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좌의정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좌의정은 고려 시대 문하부의 종1품 관직에서 유래하여, 조선 시대에 이르러 국왕을 보좌하고 백관을 통솔하며 국정을 총괄하는 중요한 직책이었다. 조선 건국 초기에는 문하좌시중으로 시작하여 여러 차례 명칭이 변경되었으며, 1396년 이후에는 영의정이 내각을 총괄하면서 영의정 다음 서열의 정1품 관직이 되었다. 1894년 갑오개혁으로 내각총리대신 제도가 시행되면서 우의정, 영의정과 함께 폐지되었다. 좌의정을 역임한 인물로는 황희, 맹사성, 김종서, 신숙주, 한명회, 이산해, 류성룡, 이항복, 최명길, 김상헌, 송시열, 채제공 등이 있으며, 이들은 조선의 정치, 외교, 국방, 문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한국의 재상 - 대제학
    대제학은 조선 시대 문한을 담당하는 관청의 최고위 정2품 관직으로, 학술 및 외교 문서 작성과 왕의 자문에 응하는 역할을 수행했다.
  • 한국의 재상 - 문하시중
    문하시중은 고려 시대에 설치된 최고 관직 중 하나로, 시대에 따라 명칭과 역할이 변화하며 고려 후기 왕권 강화와 정치 개혁, 권력 다툼의 중심에 있었고, 조선 건국 후 정승으로 개칭되어 조선 정치 체제의 기반이 되었다.
  • 조선의 관직과 칭호 - 현감
    현감은 고려와 조선 시대에 각 현을 다스리던 지방관을 지칭하며, 조선 시대에는 종6품의 외관직으로 사법, 행정, 군사 업무를 관장하였다.
  • 조선의 관직과 칭호 - 관찰사
    관찰사는 중국, 한국, 일본에서 지방 행정 감찰관직으로, 당나라 채방처치사에서 시작되어 관찰처치사로 개칭되며 명칭이 유래되었고, 한국 고려 시대부터 조선 시대에 정착하여 각 도에 파견된 종2품 문관직으로 지방 행정 전반에 걸쳐 권한을 행사했다.
  • 조선의 좌의정 - 정유길
    정유길은 조선 중기 문신으로, 중종 때 문과에 급제하여 여러 관직을 거쳐 명종 때 왕의 총애를 받았으며, 윤원형 탄핵에 앞장서 훈구파, 소윤파, 사림파 모두에게 존경받아 좌의정에 이르렀다.
  • 조선의 좌의정 - 김홍집
    김홍집은 조선 말기 온건 개화파 정치가로서 일본에 수신사로 다녀온 후 개화사상을 수용하고 갑오개혁과 을미개혁을 주도했으나, 친일 정책과 단발령으로 민심을 잃고 아관파천 때 살해당하며 조선 근대화에 기여했으나 일본 간섭을 초래했다는 비판을 받는다.
좌의정
개요
조선 세종 시대 좌의정을 지낸 하연의 초상
조선 세종 시대 좌의정을 지낸 하연의 초상
다른 이름좌상, 좌정승, 좌규, 좌합, 좌대
상세 정보
한자 표기左議政
로마자 표기Jwauijeong
구분조선의 정2품 관직
역할의정부의 종2품 관직

2. 역대 좌의정

wikitext

고려 말 문하부의 종1품 관직으로, 최고위 관직 중 하나였다. 고려 충렬왕 때 문하부가 첨의부로 개편되면서 문하찬성사로 바뀌었다가, 공민왕 때 다시 문하부로 바뀌면서 문하좌시중으로 환원되었다.

1392년 조선 건국 후에도 배극렴조준이 문하좌시중에 임명되어 관직이 유지되었다. 그러나, 같은 해 12월에 조준은 문하좌정승으로 개칭되었다. 1400년 정종 대에는 의정부 판사(議政府判事)로 개칭되었다가, 1418년 태종 대에 다시 좌의정부사(左議政府事)로 개명되었다. 1455년 세조가 의정부 좌의정으로 명칭을 개칭했다.

1396년까지는 영의정은 명예직에 불과했고, 좌의정과 우의정이 정무를 주관했지만, 1396년부터는 영의정이 내각의 수위직을 맡게 되었다. 영의정보다 서열은 낮지만, 우의정의 상급 직위이며, 같은 정1품 상급 대광보국숭록대부의 직위이다.

1894년, 우의정·영의정과 통합되어 내각총리대신으로 변경되어, 이 관직은 폐지되었다.

좌의정을 역임한 사람은,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직위는 영의정과 같았으며, 송시열, 김상헌, 김상용을 제외하고는 사후 영의정으로 증직되지 않았다.

2. 1. 태조

고려 말 문하부의 종1품 관직으로, 최고위 관직 중 하나였다. 고려 충렬왕 때 문하부가 첨의부로 개편되면서 문하찬성사로 바뀌었다가, 공민왕 때 다시 문하부로 바뀌면서 문하좌시중으로 환원되었다.

1392년 조선 건국 후에도 배극렴조준이 문하좌시중에 임명되어 관직이 유지되었다. 그러나, 같은 해 12월에 조준은 문하좌정승으로 개칭되었다. 1400년 정종 대에는 의정부 판사(議政府判事)로 개칭되었다가, 1418년 태종 대에 다시 좌의정부사(左議政府事)로 개명되었다. 1455년 세조가 의정부 좌의정으로 명칭을 개칭했다.

1396년까지는 영의정은 명예직에 불과했고, 좌의정과 우의정이 정무를 주관했지만, 1396년부터는 영의정이 내각의 수위직을 맡게 되었다. 영의정보다 서열은 낮지만, 우의정의 상급 직위이며, 같은 정1품 상급 대광보국숭록대부의 직위이다.

1894년, 우의정·영의정과 통합되어 내각총리대신으로 변경되어, 이 관직은 폐지되었다.

좌의정을 역임한 사람은,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직위는 영의정과 같았으며, 송시열, 김상헌, 김상용을 제외하고는 사후 영의정으로 증직되지 않았다.

태조 3년 음력 10월 10일 '시중'을 '정승'으로 고치면서, '문하좌시중'을 '문하좌정승'으로 부르기 시작하였다.

대수성명본관취임일퇴임일비고
1조준평양태조 3년(1394년) 음력 10월 10일정종 원년(1399년) 음력 12월 1일개국공신


2. 1. 1. 문하좌시중

고려 말 문하부의 종1품 관직으로, 최고위 관직 중 하나였다. 고려 충렬왕 때 문하부가 첨의부로 개편되면서 문하찬성사로 바뀌었다가, 공민왕 때 다시 문하부로 바뀌면서 문하좌시중으로 환원되었다.

1392년 조선 건국 후에도 배극렴조준이 문하좌시중에 임명되어 관직이 유지되었다. 그러나, 같은 해 12월에 조준은 문하좌정승으로 개칭되었다. 1400년 정종 대에는 의정부 판사(議政府判事)로 개칭되었다가, 1418년 태종 대에 다시 좌의정부사(左議政府事)로 개명되었다. 1455년 세조가 의정부 좌의정으로 명칭을 개칭했다.

1396년까지는 영의정은 명예직에 불과했고, 좌의정과 우의정이 정무를 주관했지만, 1396년부터는 영의정이 내각의 수위직을 맡게 되었다. 영의정보다 서열은 낮지만, 우의정의 상급 직위이며, 같은 정1품 상급 대광보국숭록대부의 직위이다.

1894년, 우의정·영의정과 통합되어 내각총리대신으로 변경되어, 이 관직은 폐지되었다.

좌의정을 역임한 사람은,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직위는 영의정과 같았으며, 송시열, 김상헌, 김상용을 제외하고는 사후 영의정으로 증직되지 않았다.

2. 1. 2. 문하좌정승

태조 3년 음력 10월 10일 '시중'을 '정승'으로 고치면서, '문하좌시중'을 '문하좌정승'으로 부르기 시작하였다.

대수성명본관취임일퇴임일비고
1조준평양태조 3년(1394년) 음력 10월 10일정종 원년(1399년) 음력 12월 1일개국공신


2. 2. 정종

1392년 조선 개국 이후 문하좌시중을 배극렴이 맡았다. 이후 1392년부터 1399년까지는 조준이 문하좌정승을 맡았다.

이름재임 기간국왕비고
심덕부1399년-1400년정종문하좌정승, 늙었다는 이유로 사직
성석린1400년정종문하좌정승, 어머니가 늙어서 사직
민제1400년정종문하좌정승
이거이1400년-1401년정종문하좌정승



1399년부터 1400년까지는 심덕부정종의 신임을 받아 좌의정을 맡았으나, 늙었다는 이유로 사직했다. 1400년에는 성석린정종의 명으로 좌의정에 임명되었으나, 어머니가 늙어서 봉양해야 한다는 이유로 사직했다. 1400년에는 민제가, 1400년부터 1401년까지는 이거이가 문하좌정승을 역임하였다.

