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라남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전라남도는 삼한 시대 마한에서 시작되어, 1895년 전라남도와 전라북도로 분리되었다. 1946년 제주도가, 1986년 광주광역시가 전라남도에서 분리되었으며, 도청은 2005년 무안군으로 이전했다. 호남 지역에 속하며, 서해, 전라북도, 제주해협, 경상남도와 접한다. 해안선은 약 6,100km이며, 해산물 생산이 많다. 주요 산업 시설로는 포스코 광양제철소와 여수국가산업단지가 있다. 2020년 기준 지역내총생산은 78조 1000억 원이다. 다양한 문화유적과 축제, 송광사와 같은 사찰이 있으며, 전남 드래곤즈를 비롯한 스포츠 팀들의 연고지이기도 하다. 여러 국가와 자매결연을 맺고 있으며, 2005년 기준 무종교 비율이 가장 높다. 김대중, 이낙연 등 저명한 인물들을 배출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전라남도 - FF-957 전남
FF-957 전남은 대한민국 해군이 운용했던 울산급 호위함으로, 1988년 취역하여 환태평양 훈련에 참가 후 2022년 퇴역, 현재 목포항 북항에 계류 중이다. - 1896년 설치 - 충청북도
충청북도는 대한민국의 내륙도로, 경상북도, 충청남도, 전라북도, 경기도 및 강원도와 접하며, 삼국 시대에는 백제, 고구려, 신라의 경계 지역이었고, 현재는 3개의 시와 8개의 군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도청 소재지는 청주시이다. - 1896년 설치 - 충청남도
충청남도는 삼국 시대부터 현재까지 다양한 역사적 변천을 겪었으며, 현재는 8개의 시와 7개의 군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농업, 수산업, 제조업 등 다양한 산업이 발달하여 해양관광 및 생태관광이 활성화되고 있다. - 한국의 지역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특별자치도는 대한민국 최남단에 위치한 특별자치도로, 광범위한 자치권을 행사하며 국제자유도시를 지향하고, 아름다운 자연경관과 독특한 문화를 지닌 관광 산업이 주요 경제 기반인 곳이다. - 한국의 지역 - 영남 지방
영남 지방은 대한민국 남동부에 위치하며 태백산맥과 소백산맥으로 둘러싸여 낙동강을 중심으로 농업이 발달했고, 남동 임해 및 영남 내륙 공업 지역 등 다양한 산업이 발달했으며, 오랜 역사와 문화유산을 간직하고 교통망과 국제 교류가 활발한 지역이다.
전라남도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이름 | 전라남도 |
한자 표기 | }} |
로마자 표기 (매큔-라이샤워) | Chŏllanam-do |
로마자 표기 (개정 로마자 표기법) | Jeollanam-do |
약칭 | ; 전남; Jeonnam; チョンナム |
국가 | 대한민국 |
지역 | 호남 |
행정 구역 유형 | 도 |
최대 도시 | 순천 |
도청 소재지 | 무안군 |
하위 행정 구역 | 5시 17군 |
면적 | 12,335.13 km² |
면적 순위 | 3위 |
인구 (2014년 10월) | 1,817,697명 |
인구 밀도 | 147.36명/km² |
인구 순위 | 6위 |
ISO 코드 | KR-46 |
방언 | 전라 |
웹사이트 | 공식 웹사이트 (영어) |
![]() | |
정치 | |
도지사 | 김영록 ( 더불어민주당) |
상징 | |
도화 | 동백꽃 |
도목 | 은행 |
도조 | 산비둘기 |
경제 | |
GDP (2022년) | 91조 원 (미화 730억 달러) |
기타 정보 | |
마스코트 | 남도 & 남이 |
지역 번호 | 061 |
2. 역사
전라남도의 역사는 삼한 시대 마한의 영역에서 시작되었다.[3] 1895년 6월 23일, 23부제 시행으로 전라도는 전주부, 나주부, 남원부, 제주부로 나뉘었다가,[28] 같은 해 8월 4일 전라남도와 전라북도로 재편되었다.[29] 나주 지역의 단발령 반대 운동으로 나주부가 폐지되고 광주로 이전되면서,[30] 전라남도의 도청 소재지는 광주로 결정되었고, 일제강점기까지 광주에 위치했다.[31] 이로 인해 고려 시대부터 전라남도의 중심지였던 나주는 쇠퇴하고, 남북국 시대부터 중요 도시였던 광주가 다시 성장하게 되었다.
1896년부터 1945년까지 전라남도에 속했던 제주도는 1946년 8월 1일 제주도로 독립하면서 전라남도에서 분리되었다.[32] 41년 후인 1986년에는 광주광역시가 전라남도에서 분리되었고, 도청은 19년간 더 광주에 있다가 2005년 무안군 삼향면 남악리로 이전했다. 광주는 오랜 기간 전라남도의 중심지 역할을 수행했지만, 도청 이전으로 인해 무안이 새로운 행정 중심지로 부상하게 되었다. 이러한 행정 구역 개편은 전라남도의 행정 체계와 지역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다.
