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박차석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박차석은 1909년 평안남도 평양에서 출생하여 만주로 이주한 독립운동가이다. 김일성의 회고록에 따르면, 그는 이종락과 함께 화성의숙에서 김일성과 함께 군사 교육을 받았으며, 정의부에서 국민부로 개편된 단체에 소속되어 활동했다. 1930년 군자금 모집 활동 중 경찰을 사살하고 체포되어 10년 징역형을 선고받았으며, 1937년 가출옥했다. 이후 만주로 건너가 김일성의 귀순 공작에 관여했으나 실패로 돌아갔으며, 이후 행적은 알려지지 않았다.

2. 생애

박차석(朴且石)은 1909년 평안남도 평양부(平壤府) 교구정(橋口町) 40번지에서 출생했다.[23] 어릴 때 만주로 이주한 것으로 보인다.

김일성 회고록에 이종락과 박차석이 자기와 같이 정의부에서 만주 화전현(樺甸縣)에 세운 군사교육 기관 화성의숙(華成義塾)[3][4]을 다녔다고 나온다.[5]

:原文중국어

이 말이 사실이라면 그는 김일성과 같이 1926년 무렵 화성의숙을 다닌 것이 된다.

박차석은 정의부국민부로 개편되면서 이에 소속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https://e-gonghun.mpva.go.kr/user/ContribuReportDetail.do?goTocode=20001&pageTitle=Merit&mngNo=73083 최효일(崔孝一, 1904~1932)] 및 김일성의 삼촌 김형권 등과 군자금 모집 결사대(軍資金募集决死隊)를 조직하고 1930년 8월 국내로 잠입하여 모금활동 중에 풍산군 안산면 내중리(豊山郡安山面內中里)에서 1박하고 8월 14일 다른 곳으로 가려다가 풍산경찰서 내중(內中)주재소 송산저삼(松山猪三) 순사부장을 만나자 그를 사살하고[6][7], 단원들을 나누어 일부는 후치령(厚峙嶺)에서 통행하는 자동차를 습격하여 군자금을 모집하였다. 다른 일부는 홍원(洪原)읍으로 들어가서 최모(崔某)의 집에 유숙하다가 9월 3일 경찰에 체포되었다.[8][9][10][11] 이때 도주한 정웅(鄭雄, 본명 정계빈[鄭桂㻞])은 이듬해 1931년 2월 3일 강원도 춘천에서 검거되었다.[12][13][14][15][16]

1931년 10월 21일 함흥 지방법원의 1심 판결에서 주동자 최효일은 사형, 김형권은 15년, 박차석과 정계빈은 10년 징역형을 받았고,[17][18][19] 1932년 4월 4일 경성 복심법원의 2심 판결에서도 1심과 같은 형량이 선고되었다.[20][21][22][23] 김형권은 수형 도중 서대문 감옥에서 옥사하였다.

박차석은 형기 만료 전인 1937년 11월 23일 가출옥했다.[24] 1938년 5월 17일에 조선 밖으로 이주 허가를 신청했으나 보류된 기록이 있다.[25] 이후 만주로 간 것으로 보이며, 전향하여 김일성의 왕년의 상관 이종락과 함께 김창영이 주도하는 만주국 경찰의 김일성 귀순공작에 중재인으로 투입된다. 김일성은 귀순 협상에 응할 뜻을 보였으나, 귀순 후의 안전보장을 위해 까다로운 조건을 내걸어 협상이 지연된다. 1940년 1월에 이종락은 김일성 부대에 협상차 들어갔다가 보고를 받고 들이닥친 김일성의 상관 양정우(楊靖宇, 1905~1940)에게 붙잡혀 사살 당하고, 귀순 공작은 실패로 돌아갔다.[26][27] 양정우 본인도 한달여 뒤 2월 23일 전사한다.[28]

그 이후의 박차석의 행적은 알려진 것이 없다.