2. 2. 1. 문하좌정승

1392년 조선 개국 이후 문하좌시중을 배극렴이 맡았다. 이후 1392년부터 1399년까지는 조준이 문하좌정승을 맡았다.

대수성명본관취임일퇴임일아호시호붕당비고
2심덕부
(沈德符)
청송
(靑松)
정종 1년(1399년)
음력 12월 1일
정종 2년(1400년)
음력 3월 3일
득지
(得之)
노당
(蘆堂)
정안
(定安)
개국공신늙었다는 이유로 사직을 청함
3성석린
(成石璘)
창녕
(昌寧)
정종 2년(1400년)
음력 3월 15일
정종 2년(1400년)
음력 9월 8일
자수
(自修)
독곡
(獨谷)
문경
(文景)
좌명공신어머니가 늙어서 사직을 청함
4민제
(閔霽)
여흥
(驪興)
정종 2년(1400년)
음력 9월 8일
정종 2년(1400년)
음력 11월 13일
중회
(仲晦)
어은
(漁隱)
문도
(文度)
정사공신
5이거이
(李居易)
청주
(淸州)
정종 2년(1400년)
음력 11월 13일
태종 1년(1401년)
음력 3월 29일
낙천
(樂天)
청허자
(淸虛子)
문도
(文度)



1399년부터 1400년까지는 심덕부가, 1400년에는 성석린이, 1400년에는 민제가, 1400년부터 1401년까지는 이거이가 문하좌정승을 역임하였다.

2. 3. 태종

1392년 이성계가 조선을 건국한 이후 초기에는 문하좌시중(門下省左侍中)으로 불렸다. 1400년 (정종 2년) 관제 개혁으로 의정부 판사(議政府判事)로 개칭되었다가, 1418년 (태종 18년)에 좌의정부사(左議政府事)로 다시 변경되었다.

초기에는 영의정이 명예직이었기 때문에 좌의정이 실질적인 정무를 담당했지만, 1396년부터 영의정이 내각 수반 역할을 맡게 되면서 좌의정은 그 아래 서열이 되었다. 하지만 여전히 우의정보다는 상급 직위였으며, 정1품 상급 대광보국숭록대부 품계를 유지했다.

1894년 갑오개혁 당시 내각총리대신으로 통합, 개편되면서 좌의정 직위는 폐지되었다.

좌의정을 역임한 인물들은 대부분 사후 영의정으로 증직되었으나, 송시열, 김상헌, 김상용 등은 예외였다.

태종 원년(1401년) 음력 7월 13일, 관제 개편으로 문하부가 폐지되고 의정부가 세워지면서 문하좌정승이 좌정승으로 개칭되었다.

대수성명본관취임일퇴임일붕당비고
1김사형
(金士衡)
안동
(安東)
태종 원년(1401년)
음력 7월 13일
태종 2년(1402년)
음력 10월 4일
개국공신
2하륜
(河崙)
진주
(晉州)
태종 2년(1402년)
음력 10월 4일
태종 4년(1404년)
음력 6월 6일
정사공신
3조준
(趙浚)
평양
(平陽)
태종 4년(1404년)
음력 6월 6일
태종 5년(1405년)
음력 1월 15일
영의정부사로 임명됨
4하륜
(河崙)
진주
(晉州)
태종 5년(1405년)
음력 1월 15일
태종 7년(1407년)
음력 7월 4일
좌명공신재이(災異)로 인한 사직
5성석린
(成石璘)
창녕
(昌寧)
태종 7년(1407년)
음력 7월 4일
태종 12년(1412년
음력 8월 21일
영의정부사로 임명됨
6하륜
(河崙)
진주
(晉州)
태종 12년(1412년)
음력 8월 21일
태종 14년(1414년)
음력 4월 17일
영의정부사로 임명됨



태종 14년(1414년) 음력 4월 17일, 좌우정승 관직이 '판의정부사'로 재편되었다. 이는 왕권 강화를 위한 조치로, 의정부의 권한을 축소하고 왕에게 권력을 집중시키려는 태종의 의도가 반영된 결과였다.

대수성명본관취임일퇴임일아호시호붕당비고
1남재
(南在)
의령
(宜寧)
태종 14년(1414년)
음력 4월 17일
태종 14년(1414년)
음력 6월 12일
경지
(敬之)
구암
(龜巖)
충경
(忠景)
개국공신



태종 14년(1414년) 음력 6월 12일 관직 재개편에 따라 '판의정부사'가 '좌의정'으로 개칭되었다.

이름재임 기간국왕비고
한글 이름한자 이름
하륜河崙1414-1415태종
류정현柳廷顯1416태종
박은朴訔1416-1421태종
류정현柳廷顯1426태종


2. 3. 1. 문하좌정승

1392년 이성계가 조선을 건국한 이후 초기에는 문하좌시중(門下省左侍中)으로 불렸다. 1400년 (정종 2년) 관제 개혁으로 의정부 판사(議政府判事)로 개칭되었다가, 1418년 (태종 18년)에 좌의정부사(左議政府事)로 다시 변경되었다. 1455년 (세조 즉위년)에 최종적으로 의정부 좌의정으로 명칭이 확정되었다.

초기에는 영의정이 명예직이었기 때문에 좌의정이 실질적인 정무를 담당했지만, 1396년부터 영의정이 내각 수반 역할을 맡게 되면서 좌의정은 그 아래 서열이 되었다. 하지만 여전히 우의정보다는 상급 직위였으며, 정1품 상급 대광보국숭록대부 품계를 유지했다.

1894년 갑오개혁 당시 내각총리대신으로 통합, 개편되면서 좌의정 직위는 폐지되었다.

좌의정을 역임한 인물들은 대부분 사후 영의정으로 증직되었으나, 송시열, 김상헌, 김상용 등은 예외였다.

대수성명본관취임일퇴임일아호시호붕당비고
6김사형
(金士衡)
안동
(安東)
태종 원년(1401년)
음력 3월 1일
태종 원년(1401년)
음력 7월 13일
평보
(平甫)
낙포
(洛圃)
익원
(翼元)
개국공신



{| class="wikitable"

|-

! colspan="3"|이름 !! rowspan="2"|재임 기간 !! rowspan="2"|국왕 !! rowspan="2"|비고

|-

! !! 한글 이름 !! 한자 이름

|-

| || 조준 || 趙浚 || 1392-1399 || 태조 || 문하좌정승(Munha Jwajeongseung)

