벨리아 언덕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벨리아 언덕은 티투스 개선문 근처에 위치한 언덕으로, 1908년 원시 무덤이 발견되었다. 언덕의 높이는 해발 약 28미터이며, 로마 포럼이 위치한 계곡보다 높다. 벨리아라는 이름의 어원은 불확실하며, 페나테스 신전 및 발레리우스 가문과 관련하여 언급된다. 할리카르나소스의 디오니시우스는 벨리아 언덕을 높고 가파른 곳으로 묘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포룸 로마눔 - 셉티미우스 세베루스 개선문
셉티미우스 세베루스 개선문은 203년에 파르티아 전쟁 승리를 기념하고 세베루스 왕조를 과시하기 위해 로마 포룸에 세워진 기념물이며, 셉티미우스 세베루스 황제와 그의 아들 카라칼라의 업적을 기리는 비문과 파르티아 전쟁 장면 부조 장식으로 유명하다. - 포룸 로마눔 - 비아 사크라
비아 사크라는 고대 로마의 주요 도로로, 네로 황제 시대에 재건 사업을 통해 경로가 변경되었으며, 포룸 로마눔을 지나 콜로세움까지 연결되었고, 양쪽에 상점과 열주가 건설되었다. - 로마의 언덕 - 핀초 언덕
핀초 언덕은 로마 시내에 위치하며 고대 로마의 일곱 언덕에는 포함되지 않지만, 중세 시대 핀치 가문의 정착으로 이름이 유래되었고 현재는 공원으로 조성되어 로마의 스카이라인을 조망할 수 있는 명소이자 시민들의 휴식 공간이다. - 로마의 언덕 - 바티칸 언덕
바티칸 언덕은 고대 로마 시대에 바티카누스 몬스 또는 바티카누스 콜리스로 불렸으며 빈민 거주지에서 칼리굴라와 네로에 의해 변화를 겪고 키벨레 여신 사원이 있던 곳이자 성 베드로 순교지로 알려져 구 성 베드로 대성전이 건설된 후 교황청의 중심지가 된 로마에 위치한 언덕이다.
벨리아 언덕 | |
---|---|
지리적 위치 | |
일반 정보 | |
로마자 표기 | Velia |
이탈리아어 표기 | Velia |
위치 | 캄피텔리 |
고대 로마 시대 명칭 | Velia, Veliae |
주요 건축물 | |
건축물 | 티투스 개선문 세풀크레툼 발레리오룸 도무스 |
종교 | |
종교 시설 | 페나테스 신전 |
2. 지리적 특징
할리카르나소스의 디오니시우스는 벨리아 언덕을 "높고 가파르다"라고 묘사했다.[6] 1908년 티투스 개선문 근처에서 발견된 원시 무덤은 해발 약 28m에 위치했다. 반면 로마 포럼이 있는 계곡의 가장 낮은 부분은 3.6m, 세풀크레툼 발굴 관련 미개토는 10.63m에서 발견되었다.[7] 도무스 아우레아 건설로 인해 벨리아 언덕 능선의 원래 높이가 다소 낮아졌을 가능성이 있다.
2. 1. 어원 및 의미
벨리아의 의미와 어원은 고대와 마찬가지로 현재도 불확실하다.[8] 현존하는 문헌에서는 ''Aedes Deorum Penatium''(페나테스 신전)과 도무스 발레리움 (발레리우스 가문)과 관련하여 언급된다.[9]3. 역사적 중요성
벨리아는 로마칠구릉이 기념된 7개의 언덕 가운데 하나로 여겨졌다.[10] 이 이름은 단수로 더 자주 등장하지만,[11] 복수 형태도 존재한다.[12]
할리카르낫소스의 디오니시오스는 이 언덕을 높고 가파른( ὑψηλὸν ἐπιεικῶς καὶ περίτομον|휩셀론 에피에이코스 카이 페리토몬grc) 언덕으로 묘사하였다.[13]
참조
[1]
문서
Dionysius of Halicarnassus
[2]
서적
Geschichte und Topographie der Stadt Rom in Altertum
https://books.google[...]
Leipzig
1883-01-01
[3]
문서
Festus
[4]
문서
Varro, LL V.54; Liv. II.7; XLV.16; hemerol. Amit. ad VIII Kal. Iun.
[5]
문서
Varro, loc. cit.; Non. 531; Fest. 154; Asc. in Pison. 52; Dionys. I.68 Οὐελίαι - "ὑπ᾽ Ἐλαίας, Dionys. V.48"
[6]
문서
[7]
간행물
American Journal of Archaeology
1923-01-01
[8]
문서
Varro, LL. v.54: Veliae unde essent plures accepi causas in quis quod ibi pastores Palatini ex ovibus ante tonsuram inventam vellere lanam sint soliti, a quo Vellera dicuntur
[9]
문서
Jord. I.1.196; 2.416‑419; HJ 1; Gilb. I.38‑39, 101‑109
[10]
문서
Festus
[11]
문서
Varro, LL V.54; Liv. II.7; XLV.16; hemerol. Amit. ad VIII Kal. Iun.
[12]
문서
Varro, loc. cit.; Non. 531; Fest. 154; Asc. in Pison. 52; Dionys. I.68 Οὐελίαι - "ὑπ᾽ Ἐλαίας, Dionys. V.48"
[13]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