2. 1. 초기 생애 및 항일 무장 투쟁

박차석(朴且石)은 1909년 평안남도 평양부(平壤府) 교구정(橋口町) 40번지에서 출생했다.[23] 어릴 때 만주로 이주한 것으로 보인다.

김일성 회고록에 이종락과 박차석이 자기와 같이 정의부에서 만주 화전현(樺甸縣)에 세운 군사교육 기관 화성의숙(華成義塾)[3][4]을 다녔다고 나온다.[5]

原文중국어

이 말이 사실이라면 그는 김일성과 같이 1926년 무렵 화성의숙을 다닌 것이 된다.

박차석은 정의부국민부로 개편되면서 이에 소속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https://e-gonghun.mpva.go.kr/user/ContribuReportDetail.do?goTocode=20001&pageTitle=Merit&mngNo=73083 최효일(崔孝一, 1904~1932)] 및 김일성의 삼촌 김형권 등과 군자금 모집 결사대(軍資金募集决死隊)를 조직하고 1930년 8월 국내로 잠입하여 모금활동 중에 풍산군 안산면 내중리(豊山郡安山面內中里)에서 1박하고 8월 14일 다른 곳으로 가려다가 풍산경찰서 내중(內中)주재소 송산저삼(松山猪三) 순사부장을 만나자 그를 사살하고[6][7], 단원들을 나누어 일부는 후치령(厚峙嶺)에서 통행하는 자동차를 습격하여 군자금을 모집하였다. 다른 일부는 홍원(洪原)읍으로 들어가서 최모(崔某)의 집에 유숙하다가 9월 3일 경찰에 체포되었다.[8][9][10][11] 이때 도주한 정웅(鄭雄, 본명 정계빈[鄭桂㻞])은 이듬해 1931년 2월 3일 강원도 춘천에서 검거되었다.[12][13][14][15][16]

1931년 10월 21일 함흥 지방법원의 1심 판결에서 주동자 최효일은 사형, 김형권은 15년, 박차석과 정계빈은 10년 징역형을 받았고,[17][18][19] 1932년 4월 4일 경성 복심법원의 2심 판결에서도 1심과 같은 형량이 선고되었다.[20][21][22][23] 김형권은 수형 도중 서대문 감옥에서 옥사하였다.

박차석은 형기 만료 전인 1937년 11월 23일 가출옥했다.[24] 1938년 5월 17일에 조선 밖으로 이주 허가를 신청했으나 보류된 기록이 있다.[25] 이후 만주로 간 것으로 보이며, 전향하여 김일성의 왕년의 상관 이종락과 함께 김창영이 주도하는 만주국 경찰의 김일성 귀순공작에 중재인으로 투입된다. 김일성은 귀순 협상에 응할 뜻을 보였으나, 귀순 후의 안전보장을 위해 까다로운 조건을 내걸어 협상이 지연된다. 1940년 1월에 이종락은 김일성 부대에 협상차 들어갔다가 보고를 받고 들이닥친 김일성의 상관 양정우(楊靖宇, 1905~1940)에게 붙잡혀 사살 당하고, 귀순 공작은 실패로 돌아갔다.[26][27] 양정우 본인도 한달여 뒤 2월 23일 전사한다.[28]

그 이후의 박차석의 행적은 알려진 것이 없다.

2. 2. 체포 및 투옥

박차석은 정의부국민부로 개편되면서 이에 소속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https://e-gonghun.mpva.go.kr/user/ContribuReportDetail.do?goTocode=20001&pageTitle=Merit&mngNo=73083 최효일(崔孝一, 1904~1932)] 및 김일성의 삼촌 김형권 등과 군자금 모집 결사대(軍資金募集决死隊)를 조직하고 1930년 8월 국내로 잠입하여 모금활동을 하였다.[8][9][10][11]