|-

| || 심덕부 || 沈德符 || 1399-1400 || 정종 || 문하좌정승

|-

| || 성석린 || 成石璘 || 1400 || 정종 || 문하좌정승

|-

| || 민제 || 閔霽 || 1400 || 정종 || 문하좌정승

|-

| || 이거이 || 李居易 || 1400-1401 || 정종 || 문하좌정승

|-

| || 김사형 || 金士衡 || 1401-1402 || 태종 || 문하좌정승

|-

| || 하륜 || 河崙 || 1402-1404 || 태종 || 문하좌정승

|-

| || 조준 || 趙浚 || 1404-1405 || 태종 || 문하좌정승

|-

| || 하륜 || 河崙 || 1405-1407 || 태종 || 문하좌정승

|-

| || 성석린 || 成石璘 || 1407-1412 || 태종 || 문하좌정승

|-

| || 하륜 || 河崙 || 1412-1414 || 태종 || 문하좌정승

|-

| || 남재 || 南在 || 1414-1415 || 태종 ||

|-

| || 하륜 || 河崙 || 1415-1416 || 태종 ||

|-

| || 류정현 || 柳廷顯 || 1416 || 태종 ||

|-

| || 박은 || 朴訔 || 1416-1421 || 태종 ||

|-

| || 이원 || 李原 || 1421-1426 || 세종 ||

|-

| || 류정현 || 柳廷顯 || 1426 || 태종 ||

|-

| || 이직 || 李稷 || 1426-1427 || 세종 ||

|-

| || 황희 || 黃喜 || 1427-1430 || 세종 ||

|-

| || 맹사성 || 孟思誠 || 1431-1435 || 세종 ||

|-

| || 최윤덕 || 崔閏德 || 1435-1436 || 세종 ||

|-

| || 허조 || 許稠 || 1439 || 세종 ||

|-

| || 신개 || 申槩 || 1445-1446 || 세종 ||

|-

| || 하연 || 河演 || 1447-1449 || 세종 ||

|-

| || 황보인 || 皇甫仁 || 1449-1451 || 세종 ||

|-

| || 남지 || 南智 || 1451-1452 || 문종 ||

|-

| || 김종서 || 金宗瑞 || 1452-1453 || 단종 ||

|-

| || 정인지 || 鄭麟趾 || 1453-1455 || 단종 ||

|-

| || 한확 || 韓確 || 1455-1456 || 세조 ||

|-

| || 이사철 || 李思哲 || 1456 || 세조 ||

|-

| || 정창손 || 鄭昌孫 || 1457-1458 || 세조 ||

|-

| || 강맹경 || 姜孟卿 || 1458-1459 || 세조 ||

|-

| || 신숙주 || 申叔舟 || 1459-1462 || 세조 ||

|-

| || 권람 || 權擥 || 1462-1463 || 세조 ||

|-

| || 한명회 || 韓明澮 || 1463-1464 || 세조 ||

|-

| || 구치관 || 具致寬 || 1464-1466 || 세조 ||

|-

| || 황수신 || 黃守身 || 1466 || 세조 ||

|-

| || 심회 || 沈澮 || 1466-1467 || 세조 ||

|-

| || 최항 || 崔恒 || 1467 || 세조 ||

|-

| || 조석문 || 曺錫文 || 1467 || 세조 ||

|-

| || 홍달손 || 洪達孫 || 1467-1468 || 세조 ||

|-

| || 박원형 || 朴元亨 || 1468 || 세조 ||

|-

| || 김질 || 金礩 || 1468-1469 || 예종 ||

|-

| || 홍윤성 || 洪允成 || 1469 || 예종 ||

|-

| || 윤자운 || 尹子雲 || 1469-1470 || 예종 ||

|-

| || 김국광 || 金國光 || 1470-1471 || 성종 ||

|-

| || 최항 || 崔恒 || 1471-1474 || 성종 ||

|-

| || 한명회 || 韓明澮 || 1474-1476 || 성종 ||

|-

| || 조석문 || 曺錫文 || 1476 || 성종 ||

|-

| || 심회 || 沈澮 || 1476-1479 || 성종 ||

|-

| || 윤필상 || 尹弼商 || 1479-1485 || 성종 ||

|-

| || 홍응 || 洪應 || 1485-1492 || 성종 ||

|-

| || 노사신 || 盧思愼 || 1492-1495 || 성종 ||

|-

| || 신승선 || 愼承善 || 1495 || 연산군 ||

|-

| || 정괄 || 鄭佸 || 1495 || 연산군 ||

|-

| || 어세겸 || 魚世謙 || 1496-1498 || 연산군 ||

|-

| || 한치형 || 韓致亨 || 1498-1500 || 연산군 ||

|-

| || 성준 || 成俊 || 1500-1503 || 연산군 ||

|-

| || 이극균 || 李克均 || 1503-1504 || 연산군 ||

|-

| || 류순 || 柳洵 || 1504 || 연산군 ||

|-

| || 허침 || 許琛 || 1504-1505 || 연산군 ||

|-

| || 박숭질 || 朴崇質 || 1505-1506 || 연산군 ||

|-

| || 신수근 || 愼守勤 || 1506 || 연산군 ||

|-

| || 김수동 || 金壽童 || 1506 || 중종 ||

|-

| || 박원종 || 朴元宗 || 1506-1509 || 중종 ||

|-

| || 류순정 || 柳順汀 || 1509-1512 || 중종 ||

|-

| || 성희안 || 成希顔 || 1512-1513 || 중종 ||

|-

| || 송질 || 宋軼 || 1513 || 중종 ||

|-

| || 정광필 || 鄭光弼 || 1513-1516 || 중종 ||

|-

| || 김응기 || 金應箕 || 1516-1518 || 중종 ||

|-

| || 신용개 || 申用漑 || 1518-1519 || 중종 ||

|-

| || 안당 || 安瑭 || 1519 || 중종 ||

|-

| || 남곤 || 南袞 || 1519-1523 || 중종 ||

|-

| || 이유청 || 李惟淸 || 1523-1527 || 중종 ||

|-

| || 정광필 || 鄭光弼 || 1527 || 중종 ||

|-

| || 심정 || 沈貞 || 1527-1530 || 중종 ||

|-

| || 이항 || 李沆 || 1530-1531 || 중종 ||

|-

| || 장순손 || 張順孫 || 1531-1533 || 중종 ||

|-

| || 한효원 || 韓孝元 || 1533-1534 || 중종 ||

|-

| || 김근사 || 金謹思 || 1534-1535 || 중종 ||

|-

| || 김안로 || 金安老 || 1535-1537 || 중종 ||

|-

| || 윤은보 || 尹殷輔 || 1537 || 중종 ||

|-

| || 류부 || 柳溥 || 1537 || 중종 ||

|-

| || 홍언필 || 洪彦弼 || 1537-1545 || 중종 ||

|-

| || 윤인경 || 尹仁鏡 || 1545 || 인종 ||

|-

| || 류관 || 柳灌 || 1545 || 인종 ||

|-

| || 성세창 || 成世昌 || 1545 || 명종 ||

|-

| || 이기 || 李芑 || 1545-1548 || 명종 ||

|-

| || 홍언필 || 洪彦弼 || 1548 || 명종 ||

|-

| || 윤인경 || 尹仁鏡 || 1548 || 명종 ||

|-

| || 황헌 || 黃憲 || 1548-1549 || 명종 ||

|-

| || 심연원 || 沈連源 || 1549-1551 || 명종 ||

|-

| || 상진 || 尙震 || 1551-1558 || 명종 ||

|-

| || 윤개 || 尹漑 || 1558 || 명종 ||

|-

| || 안현 || 安玹 || 1558-1560 || 명종 ||

|-

| || 이준경 || 李浚慶 || 1560-1564 || 명종 ||

|-

| || 심통원 || 沈通源 || 1564-1565 || 명종 ||

|-

| || 이명 || 李蓂 || 1565-1567 || 명종, 선조 ||

|-

| || 권철 || 權轍 || 1567-1571 || 선조 ||

|-

| || 홍섬 || 洪暹 || 1571-1573 || 선조 ||

|-

| || 박순 || 朴淳 || 1573-1574 || 선조 ||

|-

| || 이탁 || 李鐸 || 1574 || 선조 ||

|-

| || 박순 || 朴淳 || 1574-1576 || 선조 ||

|-

| || 홍섬 || 洪暹 || 1576-1578 || 선조 ||

|-

| || 노수신 || 盧守愼 || 1578-1581 || 선조 ||

|-

| || 김귀영 || 金貴榮 || 1581-1583 || 선조 ||

|-

| || 정유길 || 鄭惟吉 || 1583-1584 || 선조 ||

|-

| || 노수신 || 盧守愼 || 1584-1585 || 선조 ||

|-

| || 정유길 || 鄭惟吉 || 1585-1588 || 선조 ||

|-

| || 류전 || 柳琠 || 1588-1589 || 선조 ||

|-

| || 이산해 || 李山海 || 1589-1590 || 선조 ||

|-

| || 정철 || 鄭澈 || 1590-1591 || 선조 ||

|-

| || 류성룡 || 柳成龍 || 1591-1592 || 선조 ||

|-

| || 이양원 || 李陽元 || 1592 || 선조 ||

|-

| || 최흥원 || 崔興源 || 1592 || 선조 ||

|-

| || 윤두수 || 尹斗壽 || 1592-1594 || 선조 ||

|-

| || 유홍 || 兪泓 || 1594 || 선조 ||

|-

| || 김응남 || 金應南 || 1595-1597 || 선조 ||

|-

| || 윤두수 || 尹斗壽 || 1598 || 선조 ||

|-

| || 이원익 || 李元翼 || 1598 || 선조 ||

|-

| || 이덕형 || 李德馨 || 1598-1599 || 선조 ||

