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할 마르티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미할 마르티칸은 슬로바키아의 카누 슬라럼 선수이다. 16세에 월드컵에서 우승하며 국제 무대에 데뷔하여, 1996년 하계 올림픽에서 슬로바키아 최초의 금메달을 획득했다. 그는 올림픽에서 금메달 2개, 은메달 2개, 동메달 1개를 획득했고,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15개의 금메달을 포함해 총 23개의 메달을 획득했다. 1998년, 2000년, 2001년, 2006년, 2014년에는 카누 슬라롬 월드컵 종합 우승을 차지했으며, 1996, 1997, 2007, 2008년에는 슬로바키아 올해의 스포츠 선수로 선정되었다. 1997년 교통사고로 과실치사 유죄 판결을 받았으나, 대통령 특별 사면을 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슬로바키아의 올림픽 카누 참가 선수 - 파볼 호흐쇼르네르
파볼 호흐쇼르네르는 슬로바키아의 카누 슬라롬 선수로, 올림픽 금메달 3개, 세계 선수권 금메달 5개 등을 포함하여 다수의 메달을 획득했으며, 카누 슬라롬 종목에서 가장 많은 올림픽 금메달과 월드컵 타이틀을 보유하고 있다. - 슬로바키아의 올림픽 카누 참가 선수 - 페테르 호흐쇼르네르
페테르 호흐쇼르네르는 슬로바키아의 카누 선수로, 올림픽 남자 카약 1인승 3연패와 카누 남자 2인승 동메달, 그리고 세계 선수권 대회 우승 등 뛰어난 업적을 달성하여 슬로바키아 스포츠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 슬로바키아의 남자 카누 선수 - 파볼 호흐쇼르네르
파볼 호흐쇼르네르는 슬로바키아의 카누 슬라롬 선수로, 올림픽 금메달 3개, 세계 선수권 금메달 5개 등을 포함하여 다수의 메달을 획득했으며, 카누 슬라롬 종목에서 가장 많은 올림픽 금메달과 월드컵 타이틀을 보유하고 있다. - 슬로바키아의 남자 카누 선수 - 페테르 호흐쇼르네르
페테르 호흐쇼르네르는 슬로바키아의 카누 선수로, 올림픽 남자 카약 1인승 3연패와 카누 남자 2인승 동메달, 그리고 세계 선수권 대회 우승 등 뛰어난 업적을 달성하여 슬로바키아 스포츠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 립토우스키미쿨라시 출신 - 페트라 블호바
페트라 블호바는 슬로바키아의 알파인 스키 선수로, 2012년 동계 청소년 올림픽 금메달과 2022년 베이징 동계 올림픽 슬라롬 금메달을 획득하며 슬로바키아 알파인 스키 역사상 최초의 올림픽 메달리스트가 되었고, 알파인 스키 월드컵에서도 다수의 우승을 차지했다. - 립토우스키미쿨라시 출신 - 시몬 네메츠
시몬 네메츠는 슬로바키아 출신의 아이스하키 수비수로, 슬로바키아 리그에서 선수 생활을 시작하여 뉴저지 데블스에 지명되었고, 슬로바키아 국가대표팀으로 2022년 베이징 동계올림픽에서 동메달을 획득했다.