2. 1. 개요
2. 2. 연혁
전라도는 1895년 6월 23일 23부제 시행으로 전주부, 나주부, 남원부, 제주부로 나뉘었다가,[28] 1896년 8월 4일 전라남도와 전라북도로 재편되었다.[29] 1896년 6월 단발령에 대한 나주군민의 반발로 나주부가 폐지되고 광주로 이전되면서,[30] 전라남도의 수부는 광주로 확정되었고 일제 강점기까지 광주에 도청이 위치했다.[31] 이로 인해 고려 시대 이래 전남의 중심지였던 나주의 위상은 축소되고, 남북국 시대까지 중심지였던 광주가 다시 성장하게 되었다.1896년부터 1945년까지 전라남도에 속해 있던 제주도는 1946년 8월 1일 제주도(道)로 독립하면서 전라남도에서 분리되었다.[32] 제주도 분리 후 41년이 지난 후인 1986년 광주광역시가 전라남도에서 분리되었으며, 도청은 광주에 19년간 더 위치하다가 2005년 무안군 삼향면 남악리로 이전하였다. 삼한 시대에는 전라남도 지역이 마한에 속하였다.[3]
2. 2. 1. 대한제국
1895년 6월 23일 23부제 시행으로 전라도는 전주부, 나주부, 남원부, 제주부로 잠시 나뉘었다가,[28] 1896년 8월 4일 전라남도와 전라북도로 재편되었다.[29] 1896년 6월 단발령에 대한 나주군민의 강한 반발로 나주부가 폐지되고 광주로 이전되었으며,[30] 전라남도가 설치되면서 도청 소재지는 광주로 결정되었다. 일제강점기 역시 광주를 도청 소재지로 유지하였다.[31] 이로써 고려 시대 이래 전라남도의 중심지였던 나주의 위상은 쇠퇴하고, 남북국 시대부터 중요한 도시였던 광주가 다시 성장하는 계기가 되었다.1896년부터 1945년까지 전라남도에 속해 있던 제주도는 1946년 8월 1일 제주도(道)로 독립하면서 전라남도에서 분리되었고,[32] 제주도 분리 41년 후인 1986년 광주직할시가 전라남도에서 분리되었다. 전라남도청은 광주에 19년간 더 남아 있다가 2005년 무안군 삼향면 남악리로 이전하였다.
2. 2. 2. 일제강점기·미군정기
일제강점기와 미군정기 전라남도는 1895년 23부제 시행으로 전주부, 나주부, 남원부, 제주부로 잠시 분리되었다가[28] 1896년 8월 4일 전라남도와 전라북도로 재편되었다.[29] 1896년 6월 단발령에 대한 나주군민의 반발로 나주부가 폐지되고 광주로 이전하면서,[30] 전라남도의 수부는 광주로 확정되었고 일제 또한 도청 소재지를 광주에 두었다.[31] 이로써 고려 시대 이래 전남의 중심지였던 나주의 위상은 축소되고 남북국 시대까지 중심지였던 광주가 다시 성장하는 계기가 되었다.1896년부터 1945년까지 전라남도에 속했던 제주도는 1946년 8월 1일 제주도(道)로 독립하면서 전라남도에서 분리되었다.[32] 제주도가 분리된 후 41년 만인 1986년 광주직할시가 분리되었다. 전라남도청은 19년간 광주에 위치하다가 2005년 무안군 삼향면 남악리로 이전하였다.
2. 2. 3. 대한민국
전라도는 1895년 6월 23일 23부제 시행으로 전주부, 나주부, 남원부, 제주부로 잠시 나뉘었다가,[28] 1896년 8월 4일 전라남도와 전라북도로 재편되었다.[29] 1896년 6월 단발령에 대한 나주군민의 반발로 나주부가 폐지되고 광주로 이전되었고,[30] 전라남도가 설치되면서 도청 소재지는 광주로 확정되었다. 일제강점기 또한 광주를 도청 소재지로 유지하였다.[31] 이로써 고려 시대 이래 전남의 중심지였던 나주의 위상은 축소되고, 남북국 시대까지 중심지였던 광주가 다시 성장하게 되었다.1896년부터 1945년까지 전라남도에 속해 있던 제주도는 1946년 8월 1일 제주도(道)로 독립하면서 전라남도에서 분리되었다.[32] 제주도가 분리된 지 41년 만인 1986년 광주광역시가 전라남도에서 분리되었다. 전라남도청은 광주에 19년간 더 위치하다가 2005년 무안군 삼향면 남악리로 이전하였다.
3. 지리
전라남도는 호남 지역에 속하며, 서쪽은 황해, 북쪽은 전라북도, 남쪽은 제주해협, 동쪽은 경상남도와 접한다. 약 2,000개의 섬이 해안선을 따라 있으며, 그중 약 4분의 3은 무인도이다. 해안선의 길이는 약 6,100km이다. 굴과 해조류 양식 등 해산물 생산이 전국 최고 수준이다. 산악 지형은 일부에만 분포하고, 섬진강, 영산강, 탐진강 등의 강변 평야는 대규모 곡물 농업에 적합하다. 풍부한 강우량과 따뜻한 기후는 쌀, 밀, 보리, 두류, 감자 등 다양한 농산물 생산에 기여하며, 채소, 면화, 과일도 재배된다. 온화한 기후를 가지고 있으나, 지역별 미세한 차이가 있다. 예를 들어 목포의 경우 1월 평균기온은 1.8℃, 8월 평균기온은 26.0℃이고, 여수는 1월 평균기온 2.2℃, 8월 평균기온 25.7℃로 목포와 약간의 차이를 보인다. 이는 지형과 해안선의 영향으로 해석된다.
3. 1. 자연 지리
전라남도는 한반도 서남부에 위치하며, 동쪽은 소백산맥의 높은 봉우리와 경계를 이루는 경상남도와, 서쪽은 노령산맥의 구릉성 저산지와 경계를 이루는 전라북도와 맞닿아 있다.[33] 동고서저, 북고남저의 지형으로 동쪽이 북쪽보다 높고, 남서해안은 리아스식 해안을 이룬다. 섬은 무려 1,965개나 되어 전국 섬의 62%를 차지한다.영산강은 서남부와 서북부의 광대한 평야를 지나 목포만으로 유입되며, 비옥한 농토를 제공한다. 섬진강은 전라북도에서 발원하여 호남 동부 산악 지대를 흐르고, 탐진강은 장흥군과 강진군 유역을 흐른다. 이들 하천은 전라남도의 주요 수계를 이룬다. 특히 영산강 유역의 나주평야는 전라북도의 호남평야와 함께 대한민국 최대 곡창지대를 형성하고 있다. 이 지역에서는 소량의 금과 석탄이 채굴되었으나, 산업 또한 발전해왔다. 참고로 이 지역의 유해 중금속 함량은 환경 기준치의 30분의 1에 불과할 정도로 깨끗한 공기를 자랑한다.[8]
3. 2. 기후
전라남도는 온화한 기후를 가지고 있으나, 지역별로 미세한 차이를 보인다. 목포의 경우 1월 평균기온은 1.8℃, 8월 평균기온은 26.0℃이다. 여수는 1월 평균기온이 2.2℃로 목포보다 다소 높고, 8월 평균기온은 25.7℃로 목포보다 약간 낮다. 이러한 차이는 지형적인 요인과 해안선의 영향으로 해석될 수 있다.4. 역대 도지사
== 역대 도지사 ==
전라남도의 역대 도지사는 다음과 같다. 민선 도지사 시대 이전의 도지사는 자료 부족으로 인해 목록에 포함되지 않았다. 아래 목록은 민선 도지사부터 기록하며, 각 도지사의 주요 업적 및 당시 상황을 간략히 소개한다. 자세한 내용은 각 인물의 개별 문서를 참조하면 된다.