|-

| || 심수경 || 沈守慶 || 1599 || 선조 ||

|-

| || 이덕형 || 李德馨 || 1599 || 선조 ||

|-

| || 이항복 || 李恒福 || 1599 || 선조 ||

|-

| || 이덕형 || 李德馨 || 1599 || 선조 ||

|-

| || 이헌국 || 李憲國 || 1599-1600 || 선조 ||

|-

| || 이항복 || 李恒福 || 1600 || 선조 ||

|-

| || 정탁 || 鄭琢 || 1600 || 선조 ||

|-

| || 이원익 || 李元翼 || 1600 || 선조 ||

|-

| || 이항복 || 李恒福 || 1600 || 선조 ||

|-

| || 이헌국 || 李憲國 || 1600-1601 || 선조 ||

|-

| || 김명원 || 金命元 || 1601-1602 || 선조 ||

|-

| || 윤승훈 || 尹承勳 || 1602-1604 || 선조 ||

|-

| || 류영경 || 柳永慶 || 1604 || 선조 ||

|-

| || 기자헌 || 奇自獻 || 1604-1606 || 선조 ||

|-

| || 심희수 || 沈喜壽 || 1606 || 선조 ||

|-

| || 허욱 || 許頊 || 1606-1608 || 선조 ||

|-

| || 기자헌 || 奇自獻 || 1608 || 광해군 ||

|-

| || 이항복 || 李恒福 || 1608-1611 || 광해군 ||

|-

| || 이덕형 || 李德馨 || 1611-1612 || 광해군 ||

|-

| || 이항복 || 李恒福 || 1612-1613 || 광해군 ||

|-

| || 정인홍 || 鄭仁弘 || 1614-1617 || 광해군 ||

|-

| || 정창연 || 鄭昌衍 || 1617-1618 || 광해군 ||

|-

| || 한효순 || 韓孝純 || 1618 || 광해군 ||

|-

| || 민몽룡 || 閔夢龍 || 1618 || 광해군 ||

|-

| || 박승종 || 朴承宗 || 1618-1619 || 광해군 ||

|-

| || 박홍구 || 朴弘耉 || 1619-1623 || 광해군 ||

|-

| || 정창연 || 鄭昌衍 || 1623 || 인조 ||

|-

| || 윤방 || 尹昉 || 1623-1627 || 인조 ||

|-

| || 신흠 || 申欽 || 1627 || 인조 ||

|-

| || 오윤겸 || 吳允謙 || 1627-1628 || 인조 ||

|-

| || 김류 || 金瑬 || 1628-1631 || 인조 ||

|-

| || 이정구 || 李廷龜 || 1631-1632 || 인조 ||

|-

| || 김류 || 金瑬 || 1633 || 인조 ||

|-

| || 오윤겸 || 吳允謙 || 1633-1636 || 인조 ||

|-

| || 홍서봉 || 洪瑞鳳 || 1636-1637 || 인조 ||

|-

| || 이성구 || 李聖求 || 1637 || 인조 ||

|-

| || 최명길 || 崔鳴吉 || 1637-1638 || 인조 ||

|-

| || 신경진 || 申景禛 || 1638-1643 || 인조 ||

|-

| || 심열 || 沈悅 || 1643 || 인조 ||

|-

| || 심기원 || 沈器遠 || 1643 || 인조 ||

|-

| || 김자점 || 金自點 || 1643-1644 || 인조 ||

|-

| || 심열 || 沈悅 || 1644 || 인조 ||

|-

| || 홍서봉 || 洪瑞鳳 || 1644 || 인조 ||

|-

| || 심열 || 沈悅 || 1644-1645 || 인조 ||

|-

| || 홍서봉 || 洪瑞鳳 || 1645 || 인조 ||

|-

| || 김자점 || 金自點 || 1646 || 인조 ||

|-

| || 김상헌 || 金尙憲 || 1646 || 인조 ||

|-

| || 이경석 || 李景奭 || 1647 || 인조 ||

|-

| || 남이웅 || 南以雄 || 1648 || 인조 ||

|-

| || 이경석 || 李景奭 || 1648-1649 || 인조 ||

|-

| || 김상헌 || 金尙憲 || 1649 || 효종 ||

|-

| || 정태화 || 鄭太和 || 1649 || 효종 ||

|-

| || 조익 || 趙翼 || 1649-1650 || 효종 ||

|-

| || 정태화 || 鄭太和 || 1650 || 효종 ||

|-

| || 조익 || 趙翼 || 1649-1650 || 효종 ||

|-

| || 이시백 || 李時白 || 1650-1651 || 효종 ||

|-

| || 김육 || 金堉 || 1651-1654 || 효종 ||

|-

| || 이시백 || 李時白 || 1654 || 효종 ||

|-

| || 구인후 || 具仁垕 || 1654-1656 || 효종 ||

|-

| || 심지원 || 沈之源 || 1656-1657 || 효종 ||

|-

| || 원두표 || 元斗杓 || 1657-1659 || 효종 ||

|-

| || 심지원 || 沈之源 || 1659-1662 || 현종 ||

|-

| || 원두표 || 元斗杓 || 1662-1664 || 현종 ||

|-

| || 홍명하 || 洪命夏 || 1664-1667 || 현종 ||

|-

| || 허적 || 許積 || 1667 || 현종 ||

|-

| || 정치화 || 鄭致和 || 1668 || 현종 ||

|-

| || 허적 || 許積 || 1668-1671 || 현종 ||

|-

| || 정치화 || 鄭致和 || 1671-1672 || 현종 ||

|-

| || 송시열 || 宋時烈 || 1672 || 현종 ||

|-

| || 김수항 || 金壽恒 || 1672-1673 || 현종 ||

|-

| || 이경억 || 李慶億 || 1673 || 현종 ||

|-

| || 송시열 || 宋時烈 || 1673 || 현종 ||

|-

| || 정지화 || 鄭知和 || 1674 || 현종 ||

|-

| || 김수항 || 金壽恒 || 1674 || 현종 ||

|-

| || 정치화 || 鄭致和 || 1674-1675 || 숙종 ||

|-

| || 김수항 || 金壽恒 || 1675 || 숙종 ||

|-

| || 권대운 || 權大運 || 1675-1679 || 숙종 ||

|-

| || 민희 || 閔熙 || 1679-1680 || 숙종 ||

|-

| || 정지화 || 鄭知和 || 1680 || 숙종 ||

|-

| || 민정중 || 閔鼎重 || 1680-1684 || 숙종 ||

|-

| || 정지화 || 鄭知和 || 1684-1685 || 숙종 ||

|-

| || 민정중 || 閔鼎重 || 1685 || 숙종 ||

|-

| || 정지화 || 鄭知和 || 1685 || 숙종 ||

|-

| || 남구만 || 南九萬 || 1685-1687 || 숙종 ||

|-

| || 이단하 || 李端夏 || 1687 || 숙종 ||

|-

| || 조사석 || 趙師錫 || 1688-1689 || 숙종 ||

|-

| || 여성제 || 呂聖齊 || 1689 || 숙종 ||

|-

| || 목내선 || 睦來善 || 1689-1694 || 숙종 ||

|-

| || 민암 || 閔黯 || 1694 || 숙종 ||

|-

| || 박세채 || 朴世采 || 1694-1695 || 숙종 ||

|-

| || 류상운 || 柳尙運 || 1695-1696 || 숙종 ||

|-

| || 윤지선 || 尹趾善 || 1696-1698 || 숙종 ||

|-

| || 이세백 || 李世白 || 1698-1699 || 숙종 ||

|-

| || 최석정 || 崔錫鼎 || 1699 || 숙종 ||

|-

| || 이세백 || 李世白 || 1700-1703 || 숙종 ||

|-

| || 신완 || 申琓 || 1703 ||

2. 3. 2. 좌정승


  • 태종 원년(1401년) 음력 7월 13일, 관제 개편으로 문하부가 폐지되고 의정부가 세워지면서 문하좌정승이 좌정승으로 개칭되었다.

대수성명본관취임일퇴임일붕당비고
1김사형
(金士衡)
안동
(安東)
태종 원년(1401년)
음력 7월 13일
태종 2년(1402년)
음력 10월 4일
개국공신
2하륜
(河崙)
진주
(晉州)
태종 2년(1402년)
음력 10월 4일
태종 4년(1404년)
음력 6월 6일
정사공신
3조준
(趙浚)
평양
(平陽)
태종 4년(1404년)
음력 6월 6일
태종 5년(1405년)
음력 1월 15일
영의정부사로 임명됨
4하륜
(河崙)
진주
(晉州)
태종 5년(1405년)
음력 1월 15일
태종 7년(1407년)
음력 7월 4일
좌명공신재이(災異)로 인한 사직
5성석린
(成石璘)
창녕
(昌寧)
태종 7년(1407년)
음력 7월 4일
태종 12년(1412년
음력 8월 21일
영의정부사로 임명됨
6하륜
(河崙)
진주
(晉州)
태종 12년(1412년)
음력 8월 21일
태종 14년(1414년)
음력 4월 17일
영의정부사로 임명됨


2. 3. 3. 판의정부사

태종 14년(1414년) 음력 4월 17일, 좌우정승 관직이 '판의정부사'로 재편되었다. 이는 왕권 강화를 위한 조치로, 의정부의 권한을 축소하고 왕에게 권력을 집중시키려는 태종의 의도가 반영된 결과였다.

대수성명본관취임일퇴임일아호시호붕당비고
1남재
(南在)
의령
(宜寧)
태종 14년(1414년)
음력 4월 17일
태종 14년(1414년)
음력 6월 12일
경지
(敬之)
구암
(龜巖)
충경
(忠景)
개국공신


2. 3. 4. 좌의정

태종 14년(1414년) 음력 6월 12일 관직 재개편에 따라 '판의정부사'가 '좌의정'으로 개칭되었다.

원래 조선 건국 후 '''문하성 좌시중'''(문하성좌시중, 門下省左侍中) 또는 '''문하 좌시중'''(문하좌시중, 門下左侍中)으로 시작했지만, 1400년, 의정부 판사(의정부판사, 議政府判事)로 개칭되었고, 1418년 (태종 18년)에 다시 '''좌의정부사'''(좌의정부사, 左議政府事)로 개명되었다. 1455년세조가 '''의정부 좌의정'''으로 명칭을 개칭했다.

