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방패연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방패연골은 후두의 앞쪽, 갑상샘 위에 위치한 유리연골 구조물이다. 두 개의 판이 정중선에서 만나며, 가장 앞쪽으로 솟은 부분은 후두융기 또는 '아담의 사과'라고 불린다. 방패연골은 성대주름의 긴장도를 조절하여 발성에 영향을 미치며, 빗선과 같은 구조를 통해 주변 근육의 부착 지점을 제공한다. 어원은 라틴어 'cartilago thyreoidea'에서 유래되었으며, '방패 모양'을 의미하는 고대 그리스어 'θυρεοειδής'에서 파생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두경부 - 뇌척수막
    뇌척수막은 뇌와 척수를 보호하는 세 겹의 막으로, 경막, 거미막, 연막으로 구성되며, 뇌척수액이 흐르는 공간을 형성하고 다양한 질병에 취약하다.
  • 두경부 - 아래턱
    턱은 얼굴 하부를 이루는 구조로, 피부, 근육, 뼈 등으로 구성되며 턱신경의 지배를 받고, 개인차가 큰 형태를 가지며, 음성 및 저작 기능과 관련이 있고, 얼굴 크기 감소와 관련된 진화적 특징을 가진다.
  • 그레이 해부학 20판 (1918)의 본문을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 목동맥고랑
  • 그레이 해부학 20판 (1918)의 본문을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 의학 용어집
    의학 용어집은 의학 분야의 다양한 용어와 정의를 모아놓은 목록으로, 인체 해부학적 용어인 '복부'와 희귀 유전 질환인 '아르스코그-스콧 증후군' 등이 포함된다.
방패연골
개요
후두 연골
후두 연골
명칭
라틴어cartilago thyroidea
발생
전구체넷째, 여섯째 인두굽이
세부 사항
계통해당사항 없음
동맥해당사항 없음
정맥해당사항 없음
신경해당사항 없음
림프해당사항 없음

2. 구조

방패연골은 후두의 앞, 갑상샘의 위에 위치한 유리연골로 된 구조물이다.[29] 두 개의 판이 정중선에서 만나는 구조로 되어 있으며, 이 정중선에서 가장 앞으로 솟아 있는 부분은 후두융기라고 한다. 후두융기는 흔히 '아담의 사과'로도 불린다.[29][1] 후두융기 위쪽 정중선은 위후두패임(superior thyroid notch), 아래쪽 정중선은 아래후두패임(inferior thyroid notch)이라고 한다.

방패연골의 두 판은 기관 측면을 덮고 있는 바깥면을 형성한다. 각 판의 뒤쪽 모서리는 방패연골 아래에 있는 반지연골과 관절을 이뤄반지방패관절을 형성한다. 연골의 가장 뒤쪽 부분에는 위쪽과 아래쪽으로 두 개의 돌출부가 있는데, 위쪽 돌출부는 ''상각''(cornula)이라고 하고, 아래쪽 돌출부는 ''하각''이라고 한다. 상각은 길고 좁으며 뒤쪽과 안쪽으로 뻗어 원뿔 모양의 끝으로 끝나며, 이는 외측 갑상설 인대에 부착된다. ''하각''은 짧고 두껍고 아래쪽으로 향하며 앞쪽과 안쪽으로 약간 기울어져 있으며, 끝의 안쪽 면에는 윤상연골의 측면과 관절을 이루는 작은 타원형 관절면이 있다.

방패연골의 위쪽 모서리는 방패목뿔막을 통해 목뿔뼈에 붙는다. 방패연골은 보통 넷째에서 다섯째 목뼈(C4-C5) 높이에 위치한다.

'빗선'(oblique line)은 방패연골에 존재하는 선으로 갑상샘의 가쪽 경계를 나타낸다. 방패목뿔근아래인두수축근이 빗선에서 일어나며 복장방패근은 빗선에 닿는다.