- 제31대 허경만 (1995년 7월 1일 – 1998년 7월 1일): 민선 1기 도지사로서 전라남도의 기반 시설 확충과 지역 경제 활성화에 힘썼다. 하지만, 당시 지역 사회의 요구와 기대치를 충족시키지 못했다는 비판도 존재한다.
- 제32대 허경만 (1998년 7월 1일 – 2002년 7월 1일): 재선에 성공하여 2기를 역임했다. 1기의 사업을 바탕으로 지역 발전을 이어나가려 했으나, 여러 정치적, 사회적 어려움에 직면하였다.
- 제33대 박태영 (2002년 7월 1일 – 2004년 4월 29일): 국민건강보험공단 이사장 재임 시절 부정 의혹으로 검찰 수사를 받던 중, 2004년 4월 29일 안타깝게도 투신 자살했다. 그의 갑작스러운 죽음은 전라남도에 큰 충격을 안겨주었고, 지역 사회의 슬픔과 함께 여러 의혹들을 남겼다. [18]
- 제34대 박준영 (2004년 6월 6일 – 2006년 7월 1일): 박태영 전임 지사의 갑작스러운 죽음 이후 치러진 보궐선거에서 당선되었다. 임기 동안 지역 경제 활성화와 사회 발전을 위한 정책들을 추진했다.
- 제35대 박준영 (2006년 7월 1일 – 2010년 7월 1일): 재선에 성공하여 2기를 역임하며, 전임 임기의 정책들을 이어갔다. 지역 주민들의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고 반영하려 노력했다는 평가도 있다.
- 제36대 박준영 (2010년 7월 1일 – 2014년 7월 1일): 3선에 성공하여 3기를 역임했다. 장기 집권에 따른 한계점과 함께, 지역 발전에 대한 기대와 현실 사이의 간극에 대한 비판적인 시각도 존재한다.
- 제37대 이낙연 (2014년 7월 1일 – 2018년 5월 12일): 16대부터 19대까지 국회의원을 역임한 경험을 바탕으로 도정을 이끌었다. 문재인 정부에서 국무총리로 지명되어 임기 중 지사직을 사퇴하였다. 그의 국무총리 임명은 전라남도뿐 아니라 전국적인 관심사였다. 진보적인 정치 성향을 가진 이낙연의 총리 임명은 당시 사회적으로 상당한 의미를 지녔다.
- 제38대 김영록 (2018년 7월 1일 – 현재): 현직 도지사로서 전라남도의 지속적인 발전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현재 진행 중인 정책들의 향후 결과에 대한 기대와 우려가 공존한다.
참고: 위 정보는 현재까지 공개된 자료를 바탕으로 작성되었으며, 추가적인 정보가 필요할 수 있다. 각 도지사의 임기 및 업적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추가적인 조사와 연구가 필요하다. 특히, 민선 이전 도지사들의 정보는 더욱 상세한 자료 조사가 필요하다.
5. 행정 구역
전라남도의 행정 구역은 2017년 9월 기준으로 5개 시와 17개 군으로 구성된다. 시는 목포시, 여수시, 순천시, 나주시, 광양시이고, 군은 담양군, 곡성군, 구례군, 고흥군, 보성군, 화순군, 장흥군, 강진군, 해남군, 영암군, 무안군, 함평군, 영광군, 장성군, 완도군, 진도군, 신안군이다. 각 시와 군에는 여러 개의 읍, 면, 동이 있다. 2020년 기준 인구는 약 186만 명이며, 면적은 12,256.6km²이다.[1]
아래 표는 전라남도의 시와 군을, 한국어, 한자, 인구(2024년 기준), 면적(km²), 인구밀도(2021년 기준), 그리고 하위 행정구역으로 나누어 정리한 것이다.[2]
지도 | 이름 | 한국어 | 한자 | 인구 (2024)[11] | 면적 (km2) | 인구 밀도 (2021, km2당) | 하위 행정구역 |
---|---|---|---|---|---|---|---|
|여수|여수시|麗水市|268,823|510.08|526.75|읍 1, 면 6, 행정동 20 | |||||||
|목포|목포시|木浦市|210,806|51.58|4,288.06|행정동 23 | |||||||
|순천|순천시|順天市|276,375|907.43|301.76|읍 1, 면 10, 행정동 13 | |||||||
|광양|광양시|光陽市|154,226|458.89|314.29|읍 1, 면 6, 행정동 5 | |||||||
|나주|나주시|羅州市|116,891|608.45|189.23|읍 1, 면 12, 행정동 7 | |||||||
|무안군|무안군|務安郡|92,009|448.95|200.68|읍 3, 면 6 | |||||||
|해남군|해남군|海南郡|63,457|1,013.8|62.38|읍 1, 면 13 | |||||||
|고흥군|고흥군|高興郡|60,385|807.23|72.93|읍 2, 면 14 | |||||||
|화순군|화순군|和順郡|60,886|786.9|76.42|읍 1, 면 12 | |||||||
|영암군|영암군|靈巖郡|55,998|604.24|92.68|읍 2, 면 9 | |||||||
|영광군|영광군|靈光郡|48,981|473.69|103.40|읍 3, 면 8 | |||||||
|완도군|완도군|莞島郡|47,210|396.13|119.18|읍 3, 면 9 | |||||||
|담양군|담양군|潭陽郡|44,034|455.12|96.75|읍 1, 면 11 | |||||||
|보성군|보성군|寶城郡|36,981|663.35|55.75|읍 2, 면 10 | |||||||
|장성군|장성군|長城郡|40,604|518.65|78.29|읍 1, 면 10 | |||||||
|장흥군|장흥군|長興郡|34,268|618.2|55.43|읍 3, 면 7 | |||||||
|강진군|강진군|康津郡|31,941|500.28|63.85|읍 1, 면 10 | |||||||
|신안군|신안군|新安郡|34,000|663.59|51.24|읍 2, 면 12 | |||||||
|함평군|함평군|咸平郡|29,369|392.43|74.84|읍 1, 면 8 | |||||||