미할 마르티칸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국적 | 슬로바키아 |
출생일 | 1979년 5월 18일 |
출생지 | 체코슬로바키아 립토우스키미쿨라시 |
신장 | 1.70m |
체중 | 72kg |
종목 | 카누 슬라럼 |
세부 종목 | C1 |
소속 클럽 | KTK 두클라 립토우스키미쿨라시 |
메달 기록 | |
올림픽 | 금메달 2개 은메달 2개 동메달 1개 |
세계 선수권 대회 | 금메달 15개 은메달 3개 동메달 5개 |
유럽 선수권 대회 | 금메달 15개 은메달 6개 동메달 3개 |
세계 주니어 선수권 대회 | 금메달 1개 은메달 2개 동메달 0개 |
유럽 주니어 선수권 대회 | 금메달 3개 은메달 0개 동메달 0개 |
올림픽 메달 | |
1996 애틀랜타 | 금메달, C1 |
2008 베이징 | 금메달, C1 |
2000 시드니 | 은메달, C1 |
2004 아테네 | 은메달, C1 |
2012 런던 | 동메달, C1 |
세계 선수권 대회 메달 | |
1997 트레스코로아스 | 금메달, C1 |
1997 트레스코로아스 | 금메달, C1 단체전 |
2002 부르생모리스 | 금메달, C1 |
2003 아우크스부르크 | 금메달, C1 |
2003 아우크스부르크 | 금메달, C1 단체전 |
2007 포스두이구아수 | 금메달, C1 |
2009 라세우두르젤 | 금메달, C1 단체전 |
2010 타첸 | 금메달, C1 단체전 |
2011 브라티슬라바 | 금메달, C1 단체전 |
2013 프라하 | 금메달, C1 단체전 |
2014 딥크릭 레이크 | 금메달, C1 단체전 |
2015 런던 | 금메달, C1 단체전 |
2017 포 | 금메달, C1 단체전 |
2018 리우데자네이루 | 금메달, C1 단체전 |
2019 라세우두르젤 | 금메달, C1 단체전 |
2006 프라하 | 은메달, C1 |
2009 라세우두르젤 | 은메달, C1 |
2010 타첸 | 은메달, C1 |
1995 노팅엄 | 동메달, C1 |
1995 노팅엄 | 동메달, C1 단체전 |
1999 라세우두르젤 | 동메달, C1 |
2005 펜리스 | 동메달, C1 |
2017 포 | 동메달, C1 |
유럽 선수권 대회 메달 | |
1998 로우드니체나트라벰 | 금메달, C1 단체전 |
2000 메차나 | 금메달, C1 단체전 |
2002 브라티슬라바 | 금메달, C1 단체전 |
2005 타첸 | 금메달, C1 단체전 |
2007 립토우스키미쿨라시 | 금메달, C1 |
2007 립토우스키미쿨라시 | 금메달, C1 단체전 |
2008 크라쿠프 | 금메달, C1 |
2008 크라쿠프 | 금메달, C1 단체전 |
2009 노팅엄 | 금메달, C1 |
2010 브라티슬라바 | 금메달, C1 |
2010 브라티슬라바 | 금메달, C1 단체전 |
2012 아우크스부르크 | 금메달, C1 단체전 |
2015 마르크클레베르크 | 금메달, C1 단체전 |
2016 립토우스키미쿨라시 | 금메달, C1 단체전 |
2021 이브레아 | 금메달, C1 단체전 |
1998 로우드니체나트라벰 | 은메달, C1 |
2006 라르장티에르라베세 | 은메달, C1 |
2006 라르장티에르라베세 | 은메달, C1 단체전 |
2014 빈 | 은메달, C1 |
2016 립토우스키미쿨라시 | 은메달, C1 |
2018 프라하 | 은메달, C1 단체전 |
2014 빈 | 동메달, C1 단체전 |
2017 타첸 | 동메달, C1 |
2024 타첸 | 동메달, C1 단체전 |
주니어 세계 선수권 대회 메달 | |
1994 워소 | 금메달, C1 |
1996 리프노 | 은메달, C1 |
1996 리프노 | 은메달, C1 단체전 |
유럽 주니어 선수권 대회 메달 | |
1995 립토우스키미쿨라시 | 금메달, C1 |
1995 립토우스키미쿨라시 | 금메달, C1 단체전 |
1997 노비송치 | 금메달, C1 |
2. 선수 경력
16세의 나이에 카누 슬라럼 월드컵에서 최연소 우승을 차지하며 국제 무대에 화려하게 등장했다.[4] 이듬해인 17세에는 1996년 하계 올림픽 카누 슬라럼 싱글 종목에서 금메달을 획득하며, 독립 슬로바키아 역사상 최초의 올림픽 챔피언이 되었다.
이후 하계 올림픽, 세계 선수권 대회, 유럽 카누 슬라럼 선수권 대회, 카누 슬라럼 월드컵 등 주요 국제 대회에서 꾸준히 최상위권 성적을 기록하며 슬라럼 카누 종목의 살아있는 전설로 평가받는다. 특히 하계 올림픽에서는 1996년부터 2012년까지 5개 대회 연속으로 메달(금 2, 은 2, 동 1)을 획득한 유일한 선수이며,[5]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는 1995년부터 2019년까지 17회 연속으로 메달(개인전 또는 단체전)을 획득하는 전무후무한 기록을 세웠다. 또한 카누 슬라럼 월드컵에서는 역대 최다인 5번의 종합 우승을 차지했고, 유럽 카누 슬라럼 선수권 대회에서도 개인전 4연패를 포함하여 수많은 메달을 획득했다.
