사이트 キエフを「キーウ」へ変更 ウクライナの首都名称 https://web.archive.[...] 2022-04-01
[151] 웹사이트 【追記あり】駅に掲出されていた「ロシア語の案内」が「調整中」に…… ウクライナ侵攻との関連は? JR東に聞いた https://nlab.itmedia[...]
[152] 뉴스 旧ソ連圏、強まる反露感情 ロシア語離れ加速 https://www.sankei.c[...] 2019-01-10
[153] reference
[154] reference
[155] book 二つの主要言語
[156] 논문 カザフスタンにおける自国語振興政策及び文字改革の理念的側面 外務省 2011
[157] 뉴스 旧ソ連圏で相次ぐ“ロシア語離れ” 反露感情、ロシアの地位低下を反映か https://www.sankei.c[...] 2018-09-29
[158] book カザフ語
[159] 웹사이트 Статус русского языка в странах бывшего СССР. Справка. http://www.fito-cent[...] fito-center.ru 2013-02-23
[160] 웹사이트 КОНСТИТУЦИЯ УЗБЕКИСТАНА http://constitutions[...] constitutions.ru 2013-02-23
[161] 웹사이트 ウズベキスタン共和国基礎情報 http://www.jp-ca.org[...] 日ウ投資環境整備ネットワーク 2013-02-23
[162] 웹사이트 ウズベキスタン留学案内 https://ricas.ioc.u-[...] ricas.ioc.u-tokyo.ac.jp 2004-04
[163] book 社会主義後のウズベキスタン - 変わる国と揺れる人々の心 アジア経済研究所 2008
[164] 웹사이트 旧ソ連圏、ロシア語回帰 タジキスタン ことばを訪ねて(4) https://web.archive.[...] 朝日新聞 2011-10-17
[165] 웹사이트 キルギス共和国憲法 (2010年6月27日採択) https://www.kg.emb-j[...] 在キルギス日本国大使館 2021-02-24
[166] 뉴스 旧ソ連圏で相次ぐ“ロシア語離れ” 反露感情、ロシアの地位低下を反映か https://www.sankei.c[...] 2018-09-29
[167] 웹사이트 アラスカに残る18世紀のロシア語 https://jp.rbth.com/[...] ロシア・ビヨンド 2014-02-20
[168] text
[169] text
[170] text
[171] text
[172] text
[173] 웹사이트 アラスカでロシア語の方言発見 http://m.roshianow.j[...] ロシアNOW 2013-05-30
[174] book 和露大辞典 ナウカ 1976
[175] 논문 Лексические заимствования из японского языка в русский: когнитивно-прагматические особенности и процесс ассимиляции https://cyberleninka[...] 2012
[176] 일반
[177] 일반
[178] 일반
[179] 일반
[180] 일반
[181] 일반
[182] 논문 Притяжение Балтии (балтийские русские и балтийские культуры) http://www.ecsocman.[...]
[183] 일반
[184] 웹사이트 Доклад МИД России. Русский язык в мире http://www.gumer.inf[...]
[185] 웹사이트 List of declarations made with respect to treaty No. 148 http://conventions.c[...] 2018-12-26
[186] 웹사이트 국가언어에 대한 법률 http://www.minelres.[...] 2013-05-07
[187] 웹사이트 Данные переписи 2000 г. о родном языке жителей https://archive.tod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