1396년까지는 영의정은 명예직에 불과했고, 좌의정과 우의정이 정무를 주관했지만, 1396년부터는 영의정이 내각의 수위직을 맡게 되었다. 영의정보다 서열은 낮지만, 우의정의 상급 직위이며, 같은 정1품 상급 대광보국숭록대부의 직위이다.

1894년, 우의정·영의정과 통합되어 내각총리대신으로 변경되어, 이 관직은 폐지되었다.

좌의정을 역임한 사람은,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직위는 영의정과 같았으며, 송시열, 김상헌, 김상용을 제외하고는 사후 영의정으로 증직되지 않았다.

2. 4. 세종

세종 시기 좌의정은 국가의 중요한 직책으로, 여러 인물들이 이 자리를 거쳐갔다.

1421년에는 이원이 좌의정에 임명되었으나, 1426년 직첩을 회수당하고 안치되었다. 같은 해 류정현이 좌의정에 올랐으나 곧 치사(致仕)하였고, 이직이 그 뒤를 이었으나 노쇠함을 이유로 사직하였다.

1427년에는 황희가 좌의정에 임명되어 1430년까지 재임하였으나, 청탁죄로 파면되었다. 1431년에는 맹사성이 좌의정에 올라 1435년까지 재임한 후 치사하였다. 최윤덕1435년 좌의정에 임명되었으나 1436년 영중추원사가 되었다. 1439년에는 허조가 좌의정에 임명되어 같은 해 치사하였다.

1445년 신개가 좌의정에 임명되었으나 이듬해 사망하였다. 1447년에는 하연이 좌의정에 올랐다가 1449년 영의정으로 임명되었고, 같은 해 황보인이 좌의정을 거쳐 1451년 영의정에 임명되었다.

2. 5. 문종

문종 원년(1451년) 음력 10월 27일남지가 좌의정에 임명되었다. 남지는 의령 남씨로, 자는 지숙(智叔)이며 시호는 충간(忠簡)이다. 문종 재위 기간 동안 좌의정을 역임한 남지는 관학파에 속했다. 단종 즉위년(1452년) 음력 10월 1일에 영중추원사가 되면서 좌의정에서 물러났다.

2. 6. 단종

1452년 단종이 즉위하면서 김종서가 좌의정에 임명되었다. 김종서는 순천 (순천) 출신으로, 자는 국경(國卿), 호는 절재(節齋), 시호는 충익(忠翼)이다. 계유정난 때 살해되었다.

1453년에는 정인지가 좌의정에 임명되었다. 정인지는 하동 (하동) 출신으로, 자는 백저(伯雎), 호는 학역재(學易齋), 시호는 문성(文成)이며, 훈구파에 속하였다.

2. 7. 세조

세조는 1455년부터 1468년까지 재위하면서 여러 명의 좌의정을 임명하였다. 세조 즉위 초, 한확1455년 좌의정에 임명되었으나[7] 이듬해 사망하였다.[7] 이후 이사철1456년에 잠시 좌의정을 맡았다.[7] 정창손1457년 좌의정에 임명되어[8] 1458년까지 재임하였다.[8]

1458년에는 강맹경이, 1459년에는 신숙주가 좌의정에 올랐다. 신숙주1462년까지 좌의정으로 재직했다. 이후 권람(1462년~1463년), 한명회(1463년~1464년), 구치관(1464년~1466년)이 차례로 좌의정을 역임하였다.

1466년에는 황수신이 좌의정에 임명되었으나 같은 해 우의정으로 옮겨갔고, 심회가 이어받아 1467년까지 재직하였다. 1467년에는 최항, 조석문, 홍달손이 차례로 좌의정을 맡았다. 1468년에는 박원형이 좌의정에 임명되어 예종 즉위년(1468년)까지 재직하였다.

세조 시대 좌의정들은 대부분 계유정난과 세조의 즉위에 공을 세운 인물들로, 훈구파의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2. 8. 예종

예종 시기 좌의정은 1468년 김질이 임명되면서 시작되었다. 김질은 안동 김씨 출신으로, 자는 가안(可安), 호는 쌍곡(雙谷), 시호는 문정(文靖)이며, 훈구파에 속했고 상락군(上洛君)에 봉해졌다. 1469년 윤2월 10일에는 홍윤성이 좌의정에 임명되었다. 홍윤성은 회인 홍씨 출신으로, 자는 수옹(守翁), 호는 영해(領海), 시호는 위평(威平)이며, 같은 해 홍윤성은 영의정에 임명되었다. 1469년 8월 22일, 윤자운이 좌의정에 임명되었다. 무송 윤씨 출신인 윤자운은 자는 망지(望之), 호는 낙한재(樂閑齋), 시호는 문헌(文憲)이며, 1470년까지 좌의정을 역임하였다.

2. 9. 성종

성종 시대에는 여러 인물이 좌의정을 역임했다. 성종 원년(1470년) 음력 4월 6일에는 김국광이 좌의정에 임명되었으나, 이듬해 음력 8월 8일 사직을 청하였다. 1471년 음력 10월 23일 최항이 좌의정에 임명되었으나, 1474년 음력 4월 29일 사망하였다. 한명회1474년 음력 5월 15일 좌의정에 올랐으나, 1476년 음력 3월 29일 병으로 사임했다.

1476년 음력 4월 3일 조석문이 좌의정에 임명되어 같은 해 음력 8월 22일 창녕부원군에 봉해졌다. 같은 날 심회가 좌의정에 임명되었으나, 1479년 음력 7월 26일 추국을 받아 교체되었다. 윤필상1479년 음력 8월 1일 좌의정에 임명되어 1485년 음력 3월 28일 영의정에 임명될 때까지 재임했다. 같은 날 홍응이 좌의정에 임명되어 1492년 음력 4월 4일 사망할 때까지 재임했다. 노사신1492년 음력 5월 19일 좌의정에 임명되었고, 1495년 음력 3월 20일 영의정에 임명되었다.

이들 중 김국광, 최항, 한명회, 조석문, 심회, 윤필상, 홍응, 노사신은 모두 훈구파에 속한다.

2. 10. 연산군

연산군 시대의 좌의정은 잦은 교체와 정치적 격변을 겪었다. 연산군 원년(1495년) 신승선이 좌의정에 임명되었으나 같은 해 10월 4일 영의정에 임명되었고, 정괄이 좌의정에 올랐으나 4일 만에 사망하였다. 이후 어세겸이 연산군 2년(1496년) 2월 4일 좌의정에 임명되었으나, 연산군 4년(1498년) 무오사화에 연루되어 파직되었다. 무오사화김일손 등 신진 사류가 김종직의 조의제문을 사초에 실은 것이 발단이 되어 일어난 사화로, 많은 사림파 인물들이 화를 입었다.

한치형은 연산군 4년(1498년) 7월 28일 좌의정에 임명되어 연산군 6년(1500년) 4월 11일까지 재임하였고, 이후 성준이 좌의정에 올랐다. 성준은 연산군 9년(1503년) 1월 4일까지 좌의정으로 재직한 뒤 영의정에 임명되었다. 이극균은 연산군 9년(1503년) 좌의정에 임명되었으나, 연산군 10년(1504년) 갑자사화에 연루되었다. 갑자사화는 연산군의 생모인 폐비 윤씨의 복위 문제와 관련된 사건으로, 임사홍 등이 연산군에게 폐비 사건을 알려 많은 이들이 죽임을 당하거나 귀양을 갔다.

류순은 연산군 10년(1504년) 4월 5일 좌의정에 임명되었으나, 같은 해 4월 13일 영의정에 임명되었고,[9] 허침이 좌의정에 올랐으나 연산군 11년(1505년) 5월 16일 병으로 사망하였다.[9] 박숭질은 연산군 11년(1505년) 6월 4일 좌의정에 임명되었으나,[10] 연산군 12년(1506년) 7월 17일 병으로 교체되었다.[11] 신수근은 연산군 12년(1506년) 7월 17일 좌의정에 임명되었으나, 같은 해 9월 2일 중종반정 때 살해되었다.

2. 11. 중종

중종은 1506년 중종반정으로 왕위에 올라 1544년까지 재위했다. 중종 시대에는 반정 공신 세력인 훈구파사림파의 대립이 격화되었고, 이는 여러 차례의 사화로 이어졌다.

중종 즉위 초, 김수동이 좌의정에 임명되었으나 곧 모친상으로 사직하고, 중종반정의 주역인 박원종이 좌의정에 올랐다. 박원종훈구파의 중심인물로, 중종반정 이후 정국을 주도했다. 이후 류순정, 성희안 등이 좌의정을 역임했다.

1513년에는 정광필이 좌의정에 임명되어 1516년까지 재임했다. 이후 김응기, 신용개, 안당사림파 인물들이 좌의정에 등용되었다. 신용개는 재임 중 사망했고, 안당은 탄핵을 받아 영중추부사로 물러났다.