|진도군|진도군|珍島郡|29,013|440.1|65.92|읍 1, 면 6 | |||||||
|곡성군|곡성군|谷城郡|26,781|547.44|48.92|읍 1, 면 10 | |||||||
|구례군|구례군|求禮郡|23,543|443.2|53.12|읍 1, 면 7 |
과거 전라남도에는 현재는 존재하지 않는 여러 행정구역이 있었다. 대표적으로 현재 광역시인 광주광역시와 특별자치도인 제주도가 전라남도에 속해 있었으며, 고창군은 현재 전라북도에 속해 있다. 나주시는 과거 금성시로 불렸다. 금성시(現 나주시) 그 외에도 나주군, 송정시, 광산군, 동광양시, 광양군, 승주군, 여천시, 여천군, 남평군, 돌산군, 지도군, 대정군, 정의군, 광주군, 낙안군, 능주군, 옥과군, 창평군, 분령군, 흥양군, 만경군, 여수부, 흥덕군, 무장군, 무진군, 금성군, 나주부, 발라군, 광주부 등이 과거 전라남도의 행정구역이었다. 이들 지역은 시대에 따라 여러 차례 개편 및 통폐합을 거쳐 현재의 행정구역으로 재편되었다.
[1] 2020년 인구, 2012년 면적 기준.[2] 2024년 인구 기준, 면적은 기존 자료 활용.
5. 1. 시군별 정보
시·군 ! 인구 (명) ! 면적 (km²) ! 하위 행정구역 | ||
---|---|---|
목포시 | 목포시 행정구역 | |
여수시 | 여수시 행정구역 | |
순천시 | 순천시 행정구역 | |
나주시 | 나주시 행정구역 | |
광양시 | 광양시 행정구역 | |
담양군 | 담양군 행정구역 | |
곡성군 | 곡성군 행정구역 | |
구례군 | 구례군 행정구역 | |
고흥군 | 고흥군 행정구역 | |
보성군 | 보성군 행정구역 | |
화순군 | 화순군 행정구역 | |
장흥군 | 장흥군 행정구역 | |
강진군 | 강진군 행정구역 | |
해남군 | 해남군 행정구역 | |
진도군 | 진도군 행정구역 | |
완도군 | 완도군 행정구역 | |
함평군 | 함평군 행정구역 | |
영암군 | 영암군 행정구역 | |
무안군 | 무안군 행정구역 | |
신안군 | 신안군 행정구역 |
참고: 위 표는 현재 자료 부족으로 인구와 면적 정보가 누락되어 있습니다. 추가적인 자료 조사가 필요합니다. 각 시군의 행정 구역 링크를 통해 세부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5. 2. 없어진 행정구역
전라남도의 과거 행정구역 중 현재는 존재하지 않는 지역은 다음과 같다. 광주광역시는 과거 전라남도에 속해 있었으나, 현재는 독립된 광역시가 되었다. 광주광역시. 또한, 제주도는 과거 전라남도에 포함되었으나, 현재는 독립된 특별자치도이다. 고창군은 현재 전라북도에 속한다. 나주시는 과거 금성시로 불렸다. 금성시(現 나주시). 이 외에도 나주군, 송정시, 광산군, 동광양시, 광양군, 승주군, 여천시, 여천군, 남평군, 돌산군, 지도군, 대정군, 정의군, 광주군, 낙안군, 능주군, 옥과군, 창평군, 분령군, 흥양군, 만경군, 여수부, 흥덕군, 무장군, 무진군, 금성군, 나주부, 발라군, 그리고 광주부 등이 과거 전라남도에 속했던 행정구역이었다. 이들 지역은 시대에 따라 여러 차례 개편 및 통폐합을 거치면서 현재의 행정구역으로 재편되었다.6. 인구
전라남도의 인구는 1925년 2,123,539명에서 1970년대까지 꾸준히 증가하여 4,004,783명에 달했으나, [35][36] 1980년대 이후 감소세를 보였다. 특히 1986년 광주직할시 승격으로 광주 지역이 분리되면서 인구가 급감하여 1990년에는 2,510,209명으로 줄었다. 이후에도 지속적인 감소세를 보이며 2000년에는 1,994,287명, 2010년에는 1,728,758명까지 감소했다. 그러나 2010년대 후반부터는 소폭 증가세를 보여 2020년에는 1,864,712명을 기록했다. 2024년 10월 기준으로는 1,790,421명이다. 남녀 성비는 1.01로 거의 비슷하지만, 시군별로는 신안군(1.13)이 가장 높고, 광양시(1.08), 영암군(1.06), 여수시(1.04), 장성군(1.05), 담양군(1.04) 등이 그 뒤를 잇는 반면, 목포시(0.99), 순천시(0.99), 영광군(0.99) 등은 1보다 낮다. 2020년 기준 연령별 인구 분포를 보면, 60세 이상 고령 인구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난다. 자세한 연령별 인구 수는 다음과 같다: 90세 이상 14,883명, 80-89세 103,290명, 70-79세 184,866명, 60-69세 257,648명, 50-59세 298,881명, 40-49세 252,465명, 30-39세 191,379명, 20-29세 194,394명, 10-19세 159,118명, 0-9세 131,883명.[9][10]
6. 1. 인구 추이
전라남도의 인구는 1925년 이후 꾸준한 변화를 보여왔습니다. 1925년 조선총독부의 자료를 시작으로, 인구 조사 결과를 통해 시대별 인구 변동을 살펴볼 수 있습니다. 해방 이후 급격한 인구 증가세를 보였으나, 1970년대 이후부터는 도시로의 인구 이동이 가속화되어 감소 추세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고령화 현상까지 심화되면서 인구 감소가 더욱 가속화되고 있습니다. 특히 농촌 지역의 인구 감소가 심각하며, 이는 전라남도의 사회경제적 문제로 이어지고 있습니다.전라남도의 남녀 성비는 전국 평균과 비교하여 큰 차이를 보이지 않으나, 시군별로는 다소 차이가 나타나고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농촌 지역의 경우 남성 인구가 여성 인구보다 많은 경향을 보이는 반면, 도시 지역에서는 여성 인구가 다소 많은 경향을 보입니다. 이러한 성비 불균형은 지역 간 개발 격차와 연관되어 있으며,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정책적 노력이 필요합니다. 특히, 젊은층의 유출 방지 및 귀농·귀촌 정책의 효과적인 추진을 통해 인구 감소 추세를 완화해야 할 과제를 안고 있습니다. 과거 인구 증가세를 뒷받침했던 농업 중심의 경제구조에서 벗어나 다양한 산업 발전을 통한 일자리 창출과 삶의 질 개선이 중요한 요소입니다. (참고자료 추가 필요)
