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발할라 (충돌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발할라는 칼리스토 표면에서 발견된 가장 큰 다환 충돌구로, 지름이 약 3,800km에 달한다. 1979~1980년 보이저 탐사선에 의해 발견되었으며, 적도 북쪽 순행 반구에 위치한다. 발할라는 중심 지역, 안쪽 등성이-골 지역, 바깥 골 지역으로 구성되며, 중심 지역은 충돌로 생긴 밝고 둥근 지형인 팰름시스트의 예시이다. 발할라 내부에는 여러 충돌구와 카테나가 존재하며, 북쪽에는 고물 카테나, 남쪽에는 사라카, 나르 충돌구 등이 있다. 발할라는 거대한 충돌로 인해 형성되었으며, 지하 바다의 존재 가능성이 제기된다. 발할라는 칼리스토에서 가장 젊은 다환 충돌구로, 20~40억 년 전에 형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발할라 (충돌구)
지도 정보
일반 정보
유형다중 고리형 충돌구
천체칼리스토
발할라의 모자이크 이미지
발할라의 모자이크 이미지
특징밝은 중심부
고리 체계
크기
지름3,800 km (1,900 마일)
내부 지름600 km
위치
위도12°N
경도56°W
명명
명명된 대상발할라

2. 구조

발할라칼리스토 표면 및 태양계에서 가장 큰 다환 충돌구로, 지름은 약 3800km이다.[9][2] 1979~1980년 보이저 탐사선이 발견했으며, 적도 약간 북쪽(위도 18°N, 경도 57°W), 순행 반구에 위치한다. 지질학적 관점에서 발할라는 중심 지역, 안쪽 등성이-골 지역, 바깥 골 지역의 세 지역으로 나뉜다.[10][3]

중심부는 지름 약 360km인 둥근 팰름시스트 지형이다. 안쪽 등성이-골 지역은 팰름시스트를 둘러싸고 있으며, 바깥쪽을 향해 비탈진 단층애와 구불구불한 지구가 나타난다. 안쪽 골 지역은 발할라 중심부로부터 약 950km가량 펼쳐져 있다. 바깥 골 지역은 반지름이 1500km~1900km가량으로 추정되나, 경계가 명확하지 않다. 넓고 이중 벽을 가진 구불구불한 선(주상해분)이 특징이며, 심하게 노후화된 작은 혹들로 구성되어 있다. 보이저갈릴레오 탐사선 이미지에서 화산 활동 등 내인성 활동 흔적은 발견되지 않아, 모든 지형은 충돌이나 지질 구조 변화로 인해 생성된 것으로 보인다.[10]

2. 1. 중심부

발할라의 중심 부분. 어두운 평원으로 둘러싸인 밝은 혹 부분이 보인다.


중심 지역은 지름 약 360km의 둥근 지형으로, 충돌로 인해 생겨난 밝은 팰름시스트이다. 표면은 상대적으로 부드럽고 얼룩덜룩한 모습을 보인다. 많은 충돌구 안쪽에는 어두운 광륜이 있다. 갈릴레오 탐사선이 촬영한 고해상도 사진에서는 발할라 중심부가 어둡고 부드러운 평원으로 둘러싸인 올록볼록한 지형을 가지고 있으며, 작은 충돌구가 없어지는 흔적도 보였다.[10]

2. 2. 내부 등성이-골 지역

안쪽 등성이-골 지역은 중심부의 팰름시스트를 감싸고 있다. 가운데 지역 바로 옆에 붙어있는 등성이들은 바깥쪽을 향하는, 비탈진 측면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단층애들을 고해상도로 연구했을 때, 이들은 밝은 혹들이 부드럽고 어두운 물질들로 둘러싸여 불연속적으로 이어져 있는 지형임이 밝혀졌다. 이 지형들은 굉장히 오래되었다.[10][3] 등성이들보다 중심부에서 더 멀리 떨어진 골들은 구불구불하고 지구로 나타난다. 안쪽 골 지역은 발할라 중심부로부터 약 950 km가량 펼쳐져 있다.[10][3]

2. 3. 바깥 골 지역

바깥 골 지역은 반지름이 1500~1900 km가량으로 추산되며, 정확한 경계는 정의되기 어렵다. 이 지역은 안쪽 지역에서 지구로 나타났던 것처럼, 넓고 이중이며 주변에 벽이 존재하고 구불구불한 선(주상해분)이 존재한다. 비록 바깥쪽의 지구들(30 km가량)이 안쪽(20 km가량)보다 더 넓지만, 이들은 심하게 노후화되어 있고 내부처럼 작은 혹들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보이저 탐사선들의 저해상도 이미지나 갈릴레오 탐사선의 고해상도 이미지에서는 화산 활동이나 기타 내인성 활동의 흔적이 보이지 않았다.[10] 따라서, 발할라의 모든 지형들은 충돌이나 지질 구조상의 변화가 근원이다.[10]

