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야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반야사는 신라 성덕왕 19년(720년)에 창건되었다는 설과 무염국사가 창건했다는 설이 전해지는 사찰이다. 조선 세조가 문수보살의 영험으로 피부병을 고친 후 '반야'라는 현판을 내린 설화가 전해지며, 현재 반야사에는 삼층석탑(보물 제1371호)을 비롯하여 극락전, 승탑, 불상 등 다양한 문화재가 있다. 백두대간의 지형적 특징을 가지며, 템플스테이 프로그램을 운영하여 불교 문화를 체험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영동군의 향토유적 - 강선대
강선대는 고양시 대화동 금강 기슭의 아름다운 경관을 자랑하는 곳으로, 신선이 놀던 곳이라는 전설과 조선 시대 문인들의 시가 전해지며, 여씨 문중에서 건립한 6각정이 있다. - 영동군의 향토유적 - 여의정
여의정은 1935년 밀양 박씨 종중이 솔밭 안에 지은 팔작지붕 형태의 정자로, 일제강점기 민족의식 고취와 문중 결속력 강화 목적으로 건립되어 현재는 지역 문화 공간 및 관광 자원으로 활용된다. - 영동군의 건축물 - 추풍령역
추풍령역은 1905년 영업을 시작한 경부선의 쌍섬식 승강장을 갖춘 지상역으로, 급수탑이 등록문화재로 지정되어 있으며, 충북종단열차 운행과 무궁화호 정차 등의 변화를 거쳐 현재 사무관역으로 운영되고 있다. - 영동군의 건축물 - 황간역
황간역은 1905년에 영업을 시작하여 한국전쟁으로 역사가 소실되었다가 복구되었고, 2면 4선의 섬식 승강장을 갖춘 지상역으로 경부선 열차가 운행하며, 인근에 황간면, 황간버스터미널 등이 위치한다.
| 반야사 - [지명]에 관한 문서 | |
|---|---|
| 지도 정보 | |
| 기본 정보 | |
| 이름 | 반야사 |
| 로마자 표기 | Banyasa |
| 한자 표기 | 般若寺 |
| 위치 | 충청북도 영동군 황간면 백화산로 652 |
| 종교 | |
| 종파 | 대한불교조계종 |
| 상세 정보 | |
| 창건자 | 미상 |
| 소재지 | 충청북도 영동군 황간면 백화산로 652 |
2. 역사
원효대사 혹은 의상대사의 십대제자 중 한 명인 상원스님이 성덕왕 19년(720년)에 창건했다는 이야기가 있으나 전하는 기록은 없다. 무염국사가 황간 심묘사에 있을 때 사미승 순인을 보내 연못 속의 악룡을 몰아내고 못을 메워 창건했다는 이야기도 전해져 내려온다.[1]
백두대간 백화산에서 흘러내리는 큰 물줄기가 반야사 앞에서 커다란 태극 문양으로 산허리를 휘감아 돈다. 강줄기 한가운데 연꽃 봉우리처럼 솟은 지형에 반야사가 기대 있는 모양새인데, 그중에서도 문수전은 100m 벼랑 끝에 매달려 발 아래로 흐르는 강물이 내려다보이는 곳에 자리하고 있다. 이곳이 문수성지임을 일깨워주고 있다.
영동 반야사 삼층석탑(보물 제1371호)은 1950년 반야사 북쪽 석천계곡에서 현재 위치로 이전되어 반야사 연혁을 파악하는 자료는 되지 못한다. 극락전은 정확한 중건 시기는 알 수 없으나, 최근 수리와 단청으로 보존 상태가 양호하다. 목조 맞배 기와집으로 정면 3칸, 측면 2칸의 간략한 양식이며 1988년 전통사찰 제25호로 등록되었다. 이외에 영동 반야사 승탑 1기(영동군 향토유적 제10호), 영동 반야사 승탑 2기(영동군 향토유적 제11호), 영동 반야사 불상(영동군 향토유적 제12호) 등이 있다.
반야사라는 절 이름은 세조가 속리산 복천암으로 신미대사를 보러왔을 때, 세조의 거둥 날짜에 맞춰 반야사를 중창하고 그 회향법회에 세조가 참석하면서 세조가 내린 어필 현판 때문이다. 세조는 오대산 상원사에서처럼 문수동자의 영험으로 피부병을 고치게 되자 문수보살의 지혜를 일컫는 ‘반야’라는 현판을 친필로 써서 내렸다고 한다. 그 현판이 아직까지 반야사에 보관중이라고 전해진다.[1]
3. 지리적 특징 및 명소

대웅전을 등지고 오른편 요사 뒤편으로는 태고적부터 자연적으로 돌이 흘러내려 생긴 길이가 300m나 되는 돌너덜이 있다. 그런데 이 너덜의 모양이 영락없이 꼬리를 곧추 세우고 걸어가는 호랑이 모습이어서 최근 영동군에서는 예산을 들여 반야사에 호랑이 사진 포토존을 설치하고 관광객 유치에 나섰다. 백두대간이 지나는 심심산골에서 보는 호랑이여서 보는 이들이 더욱 실감 나는지 모르겠다.
4. 문화재
4. 1. 영동 반야사 삼층석탑 (보물 제1371호)
영동 반야사 삼층석탑(보물 제1371호)은 1950년에 반야사 북쪽의 석천계곡, 속칭 탑벌이라 불리는 곳에서 지금의 자리로 옮겨졌다.[1] 따라서 이 탑은 반야사의 역사를 파악하는 자료는 되지 못한다.[1]
4. 2. 기타 문화재
극락전은 언제 중건되었는지 확실치 않으나, 근래 수리하고 단청을 해서 상태가 단정하고 아담하다. 목조 맞배 기와집으로 정면 3칸, 측면 2칸이며, 포 없는 간략한 양식의 건물이다. 1988년 5월 28일 전통사찰 제25호로 등록되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이외에 영동 반야사 승탑 1기(영동군 향토유적 제10호), 영동 반야사 승탑 2기(영동군 향토유적 제11호), 영동 반야사 불상(영동군 향토유적 제12호)가 있다.
5. 템플스테이
반야사에서는 내국인 및 외국인을 위한 다양한 템플스테이 프로그램을 운영하여 불교 문화를 체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1]
6. 사진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