방패연골


방패연골이 움직이면 성대주름의 긴장도를 바꿔서 발성에 변화가 일어난다.[1]

2. 1. 세부 구조

방패연골은 후두의 앞, 갑상샘의 위에 위치한 유리연골로 된 구조물이다.[29] 두 개의 판이 정중선에서 만나는 구조로 되어 있으며, 이 정중선에서 가장 앞으로 솟아 있는 부분은 후두융기라고 한다. 후두융기는 흔히 '아담의 사과'로도 불린다.[29][1] 후두융기 위쪽 정중선은 위후두패임(superior thyroid notch), 아래쪽 정중선은 아래후두패임(inferior thyroid notch)이라고 한다.

방패연골의 두 판은 기관 측면을 덮고 있는 바깥면을 형성한다. 각 판의 뒤쪽 모서리는 방패연골 아래에 있는 반지연골과 관절을 이뤄반지방패관절을 형성한다. 연골의 가장 뒤쪽 부분에는 위쪽과 아래쪽으로 두 개의 돌출부가 있는데, 위쪽 돌출부는 ''상각''(cornula)이라고 하고, 아래쪽 돌출부는 ''하각''이라고 한다. 상각은 길고 좁으며 뒤쪽과 안쪽으로 뻗어 원뿔 모양의 끝으로 끝나며, 이는 외측 갑상설 인대에 부착된다. ''하각''은 짧고 두껍고 아래쪽으로 향하며 앞쪽과 안쪽으로 약간 기울어져 있으며, 끝의 안쪽 면에는 윤상연골의 측면과 관절을 이루는 작은 타원형 관절면이 있다.

방패연골의 위쪽 모서리는 방패목뿔막을 통해 목뿔뼈에 붙는다. 방패연골은 보통 넷째에서 다섯째 목뼈(C4-C5) 높이에 위치한다.

'빗선'(oblique line)은 방패연골에 존재하는 선으로 갑상샘의 가쪽 경계를 나타낸다. 방패목뿔근아래인두수축근이 빗선에서 일어나며 복장방패근은 빗선에 닿는다.

방패연골이 움직이면 성대주름의 긴장도를 바꿔서 발성에 변화가 일어난다.[1]

2. 2. 위치

방패연골은 후두의 앞, 갑상샘의 위에 위치한 유리연골로 된 구조물이다.[29] 두 개의 판이 정중선에서 만나는 구조로 되어 있으며, 이 정중선에서 가장 앞으로 솟아 있는 부분은 후두융기라고 하며, 흔히 '아담의 사과'로도 불린다.[1] 후두융기 위쪽의 정중선은 위후두패임(superior thyroid notch), 아래쪽 정중선은 아래후두패임(inferior thyroid notch)이라고 한다.

방패연골의 두 판은 기관 측면을 덮고 있는 바깥면을 형성한다. 각 판의 뒤쪽 모서리는 방패연골 아래에 있는 반지연골과 관절을 이뤄반지방패관절을 형성한다. 방패연골의 위쪽 모서리는 방패목뿔막을 통해 목뿔뼈에 붙는다. 방패연골의 위치는 보통 넷째에서 다섯째 목뼈(C4-C5) 높이이다.

'빗선'(oblique line)은 방패연골에 존재하는 선으로 갑상샘의 가쪽 경계를 나타낸다. 방패목뿔근아래인두수축근이 빗선에서 일어나며 복장방패근은 빗선에 닿는다.

방패연골이 움직이면 성대주름의 긴장도를 바꿔서 발성에 변화가 일어난다.[1]

2. 3. 변이

갑상연골은 개인의 최대 39%에서 갑상연골공이라고 알려진 변이공을 포함할 수 있다.[2]

3. 기능

방패연골은 후두 앞쪽 벽의 대부분을 형성하며, 바로 뒤에 위치한 성대를 보호한다. 반지연골에 대한 방패연골의 각도가 변하면 목소리의 음높이가 변한다.