그의 선수 경력 동안 아버지인 요제프 마르티칸이 코치를 맡았다.[6]
2. 1. 올림픽
17세의 나이로 참가한 1996년 하계 올림픽 카누 슬라럼 싱글(C-1) 종목에서 첫 번째 시도에서는 6위에 그쳤으나, 두 번째 시도에서 당시 챔피언이었던 루카시 폴레르트의 기록을 넘어서며 금메달을 획득했다. 이는 슬로바키아가 독립한 이후 처음으로 획득한 올림픽 금메달이었다.이후 주요 대회와 월드컵 시리즈에서 꾸준히 좋은 성적을 거두며 2000년 하계 올림픽의 유력한 우승 후보로 꼽혔다. 시드니 올림픽에서는 예선에서 최고 점수를 기록했지만, 결승 첫 번째 시도에서는 5위에 머물렀다. 두 번째 시도에서는 완벽한 레이스를 펼쳐 가장 빠른 기록을 세웠으나, 프랑스의 토니 에스탕게에 이어 은메달을 획득했다.
세 번째 올림픽 참가인 2004년 하계 올림픽에서도 예선과 준결승에서 모두 1위를 차지했다. 결승 두 번째 시도 후 금메달을 되찾는 듯 보였으나, 심판이 논란의 여지가 있는 2초 페널티를 부과하면서 에스탕게에게 0.12초 차이로 뒤져 다시 은메달에 머물렀다.
마르티칸은 2008년 베이징 올림픽에서 금메달을 획득하며 12년 만에 올림픽 챔피언 자리를 되찾았다.[5] 2012년 런던 올림픽에서는 동메달을 추가했다. 이로써 미할 마르티칸은 1996년부터 2012년까지 5번의 하계 올림픽에서 연속으로 메달을 획득한 역사상 유일한 카누 슬라럼 선수가 되었다.
2. 2. 세계 선수권 대회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미할 마르티칸은 뛰어난 성과를 거두었다. 그는 16세였던 1995년 대회에서 처음으로 메달을 획득했는데, C1 개인전과 단체전에서 각각 동메달을 목에 걸었다. 1997년에는 개인전과 단체전에서 모두 금메달을 획득하며 첫 개인 세계 타이틀을 차지했다.마르티칸은 이후 2002년, 2003년, 2007년에도 개인 C1 종목에서 우승하며 총 4번의 개인전 금메달을 획득했다. 그는 1995년부터 2010년까지 개인 C1 경기에서 16년 연속으로 메달을 획득하는 꾸준함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2011년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는 처음으로 올림픽 또는 세계 선수권 개인 경기에서 메달권에 들지 못했다. 공교롭게도 이 대회는 그의 고국 슬로바키아 브라티슬라바 인근의 추노 코스에서 열렸다. 하지만 그는 슬로바키아 팀 동료들과 함께 C1 단체전에서 금메달을 획득했고, 이후 2013년부터 2019년까지 C1 단체전에서 6개의 금메달을 더 추가하며 17회 연속 세계 선수권 대회 메달이라는 대기록을 세웠다.
2019년 기준으로 마르티칸은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총 23개의 메달(금메달 15개, 은메달 3개, 동메달 5개)을 획득했으며, 이는 카누 슬라럼 종목의 모든 카테고리를 통틀어 역대 최다 메달 기록이다.
