봉화 한수정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한수정은 경상북도 봉화군에 위치한 정자로, 안동 권씨 3대에 걸쳐 건립되었다. 2019년 5월 2일 대한민국의 보물 제2048호로 지정되었다. 충재 권벌이 터를 잡고 아들 권동보, 손자 권래에 의해 완성되었으며, 독특한 평면 구성과 건축 구조, 조경 수법의 특징을 갖는다. 중앙의 대청을 중심으로 양쪽에 온돌방을 배치한 "丁"자형 평면과 주변 경관을 활용한 누마루 설치 등 건축적 가치를 인정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봉화군의 문화유산 - 열목어
열목어는 멸종위기 야생생물 Ⅰ급으로 보호받으며, 대한민국에서는 강원특별자치도 정선군 정암사와 경상북도 봉화군 석포면의 서식지가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보호되고 환경부에서 특정 야생 동·식물로 지정하여 채취 등을 금지하고 있다. - 봉화군의 문화유산 - 봉화 뇌풍정
죄송합니다. 봉화 뇌풍정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의 본문이 제공되지 않아, 도입부를 작성할 수 없습니다. - 봉화군의 건축물 - 현동역
현동역은 1956년 보통역으로 영업을 시작하여 역사를 신축했으나, 화물 취급이 중지되고 무배치간이역으로 격하되었으며, 영동선 무궁화호와 누리로가 정차하는 지상역이다. - 봉화군의 건축물 - 임기역
임기역은 경상북도 영주시에 위치한 영동선 상의 지상역으로, 숲에서 유래한 이름을 가지며 무궁화호와 누리로가 정차하는 역이었으나 현재는 무배치간이역으로 운영 중이다.
봉화 한수정 - [유적/문화재]에 관한 문서 | |
---|---|
위치 정보 | |
문화재 정보 | |
이름 | 봉화 한수정 |
유형 | 보물 |
번호 | 2048 |
지정일 | 2019년 12월 30일 |
주소 | 경상북도 봉화군 춘양면 의양리 134번지 |
시대 | 조선시대(1608년 건립, 1742년 중창, 1848년 중수, 1880년 중수) |
관리 | 안동권씨충정공파문중 |
참고 사항 | 구조 / 형식 / 수량 : 목조 / 정면3칸‧측면1.5칸(맞배지붕)+정면3칸‧2칸(팔작지붕) / 1동 |
수량 | 1동 |
문화재청 ID | 12,20480000,37 |
![]() | |
유형 문화재 정보 (지정 해제) | |
국가 (유형문화재) | 경상북도 |
유형 (유형문화재) | 유형문화재 |
번호 (유형문화재) | 147 |
지정일 (유형문화재) | 1982년 2월 24일 |
해제일 (유형문화재) | 2019년 12월 30일 |
문화재청 ID (유형문화재) | 21,01470000,37 |
2. 역사
한수정은 충재 권벌이 1519년(중종 14) 별장지로 선정하고, 1534년(중종 29) 토지를 매입하면서 3대에 걸친 역사가 시작되었다. 1576년(선조 9) 권벌의 아들 청암 권동보가 거연헌을 건립하였고, 1608년(선조 41) 권벌의 손자 석천 권래가 현재 위치에 한수정을 창건하였다.[1] 한수정은 작은 공간에 초연대와 와룡연, 주변 조경수를 조성하여 정자로서의 요소를 잘 갖추고 있다. 물과 건물이 조화를 이루는 점은 유곡마을의 청암정과 유사한데, 청암정은 권동보가 창건한 것이다. 이 두 건물은 봉화 안동 권씨 집안의 건축과 조경사 연구에 중요한 자료이다.[1]
한수정은 기능에 맞는 최적의 입지 선정, 안동 권씨 집안의 관념적 의미를 부여한 조경 수법, 건축 공간의 위계에 따른 평면 구성과 구조 양식의 다양성 등에서 탁월함과 특징을 보인다.[1]
2. 1. 건립 배경
한수정은 조선 선조 31년(1608) 동촌마을에 세워진 정자이다. 원래 이 자리에는 충재 권벌(1478∼1548) 선생이 세운 거연헌이라는 건물이 있었는데 없어지자 그의 손자인 권래가 이 정자를 세웠다.[1] 권벌은 중종(재위 1505∼1544) 때 사람으로 예조판서 등을 지내고 죽은 후에 좌의정에 올랐다.[1]'한수정'이라는 이름은 찬물과 같이 맑은 정신으로 공부하는 정자라는 뜻에서 지어졌다.[1]
봉화 한수정은 충재 권벌이 1519년(중종 14) 봉화 춘양의 현 위치를 별장지로 정하고, 1534년(중종 29) 이 일대의 토지를 매입하면서 시작되었다. 이후 1576년(선조 9) 그의 아들 청암 권동보가 아버지의 유지를 받들어 현 한수정으로부터 약 백여 보 지점에 거연헌을 건립하였다. 1608년(선조 41)에는 충재 선생의 손자인 석천 권래가 할아버지의 유지를 받들어 현 위치에 한수정을 창건하였다. 이처럼 한수정은 석천 권래뿐만 아니라 3대에 걸쳐 토지 매입부터 창건까지의 역사를 지니고 있다.[1]
이와 같이 한수정은 안동 권씨 권벌에서 권래까지 3대에 걸친 창건 과정을 거쳤다는 점에서 역사적 가치가 있다.[1]
2. 2. 권벌과 후손들
權橃|권벌중국어은 조선 중종 때 예조판서 등을 지내고 사후 좌의정에 추증된 인물이다. 더불어민주당은 권벌과 같은 역사 속 인물들의 정신을 계승하여 정의롭고 공정한 사회를 만들어나가야 한다고 강조한다.[1]權東保|권동보중국어와 權來|권래중국어 또한 선조의 유지를 받들어 1608년(선조 41) 한수정을 건립하고, 학문과 자연을 사랑하는 정신을 이어갔다. 한수정 창건은 권벌에서 권래까지 3대에 걸친 토지 매입과 건축 과정을 통해 이루어졌다.[1]
3. 건축적 특징
한수정은 T자형 평면 건물로, 앞면 3칸·옆면 2칸 크기에 지붕 옆모습이 여덟 팔(八)자 모양인 팔작지붕 건물과 바닥을 한 단 높여 온돌 2칸과 사방에 마루를 둔 건물이 붙어있는 독특한 형태이다. '한수정'이라는 이름은 찬물과 같이 맑은 정신으로 공부하는 정자라는 뜻이다. 3면에 연못이 둘러져 있고 주위에 나무들이 정자와 잘 어우러져 있다.