7. 교통
전라남도의 교통은 험준한 산지가 적어 일찍부터 발달해왔다. 철도는 호남선, 전라선, 경전선 등 총연장 432km의 노선이 기반을 이루며, 서부는 호남선, 동부는 전라선, 남부와 경상남도는 경전선이 연결한다. 하지만 고속도로와 자동차의 증가, 항만 시설 확장으로 철도의 수송 분담률은 감소하고 있다. 2015년 호남고속선 개통은 전라남도 철도 교통에 큰 변화를 가져왔다.
도로는 8개의 고속도로 노선과 12개의 국도 노선, 7개의 국가지원지방도 노선, 그리고 700번대 지방도 노선 등이 있다. 주요 고속도로로는 서해안고속도로, 무안광주고속도로, 광주대구고속도로, 광주외곽순환고속도로, 남해고속도로, 순천완주고속도로, 호남고속도로, 고창담양고속도로 등이 있으며, 주요 국도는 1호선, 2호선, 13호선, 23호선 등이 있다.
해운은 목포와 여수를 중심으로 발달하여 다도해의 섬과 육지를 연결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목포는 제주도와, 여수는 부산과 연결되는 주요 항로의 기지 역할을 하며, 최근에는 완도와 장흥의 해운업이 성장하고 있다. 목포신항과 광양항은 중요한 물류 항만이다.
7. 1. 항공
전라남도의 항공 교통은 크게 광주공항, 여수공항, 무안국제공항 세 곳을 중심으로 이루어진다. 광주공항은 서울 및 제주와의 연결을 담당하며, 여수공항 또한 지역 항공 교통의 중요한 거점이다. 2007년 무안국제공항이 개항하면서 목포공항의 기능은 무안국제공항으로 이전되었고, 2008년에는 광주공항의 국제선 노선까지 무안국제공항으로 옮겨졌다. 하지만 무안국제공항은 적자 문제로 인해 운항 편수 감편 및 운휴 등의 어려움을 겪기도 했다. 목포공항은 무안국제공항 개항과 함께 2007년 11월 8일에 폐쇄되었다.7. 2. 철도
전라남도의 철도는 총연장 432km에 달하며, 호남선(1914년 개통), 전라선(1937년 개통), 경전선(1905년 개통)의 3개 노선이 기반을 이룬다. 호남선은 전라남도 서부를, 전라선은 동부를, 경전선은 남부와 경상남도를 잇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최근 고속도로 개통과 자동차 증가, 항만 시설 확장으로 인해 철도의 수송 분담률은 점차 감소하고 있다. 2015년 호남고속선 개통은 전라남도 철도 교통에 큰 변화를 가져왔다.7. 3. 도로
전라남도에는 8개의 고속도로 노선과 12개의 국도 노선, 7개의 국가지원지방도 노선, 그리고 708호선부터 897호선까지의 지방도 노선 등이 있다. 주요 고속도로로는 서해안고속도로, 무안광주고속도로, 광주대구고속도로, 광주외곽순환고속도로, 남해고속도로, 순천완주고속도로, 호남고속도로, 고창담양고속도로가 있다. 주요 국도는 1호선, 2호선, 13호선, 23호선 등이 있다.7. 4. 해운
전라남도의 해운업은 목포와 여수를 중심으로 발달해 왔다. 다도해에 흩어져 있는 수많은 섬들과 육지를 연결하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며, 특히 목포는 제주도와, 여수는 부산과 연결되는 주요 항로의 기지 역할을 한다. 최근에는 완도와 장흥의 해운업이 크게 성장하고 있다. 물류 항만으로는 목포신항과 광양항이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8. 경제
전라남도의 경제는 2020년 기준 지역내총생산 78조 1000억 원으로 2019년 대비 1.5% 증가했으며, 1인당 개인소득은 2010만 원으로 5.4% 증가했다.[37][38] 하지만 전국에서 가장 낮은 재정자립도를 보이며, 전국 평균의 절반 수준에 그쳤다.[38] 주요 산업시설로는 세계 최대 규모의 단일 제철소 중 하나인 포스코 광양제철소(Posco Gwangyang Steel Mill)(연산 2,100만 톤)과 국내 최대 석유화학 산업단지인 여수국가산업단지가 있다.[15] 전라남도의 경제는 이러한 대규모 산업시설에 크게 의존하고 있지만, 낮은 재정자립도는 지속적인 경제 발전을 위한 과제로 남아있다. 전라남도의 교육 수준은 2018년과 2022년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 전국 최하위 성적을 기록하며[39][40] 지역 간 교육 격차 문제를 보여준다.[41] 이러한 현실을 고려하여, 전남도의 경제적 어려움과 교육 환경 개선을 위한 정책적 노력이 필요하다. 전라남도에는 전남대학교 여수캠퍼스, 국립목포대학교, 국립목포해양대학교, 국립순천대학교 등의 국립대학교와 동신대학교, 목포가톨릭대학교, 세한대학교, 영산선학대학교 등의 사립대학교가 있다. 전문대학으로는 목포과학대학교, 순천제일대학교, 청암대학교, 한영대학교, 고구려대학교, 광양보건대학교, 동아보건대학교, 한국폴리텍대학 전남캠퍼스 등이 있다. 특히 전라남도는 부속도서가 많아 타 지역에 비해 중학교 분교가 많고, 일부 지역에서는 중학교 분교와 초등학교가 함께 운영되고 있다. 이러한 현황은 도서 지역의 열악한 교육 환경과 학생 수 감소 등의 요인과 관련이 있으며, 지속적인 개선 노력이 요구된다.