여러 근육이 방패연골에 붙는다. 복장방패근은 방패연골에 닿으며, 방패목뿔근, 방패모뿔근, 아래인두수축근이 방패연골에서 일어난다.

3. 1. 근육 부착

방패연골은 후두 앞쪽 벽의 대부분을 형성하며, 바로 뒤에 위치한 성대를 보호한다. 반지연골에 대한 방패연골의 각도가 변하면 목소리의 음높이가 변한다.

여러 근육이 방패연골에 붙는다. 복장방패근은 방패연골에 닿으며, 방패목뿔근, 방패모뿔근, 아래인두수축근이 방패연골에서 일어난다.

4. 어원

4. 1. 명칭의 기원

갑상연골(방패연골)이라는 영어 용어는 라틴어 표현인 cartilago thyreoidesla에서 유래되었다.[3][4] 이는 고대 그리스어 χόνδρος θυρεοειδήςgrc를 번역한 것이다.[5] 이는 그리스 의사 갈레노스의 저작에서 확인된다.[5] 라틴어 cartilagola와 고대 그리스어 χόνδροςgrc는 모두 '연골'을 의미하며,[5][6] 고대 그리스어 θυρεοειδήςgrc는 '방패 모양' 또는 '방패와 같은'을 의미한다.[3][5] 후자는 고대 그리스어 θυρεόςgrc, '방패'[3][5]와 εἶδοςgrc, '형태'/'모양'으로 구성되어 있다.[5] 그리스인들은 단어의 첫 부분과 유사성을 나타내기 위해 화합물에 εἶδοςgrc를 사용했다.[7]

고대 그리스어 θυρεόςgrc호메로스의 ''오디세이아''에서 발견될 수 있으며,[5][8] 문을 닫기 위해 문에 대는 큰 사각형 돌을 나타냈다.[5][8] 이러한 θυρεοί는 결국 그리스 군대에 의해 자신을 보호하기 위한 방패로 사용되었다.[8] 이 방패는 고대 로마 군단에 의해 채택되었으며 그들은 이를 ''스쿠텀''(scutum)이라고 불렀다.[8] 로마의 ''스쿠텀''은 타원형의 직사각형 방패였다.[5][8] 16세기 이탈리아 해부학자 레알도 콜롬보의 ''De re anatomica''에서[9] ''scutalis cartilago'' 및 ''scutiformis cartilago''와 같은 올바른 형태를 찾을 수 있는데, 이는 ''스쿠텀''이 그리스어 θυρεόςgrc의 실제 로마식 대응물이기 때문이다. 후자의 라틴어 표현은 영어 형태로 의학 사전에서 ''scutiform cartilage''로 찾아볼 수 있으며,[11] 방패 자체의 이름, 즉 ''scutum''은 여전히 갑상연골의 동의어로 언급되고 있다.[12][13]

4. 2. 철자

공식 라틴 명명법인 Terminologia Anatomica(1998년에 ''해부학 명칭집''에서 개명)의 다양한 판본에서 ''cartilago thyreoidea'',[14] ''cartilago thyroidea'',[15][16][17][18][19][20] ''cartilago thyreoidesla''[4][21]의 세 가지 다른 철자가 발견될 수 있다. 형용사 ''thyreoidea''(-ea로 끝남)를 사용한 변형은 라틴어로 된 고대 그리스어 θυρεοειδήςgrc의 잘못된 표기이다.[7][22] 그리스어 복합어는 -ειδήςgrc로 끝나는데, 라틴어로 차용될 때 -ides로 끝났다.[7][23] 17세기에는 그리스어 -ειδήςgrc/-ειδέςgrc에 대한 비고전 라틴어 형태 -ideus/-idea/ideum이 주로 프랑스 해부학자 장 리올랑 더 영거에 의해 사용되기 시작했다.[8] 고전 라틴어에는 -ideus/-idea/-ideum으로 끝나는 그리스어 차용어(원래 -ειδήςgrc/-ειδέςgrc)가 존재하지 않으므로,[6][23] -ideus/-idea/-ideum 형태는 라틴어적이지 않다.[23] 예나 해부학 명칭집(JNA)의 첫 번째 판본에는 잘못된 ''cartilago thyreoidea''가 포함되었지만,[24] 권장 사항/수정 사항 목록이 만들어진 후[24] JNA의 후속 판본에서 수정되었다.[4][21]