1519년 기묘사화 이후 남곤이 좌의정에 올랐으며, 이후 이유청이 그 뒤를 이었다. 1527년에는 정광필이 다시 좌의정에 임명되었으나 곧 영의정으로 승진하고, 심정이 좌의정이 되었다. 심정김안로의 탄핵으로 실각했다.

1530년에는 이행이 좌의정에 임명되었으나 면직되었고, 이후 장순손, 한효원, 김근사 등이 차례로 좌의정을 역임했다.

1535년, 김안로가 좌의정에 올라 권력을 장악했으나, 1537년 문정왕후 세력에 의해 제거되었다. 김안로가 실각한 후, 윤은보류부가 잠시 좌의정을 맡았다가, 홍언필이 좌의정에 임명되어 인종 즉위 초까지 재임했다. 홍언필소윤 세력의 중심인물로, 대윤 세력을 제거하는 데 앞장섰다.

2. 12. 인종

1545년 음력 1월 13일 윤인경이 좌의정에 임명되었으나, 1월 6일에 영의정으로 임명되었다. 윤인경은 대윤파였다. 같은 날, 류관이 좌의정에 임명되었고, 음력 8월 23일 판중추부사가 되었다.

2. 13. 명종

1545년 윤임과 연루되어 교체된 성세창을 시작으로, 명종 재위 기간 동안 여러 인물들이 좌의정을 거쳐갔다. 이기, 홍언필, 윤인경, 황헌, 심연원, 상진, 윤개, 안현, 이준경, 심통원, 이명, 권철 등이 그들이다.

명종 시기는 을사사화를 비롯한 외척 세력 간의 권력 다툼이 극심했던 시기였다. 소윤이기1545년부터 1548년까지 좌의정을 역임하며 권력을 행사했다. 1548년 음력 5월 2일에는 홍언필이 좌의정에 임명되었으나, 곧 영의정으로 승진하였다. 같은 해 음력 5월 17일 윤인경이 좌의정에 임명되었으나, 음력 7월 19일 사망하였다. 1558년에는 윤개가 대간의 탄핵으로 사직하기도 했다. 1560년에는 안현이 재직 중 사망하였다. 사림파였던 이준경1564년 양사의 탄핵으로 파직되었다.

2. 14. 선조

1571년 음력 5월 1일 홍섬이 좌의정에 임명되었으나, 1573년 음력 2월 12일 영중추부사로 임명되면서 물러났다. 이후 박순1573년 음력 2월 25일 좌의정에 임명되었으나, 1574년 음력 3월 1일 물러났다. 1574년 음력 4월 1일 이탁이 좌의정에 임명되었으나, 같은 해 음력 7월 1일 판중추부사에 임명되면서 물러났다. 박순이 다시 좌의정에 임명되어 1576년 음력 11월 1일까지 재임했다. 홍섬1576년 음력 12월 6일 다시 좌의정에 임명되었으나, 1578년 음력 11월 1일 영의정에 임명되면서 물러났다.

1578년 음력 11월 1일 노수신이 좌의정에 임명되었으나, 1581년 음력 9월 1일 모친상으로 관직에서 물러났다. 1581년 음력 9월 4일 김귀영이 좌의정에 임명되었으나, 1583년 음력 7월 16일 대간의 탄핵으로 사직했다. 1583년 음력 8월 29일 정유길이 좌의정에 임명되었으나, 1584년 음력 9월 20일 물러났다. 1584년 음력 9월 28일 노수신이 다시 좌의정에 임명되었으나, 1585년 음력 5월 1일 영의정에 임명되면서 물러났다. 1585년 음력 5월 1일 정유길이 다시 좌의정에 임명되었으나, 1588년 음력 9월 28일 재직 중 사망했다.

1588년 음력 12월 26일 류전이 좌의정에 임명되었으나, 1589년 음력 2월 1일 영의정에 임명되면서 물러났다. 1589년 음력 2월 1일 이산해가 좌의정에 임명되었으나, 1590년 음력 2월 6일 영의정에 임명되면서 물러났다. 1590년 음력 2월 8일 정철이 좌의정에 임명되었으나, 1591년 음력 2월 1일 영돈녕부사에 임명되면서 물러났다. 1591년 음력 2월 1일 류성룡이 좌의정에 임명되었으나, 1592년 음력 5월 1일 영의정에 임명되면서 물러났다.

임진왜란 발발 직후인 1592년 음력 5월 1일, 이양원이 좌의정에 임명되었으나 곧 음력 5월 3일 영의정에 임명되면서 물러났다. 같은 날 최흥원이 좌의정에 임명되었으나, 다음 날인 음력 5월 4일 영의정에 임명되면서 물러났다. 같은 날 윤두수가 좌의정에 임명되어 1594년 음력 10월 30일 대간의 탄핵으로 사직할 때까지 재임했다. 1594년 음력 11월 6일 유홍이 좌의정에 임명되었으나, 같은 해 음력 12월 29일 재직 중 사망했다.

1595년 음력 1월 4일 김응남이 좌의정에 임명되었으나, 1597년 음력 12월 11일 조기 사퇴했다. 1598년 음력 2월 25일 윤두수가 다시 좌의정에 임명되었으나, 같은 해 음력 3월 4일 대간의 탄핵으로 사직했다. 1598년 음력 4월 22일 이원익이 좌의정에 임명되었으나, 같은 해 음력 10월 8일 영의정에 임명되면서 물러났다. 같은 날 이덕형이 좌의정에 임명되었으나, 1599년 음력 4월 21일 잠시 사직했다. 1599년 음력 4월 21일 심수경이 좌의정에 임명되었으나, 같은 해 음력 4월 25일 좌의정으로 치사했다. 같은 날 이덕형이 다시 좌의정에 임명되었으나, 같은 해 음력 8월 17일 사직했다.

1599년 음력 9월 12일 이항복이 좌의정에 임명되었으나, 같은 해 음력 9월 15일 병으로 사직을 청했다. 1599년 음력 10월 23일 이덕형이 다시 좌의정에 임명되었으나, 같은 해 음력 11월 17일 사직했다. 같은 날 이헌국이 좌의정에 임명되었으나, 1600년 음력 1월 1일 사직했다. 같은 날 이항복이 다시 좌의정에 임명되었으나, 같은 해 음력 2월 20일 우의정에 임명되면서 물러났다. 같은 날 정탁이 좌의정에 임명되었으나, 같은 해 음력 4월 5일 대간의 탄핵으로 물러났다. 같은 날 이원익이 다시 좌의정에 임명되었으나, 같은 해 음력 4월 19일 대간의 탄핵으로 사직했다.

1600년 음력 4월 25일 이항복이 다시 좌의정에 임명되었으나, 같은 해 음력 6월 17일 영의정에 임명되면서 물러났다. 같은 날 이헌국이 다시 좌의정에 임명되었으나, 1601년 음력 4월 22일 사직했다. 1601년 음력 5월 16일 김명원이 좌의정에 임명되었으나, 1602년 음력 12월 10일 사망했다. 1603년 음력 2월 5일 윤승훈이 좌의정에 임명되었으나, 1604년 음력 5월 22일 영의정에 임명되면서 물러났다. 같은 날 류영경이 좌의정에 임명되었으나, 같은 해 음력 12월 6일 영의정에 임명되면서 물러났다. 같은 날 기자헌이 좌의정에 임명되었으나, 1606년 음력 7월 1일 병으로 사직했다.

1606년 음력 7월 20일 심희수가 좌의정에 임명되었으나, 같은 해 음력 9월 1일 병으로 면직되었다. 1606년 음력 9월 2일 허욱이 좌의정에 임명되었으나, 광해군 즉위년(1608년) 음력 3월 2일 탄핵으로 삭탈관직 후 유배되었다.

2. 15. 광해군

1608년 음력 3월 6일 기자헌이 좌의정에 임명되었으나, 대간의 탄핵으로 음력 4월 21일 사직하였다. 음력 5월 4일에는 이항복이 임명되었으나, 1611년 음력 8월 24일 우의정에 임명되면서 좌의정에서 물러났다. 이덕형이 1611년 음력 8월 24일부터 1612년 음력 9월 20일까지 좌의정을 맡았다가 영의정에 임명되었다. 이후 이항복이 다시 좌의정에 임명되었으나, 1613년 음력 6월 15일 탄핵 후 파직당했다.

정인홍1614년 음력 1월 19일 좌의정에 임명되어 1617년 음력 12월 29일 고령으로 사직할 때까지 재임했다. 정창연1617년 음력 12월 29일 임명되었으나, 1618년 음력 1월 15일 폐모론에 반대하며 사직했다. 한효순1618년 음력 1월 18일 임명되었으나, 대간의 탄핵으로 음력 6월 4일 사직했다. 민몽룡1618년 음력 6월 5일 임명되었으나, 음력 8월 4일 사망했다. 박승종1618년 음력 8월 5일부터 1619년 음력 3월 13일까지 재임 후 영의정에 임명되었다. 박홍구1619년 음력 3월 13일 임명되어 인조반정이 일어난 1623년 음력 3월 17일 탄핵 후 파직될 때까지 좌의정 자리를 지켰다.

