벤 챈들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벤 챈들러는 미국의 정치인이다. 켄터키 대학교에서 학사 및 법무박사 학위를 받았다. 1992년부터 1996년까지 켄터키주 감사관을, 1996년부터 2004년까지 켄터키 법무장관을 역임했다. 2004년 재보궐 선거를 통해 연방 하원에 입성하여 2012년까지 켄터키주 제6구 하원의원으로 활동했으며, 2003년 켄터키 주지사 선거에 출마했으나 낙선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켄터키법무장관 - 앤디 베셔
앤디 베셔는 미국의 민주당 소속 정치인으로, 밴더빌트 대학교와 버지니아 대학교에서 학위를 받았으며, 켄터키 법무장관과 제63대 켄터키 주지사를 역임하고 2023년 주지사 선거에서 재선에 성공했다. - 켄터키법무장관 - 스티브 베셔
스티브 베셔는 켄터키 대학교에서 학위를 받고 켄터키주 하원의원, 법무장관, 부지사를 거쳐 2007년부터 2015년까지 켄터키 주지사로 재임하면서 경제 회복, 교육 개혁, 의료 보장 확대를 추진했다. - 켄터키주의 연방 하원의원 - 존 C. 브레킨리지
존 C. 브레킨리지는 켄터키주 출신의 정치인이자 군인으로, 미국 역사상 최연소 부통령을 지냈으며, 남북전쟁에서 남부 연합군 장군으로 활동하고 남부 연합의 마지막 전쟁 장관을 역임한 인물이다. - 켄터키주의 연방 하원의원 - 프레드 빈슨
프레드 빈슨은 미국의 정치인이자 법조인으로, 연방 하원 의원, 컬럼비아 특별구 연방 항소 법원 판사, 재무부 장관을 역임하고 미국 대법원장을 지냈으며, 트루먼 행정부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며 전후 경제 안정과 국제 금융 질서 재건에 기여했다.
| 벤 챈들러 | |
|---|---|
| 기본 정보 | |
![]() | |
| 이름 | 벤 챈들러 |
| 국적 | 미국 |
| 출생일 | 1959년 9월 12일 |
| 출생지 | 미국 켄터키주 베르사유 |
| 배우자 | 제니퍼 로민 |
| 학력 | |
| 학력 | 켄터키 대학교 (BA) |
| 학력 | 켄터키 대학교 (JD) |
| 정치 경력 | |
| 소속 정당 | 민주당 |
| 직책 | 켄터키주 제6선거구 연방하원의원 |
| 임기 시작 | 2004년 2월 7일 |
| 임기 종료 | 2013년 1월 3일 |
| 이전 의원 | 어니 플레처 |
| 다음 의원 | 앤디 바 |
| 기타 | |
2. 학력
3. 경력
| 기간 | 직책 |
|---|---|
| 1992년 1월 ~ 1996년 1월 | 켄터키주 감사관 |
| 1996년 1월 ~ 2004년 1월 | 제47대 켄터키 법무장관 |
| 2004년 2월 ~ 2013년 1월 | 제108·109·110·111·112대 미국 연방하원의원 (켄터키주 제6선거구) |
4. 정치 활동
벤 챈들러는 민주당 소속으로 정치 경력을 쌓았다. 그는 1991년 켄터키주의 감사관으로 선출되어 공직 생활을 시작했으며, 이후 1995년과 1999년 켄터키주의 법무장관 선거에서 연이어 승리하며 법무장관직을 역임했다. 2003년에는 주지사 선거에 도전했으나 아쉽게 낙선했다. 이후 2004년 미국 하원 의원 재보궐선거를 통해 연방 정치 무대에 진출하여 켄터키주 제6선거구 대표로 활동했으며, 2012년 선거에서 낙선하기 전까지 총 5선 연방 하원의원을 지냈다.