2. 3. 유럽 선수권 대회
유럽 카누 슬라럼 선수권 대회에서는 2007년부터 2010년까지 4회 연속으로 개인전 금메달을 획득했다. 슬로바키아 대표팀의 일원으로 C1 단체전에서 11번 우승하는 데 기여했다. 이 외에도 개인전에서 은메달 4개와 동메달 1개, 단체전에서 은메달 2개와 동메달 2개를 추가하여 총 은메달 6개, 동메달 3개를 획득했다.2. 4. 월드컵
16세의 나이에 카누 슬라럼 월드컵에서 최연소 우승자가 되는 기록을 세웠다.[4] 이후 C1 종목에서 총 5번의 카누 슬라럼 월드컵 종합 우승을 차지했으며, 이는 해당 종목 선수 중 최다 기록이다. 우승 연도는 1998년, 2000년, 2001년, 2006년, 2014년이다.2. 5. 주요 대회 성적
16세에 카누 슬라럼 월드컵 최연소 우승자가 되었으며,[4] 1996년 하계 올림픽에서는 17세의 나이로 금메달을 획득하여 독립 슬로바키아 최초의 올림픽 챔피언이 되었다. 이후 2000년 시드니 올림픽, 2004년 아테네 올림픽, 2008년 베이징 올림픽, 2012년 런던 올림픽까지 5회 연속 올림픽 메달(금 2, 은 2, 동 1)을 획득한 유일한 슬라럼 카누 선수이다.[5]세계 선수권 대회에서는 1995년부터 2019년까지 17회 연속으로 메달(개인전 또는 단체전)을 획득하는 대기록을 세웠다. 개인 C1 종목에서는 1997년, 2002년, 2003년, 2007년 우승을 포함하여 총 9개의 메달(금 4, 은 2, 동 3)을 획득했으며, C1 단체전에서는 11개의 금메달을 포함하여 총 14개의 메달(금 11, 은 1, 동 2)을 획득했다. 2019년 기준으로 총 23개의 세계 선수권 메달(금 15, 은 3, 동 5)을 보유하고 있다.
월드컵에서는 C1 선수 중 최다인 5번의 종합 우승(1998년, 2000년, 2001년, 2006년, 2014년)을 차지했다.
유럽 선수권 대회에서는 2007년부터 2010년까지 개인 C1 종목 4연패를 달성했으며, 단체전에서도 11번의 우승을 포함하여 다수의 메달을 획득했다.
종목 | 1995 | 1996 | 1997 | 1998 | 1999 | 2000 | 2001 | 2002 | 2003 | 2004 | 2005 | 2006 | 2007 | 2008 | |
---|---|---|---|---|---|---|---|---|---|---|---|---|---|---|---|
올림픽 | C1 | 개최 안 됨 | 1 | 개최 안 됨 | 2 | 개최 안 됨 | 2 | 개최 안 됨 | 1 | ||||||
세계 선수권 대회 | C1 | 3 | 개최 안 됨 | 1 | 개최 안 됨 | 3 | 개최 안 됨 | 1 | 1 | 개최 안 됨 | 3 | 2 | 1 | 개최 안 됨 | |
C1 팀 | 3 | 개최 안 됨 | 1 | 개최 안 됨 | 6 | 개최 안 됨 | 4 | 1 | 개최 안 됨 | — | 4 | 9 | 개최 안 됨 | ||
유럽 선수권 대회 | C1 | 개최 안 됨 | 5 | 개최 안 됨 | 2 | 개최 안 됨 | 4 | 개최 안 됨 | 5 | 개최 안 됨 | — | 5 | 2 | 1 | 1 |
C1 팀 | 개최 안 됨 | 6 | 개최 안 됨 | 1 | 개최 안 됨 | 1 | 개최 안 됨 | 1 | 개최 안 됨 | — | 1 | 2 | 1 | 1 |
종목 | 2009 | 2010 | 2011 | 2012 | 2013 | 2014 | 2015 | 2016 | 2017 | 2018 | 2019 | 2020 | 2021 | 2022 | 2023 | 2024 | |
---|---|---|---|---|---|---|---|---|---|---|---|---|---|---|---|---|---|
올림픽 | C1 | 개최 안 됨 | 3 | 개최 안 됨 | — | 개최 안 됨 | — | 개최 안 됨 | — | ||||||||
세계 선수권 대회 | C1 | 2 | 2 | 7 | 개최 안 됨 | 18 | 12 | 10 | 개최 안 됨 | 3 | 6 | 29 | 개최 안 됨 | — | — | — | 개최 안 됨 |
C1 팀 | 1 | 1 | 1 | 개최 안 됨 | 1 | 1 | 1 | 개최 안 됨 | 1 | 1 | 1 | 개최 안 됨 | — | — | — | 개최 안 됨 | |
유럽 선수권 대회 | C1 | 1 | 1 | 25 | 8 | — | 2 | 18 | 2 | 3 | 20 | 11 | — | 7 | — | — | 15 |
C1 팀 | 8 | 1 | 4 | 1 | — | 3 | 1 | 1 | 6 | 2 | 4 | — | 1 | — | — | 3 |
'''월드컵 개인전 포디움'''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center; font-size:95%;"
!시즌
!날짜
!개최지
!순위
!종목
|-
| '''1995''' || style="text-align:right;"| 1995년 7월 2일 || style="text-align:left;"| 타첸 || style="background:silver;"|2위 || C1
|-
|rowspan=2| '''1996''' || style="text-align:right;"| 1996년 4월 21일 || style="text-align:left;"| 오코이 || style="background:gold;"|1위 || C1
|-
