벌거숭이등루세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벌거숭이등루세트(Rousettus spinulatus)는 작은 큰박쥐의 일종이다. 1980년 베르그만스와 힐에 의해 새로운 종으로 기술되었으며, 학명은 날개가 척추를 따라 삽입되는 독특한 특징을 나타낸다. 인도네시아와 말레이시아 해발 300m 이하의 고도에서 발견되며, 동굴에서 휴식을 취한다. 야행성 동물로 꿀과 과일을 먹으며, 반향정위의 원시적인 형태를 사용하여 이동한다. 2008년 기준으로 IUCN에 의해 취약종으로 평가받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루세트박쥐속 - 이집트과일박쥐
이집트과일박쥐는 아프리카, 중동, 인도 등지에 분포하며 과일을 주식으로 하고 동굴에 군집생활을 하며 반향정위를 사용하는 큰박쥐류의 일종으로, 인간과 질병 매개, 농작물 피해, 전시 등의 관계를 맺고 있다. - 루세트박쥐속 - 긴털루세트
긴털루세트는 견장과일박쥐족에 속하며, 2016년 계통 분류에 따라 안치에타과일박쥐속과 함께 견장과일박쥐족에 포함된다. - 1980년 기재된 포유류 - 슐츠둥근귀박쥐
- 1980년 기재된 포유류 - 코모도쥐
코모도쥐는 시궁쥐족에 속하며, 2008년과 2016년 연구를 통해 쥐아과의 계통 발생학적 위치가 밝혀진 쥐의 일종이다. - 수마트라섬의 동물상 - 수마트라호랑이
수마트라호랑이는 인도네시아 수마트라섬에 서식하며 짙은 털색과 굵은 줄무늬, 작은 체구를 특징으로 하고, 멸종 위기에 놓여 CITES 부속서 I에 등재되어 보호받고 있다. - 수마트라섬의 동물상 - 수마트라코뿔소
수마트라코뿔소는 인도네시아 수마트라 섬에서 발견된 가장 작은 코뿔소 종으로, 두 개의 뿔과 털이 많으며 멸종 위기에 놓여 국제적인 보호를 받고 있다.
벌거숭이등루세트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멸종 위기 등급 | 취약종 |
학명 | Rousettus spinalatus |
명명자 | Bergmans & Hill, 1980 |
분포 지역 | 벌거숭이등루세트 분포 지역 |
분류 | |
계 | 동물계 |
문 | 척삭동물문 |
강 | 포유강 |
하강 | 진수하강 |
상목 | 로라시아상목 |
목 | 박쥐목 |
아목 | 음박쥐아목 |
과 | 큰박쥐과 |
아과 | 큰박쥐아과 또는 루세트박쥐아과 |
속 | 루세트박쥐속 |
종 | 벌거숭이등루세트 (R. spinalatus) |
참고 자료 | |
참고 자료 | Mammal Species of the World: A Taxonomic and Geographic Reference |
저자 | Don E. Wilson, DeeAnn M. Reeder |
판 | 3판 |
출판사 | JHU Press |
발행년도 | 2005 |
ISBN | 978-0-8018-8221-0 |
2. 분류 및 어원
(내용 없음 - 하위 섹션에서 상세 내용을 다루므로 중복을 피하기 위해 생략)
2. 1. 분류
1980년 Bergmans와 Hill에 의해 새로운 기술되었다. 모식표본은 1977년 수마트라 북부에서 수집되었다. 종명 "''spinulatus''"는 라틴어 ''spina''("가시")와 ''ala''("날개")에서 유래되었으며, 학명은 날개가 몸 측면이 아닌 척추를 따라 삽입되는 독특한 특징을 나타낸다. 이는 ''Rousettus'' 속에서는 독특한 특징이다.[3]2. 2. 어원
종명 ''spinulatus''는 라틴어 ''spina''("가시")와 ''ala''("날개")에서 유래했다. 이 이름은 날개가 몸의 옆면이 아닌 척추를 따라 붙어 있는 이 박쥐의 독특한 신체적 특징을 나타낸다. 이는 같은 ''Rousettus'' 속에 속하는 다른 박쥐들에게서는 찾아보기 힘든 점이다.[3]3. 형태
벌거숭이등루세트는 원뿔 모양의 주둥이를 가진 작은 큰박쥐이다. 얼굴에는 턱, 입 주위, 윗입술과 눈 사이에 작은 사마귀가 많이 있다. 날개는 짧고 넓다.[3] 팔뚝 길이는 대략 83mm~89mm이다. 개체의 무게는 88g~94g이다.[4]
4. 생태
(내용 없음)
4. 1. 서식지
분포 지역은 인도네시아와 말레이시아를 포함한다. 해발 300m까지의 고도에서 발견된다.[1]4. 2. 행동
야행성 동물로, 동굴과 같이 낮 동안 은신할 수 있는 장소에서 휴식을 취한다. 반향정위의 원시적인 형태를 사용하여 이동하고 잠재적으로 먹이를 찾는다. 혀를 구개에 대고 움직여서 높은 톤의 윙윙거리는 소리를 낸다.[4] 먹이로는 꿀과 과일 등이 있으며,[1] 경제적으로 가치 있는 둥지에 피해를 입히면서 금사연의 알과 부화한 새끼를 먹는다는 주장도 있다.[4]4. 3. 먹이
먹이로는 꿀과 과일 등이 있다.[1] 또한, 금사연의 알과 부화한 새끼를 먹는다고 주장되는데,[4] 이는 경제적으로 가치 있는 금사연 둥지에 피해를 줄 수 있다.[4]5. 보존 상태
2008년 기준으로, IUCN에 의해 취약종으로 평가받고 있다.[1]
참조
[1]
간행물
Rousettus spinalatus
2021
[2]
서적
Mammal Species of the World: A Taxonomic and Geographic Reference
JHU Press
[3]
학술지
On a new species of Rousettus Gray, 1821, from Sumatra and Borneo (Mammalia: Megachiroptera)
https://biodiversity[...]
2018-07-22
[4]
서적
Phillipps' Field Guide to the Mammals of Borneo and Their Ecology: Sabah, Sarawak, Brunei, and Kalimantan
Princeton University Press
[5]
웹사이트
Iucnredlist.org
http://www.iucnredli[...]
[6]
문서
Bergmans & Hill, 1980. Bulletin of the British Museum (Nat. Hist.) Zool., 38: 95.
[7]
서적
Mammal Species of the World: A Taxonomic and Geographic Reference
JHU Press
[8]
문서
(Payne et al. 198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