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투데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미투데이는 2010년대 초반에 존재했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이다. 친구 맺기, 소환, 미투, 밴드, 티스토리 연동, 모바일 앱 지원 등의 기능을 제공했다. 트위터의 멘션 및 리트윗과 유사한 기능을 제공했으며, 사용자들이 팬클럽이나 관심사 그룹을 만들 수 있는 밴드 기능도 제공했다. 2014년 6월 30일에 서비스가 종료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07년에 설립된 대한민국의 기업 - 젤리피쉬 엔터테인먼트
2007년 설립된 젤리피쉬 엔터테인먼트는 성시경, 박효신, 서인국 등 유명 가수를 영입하고 빅스, 구구단, 베리베리, 이븐 등의 아이돌 그룹을 데뷔시켜 성장했으며, 아이오아이, 케플러, 제로베이스원 멤버 배출, 배우 매니지먼트, 프로젝트 앨범 제작 등 다양한 활동을 하고 있는 대한민국의 연예 기획사이다. - 2007년에 설립된 대한민국의 기업 - 아이덴티티 게임즈
아이덴티티 게임즈는 2018년 직원들의 초과 근무 수당 미지급으로 논란이 되었고, 대한민국 게임 업계의 열악한 노동 환경 문제를 보여주는 사례로 지적되었다. - 대한민국의 블로그 - 네이버 블로그
네이버 블로그는 2003년 시작된 네이버의 블로그 서비스로, 다양한 기능과 편리한 사용성을 제공하며 다른 네이버 서비스와 연계되어 사용자 편의성을 높이고 있다. - 대한민국의 블로그 - 진보네트워크센터
진보네트워크센터는 1998년 설립된 대한민국의 진보적 소통을 위한 독립 네트워크로, 정보 인권, 통신 기본권 관련 활동을 전개하며 시민 사회 단체에 호스팅 서비스를 제공해 왔다. - 2014년 해체된 기업 - 우리금융그룹
우리금융그룹은 공적자금 회수를 위해 2001년 설립된 대한민국 최초의 금융지주회사로, 민영화 실패 후 해체되었다가 2019년 재출범하여 우리은행을 중심으로 다양한 자회사를 거느리고 완전 민영화에 성공, 종합금융그룹으로의 도약을 목표하고 있다. - 2014년 해체된 기업 - 삼성SDI
삼성SDI는 1970년 삼성NEC로 설립되어 1999년 현재 사명으로 변경된 대한민국의 기업으로, 2차전지 사업 진출 후 전기차 배터리, ESS용 전지, 전자재료 등으로 사업 영역을 확장했으며, 본사는 경기도 용인시에 위치한다.
미투데이 - [IT 관련 정보]에 관한 문서 | |
---|---|
일반 정보 | |
이름 | 미투데이 |
로마자 표기 | Mitudei |
종류 | 마이크로블로그 (SNS) |
웹사이트 주소 | me2day.net |
상업성 | 비영리 |
회원 가입 | 필수 |
사용 언어 | 한국어, 영어, 일본어, 중국어 간체, 중국어 정체, 베트남어 |
소유자 | 네이버 주식회사 |
제작자 | 박수만, 도흥석 등 |
시작일 | 2007년 2월 |
종료일 | 2014년 6월 30일 |
상태 | 폐쇄 |
표어 | 나 오늘 지금 미투데이 |
회원수 | 680만 이상 (국내 최대 규모) |
2. 기능
미투데이는 사용자 간 관계 형성과 소통을 위한 다양한 기능을 제공했다. 친구 맺기, 소환, 미투, 밴드 등의 기능이 있었으며, iOS 및 안드로이드 앱도 제공하여 모바일 환경에서도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했다.
2. 1. 친구 맺기
사용자는 계정 설정을 통해 친구를 추가하고 다른 사용자와 친구를 맺을 수 있으며, 친구 요청을 받게 된다. 사용자는 계정 설정을 변경하여 친구를 자동으로 수락하거나 친구 요청에서 수락을 눌러 수동으로 친구를 수락할 수 있다. 또한, 선택한 날짜의 게시물을 티스토리 개인 블로그에 업로드하는 기능이 제공되었다.[1]2. 2. 소환
트위터의 "멘션"과 유사하게, 사용자가 다른 사용자를 대화에 참여시킬 수 있는 기능으로 소환한국어이라고 불렸다.[1]2. 3. 미투
트위터의 "리트윗"과 유사한 기능으로, 다른 사용자의 게시물을 공유할 수 있게 하였다. 'Me, too'라는 영어 표현에서 유래된 용어로, 공감을 표현하는 의미로 사용되었다.[1]2. 4. 밴드
밴드는 사용자가 팬클럽, 관심사 그룹 등을 시작할 수 있게 한 기능이다. (이는 현재 네이버 밴드와는 다른 기능이다.)2. 5. 기타 기능
미투데이는 사용자가 선택한 날짜의 게시물을 티스토리 개인 블로그에 업로드하는 기능을 제공했다.[2] 또한, iOS 및 안드로이드 운영체제를 위한 앱을 제공하여 모바일 환경에서도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했다.[5]- '''소환''' - 트위터의 "멘션"과 유사하며, 사용자가 다른 사용자를 추가하고 대화할 수 있게 했다.
- '''미투''' - 트위터의 "리트윗"과 유사하며, 사용자가 다른 사용자의 메시지를 다시 게시할 수 있게 했다. 이 용어는 동의를 표현하는 영어 표현 'Me, too'에서 유래되었다.
- '''밴드''' - 사용자가 팬클럽, 관심 그룹 등을 시작할 수 있게 했다.
3. 서비스 종료
2013년 11월 28일, NHN은 사용자들에게 이메일을 보내 2014년 6월 30일부로 미투데이 서비스가 종료될 예정임을 알렸다.[1] 이는 페이스북, 트위터 등 글로벌 SNS의 성장과 카카오스토리와 같은 국내 경쟁 서비스의 등장으로 인해 미투데이의 경쟁력이 약화되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참조
[1]
웹사이트
공시뷰어
http://kind.krx.co.k[...]
KRX
2012-01-07
[2]
웹사이트
excite
http://www.excite.co[...]
2012-05-17
[3]
웹사이트
Seoul Space
http://seoulspace.co[...]
2012-05-17
[4]
웹사이트
네이버, '앱플레이어'로 소셜 생태계 조성 본격 추진
http://www.ddaily.co[...]
D Daily
2012-01-07
[5]
웹사이트
경찰청, 젊은이와 함께 젊고 재미있게 소통
http://www.mt.co.kr/[...]
MT
2012-01-06
[6]
웹사이트
강예빈 미투데이 유상무 등장, "두 사람 친해보이는데"
http://n.newswave.kr[...]
News Wave
2012-01-07
[7]
웹사이트
'왓츠업' 불참 김지원. 미투데이에 "보고싶다" 아쉬움 전해
http://star.mk.co.kr[...]
Star Today
2012-01-07
[8]
웹사이트
미투데이, 미친과 함께 하는'MEET 2011'개최
http://www.etoday.co[...]
E Today
2011-11-28
[9]
문서
일반 가입 및 네이버 아이디를 이용한 가입
[10]
KRX 공시뷰어
NHN 계열 회사 변경 (자율 공시)
http://kind.krx.co.k[...]
[11]
웨이백
별도 공지
http://me2day.net/me[...]
2010-01-15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무료 음악 앱 '비트', 11월 30일 서비스 종료 – 바이라인네트워크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