| style="text-align:right;"| 1996년 6월 16일 || style="text-align:left;"| 아우크스부르크 || style="background:#cc9966;"|3위 || C1
|-
| '''1997''' || style="text-align:right;"| 1997년 7월 6일 || style="text-align:left;"| 브라티슬라바 || style="background:gold;"|1위 || C1
|-
|rowspan=3| '''1998''' || style="text-align:right;"| 1998년 6월 21일 || style="text-align:left;"| 타첸 || style="background:gold;"|1위 || C1
|-
| style="text-align:right;"| 1998년 6월 28일 || style="text-align:left;"| 아우크스부르크 || style="background:#cc9966;"|3위 || C1
|-
| style="text-align:right;"| 1998년 9월 13일 || style="text-align:left;"| 라 세우 데 우르젤 || style="background:gold;"|1위 || C1
|-
|rowspan=3| '''1999''' || style="text-align:right;"| 1999년 8월 15일 || style="text-align:left;"| 브라티슬라바 || style="background:#cc9966;"|3위 || C1
|-
| style="text-align:right;"| 1999년 8월 22일 || style="text-align:left;"| 아우크스부르크 || style="background:gold;"|1위 || C1
|-
| style="text-align:right;"| 1999년 10월 3일 || style="text-align:left;"| 페니트 || style="background:silver;"|2위 || C1
|-
|rowspan=3| '''2000''' || style="text-align:right;"| 2000년 4월 30일 || style="text-align:left;"| 페니트 || style="background:gold;"|1위 || C1
|-
| style="text-align:right;"| 2000년 7월 9일 || style="text-align:left;"| 라 세우 데 우르젤 || style="background:gold;"|1위 || C1
|-
| style="text-align:right;"| 2000년 7월 30일 || style="text-align:left;"| 아우크스부르크 || style="background:silver;"|2위 || C1
|-
|rowspan=3| '''2001''' || style="text-align:right;"| 2001년 6월 10일 || style="text-align:left;"| 타첸 || style="background:gold;"|1위 || C1
|-
| style="text-align:right;"| 2001년 7월 29일 || style="text-align:left;"| 아우크스부르크 || style="background:#cc9966;"|3위 || C1
|-
| style="text-align:right;"| 2001년 9월 9일 || style="text-align:left;"| 와우소 || style="background:gold;"|1위 || C1
|-
|rowspan=2| '''2002''' || style="text-align:right;"| 2002년 7월 21일 || style="text-align:left;"| 아우크스부르크 || style="background:#cc9966;"|3위 || C1
|-
| style="text-align:right;"| 2002년 7월 28일 || style="text-align:left;"| 타첸 || style="background:gold;"|1위 || C1
|-
|rowspan=3| '''2003''' || style="text-align:right;"| 2003년 5월 11일 || style="text-align:left;"| 페니트 || style="background:#cc9966;"|3위 || C1
|-
| style="text-align:right;"| 2003년 7월 6일 || style="text-align:left;"| 라 세우 데 우르젤 || style="background:gold;"|1위 || C1
|-
| style="text-align:right;"| 2003년 8월 3일 || style="text-align:left;"| 브라티슬라바 || style="background:silver;"|2위 || C1
|-
|rowspan=3| '''2004''' || style="text-align:right;"| 2004년 4월 23일 || style="text-align:left;"| 아테네 || style="background:silver;"|2위 || C1
|-
| style="text-align:right;"| 2004년 7월 11일 || style="text-align:left;"| 프라하 || style="background:#cc9966;"|3위 || C1