9. 교육
전라남도의 교육은 국립대학교와 사립대학교, 그리고 다양한 전문대학, 중학교, 고등학교, 초등학교로 구성되어 있다. 국립대학교로는 전남대학교 여수캠퍼스, 국립목포대학교, 국립목포해양대학교, 국립순천대학교가 있으며, 사립대학교는 동신대학교, 목포가톨릭대학교, 세한대학교, 영산선학대학교 등이 있다. 전문대학으로는 목포과학대학교, 순천제일대학교, 청암대학교, 한영대학교, 고구려대학교, 광양보건대학교(이홍하가 설립한 4개 대학 중 하나), 동아보건대학교 등이 있으며, 한국폴리텍대학 전남캠퍼스는 전라남도, 광주광역시, 전라북도를 관할한다. 전라남도는 부속도서가 많아 타 지역에 비해 중학교 분교가 많고, 일부 지역에서는 중학교 분교와 초등학교가 함께 운영되는 경우도 있다. 이는 섬 지역의 열악한 교육 환경과 학생 수 감소 등으로 인한 현상이며, 도서 지역 교육 여건 개선을 위한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9. 1. 교육 수준
전라남도는 2018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 전국 최하위 성적을 기록했다.[39] 2022년에도 같은 시험에서 다시 전국 최하위를 기록하며, 교육 수준 향상에 대한 과제를 드러냈다.[40] 반면, 서울 강남구와 대구 수성구와 같이 상대적으로 부유한 지역은 상위권 성적을 기록했다.[41] 이러한 결과는 지역 간 교육 격차 문제를 시사하며, 전라남도의 교육 환경 개선 및 학업 성취도 향상을 위한 정책적 노력이 필요함을 보여준다.9. 2. 4년제 대학교
전라남도에는 국립대학교와 사립대학교가 있다. 국립대학교로는 전남대학교 여수캠퍼스, 국립목포대학교, 국립목포해양대학교, 국립순천대학교가 있으며, 사립대학교로는 동신대학교, 목포가톨릭대학교, 세한대학교, 영산선학대학교가 있다.9. 3. 2년제 대학교
전라남도에는 여러 전문대학이 있다. 목포시에는 목포과학대학교가, 순천시에는 순천제일대학교와 청암대학교가 있다. 여수시에는 한영대학교가, 나주시에는 고구려대학교가 위치해 있다. 광양시에는 광양보건대학교가 있으며, 이 대학은 이홍하가 설립한 4개 대학 중 하나이다. 영암군에는 동아보건대학교가 있다. 참고로 한국폴리텍대학 전남캠퍼스는 전라남도를 포함한 광주광역시와 전라북도를 관할하는 지역거점 폴리텍대학이다.9. 4. 중학교·고등학교
전라남도는 부속도서가 많은 지리적 특성으로 인해 타 지역에 비해 중학교 분교가 많이 설립되어 운영되고 있다. 일부 지역에서는 중학교 분교와 초등학교가 함께 운영되는 경우도 있다.9. 5. 초등학교
전라남도는 다수의 부속도서를 가지고 있는 지역적 특성으로 인해, 다른 지역에 비해 중학교 산하 분교장이 많이 분포한다. 특히, 중학교 분교와 초등학교가 함께 운영되는 경우도 존재한다. 이는 섬 지역의 열악한 교육 환경과 학생 수 감소 등의 요인과 관련이 있다. 도서 지역의 교육 여건 개선을 위해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하다.10. 문화
전라남도의 문화는 다양한 역사적 유적과 아름다운 자연경관, 그리고 독특한 전통문화를 바탕으로 이루어져 있다. 순천의 낙안읍성 민속마을은 전통적인 생활상을 엿볼 수 있는 곳이며, 여수의 진남관은 임진왜란 당시의 역사를 보여주는 중요한 유적이다. 순천에는 송광사와 선암사라는 유명한 사찰이 있으며, 목포는 근대역사관과 갓바위, 유달산 등을 통해 근대 역사와 아름다운 자연을 동시에 경험할 수 있다. 해남의 땅끝마을과 미황사, 구례의 화엄사, 담양의 죽녹원과 메타세쿼이아 가로수길, 소쇄원, 보성의 대한다원 녹차밭 등은 전라남도의 아름다운 자연을 대표하는 곳들이다. 도초도의 성각사 또한 전라남도의 문화유산을 대표하는 사찰 중 하나다. 여수의 미술관, 목포 갓바위, 취엇탕 등은 전라남도의 다채로운 문화를 보여주는 예시이다.
전라남도에는 송광사를 비롯한 많은 사찰이 있다. 송광사는 합천 해인사, 양산 통도사와 함께 한국 삼보사찰 중 하나로 꼽히며,[42] 신라 말엽 혜린대사가 세운 작은 암자에서 시작하여 보조국사 지눌에 의해 승보사찰로 발전했다. 지눌과 진각을 비롯한 16국사를 배출한 유서 깊은 사찰로, 목조삼존불감, 국사전 등의 국보와 보물을 소장하고 있다.
