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보드뢰이유-허드슨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보드뢰이유-허드슨선은 몬트리올 루시앙 랄리에역과 보드뢰이유-솔랑주의 보드뢰이유, 허드슨을 잇는 엑소(Exo)의 통근 열차 노선이다. 1887년 몬트리올과 리고를 잇는 노선으로 시작하여, 1982년 몬트리올 광역공동체 교통공사로, 1996년 광역교통국으로 운영 주체가 변경되었다. 2010년 리고행 열차 운행이 중단되면서 현재의 보드뢰이유-허드슨선으로 이름이 바뀌었으며, 2017년 엑소(Exo)가 운영을 시작했다. 대부분의 열차는 보드뢰이유역에서 시종착하며, 평일에는 30분 간격으로 운행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보드뢰이유-허드슨선 - [철도 노선]에 관한 문서
노선 정보
방돔역에 정차한 보드뢰이유-허드슨선 열차
방돔역에 정차한 상행 열차
노선 종류광역 철도
노선 시스템엑소
노선 상태운행 중
관할 구역그레이터 몬트리올
기점루시앙 랄리에역
종점보드뢰이유역; 허드슨역
역 수18
일일 승객 수16,000명 (2018년)
연간 승객 수4,164,200명 (2018년)
개통일1887년
소유주엑소 · 캐나다 태평양 철도
운영사알스톰
차량 기지보드뢰이유 차량기지, 라신 정비센터
노선 길이64.2km
궤간1,435mm (표준궤)
선로 수2
전철화 여부아니오
최고 속도121km/h
노선 번호11
웹사이트보드뢰이유-허드슨 노선 (엑소)
노선도
노선도
운행 노선
경유 노선CP 웨스트마운트선
CP 보드뢰이유선
엑소 M&O선
역사
개통1887년
기타 정보
차량봄바디어 멀티레벨 코치

2. 역사

보드뢰이유-허드슨선은 1887년에 처음 운행을 시작하였다. 처음에는 몬트리올과 오타와 사이를 운행하던 열차 노선 중 일부로, 몬트리올과 리고 사이를 완행 운행하였다. 이후 몬트리올섬 서쪽 지역의 인구가 증가하면서, 캐나다 태평양 철도(CP)는 몬트리올섬과 섬 서쪽을 따라 정류장을 추가하였다. 개통 이후 50년 동안 노선 운행 방식은 크게 변하지 않았으며, 평일에는 하루 평균 12회, 주말과 공휴일에는 3~4회 운행하였다.[14]

1982년 10월 1일, 통근열차 노선의 소유권과 운영권이 CP에서 몬트리올 광역공동체 교통공사(STCUM)로 이관되었다. STCUM은 요금과 시간표를 관리하고, CP가 소유했던 차량을 운행하였다. CP는 계속해서 선로, 주박 시설, 유지·보수를 담당하였다.[14] 이는 몬트리올 통근자들에게 열차가 버스 및 지하철과 통합되어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왔다.

1996년 1월 1일, 노선 운영 주체가 주정부 기관인 광역교통국(AMT)으로 이관되었다. 2017년 6월 1일에는 AMT가 해산되고 광역 교통 당국(ARTM)과 광역 교통망(RTM)이라는 두 개의 새로운 관리 기구로 대체되었다. RTM은 AMT의 모든 서비스를 인수하였다.[8]

2018년 5월, RTM은 엑소(Exo)로 이름을 변경하고 각 노선의 번호와 색상을 업데이트했다. 보드뢰이유-허드슨선은 엑소1이 되었고, 빨간색 노선 색상은 더 밝은 파스텔톤의 빨간색으로 변경되었다. 2023년에는 엑소 11번 노선으로 변경되었다.[8]

2010년 7월 1일, 리고의 통근열차 정차 비용이 160000USD에서 300000USD로 인상되었다. 이 비용을 감당하기 어려워 리고행 통근열차 운행이 중단되었고, 노선은 허드슨역에서 종착하게 되었다.[15] 이에 따라 도리옹-리고선으로 알려졌던 이 노선은 보드뢰이유-허드슨선으로 이름이 변경되었다.

2. 1. 캐나다 태평양 철도 (CP) 운영 시기 (1887년 ~ 1982년)

보드뢰이유-허드슨선은 1887년에 처음으로 운행을 시작하였다. 당시 몬트리올과 오타와 사이를 운행하던 열차에 몬트리올과 리고 사이를 완행 운행하였다. 이후 몬트리올섬 서쪽 연선으로 인구가 늘어나면서 캐나다 태평양 철도는 몬트리올섬과 섬 서쪽을 따라 정류장을 추가하였다. 개통 이후 50년 동안 노선 운행에 바뀐 것은 딱히 없었다.[14] 평일 기준 하루 평균 12회, 주말과 공휴일에는 3~4회 운행하였다.

2. 2. 몬트리올 광역공동체 교통공사 (STCUM) 이관 (1982년 ~ 1996년)

1982년 10월 1일, 통근열차 노선의 소유권과 운영권이 CP에서 몬트리올 광역공동체 교통공사(STCUM)로 이관되었다. STCUM은 요금과 시간표를 책정하고 CP가 소유했던 차량을 운행했으며, CP는 계속해서 선로, 주박 시설, 유지·보수 등을 제공하였다.[14] 이는 몬트리올 통근자들에게 열차가 버스 및 지하철 시스템과 통합되어 긍정적인 변화였다.

시간이 지나면서 새로운 장비 구매와 역 보수 공사를 통해 통근열차 노선은 발전하였다. 이후 1996년 1월 1일, 노선 운영 주체가 주정부 기관인 광역교통국(AMT)으로 이관되었다.