1930년 8월 14일 풍산경찰서 내중(內中)주재소 송산저삼(松山猪三) 순사부장을 사살하고[6][7], 단원들을 나누어 일부는 후치령(厚峙嶺)에서 통행하는 자동차를 습격하여 군자금을 모집하였다. 다른 일부는 홍원(洪原)읍으로 들어가서 촤모(崔某)의 집에 유숙하다가 9월 3일 경찰에 체포되었다.[8][9][10][11] 이때 도주한 정웅(鄭雄, 본명 정계빈[鄭桂㻞])은 이듬해 1931년 2월 3일 강원도 춘천에서 검거되었다.[12][13][14][15][16]

1931년 10월 21일 함흥 지방법원의 1심 판결에서 주동자 최효일은 사형, 김형권은 15년, 박차석과 정계빈은 10년 징역형을 받았고,[17][18][19] 1932년 4월 4일 경성 복심법원의 2심 판결에서도 1심과 같은 형량이 선고되었다.[20][21][22][23] 김형권은 수형 도중 서대문 감옥에서 옥사하였다. 박차석은 형기 만료 전인 1937년 11월 23일 가출옥했다.[24]

2. 3. 김일성 귀순 공작 관여 및 이후 행적

박차석은 1909년 평안남도 평양부 교구정 40번지에서 출생했으며[23], 어릴 때 만주로 이주한 것으로 보인다. 김일성 회고록에 따르면, 박차석은 이종락과 함께 정의부에서 만주 화전현에 세운 군사교육 기관인 화성의숙을 다녔다.[3][4][5]

이 기록이 사실이라면, 박차석은 1926년 무렵 김일성과 함께 화성의숙을 다닌 것이 된다. 이후 정의부국민부로 개편되면서 여기에 소속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박차석은 김일성의 삼촌 김형권 등과 군자금 모집 결사대를 조직하고 1930년 8월 국내로 잠입, 모금활동을 벌였다.[6][7] 이들은 풍산경찰서 내중주재소 송산저삼 순사부장을 사살하고, 후치령에서 자동차를 습격해 군자금을 모집하는 등의 활동을 벌였다.[8][9][10][11] 1931년 10월 21일 함흥 지방법원 1심 판결에서 박차석은 10년 징역형을 선고받았고,[17][18][19] 1932년 4월 4일 경성 복심법원 2심에서도 같은 형량이 선고되었다.[20][21][22][23]

박차석은 형기 만료 전인 1937년 11월 23일 가출옥했다.[24] 1938년 5월 17일 조선 밖으로 이주 허가를 신청했으나 보류되었고,[25] 이후 만주로 간 것으로 보인다. 그는 전향하여 김일성의 왕년의 상관 이종락과 함께 김창영이 주도하는 만주국 경찰의 김일성 귀순 공작에 중재인으로 투입되었다. 김일성은 귀순 협상에 응할 뜻을 보였으나, 귀순 후 안전 보장을 위해 까다로운 조건을 내걸어 협상이 지연되었다. 1940년 1월 이종락은 김일성 부대에 협상차 들어갔다가 김일성의 상관 양정우(楊靖宇, 1905~1940)에게 붙잡혀 사살당했고, 귀순 공작은 실패로 돌아갔다.[26][27]

그 이후 박차석의 행적은 알려진 바가 없다.