|-
| style="text-align:right;"| 2004년 7월 25일 || style="text-align:left;"| 부르 생 모리스 || style="background:#cc9966;"|3위 || C1
|-
| '''2005''' || style="text-align:right;"| 2005년 10월 1일 || style="text-align:left;"| 페니트 || style="background:#cc9966;"|3위 || C11
|-
|rowspan=5| '''2006''' || style="text-align:right;"| 2006년 5월 28일 || style="text-align:left;"| 아테네 || style="background:gold;"|1위 || C1
|-
| style="text-align:right;"| 2006년 6월 4일 || style="text-align:left;"| 아우크스부르크 || style="background:silver;"|2위 || C1
|-
| style="text-align:right;"| 2006년 6월 11일 || style="text-align:left;"| 라 세우 데 우르젤 || style="background:#cc9966;"|3위 || C1
|-
| style="text-align:right;"| 2006년 7월 2일 || style="text-align:left;"| 라르장티에르-라-베세 || style="background:silver;"|2위 || C12
|-
| style="text-align:right;"| 2006년 8월 6일 || style="text-align:left;"| 프라하 || style="background:silver;"|2위 || C11
|-
|rowspan=2| '''2007''' || style="text-align:right;"| 2007년 6월 30일 || style="text-align:left;"| 프라하 || style="background:silver;"|2위 || C1
|-
| style="text-align:right;"| 2007년 7월 8일 || style="text-align:left;"| 타첸 || style="background:gold;"|1위 || C1
|-
| '''2008''' || style="text-align:right;"| 2008년 3월 16일 || style="text-align:left;"| 페니트 || style="background:gold;"|1위 || C13
|-
| '''2009''' || style="
3. 수상 내역
4. 과실치사 유죄 판결 및 대통령 특별사면 논란
1997년 11월, 마르티칸은 슬로바키아 벨케잘루지 마을 근처에서 운전 중 보행자를 치어 사망하게 하는 교통사고를 냈다.[7] 조사 결과, 마르티칸은 당시 제한 속도인 시속 40km를 상당히 초과하여 운전했으며, 사망한 피해자는 술에 취한 상태로 어두운 곳에 있었던 것으로 밝혀졌다. 이 사고로 마르티칸은 과실치사 유죄 판결을 받았다.
이후 마르티칸은 보호 관찰 기간 중 운전 면허 관련 규정을 어겨 실형을 선고받을 위기에 처했다. (호주 훈련 캠프 중 면허를 반납해야 했으나 이행하지 않았고, 귀국 후 관련 우편물을 찾으러 갔다가 경찰에 적발되었다.) 그러나 당시 슬로바키아 대통령이었던 루돌프 슈스터는 마르티칸에게 대통령 사면을 단행했다.[8] 이 결정으로 마르티칸은 징역형을 면제받았고, 범죄 기록에서도 유죄 판결이 사실상 삭제되었다.
슈스터 대통령은 마르티칸이 슬로바키아를 대표하는 뛰어난 운동선수라는 점을 사면의 이유로 내세웠다. 하지만 이러한 결정은 유명 스포츠 스타에게 법적 책임을 면제해주는 특혜이자 이중 잣대라는 비판을 받았으며, 대통령의 사면권 남용이라는 지적과 함께 사회적 논란을 일으켰다.
참조
[1]
웹사이트
Michal MARTIKAN (SVK)
https://www.canoesla[...]
2017-09-30
[2]
웹사이트
FACTBOX-Olympics-Canoeing-Gold medallist Michal Martikan
https://www.reuters.[...]
2021-08-17
[3]
웹사이트
Michal Martikán
https://web.archive.[...]
2017-12-03
[4]
뉴스
"Seeing is believing for Slovakia's Martikan"
https://web.archive.[...]
Reuters
2011-10-04
[5]
웹사이트
GB's Florence claims canoe silver
http://news.bbc.co.u[...]
BBC Sport
2008-08-12
[6]
웹사이트
Michal Martikán (SVK)
https://www.canoeicf[...]
2017-12-31
[7]
웹사이트
Olympic winner kills a pedestrian
http://www.spectator[...]
1997-12-04
[8]
웹사이트
Amnesties a relic of feudal powers
http://www.spectator[...]
2001-01-2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