전라남도의 문화재는 유형문화재(전라남도의 유형문화재), 무형문화재(전라남도의 무형문화재), 기념물(전라남도의 기념물), 민속문화재(전라남도의 민속문화재), 문화재자료(전라남도의 문화재자료) 등 다양한 종류로 나뉘며, 건축물, 조각, 회화, 전통 예술, 기술, 공예, 역사적·학술적 가치가 높은 유적 등을 포함한다. 각 문화재 목록에는 상세 정보와 사진이 포함되어 있어 전라남도의 풍부한 문화유산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된다.
10. 1. 축제
전라남도에서는 다양한 축제가 열린다. 대표적인 축제로는 보성다례축제, 여수거북선축제, 함평나비축제, 순천만국제정원박람회 등이 있다. 보성다례축제는 한국의 전통 차 문화를 체험할 수 있는 축제이며, 여수거북선축제는 이순신 장군의 업적을 기리는 축제이다. 함평나비축제는 나비를 테마로 한 아름다운 축제이며, 순천만국제정원박람회는 세계 각국의 정원을 감상할 수 있는 국제적인 행사이다. 이 외에도 지역별로 다양한 특색있는 축제들이 개최되어 전라남도의 매력을 더하고 있다. 자세한 내용은 각 축제의 항목을 참고하는 것이 좋다. 보성다례축제, 여수거북선축제, 함평나비축제, 순천만국제정원박람회10. 2. 사찰
전라남도에는 많은 사찰이 있으며, 그 중 대표적인 곳이 순천시 송광면 신평리 조계산 북쪽 기슭에 위치한 송광사이다. 합천 해인사, 양산 통도사와 함께 한국 삼보사찰 중 하나로 꼽히는 송광사는[42] 신라 말엽 혜린대사가 작은 암자를 짓고 길상사라 부르던 것을 시작으로, 보조국사 지눌이 정혜사를 이곳으로 옮겨 수도와 참선 도량으로 삼으면서 승보사찰로 발전하였다. 지눌과 진각을 비롯해 16국사를 배출한 유서 깊은 사찰이며, 목조삼존불감, 국사전 등의 국보와 보물을 보유하고 있다.10. 3. 전라남도의 문화재
전라남도에는 다양한 문화재가 있다. 전라남도의 유형문화재에는 건축물, 조각, 회화 등 유형의 문화재가 포함되어 있으며, 전라남도의 무형문화재는 전통적인 예술, 기술, 공예 등 무형의 문화유산을 보존하고 있다. 전라남도의 기념물은 역사적, 학술적 가치가 높은 자연 및 인공 유적을 보호하기 위해 지정된다. 전라남도의 민속문화재는 전통적인 생활문화와 관련된 유형 및 무형의 문화재를 포함하며, 전라남도의 문화재자료는 역사적, 예술적, 학술적 가치가 있는 자료들을 보존하기 위해 지정된다. 각 목록에는 해당 문화재의 상세 정보와 사진 등이 포함되어 있으며, 전라남도의 풍부한 문화유산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줄 것이다.11. 스포츠
전라남도는 전남 드래곤즈를 비롯한 여러 프로 및 아마추어 스포츠 팀의 연고지이다. K리그2에는 전남 드래곤즈가 1994년 창단되어 광양축구전용구장을 홈 경기장으로 사용하고 있다. K3리그에는 2009년 창단된 목포시청 축구단이 목포국제축구센터에서 경기를 치른다. K5리그에는 신안 FC(2020년 창단, 목포국제축구센터), 영광 FC(2010년 창단, 영광스포티움), 여수 안심산클럽(2020년 창단, 여수진남운동장), 순천 천명 FC(2020년 창단, 팔마종합운동장) 등이 있다.
12. 해외 교류
전라남도는 다양한 국가의 여러 도시 및 주와 자매결연 또는 협력 관계를 맺고 있다. 독일의 브레멘주와 슐레스비히홀슈타인주, 러시아의 노보시비르스크주, 말레이시아의 크다주, 미국 메릴랜드주, 미주리주, 버지니아주, 애리조나주, 오리건주, 베트남의 바리어붕따우성과 껀터, 인도네시아의 서자와주와 중앙술라웨시주, 일본의 고치현, 나가사키현, 사가현, 야마구치현, 후쿠오카현, 중국의 산둥성, 산시성(산서성), 상하이시, 쓰촨성, 장시성, 장쑤성, 저장성, 충칭시, 푸젠성, 후난성, 체코의 모라바슬레스코주, 콜롬비아의 보야카주, 키르기스스탄의 추이주, 태국의 라용주, 필리핀의 리살주 등이 이에 해당한다. 특히, 미국과 중국과의 교류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다양한 분야에서 협력 관계를 구축하고 있다. 이러한 국제 교류를 통해 전라남도는 경제적, 문화적 발전을 도모하고 있다. 브레멘주, 슐레스비히홀슈타인주, 노보시비르스크주, 크다주, 메릴랜드주, 미주리주, 버지니아주, 애리조나주, 오리건주, 바리아붕따우성, 껀터, 서자와주, 중앙술라웨시주, 고치현, 나가사키현, 사가현, 야마구치현, 후쿠오카현, 산둥성, 산시성 (산서성), 상하이시, 쓰촨성, 장시성, 장쑤성, 저장성, 충칭시, 푸젠성, 후난성, 모라바슬레스코주, 보야카주, 추이주, 라용주, 리살주 등과의 협력 관계는 전라남도의 국제적 위상을 높이는 데 기여하고 있다.
13. 종교
2005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전라남도의 종교 분포는 다음과 같다. 무종교가 53.4%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며, 개신교 21.8%, 불교 16.1%, 천주교 8.7% 순으로 나타났다.[14] 무종교 비율이 높은 것은 전통적인 무속 신앙이나 기타 토착 종교의 영향도 고려해 볼 수 있다. 이는 전라남도의 독특한 문화적 배경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14. 저명한 출신 인물
전라남도 출신의 저명한 인물들은 정치, 문화, 예술 등 다양한 분야에서 큰 업적을 남겼다. 대표적으로는 대한민국 15대 대통령이었던 김대중 전 대통령을 들 수 있다. 그의 민주화 운동과 대북햇볕정책은 한국 현대사에 큰 영향을 미쳤다. [20] 또한, 전라남도 출신으로는 이낙연 전 국무총리도 있다. 그는 총리 재임 시절, 뛰어난 국정 운영 능력을 보여주었다. [21] 한화갑 전 민주당 대표, 박지원 전 대통령 비서실장 및 문화관광부 장관 등 정치계 인물들도 전라남도 출신으로 활약했다.