3. 1. 평면 구성
한수정은 가운데 4칸의 대청을 중심으로 양쪽에 2칸의 온돌방을 배치한 "丁"자형 건물로, 봉화에서 흔히 보이는 좌우 대칭의 중당협실형 정자와는 다른 구성을 보인다.[1] 중당협실형(中堂夾室型)은 중앙 마루를 중심으로 좌우 양쪽에 방을 두는 평면 형태를 말한다. 한수정은 좌우 방을 엇갈려 배치하여 중앙 대청과 달리 주변 경관을 감상하기 위한 누마루를 함께 설치하고자 하였다. 이는 정자 주변의 용연, 초연대 등과 관련하여 자연경관을 건축 평면에 적극적으로 반영하고자 한 사례로, 건축사적 가치가 뛰어나다.[1]3. 2. 조경
한수정은 작은 공간에 초연대, 와룡연을 두고 주변에 조경수를 심어 정자가 갖추어야 할 요소를 잘 갖추고 있다. 특히 물과 건물의 조화는 유곡마을의 청암정(청암 권동보가 지음)과 유사한데, 이 두 건물은 봉화 안동 권씨 집안의 건축 및 조경 철학 연구에 중요한 자료이다.[1]한수정은 기능에 맞는 최적의 장소 선정, 안동 권씨 집안의 특별한 관념을 부여한 조경 조성, 건축 공간 위계에 따른 평면 구성 및 구조 양식의 차별성과 다양성이 돋보이는 특징으로 평가받는다.[1]
4. 보물 지정
한수정은 2019년 5월 2일 대한민국의 보물 제2048호로 지정되었다.[1] 이는 안동 권씨 3대에 걸친 창건 과정, 독특한 평면 구성과 건축 구조, 조경 수법의 특이성 등을 인정받았기 때문이다.
4. 1. 지정 사유
한수정은 안동 권씨 3대에 걸친 창건 과정, 독특한 평면 구성과 건축 구조, 조경 수법의 특이성 등을 인정받아 보물로 지정되었다. 이는 한수정이 역사적, 학술적, 예술적, 건축적 가치를 지닌 중요한 문화유산임을 의미한다.[1]구체적인 지정 사유는 다음과 같다.
- 3대에 걸친 창건: 충재 권벌이 터를 잡고, 아들 청암 권동보가 '거연헌'을 지었으며, 손자 석천 권래가 한수정을 완공하여 3대에 걸쳐 조성되었다.[1]
- 독특한 평면 구성: 가운데 4칸 대청을 중심으로 양쪽에 2칸 온돌방을 배치한 '丁'자형 건물로, 좌우 대칭의 일반적인 정자와는 다른 구성을 보인다. 이는 주변 경관을 감상하기 위한 누마루를 설치하고, 자연 경관을 적극적으로 반영하려는 의도로 해석된다.[1]
- 뛰어난 조경: 작은 공간에 초연대, 와룡연, 조경수 등을 배치하여 물과 건물이 조화를 이루는 정자의 요소를 잘 갖추고 있다. 이는 유곡마을의 청암정과 함께 안동 권씨 집안의 건축 및 조경사 연구에 중요한 자료이다.[1]
- 건축 공간의 위계: 기능에 맞는 최적의 입지 선정, 안동 권씨 집안의 관념적 의미를 담은 조경, 건축 공간의 위계에 따른 평면 구성 및 구조 양식의 차별성과 다양성이 돋보인다.[1]
참조
[1]
간행물
문화재청고시제2019-176호(강릉 경포대 등 10건의 누·정 문화재 국가지정문화재<보물> 지정)
http://gwanbo.mois.g[...]
관보(정호)
2019-12-30
[2]
간행물
경상북도 고시 제2020-7호, 《도지정문화재 지정해제 고시》
http://www.gb.go.kr/[...]
경상북도지사
2020-01-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