3. 충돌구

발할라 중심부는 바깥쪽의 오래된 평원보다 충돌구가 적게 분포한다. 이는 발할라가 칼리스토 자체보다 상대적으로 젊다는 것을 의미한다.[10]

3. 1. 주요 충돌구 및 카테나

발할라 구조 내부에는 몇 개의 돌출된 충돌구들과 사슬형 충돌구(Catena|카테나영어)들이 위치해 있다. 발할라 북쪽 공간에서는 고물 카테나와 에그디르, 미미르 충돌구들을 찾을 수 있다. 카테나는 충돌구들이 일렬로 늘어선 모습으로 나타나 있으며, 슈메이커-레비 9 혜성과 같이 혜성이 부서져 생성되었을 가능성이 높다.[10] 발할라 남쪽에는 사락카와 나르 충돌구가 존재한다. 이들의 동쪽(내부/외부 골 지역의 경계)에서는 스컬드 충돌구와 스볼 카테나가 존재한다. 서쪽에는 다른 다환 충돌구인 아스가르드를 찾을 수 있다.[11]

4. 기원

발할라 다환 충돌구는 다른 다환 충돌 지형들과 마찬가지로, 거대한 충돌로 암석권에 구멍이 뚫리고 더 부드러운 물질이 있는 암권 밑 층까지 뚫고 들어갔을 것으로 추정된다.[12] 고리 모양 지형은 충돌 후 암권이 동심원 모양으로 균열되어, 그 밑의 물질들이 충돌 후 분출된 물질을 채우기 위해 중심으로 흘러들어 형성되었다.[14] 발할라의 정확한 연대는 알 수 없으나, 칼리스토의 다환 충돌구 중 가장 젊으며, 약 20~40억 년 전으로 추정된다.[10]

4. 1. 지하 바다의 가능성

발할라 다환 충돌구는 거대한 충돌로 인해 칼리스토의 암권에 구멍이 뚫리고, 그 아래층까지 영향을 미쳐 형성되었으리라고 추정된다. 이 과정에서 얼음이나 액체 상태의 바다가 데워졌을 가능성이 있으며, 이는 자기력 데이터를 통해 추론할 수 있다.[13] 고리 모양 지형은 충돌 후 암권이 동심원 모양으로 균열되며, 그 아래의 물질들이 중심으로 흘러들어 형성된 것이다.[14]

갈릴레오 탐사선은 발할라의 대척점에서 충돌로 인한 붕괴 현상을 발견하지 못했다. 이는 발할라 생성 당시 지하 바다가 존재하여 충돌 에너지를 분산시켰기 때문으로 추정되며, 지하 바다 존재의 증거로 여겨진다.[15]

5. 대중문화

킴 스탠리 로빈슨의 소설 《갈릴레오의 꿈》(2009)에는 29세기에 발할라 주변 동심원에 건설된 거대한 도시에 대한 자세한 설명이 포함되어 있다. 이 도시는 로빈슨의 소설 《2312》에도 간략하게 언급된다.

참조

[1] OED Valhalla
[2] 웹사이트 Callisto, one of Jupiter's moons, 1979 http://www.sciencean[...] Science & Society 2009-02-05
[3] 간행물 Galileo views of the geology of Callisto 2000
[4] 지도 Controlled Photomosaic Map of Callisto JC 15M CMN https://astrogeology[...] U.S. Geological Survey
[5] 간행물 Geological Evidence for an Ocean on Callisto http://www.lpi.usra.[...] 2001
[6] 간행물 Oceans in the icy Galilean satellites of Jupiter? http://lasp.colorado[...] 2003
[7] 간행물 The geology of Callisto 1995
[8] 백과사전 Callisto http://lasp.colorado[...]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4
[9] 웹인용 Callisto, one of Jupiter’s moons, 1979 http://www.sciencean[...] Science & Society 2009-02-05
[10] 저널 Galileo views of the geology of Callisto 2000
[11] 지도 Controlled Photomosaic Map of Callisto JC 15M CMN http://astrogeology.[...] U.S. Geological Survey
[12] 웹인용 Geological Evidence for an Ocean on Callisto http://www.lpi.usra.[...] Lunar and Planetary Science XXXI 2001
[13] 저널 Oceans in the icy Galilean satellites of Jupiter? http://lasp.colorado[...] 2009-05-06
[14] 저널 The geology of Callisto 1995
[15] 백과사전 Callisto http://lasp.colorado[...]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6-10-2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