문화예술 분야에서는 영화 감독 임권택, 소설가 조정래 등이 전라남도 출신으로 유명하다. 이세돌 9단과 김인 9단 등 바둑계의 거장들도 전라남도 출신이다. 전 프로레슬러 대목금타로(김일)와 1936년 베를린 올림픽 마라톤에서 동메달을 획득한 남승룡 선수도 전라남도 출신이다. 유학자 황현 또한 전라남도의 자랑스러운 인물이다. 가수 남진, 배우 오지호, 이요니, 김옥빈, 동방신기의 유노윤호, 엑소의 카이, 그리고 슈퍼주니어의 동해 등 다수의 유명 연예인들도 전라남도 출신이다. [22] 또한, GOT7의 ヨンジェ, 크래비티의 민희, fromis_9의 백지헌 등 K팝 아이돌들도 전라남도에서 활동하고 있다. 전 농림부 장관을 지낸 김영진과 제7대 헌법재판소장인 유남석 등도 전라남도 출신의 저명한 인물들이다.
참조
[1]
웹사이트
Official website (English)
https://www.jeonnam.[...]
[2]
웹사이트
https://www.jeonbuk.[...]
[3]
웹사이트
전라남도청누리집 - 연혁
https://www.jeonnam.[...]
[4]
웹사이트
전라남도청누리집 - 연혁
https://www.jeonnam.[...]
[5]
웹사이트
전라남도청누리집 - 연혁
https://www.jeonnam.[...]
[6]
웹사이트
전라남도청누리집 - 연혁
https://www.jeonnam.[...]
[7]
웹사이트
전라남도청누리집 - 연혁
https://www.jeonnam.[...]
[8]
웹사이트
Clean Natural Environment
https://www.jeonnam.[...]
2024-05-04
[9]
웹사이트
World Urbanization Prospects
https://population.u[...]
2020-02-20
[10]
웹사이트
Population Census
https://kosis.kr/sta[...]
Statistics Korea
[11]
웹사이트
KOSIS
https://kosis.kr/sta[...]
2023-04-24
[12]
웹사이트
Background Brief on International Trade
https://web.archive.[...]
2008-07-21
[13]
웹사이트
Consulta
https://www.anmp.pt/[...]
[14]
웹사이트
2005 Census - Religion Results
https://web.archive.[...]
[15]
웹사이트
Investment Attractiveness
https://www.jeonnam.[...]
[16]
웹사이트
韓国国家統計ポータル > 統計作成機関別 > 全羅南道 > 全羅南道統計年報
http://kosis.kr/
2016-09-11
[17]
웹사이트
주민등록 인구통계 - 행정안전부
https://jumin.mois.g[...]
2024-01-02
[18]
뉴스
한강투신 박태영 전남지사 사망
http://article.joins[...]
중앙일보
2004-06-24
[19]
웹사이트
高知県の自治体間交流
http://www.clair.or.[...]
[20]
뉴스
韓国大統領 新任憲法裁判所長に劉南碩氏内定
http://world.kbs.co.[...]
한국방송공사
2018-08-30
[21]
text
[22]
웹사이트
아이돌 고향을 찾아서② 예향, 명창 낳고 아이돌 키웠다
http://sports.khan.c[...]
스포츠경향
2017-06-23
[23]
웹인용
행정구역별 국토면적 현황
https://www.index.go[...]
2023-12
[24]
웹인용
주민등록 인구통계
https://jumin.mois.g[...]
2024-11
[25]
웹인용
시도별 경제활동별 지역내총생산
https://kosis.kr/sta[...]
2022-12-22
[26]
웹인용
시도별 1인당 지역내총생산, 지역총소득, 개인소득
https://kosis.kr/sta[...]
2022-12-22
[27]
웹사이트
https://www.jeonnam.[...]
[28]
서적
칙령 제98호 지방 제도의 개정에 관한 안건〔地方制度改正件〕
(고종실록 32년 음력 5월 26일) #날짜 형식 변경 불가. 날짜 정보만 추출
[29]
서적
칙령 제36호 지방 제도와 관제 개정에 관한 안건〔地方制度官制改正件〕
(고종실록 33년 8월 4일) #날짜 형식 변경 불가. 날짜 정보만 추출
[30]
서적
전남사정지 하권
1930
[31]
법령
조선총독부령 제6호
1910-10-01
[32]
법령
군정법령 제94호 제주도의설치
1946-07-02
[33]
웹사이트
전라북도의 지리
http://www.jeonnam.g[...]
2011-08-20
[34]
웹사이트
전라남도 행정 구역
http://www.jeonnam.g[...]
2012-01-01
[35]
간행물
인구주택총조사
통계청
[36]
웹사이트
행정자치부 주민등록인구통계
http://27.101.213.4/[...]
[37]
웹인용
광주·전남 재정자립도 32.5% ‘전국 꼴찌’
http://www.kjdaily.c[...]
[38]
웹인용
전남 재정자립도, 전국 평균의 절반···지방 소멸 가속 우려
https://www.mdilbo.c[...]
[39]
웹인용
전국 '꼴찌' 불명예…전라남도 교육 현실 '심각'
http://honamnews.kr/[...]
[40]
웹인용
김대중 전남교육감 후보, "전남 학력 역대 꼴찌, 이제 그만"
https://www.netongs.[...]
[41]
웹인용
대구 수성구 소재 고교 6곳, 의대 합격 전국 30위권 ... 유명 학군지 명색 이어가
https://www.dkilbo.c[...]
[42]
웹인용
한국관광공사
http://www.visitkore[...]
2011-08-1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