3. 평가

참조

[1] 한국사데이터베이스 일제감시대상인물카드 박패석(朴貝石) http://db.history.go[...]
[2] 문서 판결문에 1905년생인 [[김형권]]보다 4세 연하로 나옴.
[3] 세계한민족문화대전 화전현 화성의숙 http://www.okpedia.k[...]
[4] 독립기념관 화성의숙(華成義塾) 터 http://oversea.i815.[...]
[5] 서적 김일성 회고록 《세기와 더불어 7권 (계승본 1편, 1996년)》 제19장 시련의 언덕을 넘어 / 8. 남패자의 수림속에서
[6] 뉴스 豐山(풍산)에 突現(돌현)한 武裝團 四名(무장단 사명) 巡查部長 射殺 逃走(순사부장 사살 도주) https://newslibrary.[...] 조선일보 1930-08-16
[7] 뉴스 疾風迅雷의 武装團 警官射殺後◈◈潜跡 https://www.nl.go.kr[...] 중외일보[中外日報] 1930-08-16
[8] 뉴스 豐山(풍산)에出現(출현)햇든拳銃犯(권총범) 洪原(홍원)에서畢竟被捉(필경피착)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1930-09-04
[9] 뉴스 逮捕(체포)된拳銃犯人(권총범인)은 國民府員(국민부원)으로判明(판명)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1930-09-05
[10] 뉴스 三十餘警官(삼십여경관)이 警戒(경계)튼 光復團員家(광복단원가)에 潜入(잠입) https://newslibrary.[...] 조선일보 1930-09-08
[11] 뉴스 豐山武裝團廻審, 이십일 함흥검사국에서 https://www.nl.go.kr[...] 중외일보[中外日報] 1930-09-26
[12] 뉴스 豐山駐在所 襲擊犯(풍산주재소 습격범) 春川署(춘천서)의 取調嚴重(취조엄중) https://newslibrary.[...] 조선일보 1931-02-07
[13] 뉴스 武裝團員 鄭雄外 又復靑年一名 引致(무장단원 정웅외 우복청년일명 인치) https://newslibrary.[...] 조선일보 1931-02-08
[14] 뉴스 拳銃團員鄭雄江景署(권총단원정웅강경서)로護送(호송) https://newslibrary.[...] 조선일보 1931-02-09
[15] 뉴스 豐山警官殺害事件 共犯鄭雄遂就縛 풍산으로부터 강원도로 탈주 春川東面에 潛伏中 https://www.nl.go.kr[...] 매일신보[每日申報] 1931-02-06
[16] 뉴스 春川署에 逮捕된 豊山警官銃殺犯 츈천서에서 간단히 취죠 맛치고 六日江景署로 押送 https://www.nl.go.kr[...] 매일신보[每日申報] 1931-02-10
[17] 뉴스 募資中(모자중)에 巡查射殺(순사사살) 咸南四郡(함남사군)에서 活動(활동) : 咸興地方法院(함흥지방법원)에서 開廷(개정)된 國民府决死隊 公判(국민부결사대 공판)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1931-10-16
[18] 뉴스 國民府 决死隊員(국민부 결사대원) 首犯 死刑判决(수범 사형판결) https://newslibrary.[...] 조선일보 1931-10-23
[19] 뉴스 豐山巡查殺害事件(풍산순사살해사건) 被告十名(피고십명)이全部控訴(전부공소) / 주범은 사형 기타는 十五(십오)년이하 / 西大門監獄(서대문감옥)으로護送(호송)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1931-11-23
[20] 뉴스 (복심법원) 拳銃으로 巡査殺害한 國民府員의 求刑 崔孝一死刑其他는 十五年十年 被告四名犯行是認 https://www.nl.go.kr[...] 매일신보[每日申報] 1932-03-30
[21] 뉴스 國民府决死隊 續行公判 開廷 https://www.nl.go.kr[...] 중앙일보[中央日報] 1932-03-30
[22] 뉴스 國民府决死隊 一審대로 言渡 四日 京城地方法院서 https://www.nl.go.kr[...] 중앙일보[中央日報] 1932-04-05
[23] 판결문 최효일 등 판결문 : 경성 복심법원 http://e-gonghun.mpv[...] 1932-04-04
[24] 간행물 일제문서해제 행형편(行刑篇) : 부록 가출옥 관계 기록물 중 독립운동 관련자 목록 https://www.archives[...] 국가기록원 2012
[25] 간행물 일제문서해제 행형편(行刑篇) 제2부 18. 가출옥자 신상에 관한 기록물 https://www.archives[...] 국가기록원 2012
[26] 만선일보 《비수 김일성의 생장기(匪首 金日成의 生長記)》 https://www.unamwiki[...] 만선일보(滿鮮日報) 1940-04
[27] 문서 김창영(金昌永, 1890-1967)
[28] 뉴스 反滿抗日 共産匪 總司令 楊靖宇 射殺 https://www.nl.go.kr[...] 만선일보(滿鮮日報) 1940-02-2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