4. 1. 켄터키주 감사관 (1992-1996)
벤 챈들러는 1991년 켄터키 감사관 선거에서 민주당 후보로 출마하여 64.86%의 득표율(465,119표)을 기록하며 켄터키주의 감사관으로 당선되었다. 그는 1992년부터 1996년까지 감사관으로 재직하며 주 정부의 예산 집행 과정을 감독하고, 비효율적인 행정 관행을 개선하는 데 주력했다.4. 2. 켄터키주 법무장관 (1996-2004)
1995년 켄터키 법무장관 선거에 민주당 후보로 출마하여 59.90%의 득표율(560,526표)을 기록하며 제47대 법무장관으로 당선되었다. 이어진 1999년 선거에서는 다른 후보 없이 출마하여 100.00%의 득표율(403,223표)로 재선에 성공하였다.4. 3. 연방하원의원 (2004-2013)
2003년 켄터키주 주지사 선거에서 낙선한 후, 2004년 켄터키주 제6선거구 미국 하원 의원 재보궐선거에 민주당 후보로 출마하여 55.16%의 득표율로 당선되어 연방 정치 무대에 진출했다. 이는 그의 정치 경력에 중요한 전환점이 되었다.이후 2004년 본선거를 시작으로 2006년, 2008년, 2010년 선거까지 연이어 승리하며 총 5선 연방 하원의원을 역임했다. 특히 2006년 선거에서는 85%가 넘는 압도적인 득표율을 기록하기도 했다. 하원의원 재임 기간 동안 챈들러는 중도 성향의 민주당원으로서 초당적인 협력을 강조했으며, 켄터키주의 주요 관심사인 농업, 보건, 교육 분야 관련 입법 활동에 집중하며 지역구의 이익을 대변하고자 노력했다.
그러나 2012년 선거에서는 공화당의 앤디 바 후보에게 46.68%의 득표율을 기록하며 패배하여 6선에는 실패했다.
아래는 벤 챈들러의 연방 하원의원 선거 결과이다.
| 선거명 | 대수 | 득표율 | 결과 |
|---|---|---|---|
| 2004년 재선거 | 108대 | 55.16% | 당선 |
| 2004년 선거 | 109대 | 58.61% | 당선 |
| 2006년 선거 | 110대 | 85.46% | 당선 |
| 2008년 선거 | 111대 | 64.66% | 당선 |
| 2010년 선거 | 112대 | 50.08% | 당선 |
| 2012년 선거 | 113대 | 46.68% | 낙선 |
4. 4. 2003년 켄터키 주지사 선거
벤 챈들러는 2003년 켄터키 주지사 선거에 민주당 후보로 출마하여 제60대 켄터키 주지사직에 도전했다. 그는 총 487,159표를 얻어 44.96%의 득표율을 기록했으나, 2위에 그쳐 낙선했다.5. 역대 선거 결과
wikitext
| 선거명 | 직책명 | 대수 | 정당 | 득표율 | 득표수 | 결과 | 당락 |
|---|---|---|---|---|---|---|---|
| 1991년 선거 | 켄터키 감사관 | -대 | 민주당 | 64.86% | 465,119표 | 1위 | 당선 |
| 1995년 선거 | 켄터키 법무장관 | 47대 | 민주당 | 59.90% | 560,526표 | 1위 | 당선 |
| 1999년 선거 | 켄터키 법무장관 | 47대 | 민주당 | 100.00% | 403,223표 | 1위 | 당선 |
| 2003년 선거 | 켄터키 주지사 | 60대 | 민주당 | 44.96% | 487,159표 | 2위 | 낙선 |
| 2004년 재선거 | 하원의원 (켄터키 제6선거구) | 108대 | 민주당 | 55.16% | 84,168표 | 1위 | 당선 |
| 2004년 선거 | 하원의원 (켄터키 제6선거구) | 109대 | 민주당 | 58.61% | 175,355표 | 1위 | 당선 |
| 2006년 선거 | 하원의원 (켄터키 제6선거구) | 110대 | 민주당 | 85.46% | 158,869표 | 1위 | 당선 |
| 2008년 선거 | 하원의원 (켄터키 제6선거구) | 111대 | 민주당 | 64.66% | 203,764표 | 1위 | 당선 |
| 2010년 선거 | 하원의원 (켄터키 제6선거구) | 112대 | 민주당 | 50.08% | 119,812표 | 1위 | 당선 |
| 2012년 선거 | 하원의원 (켄터키 제6선거구) | 113대 | 민주당 | 46.68% | 141,438표 | 2위 | 낙선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