광해군명나라후금 사이에서 중립 외교를 펼쳤으나, 폐모살제를 일으켜 서인 세력의 반발을 샀다. 결국 인조반정으로 광해군이 폐위되고 인조가 즉위하면서, 광해군 시기 좌의정을 지낸 인물들 역시 정치적 격변을 겪었다.

2. 16. 인조

인조 대에는 인조반정으로 서인이 집권하여 정국을 주도하였다. 초기에는 정창연이 좌의정에 임명되었으나 고령으로 사직하고, 윤방이 이어받았다. 1627년에는 신흠이 좌의정에 올랐다가 영의정이 되었고, 오윤겸이 그 뒤를 이었다. 김류1628년 좌의정이 되었으나 원종 추숭 반대로 면직되었다가 1633년 다시 등용되었다.

오윤겸1633년 다시 좌의정이 되었다가 1636년 사망하였고, 홍서봉이 뒤를 이었다. 1637년 이성구가 좌의정이 되었으나 대간의 탄핵으로 사직하고, 최명길이 임명되어 병자호란 이후 정국을 수습하였다. 신경진1638년부터 1643년까지 좌의정을 역임하고 영의정에 올랐다.

1643년 심기원이 좌의정에 임명되었으나 심기원의 옥으로 파직되고, 김자점이 등용되었다. 김자점1646년 영의정에 오르고, 김상헌이 좌의정이 되었으나 곧 사직하였다. 이후 이경석남이웅이 차례로 좌의정을 역임하였다.

인조 시기 좌의정은 인조반정 이후 서인 정권 아래에서 이괄의 난, 정묘호란, 병자호란 등 내우외환을 겪으며 국정을 운영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였다.

2. 17. 효종

효종은 즉위 초 김상헌을 좌의정에 임명하였으나, 노병으로 곧 사직하였다. 이후 정태화가 좌의정에 임명되었으나 곧 사직하였고, 조익이 좌의정에 임명되었다가 우의정으로 옮겨갔다. 정태화가 다시 좌의정에 임명되었으나 곧 사직하였고, 조익이 다시 좌의정에 임명되었다가 사직하였다.

이후 이시백이 좌의정에 임명되었다가 사직하였고, 김육이 좌의정에 임명되었다. 김육은 수재로 인해 면직되었으며, 이시백이 다시 좌의정에 임명되었다가 영의정으로 옮겨갔다. 구인후가 좌의정에 임명되었다가 사직하였고, 심지원이 좌의정에 임명되었다가 영중추부사로 옮겨갔다. 원두표가 좌의정에 임명되었다가 우의정으로 옮겨갔고, 심지원이 다시 좌의정에 임명되었다가 사망하였다.

2. 18. 현종

현종 대에는 예송 논쟁으로 인해 서인남인의 대립이 극심했다. 현종 3년(1662년) 원두표가 좌의정에 임명되었으나, 현종 5년(1664년) 사망하였다. 이후 홍명하가 좌의정에 올랐다가 현종 8년(1667년) 영의정에 임명되었다. 같은 해 남인허적이 좌의정에 임명되었으나 곧 사직하였다. 현종 9년(1668년) 서인정치화가 좌의정에 임명되었으나 곧 면직되었고, 다시 허적이 좌의정에 임명되어 현종 12년(1671년)까지 재임했다.

현종 12년(1671년) 정치화가 다시 좌의정에 임명되었으나 병으로 사직했다. 현종 13년(1672년) 송시열이 좌의정에 임명되었으나 사직하였고, 김수항이 좌의정에 올랐으나 죄를 청하고 사직하였다. 같은 해 이경억이 좌의정에 임명되었으나 병으로 면직되었다. 현종 14년(1673년) 송시열이 다시 좌의정에 임명되었으나 면직되었고, 현종 15년(1674년) 정지화가 좌의정에 임명되었으나 병으로 사직하였다. 같은 해 김수항이 다시 좌의정에 임명되어 숙종 즉위년(1674년)까지 재임했다.

2. 19. 숙종

1674년 서인정치화가 좌의정에 임명되었으나, 1675년 해면되었다. 같은 해 안동 김씨 김수항이 좌의정에 임명되었으나 유배되었다. 이후 남인권대운1679년까지 좌의정을 역임했다. 1679년 여흥 민씨 민희가 좌의정에 올랐으나, 1680년 경신환국으로 체직되었다.

1680년 경신환국 이후 서인이 다시 정권을 잡으면서, 정지화가 좌의정에 재임명되었으나 사직했다. 이후 민정중1684년까지 좌의정을 맡았으나 병으로 사직했다. 정지화가 다시 좌의정에 임명되었으나 또다시 병으로 사직하고, 민정중이 잠시 좌의정을 맡았다가 다시 정지화가 병으로 사직할 때까지 좌의정을 맡았다. 1685년 남구만이 좌의정에 임명되어 1687년까지 재임했다. 1687년 이단하가 좌의정에 임명되었으나 병으로 사직했다. 1688년에는 조사석이 좌의정에 임명되었으나, 1689년 기사환국으로 사직했다.

1689년 기사환국으로 남인이 집권하면서 여성제가 좌의정에 임명되었으나 곧 영의정에 임명되었다. 이후 목내선1694년까지 좌의정을 맡았으나, 갑술환국으로 삭직되었다. 민암1694년 좌의정에 임명되었으나, 곧 절도에 위리안치되었다.

1694년 갑술환국으로 소론이 집권하면서 박세채가 좌의정에 임명되었으나 1695년 사망했다. 류상운1696년까지, 윤지선1698년까지 좌의정을 역임했다. 1698년 노론이세백이 좌의정에 임명되었으나 1699년 사직했다. 1699년 소론최석정이 좌의정에 임명되었고, 같은 해 서문중이 좌의정에 올랐으나 1700년 영의정에 임명되었다.

1700년 다시 노론이세백이 좌의정에 임명되어 1703년 사망할 때까지 재임했다. 이후 신완이 잠시 좌의정을 맡았다가 영의정에 임명되었고, 이여1705년까지 좌의정을 맡았다. 1706년 서종태가 좌의정에 임명되어 1707년까지 재임했다. 1707년 김창집이 좌의정에 임명되었으나 사직하고, 이유1708년까지 좌의정을 맡았다. 1709년 이이명이 좌의정에 임명되었으나 사직하고, 서종태1711년까지 좌의정을 역임했다. 1711년 김창집이 다시 좌의정에 임명되었다가 우의정에 임명되고, 서종태가 다시 좌의정을 맡았다가 면직되었다. 1713년 이이명이 다시 좌의정에 임명되었으나 사직하고, 김창집1717년까지 좌의정을 역임했다. 1717년 이이명이 다시 좌의정에 임명되었으나 상소로 면직되었고, 권상하1720년까지 좌의정을 역임했다. 1720년 이건명이 좌의정에 임명되었으나, 1721년 신임사화로 파직되었다.

이처럼 숙종 시대에는 잦은 환국으로 인해 좌의정이 빈번하게 교체되었으며, 이는 붕당 간의 극심한 대립을 보여준다.

2. 20. 경종

경종 재위 기간(1720년 ~ 1724년) 동안 좌의정은 소론이 독차지했다. 1721년 신임사화로 인해 소론이 집권하고 노론이 몰락하면서, 최규서최석항이 좌의정에 임명되었다. 최규서는 1721년(경종 1년) 음력 12월 19일부터 1723년(경종 3년) 음력 8월 17일까지 재임하였고, 이후 영의정에 임명되었다. 최석항은 1723년(경종 3년) 음력 8월 18일부터 1724년(경종 4년) 음력 2월 24일까지 재임하였으며, 재임 중 사망하였다.

2. 21. 영조

영조는 탕평책을 추진하여 정국을 안정시키고 왕권을 강화하고자 노력했다. 영조 즉위년(1724) 소론이광좌가 좌의정에 임명되었으나 곧 영의정으로 옮겨갔고, 류봉휘가 좌의정이 되었으나 탄핵으로 면직되었다. 이후 조태억이 좌의정에 임명되었으나 역시 탄핵되었다.

영조 원년(1725) 노론정호가 좌의정에 임명되었다가 영의정으로 옮겨갔고, 민진원이 좌의정이 되었으나 면직되었다. 영조 2년(1726) 이관명이 좌의정에 임명되었으나 사직하였고, 홍치중이 좌의정이 되었다가 우의정에 임명되었다. 영조 3년(1727) 다시 조태억이 좌의정에 임명되었으나 병으로 사직하였다. 영조 4년(1728) 다시 홍치중이 좌의정에 임명되었다가 영의정에 임명되었다.

