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성 대원사 지장보살도 및 시왕도 일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보성 대원사 지장보살도 및 시왕도 일괄은 대원사 명부전에 봉안된 불화로, 지장보살도 1점, 시왕도 7점, 사자도 2점으로 구성되어 있다. 지장보살도는 지장보살을 중심으로 도명존자, 무독귀왕, 시왕, 판관, 사자 등을 배치하고 있으며, 시왕도는 각 대왕과 권속들을 묘사하고 있다. 사자도는 지장보살도 좌우에 배치되어 명부 사자의 역할을 하는 감재사자와 직부사자를 묘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보성군의 문화유산 - 보성 은봉종택과 대계서원 고문서 일괄
보성 은봉종택과 대계서원 고문서 일괄은 조선 후기 문신 안방준의 종택과 대계서원에 소장된 고문서들을 포괄하는 문화재로, 임진왜란 의병 활동, 안방준의 학문적 업적과 저술, 대계서원 운영 관련 자료를 포함하여 역사적 가치를 인정받아 전라남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될 가치가 있다. - 시왕도 - 서울 안양암 명부전 시왕도 및 사자도
서울 안양암 명부전 시왕도 및 사자도는 망자를 심판하는 시왕과 사자를 묘사한 그림으로, 19세기 말 서울·경기 지역 시왕도의 도상을 따르며 화가 고산의 화풍을 파악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로 평가받는 문화재자료이다. - 시왕도 - 고성 옥천사 지장보살도 및 시왕도
고성 옥천사 지장보살도 및 시왕도는 1744년에 효안 등 11명의 화승이 제작하여 옥천사에 봉안된 불화로, 지장보살도와 독특한 구성의 시왕도로 이루어져 있으며, 2016년 제2초강대왕도가 환수되어 국립고궁박물관에 소장, 지장보살도는 1994년 보물로 지정되었고 조선 후기 불교 미술 연구에 중요한 자료이다.
보성 대원사 지장보살도 및 시왕도 일괄 - [유적/문화재]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유형 | 보물 |
지정 번호 | 1800 |
지정일 | 2013년 4월 29일 |
주소 | 전라남도 보성군 문덕면 죽산길 506-8 |
소유자 | 대한불교조계종 대원사 |
수량 | 1건 9점 |
시대 | 조선시대 |
지도 | 대한민국 |
꼬리표 | 보성 대원사 |
문화재청 ID | 12,18000000,36 |
유형 문화재 정보 (지정 해제) | |
문화재 명칭 | 보성대원사지장·시왕·사자탱화 |
지정 국가 | 전라남도 |
유형 | 유형문화재 |
지정 번호 | 266 |
지정일 | 2004년 9월 20일 |
해지일 | 2013년 4월 28일 |
문화재청 ID | 21,02660000,36 |
2. 상세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