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패모뿔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방패모뿔근은 방패연골 속면, 정중반지방패인대에서 시작하여 모뿔연골의 바닥과 앞면에 닿는 근육이다. 안쪽 섬유는 성대돌기와 모뿔연골 앞면에 닿아 성대근을 형성하며, 모뿔덮개주름, 후두덮개까지 이어진 섬유는 방패덮개근으로 불린다. 방패모뿔근은 모뿔연골을 방패연골 쪽으로 당겨 성대주름을 이완시키고 짧게 만들며, 성대근은 성대주름의 탄력성과 긴장도를 조절한다. 또한 모뿔연골을 안쪽으로 회전시켜 성대문틈새를 좁히는 역할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두경부 근육 - 빗모뿔근
빗모뿔근은 목소리를 내는 데 중요한 후두 내재근으로, 윤상연골에 부착되어 서로 교차하며, 혈액과 신경 공급을 받아 후두 입구를 보호하는 괄약근 역할을 한다. - 두경부 근육 - 얼굴근육
얼굴근육은 표정을 조절하는 역할을 하며, 뇌졸중, 벨 마비 등으로 손상되어 얼굴마비를 유발할 수 있다. - 그레이 해부학 20판 (1918)의 본문을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 목동맥고랑
- 그레이 해부학 20판 (1918)의 본문을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 의학 용어집
의학 용어집은 의학 분야의 다양한 용어와 정의를 모아놓은 목록으로, 인체 해부학적 용어인 '복부'와 희귀 유전 질환인 '아르스코그-스콧 증후군' 등이 포함된다.
방패모뿔근 | |
---|---|
개요 | |
![]() | |
라틴어 이름 | musculus thyroarytenoideus |
이는 곳 | 방패연골 속면의 앞쪽 측면 |
닿는 곳 | 모뿔연골의 앞면 |
신경 분포 | 미주신경의 되돌이후두신경 분지 |
작용 | 말하는 동안 음높이를 낮추기 위해 성대주름의 긴장을 줄이는 데에 도움을 줌 |
2. 구조
방패연골 속면의 앞쪽과 정중반지방패인대에서 시작하여 근섬유는 뒤가쪽으로 주행한다. 그 후 모뿔연골의 바닥과 앞면에 닿는다.[3]
방패모뿔근의 안쪽 섬유는 모뿔연골의 성대돌기와 모뿔연골 앞면의 인접한 부분에 닿는 띠 모양으로 따로 분리하여 볼 수 있다. 이 부분을 '''성대근'''(聲帶筋, 보칼리스 근/vocalis muscle영어)이라고 부르며 이웃한 성대인대와 나란히 놓여 있다.[3]
꽤 많은 양의 방패모뿔근 섬유는 모뿔덮개주름까지 이어진다. 여기서 일부는 사라지고 나머지는 후두덮개의 모서리까지 계속된다. 이 섬유들은 방패덮개근이라는 별개의 이름이 존재하며 간혹 독립된 근육으로 설명되기도 한다.
적은 양의 섬유는 후두실의 벽을 따라 뻗는데, 모뿔연골 가쪽 벽에서 후두덮개 측면까지 이어진다. 이 부분을 'ventricularis muscle'이라고 한다.
갑상연골의 아랫부분 각도 앞쪽과 중환상갑상인대에서 시작한다.
섬유는 뒤쪽 및 가쪽으로 뻗어 피열연골의 바닥과 앞면에 삽입된다.
2. 1. 부분
방패모뿔근은 방패연골 속면의 앞쪽과 정중반지방패인대에서 시작하여 뒤가쪽으로 주행하며, 모뿔연골의 바닥과 앞면에 닿는다.[3]방패모뿔근의 안쪽 섬유는 모뿔연골의 성대돌기와 모뿔연골 앞면의 인접한 부분에 닿는 띠 모양으로, '''성대근'''이라고 불리며 성대인대와 나란히 놓여 있다.[3] 성대근은 주로 발성을 담당하는 방패모뿔근의 상부이다.
방패모뿔근 섬유의 상당수는 모뿔덮개주름까지 이어지며, 일부는 사라지고 나머지는 후두덮개의 모서리까지 이어진다. 이들은 방패덮개근이라고 불리며, 때로는 독립된 근육으로 묘사되기도 한다.
소수의 섬유는 후두실의 벽을 따라 모뿔연골 가쪽 벽에서 후두덮개 측면까지 이어진다. 이 부분은 'ventricularis muscle'이라고 한다.[3]
3. 기능
방패모뿔근은 서로 다른 붙는 위치와 방향을 가진 두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어 그 작용도 복잡하다. 주된 작용은 모뿔연골을 방패연골 쪽(앞쪽)으로 당겨 성대주름을 이완시키며 짧게 만드는 것이다.[4]
그러나 성대주름 쪽으로 이어지는 깊은 부분은 독립적으로 작용할 시 성대주름의 탄력성과 긴장도를 바꾸게 된다. 한편 가쪽 부분은 모뿔연골을 안쪽으로 회전시켜 양쪽 성대주름을 가깝게 만들고, 그 결과 성대문틈새를 좁게 한다. 성대근은 미세하게 성대를 조정하여 노래를 부르거나 성대모사를 할 때 성대의 특정 부분들에 선택적으로 작용한다.[4]
4. 추가 이미지
참조
[1]
서적
Atlas of Human anatomy
[2]
서적
歌声の科学
https://books.google[...]
東京電機大学出版局
2023-02-23
[3]
서적
Atlas of Human anatomy
[4]
서적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