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아리 전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미아리 전투는 6.25 전쟁 초기, 국군이 서울을 방어하기 위해 미아리 일대에 방어선을 구축하고 북한군의 진격을 저지하려 했던 전투이다. 6월 26일 미아리에 제5사단이 배치되었고, 27일에는 방어선이 강화되었으나, 국군의 사기 저하, 장비 부족, 지휘 체계의 혼란 등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었다. 6월 27일 밤, 북한군의 공격으로 방어선이 붕괴되었고, 국군은 6월 28일 새벽에 서울을 포기하고 한강 방어선으로 후퇴했다. 이 과정에서 군 당국의 안일한 대처로 많은 시민들이 피난 시기를 놓쳐 피해를 입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울특별시의 역사 - 한성부
한성부는 조선의 수도를 관할하며 행정, 사법, 재정 등의 업무를 담당했고, 정2품인 한성판윤이 최고 책임자였으며, 1895년 지방 행정 구역으로 개편되었다가 1910년 경성부로 개칭되었다. - 서울특별시의 역사 - 경성제국대학
경성제국대학은 일제강점기 조선총독부가 설립한 대한제국 최초의 제국대학으로, 법문학부와 의학부를 시작으로 이공학부를 설치했으며, 광복 후 서울대학교에 흡수 통합되었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참가한 한국 전쟁의 전투와 작전 - 인천 상륙 작전
인천 상륙 작전은 1950년 9월 15일 한국 전쟁 중 유엔군이 인천에 상륙하여 북한군의 보급로를 차단하고 전세를 역전시킨 작전으로, 맥아더 장군의 지휘 아래 성공적으로 수행되었으나 지형적 어려움, 서울 진격 속도, 민간인 피해 등에 대한 논란도 있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참가한 한국 전쟁의 전투와 작전 - 무극리 전투
무극리 전투는 한국전쟁 초기인 1950년 7월 6일, 충청북도 음성군 무극리 일대에서 대한민국 육군 제6사단 제7연대가 북한군 제15사단을 상대로 벌여 국군이 육상에서 처음으로 승리한 전투로, 북한군의 전략 수정에 영향을 주었다. - 대한민국이 참가한 한국 전쟁의 전투와 작전 - 코만도 작전
코만도 작전은 한국 전쟁 중 미 제8군이 제임스타운 선 확보를 목표로 철원-금화 철도 보호와 적 요새 점령을 시도했으나, 막대한 피해와 전선 교착 심화, 국제적 비판을 야기하며 폴차지 작전으로 이어진 작전이다. - 대한민국이 참가한 한국 전쟁의 전투와 작전 - 인천 상륙 작전
인천 상륙 작전은 1950년 9월 15일 한국 전쟁 중 유엔군이 인천에 상륙하여 북한군의 보급로를 차단하고 전세를 역전시킨 작전으로, 맥아더 장군의 지휘 아래 성공적으로 수행되었으나 지형적 어려움, 서울 진격 속도, 민간인 피해 등에 대한 논란도 있다.
미아리 전투 - [전쟁]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분쟁 | 한국 전쟁 |
날짜 | 1950년 6월 26일 ~ 6월 27일 |
장소 | 서울특별시 성북구 돈암동 미아리고개 |
결과 | 북한의 승리 |
교전 세력 | |
지휘관 | |
교전국 1 지휘관 | 미아리지구전투 사령관 이응준 제5사단장 소장 박기병 제20연대장 대령 박한주 제1대대장 소위 문용채 제16연대장 대령 김병휘 제25연대장 중령 이상근 수도경비사 제3연대장 중령 의정부지구전투 사령관 유재흥 제7사단장 준장 이희권 제1연대장 중령 안광영 제5사단 15연대 제2대대장 소령 고백규 수도경비사 제8연대 제2대대장 소령 김계원 포병학교장 대리 중령 엄홍섭 공병학교장 중령 이종두 제3사단 공병대 제1소대장 소위 백선진 병참학교장 중령 송요찬 헌병사령관 대령 |
교전국 2 지휘관 | 김웅 제1군단장 중장 리영호 제3사단장 소장 김창봉 제7연대장 대좌 김병종 제8연대장 중좌 김만익 제9연대장 대좌 안백성 포병연대장 대좌 리권무 제4사단장 소장 최인덕 제5연대장 대좌 박승희 제16연대장 대좌 김희준 제18연대장 대좌 유경수 제105기갑여단장 소장 |
병력 | |
교전국 1 병력 | 약 3000명 |
교전국 2 병력 | 불명 |
사상자 |
2. 전투 이전 상황
(이전 출력이 없으므로 수정할 내용이 없습니다. 원본 소스를 제공해주시면 해당 섹션에 대한 위키텍스트를 작성해드리겠습니다.)
6월 27일 밤, 세찬 비가 내리는 가운데 미아리 삼거리 일대에 배치된 김한주 소령이 이끄는 제20연대 1대대는 북한군 전차 20대, 트럭 및 기마대로 편성된 기갑부대를 저지하려 했다. 국군 대전차 특공대가 2.36인치 로켓포로 북한군 전차 1대를 파괴하여 협로에서 진로를 막자 북한군은 일단 철수했다. 그러나 파괴된 전차는 나무와 풀로 위장한 장갑차였으며, 20대 중 절반이 그와 같이 위장된 장갑차였다.
3. 전투 과정
이날 밤 24:00시경 북한군은 5 ~ 6대의 전차를 앞세우고 다시 공격하여 국군 방어진지를 차례로 돌파하였으나 국군은 전차를 한 대도 파괴하지 못하였다. 이때 제15연대 5중대장 김순 대위가 지휘하는 결사대가 육탄 공격을 감행하다가 전원이 전사하였다.
길음교 폭파 준비 미흡과 폭파 시기 판단 착오로 교량 폭파에 실패하여 북한군 전차는 길음교를 통과했다. 서울 시내에 침투해 있던 북한군 편의대(便衣隊)는 예광탄을 쏘아 본대와 연락했다.
폭우 속에서 20여 분 동안 계속된 아군의 저항이 약화되자 적 전차는 미아리고개를 넘어 돈암동으로 진입했다.
6월 28일 01:00시를 전후하여 국군은 철수해야 했지만, 일부 장병들은 방어 진지에서 끝까지 저항하거나 서울 시내에서 시가전을 펼쳐 적에게 타격을 가했다.
회기동 방어선의 고백규 소령이 이끄는 제8연대 2대대는 중랑교를 폭파하고 북한군을 세 차례 격퇴했으나, 탄약 부족으로 질서 있게 철수했다. 태릉의 제9연대와 육군사관학교 생도 대대는 6월 28일 아침에 북한군과 가벼운 교전 후 철수하였다.
3. 1. 6월 26일: 방어선 배치
(제5사단장 지휘)제5사단 전술 지휘소 103고지 제20연대 1대대 171고지 동쪽 제1연대(1개 대대 규모) 길음교 북쪽 공동묘지 제15연대 2대대 미아리고개 132고지 우전방 부대
(제7사단장 지휘)제7사단 전술 지휘소 미아리 고개 동쪽 164고지 혼성 연대 164고지 북동쪽 제8연대 2대대 회기동 154고지 및 중랑교 남쪽 무명고지 제16연대 사단 예비, 돈암 초등학교 대기 화력 지원 부대 105mm 6문 돈암동 57mm 대전차포 6문 미아리 고개 전방 57mm 대전차포 2문 중랑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