''thyroidea''(thyr 뒤에 "e"를 생략)를 사용한 변형은 영어권 해부학자들이 그 특정 문자 조합을 발음하는 데 어려움을 겪어 라틴어와 영어의 철자 간의 유사성을 높이도록 강요받은 타협안이다.[25] 1948년의 Dorland's 의학 사전[12]은 이미 공식적으로 명명법 위원회가 1961년 판에서 이 철자 수정을 '공식적으로' 승인하기 전부터 공식적인 바젤 해부학 명칭집을 잘못 참조하여 이 잘못된 철자를 채택했다.[15] "e"가 없는 철자는 영어에서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지만,[13][26] 이전 작품에서는 어원적으로 올바른 "thyreoid cartilage"를 선호했다.[11][27] 공식 라틴 수의학 명명법인 ''수의 해부학 명칭집''은 인간 해부학 명칭집/해부학 용어집과 마찬가지로 ''cartilago thyroideala'' 형식을 가지고 있지만, 후자와는 대조적으로 ''cartilago thyreoidea''[28]를 대체 철자로 허용한다.

4. 3. 방패 vs 문

라틴어 'thyroidea'와 영어 'thyroid' 간의, 그리고 고대 그리스어 튀로에이데스/θυροειδήςgrc와의 유사성에서 비롯된 오해가 있다. 튀로에이데스/θυροειδήςgrc는 '방패 모양'이 아니라 '문과 같은'을 의미하며,[5] 튀라/θύραgrc (문)에서 파생되었다.[5]

그리스 의사 갈렌은 해부학적 명명법에서 튀로에이데스 트레마/θυροειδές τρῆμαgrc(트레마/τρῆμαgrc = 구멍, 천공, 개구[5])라는 표현을 사용했다.[8] 고대 그리스어 튀라/θύραgrc는 '문' 외에도 '입구',[5][8] '개구'로 번역될 수 있다.[8] 두덩뼈궁둥뼈 사이의 개구에 대한 그리스어 이름 튀로에이데스 트레마/θυροειδές τρῆμαgrc는 현재 '폐쇄구멍'이라고 불리며,[13] 이는 방패(튀레오스/θυρεόςgrc)와 관련 없이 구멍(튀라/θύραgrc)에서 유래했다.[8]

18~19세기 독일 의사이자 해부학자인 사무엘 토마스 폰 쉠머링은 튀로에이데스 트레마/θυροειδές τρῆμαgrc를 라틴어 'foramen thyreoideum'으로 번역했는데, 이는 명백한 오류이다.[8] 현재 'Terminologia Anatomica'의 'foramen thyroideum'은 갈렌의 튀로에이데스 트레마/θυροειδές τρῆμαgrc를 번역한 것이 아니라, Nomina Anatomica에서 이전에 'foramen thyreoideum'으로 알려진 것의 철자법 개정판이며,[4][14] 갑상연골 판에 불규칙적으로 존재하는 개구이다.[13]