2. 3. 광역교통국 (AMT) 운영 시기 (1996년 ~ 2017년)

2017년 6월 1일, AMT는 해산되고 광역 교통 당국(ARTM)과 광역 교통망(RTM)이라는 두 개의 새로운 관리 기구로 대체되었다. RTM은 이 노선을 포함하여 이전의 모든 AMT 서비스를 인수하였다.[8]

2018년 5월, RTM은 공식적으로 엑소(Exo)로 이름을 변경하고 각 노선의 번호와 색상을 업데이트했다. 보드뢰이유-허드슨선은 엑소1이 되었고, 빨간색 노선 색상은 더 밝은 파스텔톤의 빨간색으로 업데이트되었다. 2023년에는 몬트리올 철도 네트워크 내에서 고유한 번호를 갖기 위해 11번 노선으로 변경되었다.[8]

2. 4. 엑소(Exo) 운영 시기 (2017년 ~ 현재)

2010년 7월 1일, 리고에서 통근열차 정차 비용이 기존 160000USD에서 300000USD로 인상되었다. 이 비용을 감당할 수 없어 리고로 가는 통근열차 운행이 중단되었고, 노선은 허드슨역에서 종착하게 되었다.[15] 이에 따라 도리옹-리고선으로 알려졌던 이 노선은 대부분의 열차가 종착하는 보드뢰이유와 이 노선의 종착역인 허드슨의 이름을 따서 보드뢰이유-허드슨선으로 바뀌었다.

3. 운행 계통

몬트레지 지역 보드뢰이유 솔랑주에 있는 보드뢰이유 및 허드슨 간을 운행하며, 대부분의 열차는 보드뢰이유역에서 시종착한다.[13]

평일 아침에는 시내 방향, 오후에는 보드뢰이유 방면 열차가 30분 간격으로 운행하며 러시 아워와 주말에는 2-5시간 간격으로 운행한다. 허드슨역은 평일 아침에 시내 방면으로 1회, 저녁에 당역 방면으로 1회 운행한다. 평일 아침에는 비컨스필드에서 열차가 1대 시종착하는데, 루시앙 랄리에역에서 출발할 때 파인비치, 발루아, 시더파크역을 통과하여 준급행으로 운행하고 시내로 향할 때에는 전역 정차한다. 또한 평일 오후에도 보드뢰이유역에서 출발하는 열차 1대가 팽쿠르-테라스보드뢰이유, 일페로, 보르페르, 시더파크, 발루아, 파인비치역을 통과하고 루시앙 랄리역에서 출발할 때 보드뢰이유까지 전역 정차한다.[13]

이 노선은 출퇴근 시간대에 보드뢰이유에서 15~20분 간격으로 운행을 제공한다. 러시아워 시간 외에는 약 2~3시간 간격, 주말에는 약 5시간 간격으로 운행한다. 허드슨 종착역에서 평일 왕복 운행은 1회만 있다. 이는 몬트리올에서 세미 급행 서비스를 제공하는 유일한 노선이다. 반대 방향의 출퇴근 열차는 특정 소규모 역에는 정차하지 않는다.[4]

열차는 레조 드 트랑스포 메트로폴리탱에서 소유 및 관리하며, 알스톰의 교통 부문 (구 봄바디어 교통)에서 운행한다.

4. 역 목록

웨스트3.97.2라신1몬트리올3.312.7도르발2도르발2.515.3파인비치2도르발1.817.1발루아2푸앵트
클레르2.119.2푸앵트클레르2푸앵트
클레르0.820.0시더파크2푸앵트
클레르1.421.4비컨스필드3비컨스필드2.423.8보르페르3비컨스필드3.126.9베뒤르페3베뒤르페2.729.6생탄드벨뷔3생탄드벨뷔2.932.5일페로4일페로1.934.4팽쿠르
테라스
보드뢰이유4팽쿠르
테라스
보드뢰이유2.236.7도리옹5보드뢰이유
도리옹1.137.8보드뢰이유5보드뢰이유
도리옹3.442.2허드슨6허드슨10.151.2


참조

[1] 웹사이트 Nous travaillons pour vous https://exo.quebec/M[...]
[2] 웹사이트 Vaudreuil–Hudson line - General information https://rtm.quebec/f[...] RTM 2017-07-11
[3] 웹사이트 Banlieues de Montréal, Québec https://home.cc.uman[...] 2018-09-07
[4] 웹사이트 Vaudreuil–Hudson Schedule https://rtm.quebec/M[...] RTM 2017-07-11
[5] 뉴스 "All aboard for the last train to Rigaud" https://montrealgaze[...] Montreal Gazette 2010-04-23
[6] 웹사이트 West Island Gazette: "Last train to Rigaud on June 30", June 30, 2010. http://westislandgaz[...] 2011-11-07
[7] 뉴스 "Nouveaux noms des lignes de trains de banlieue" (New names for commuter train lines) http://www.montreale[...] Montreal Express 2010-07-01
[8] 웹사이트 Your train lines are getting new numbers https://exo.quebec/e[...] 2023-07-24
[9] 웹사이트 Plan du Reseau STM 2007 http://www.stm.info/[...] STM 2007-05-15
[10] 웹사이트 Plan du Reseau de Nuit STM 2006 http://www.stm.info/[...] STM 2006-12-26
[11] 웹인용 Rapport annuel 2019 https://exo.quebec/M[...] 2020-05-02
[12] 웹인용 Banlieues de Montréal, Québec https://home.cc.uman[...] 2020-05-03
[13] 웹인용 Ligne 1 exo Vaudreuil-Hudson https://exo.quebec/M[...] 2020-05-03
[14] 웹인용 Suburban Commuter Rail in Toronto and Montréal http://jbb.poslfit.c[...] 1984-04
[15] 뉴스 End of the line for Rigaud train service https://montreal.ctv[...] 2020-05-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