참조

[1] 웹사이트 Medical literature http://tsroadmap.com[...]
[2] 간행물 The thyroid foramen: a case report and literature review of a largely unrecognized laryngeal anomaly https://pubmed.ncbi.[...] 2009
[3] 서적 Die anatomischen Namen. Ihre Ableitung und Aussprache. Mit einem Anhang: Biographische Notizen. Verlag J.F. Bergmann 1910
[4] 서적 Die Nomina anatomica des Jahres 1895 (B.N.A.) nach der Buchstabenreihe geordnet und gegenübergestellt den Nomina anatomica des Jahres 1935 (I.N.A.) Georg Thieme Verlag 1941
[5] 서적 A Greek-English Lexicon. revised and augmented throughout by Sir Henry Stuart Jones. with the assistance of. Roderick McKenzie. Clarendon Press 1940
[6] 서적 A Latin dictionary. founded on Andrews' edition of Freund's Latin dictionary. Clarendon Press 1879
[7] 서적 Die anatomischen Namen. Ihre Ableitung und Aussprache. Anhang: Biographische Notizen. Verlag von J.F. Bergmann 1927
[8] 서적 Onomatologia Anatomica. Geschichte und Kritik der anatomischen Sprache der Gegenwart. Wilhelm Braumüller. K.K. Hof- und Universitätsbuchhändler. 1880
[9] 서적 De re anatomica. Libri XV. Nicola Beviliacqua 1559
[10] 서적 Synonymia anatomica. Synonymik der anatomischen Nomenclatur. im Bureau für Literatur 1805
[11] 서적 An illustrated medical dictionary. Being a dictionary of the technical terms used by writers on medicine and the collateral sciences, in the Latin, English, French, and German languages. D. Appleton and Company 1891-1893
[12] 서적 The American illustrated medical dictionary. W.B. Saunders Company 1948
[13] 서적 Dorland’s illustrated medical dictionary W.B. Saunders Company 2000
[14] 서적 Die anatomische Nomenclatur. Nomina Anatomica. Der von der Anatomischen Gesellschaft auf ihrer IX. Versammlung in Basel angenommenen Namen Verlag Veit & Comp. 1895
[15] 서적 Anatomical dictionary with nomenclature and explanatory notes. Pergamon Press 1969
[16] 서적 Nomina Anatomica Excerpta Medica Foundation 1966
[17] 서적 Nomina Anatomica, together with Nomina Histologica and Nomina Embryologica Excerpta Medica 1977
[18] 서적 Nomina Anatomica, together with Nomina Histologica and Nomina Embryologica Williams & Wilkins 1983
[19] 서적 Nomina Anatomica, together with Nomina Histologica and Nomina Embryologica Churchill Livingstone 1989
[20] 서적 Terminologia Anatomica Thieme 1998
[21] 서적 Nomina Anatomica. Zusammengestellt von der im Jahre 1923 gewählten Nomenklatur-Kommission, unter Berücksichtigung der Vorschläge der Mitglieder der Anatomischen Gesellschaft, der Anatomical Society of Great Britain and Ireland, sowie der American Association of Anatomists, überprüft und durch Beschluß der Anatomischen Gesellschaft auf der Tagung in Jena 1935 endgúltig angenommen. Verlag Gustav Fischer 1949
[22] 서적 Memorial on the anatomical nomenclature of the anatomical society. In A. Rose (Ed.), Medical Greek. Collection of papers on medical onomatology and a grammatical guide to learn modern Greek Peri Hellados publication office 1908
[23] 서적 Allgemeine Gynaecologie. Verlag von August Hirschwald 1903
[24] 간행물 Über die Nomina Anatomica Nova. 1936
[25] 간행물 Terminologia anatomica: een nieuw anatomisch referentiewerk. 2000
[26] 서적 Stedman’s concise medical dictionary for the health professions. Williams & Wilkins 1997
[27] 서적 Anatomical terminology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BNA]. With vocabularies in Latin and English and illustrations. P. Blakiston’s Son & Co. 1907
[28] 서적 Nomina Anatomica Veterinaria together with Nomina Histologica and Nomina Embryologica Veterinaria. 1994
[29] 웹사이트 Medical literature http://tsroadmap.com[...]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