영조 5년(1729) 소론이태좌가 좌의정에 임명되었으나 사직하였고, 영조 6년(1730) 이집이 좌의정에 임명되었으나 모친상으로 사직하였다. 영조 8년(1732) 조문명이 좌의정에 임명되었으나 병이 위독하여 사직하였고, 서명균이 좌의정에 임명되었으나 탄핵으로 사직하였다. 영조 11년(1735) 김재로가 좌의정에 임명되어 영조 16년(1740)까지 재임했다.

영조 16년(1740) 소론송인명이 좌의정에 임명되어 영조 22년(1746) 사망할 때까지 재임하였다. 영조 22년(1746) 정석오가 좌의정에 임명되었으나 병으로 사직하였고, 영조 23년(1747) 조현명이 좌의정에 임명되었으나 면직되었다. 영조 25년(1749) 노론김약로가 좌의정에 임명되었으나 면직되었고, 영조 27년(1751) 다시 조현명이 좌의정에 임명되었다가 영돈녕부사에 임명되었다.

영조 28년(1752) 이종성이 좌의정에 임명되었다가 영의정에 임명되었고, 이천보가 좌의정에 임명되어 영조 30년(1754)까지 재임하였다. 영조 30년(1754) 김상로가 좌의정에 임명되어 영조 34년(1758) 파직될 때까지 재임하였다. 영조 34년(1758) 신만이 좌의정에 임명되었다가 우의정에 임명되었고, 영조 35년(1759) 다시 김상로가 좌의정에 임명되었다가 영의정에 임명되었다. 다시 신만이 좌의정에 임명되었으나 일련의 사태로 면직되었다.

영조 36년(1760) 이후가 좌의정에 임명되었으나 사도세자 평양 원유사건으로 음독자살하였다. 영조 37년(1761) 홍봉한이 좌의정에 임명되었다가 면직되었고, 정휘량이 좌의정에 임명되었으나 면직되었다. 영조 38년(1762) 다시 홍봉한이 좌의정에 임명되었다가 영의정에 임명되었다.

영조 39년(1763) 소론윤동도가 좌의정에 임명되어 영조 41년(1765)까지 재임하였다. 영조 41년(1765) 김상복이 좌의정에 임명되었으나 사직하였고, 영조 42년(1766) 김치인이 좌의정에 임명되었으나 사직하였다. 다시 윤동도가 좌의정에 임명되었다가 면직되었고, 다시 김치인이 좌의정에 임명되었다가 파직되었다. 또다시 윤동도가 좌의정에 임명되었다가 파직되었다.

영조 42년(1766) 한익모가 좌의정에 임명되어 영조 44년(1768)까지 재임하였다. 김양택이 좌의정에 임명되었으나 사직하였고, 다시 한익모가 좌의정에 임명되었다가 파직되었다. 다시 김양택이 좌의정에 임명되었으나 서지수의 시장에 관한 일로 파직되었다.

영조 45년(1769) 김상복이 좌의정에 임명되었으나 사직하였고, 영조 46년(1770) 다시 한익모가 좌의정에 임명되어 영조 48년(1772)까지 재임하였다. 신회가 좌의정에 임명되었다가 우의정에 임명되었고, 이은이 좌의정에 임명되었다가 삭직되었다.

영조 48년(1772) 김상철이 좌의정에 임명되었다가 면직되었고, 이창의가 좌의정에 임명되었으나 병으로 사직하였다. 다시 김상철이 좌의정에 임명되었다가 사직하였고, 다시 이은이 좌의정에 임명되었다가 충주목에 부처되었다. 또다시 김상철이 좌의정에 임명되어 영조 50년(1774)까지 재임하였다.

영조 50년(1774) 다시 이은이 좌의정에 임명되었으나 유양을 청하여 면직되었고, 다시 김상철이 좌의정에 임명되었으나 면직되었다. 또다시 이은이 좌의정에 임명되었으나 사직하였고, 이사관이 좌의정에 임명되어 영조 51년(1775)까지 재임하였다. 영조 51년(1775) 홍인한이 좌의정에 임명되었으나 삭직되었고, 다시 이사관이 좌의정에 임명되었다가 우의정으로 임명되었다. 영조 52년(1776) 이은이 좌의정에 임명되었으나 사직하였고, 신회가 좌의정에 임명되었다.

2. 22. 정조

정조 재위 기간 동안 김상철, 정존겸, 서명선, 홍낙순, 이은, 홍낙성, 이복원, 이재협, 이성원, 채제공, 김종수, 김이소, 유언호, 이병모, 심환지 등이 좌의정을 역임하였다. 정조 즉위년(1776년) 김상철이 좌의정에 임명되었으나 곧 해임되고, 정존겸이 임명되었다가 우의정으로 옮겨갔다. 다시 김상철이 좌의정에 임명되었으나 1777년 사직하였다. 정존겸은 1777년 다시 좌의정에 임명되었으나 1778년 아버지의 병환으로 사직하였다.

1778년 서명선이 좌의정에 임명되었고, 1779년 영의정에 임명되었다. 홍낙순은 1779년 좌의정에 올랐으나 1780년 홍국영과의 관련 문제로 삭탈관직 당했다. 같은 해 이은이 좌의정에 임명되었으나 상소로 면직되었고, 서명선이 다시 좌의정에 임명되어 1781년까지 재임하였다.

1782년 홍낙성이 좌의정에 임명되었으나 파직되었고, 이후 이복원이 1782년부터 1784년까지, 홍낙성이 1784년부터 1786년까지 좌의정을 역임하였다. 이복원은 1786년 다시 좌의정에 임명되어 1787년까지 재임하였다. 1787년 이재협이 좌의정에 임명되었으나 1788년 파직되었고, 이성원이 1788년부터 1789년까지 좌의정을 맡았다. 이재협은 1789년 다시 좌의정에 임명되었으나 곧 영의정으로 옮겨갔다.

1789년 남인 출신 채제공이 좌의정에 임명되어 1793년까지 재임하며 정조의 개혁 정치를 보좌했다. 1793년 김종수가 채제공과의 불화로 사직한 후, 김이소가 1793년부터 1795년까지 좌의정을 역임하였다. 1795년 유언호가 좌의정에 임명되었으나 병으로 사직하였고, 채제공이 다시 좌의정에 임명되어 1798년까지 재임하였다. 1798년 이병모가 좌의정에 임명되어 1799년까지 재임하였고, 1799년 심환지가 좌의정에 올라 1800년까지 재임하였다.

2. 23. 순조

순조 재위 기간 동안 이시수, 서용보, 서매수, 이경일, 한용귀, 김재찬, 김사목, 남공철, 이상황, 이존수, 심상규, 홍석주 등이 좌의정을 역임하였다. 이 시기는 세도 정치의 폐단이 심화되면서 사회적으로 큰 혼란을 겪던 시기였다.

이시수는 순조 즉위년(1800년) 음력 7월 4일 좌의정에 임명되어 순조 2년(1802년) 음력 10월 27일 영의정에 임명되었다. 이후 순조 4년(1804년) 음력 3월 22일 다시 좌의정에 임명되었으나, 음력 7월 10일 상소로 삭출되었다. 순조 6년(1806년) 음력 4월 5일 다시 좌의정에 임명되었으나, 순조 8년(1808년) 음력 4월 6일 병으로 사직하였다.

서용보는 순조 2년(1802년) 음력 10월 27일 좌의정에 임명되어 순조 4년(1804년) 음력 3월 6일 면직되었다. 이후 순조 6년(1806년) 음력 2월 21일 다시 좌의정에 임명되었으나, 음력 4월 5일 물러났다.

서매수벽파 출신으로, 순조 4년(1804년) 음력 7월 13일 좌의정에 임명되어 순조 5년(1805년) 음력 10월 15일 판중추부사에 임명되었다.

이경일은 순조 5년(1805년) 음력 10월 15일 좌의정에 임명되었으나, 음력 12월 6일 사직하였다.

한용귀는 순조 5년(1805년) 음력 12월 7일 좌의정에 임명되어 순조 6년(1806년) 음력 2월 15일 사직하였다. 이후 순조 12년(1812년) 음력 5월 1일 다시 좌의정에 임명되었으나, 순조 17년(1817년) 음력 2월 15일 사직하였다.

김재찬은 순조 8년(1808년) 음력 5월 5일 좌의정에 임명되어 순조 12년(1812년) 음력 5월 1일 영의정에 임명되었다. 이후 순조 17년(1817년) 음력 7월 26일 다시 좌의정에 임명되었으나, 음력 9월 9일 문외출송 당했다.

김사목은 순조 19년(1819년) 음력 1월 25일 좌의정에 임명되었으나, 음력 12월 25일 고령으로 사직하였다.

남공철은 순조 21년(1821년) 음력 4월 27일 좌의정에 임명되어 순조 22년(1822년) 음력 3월 6일 사직하였다.

이상황은 순조 24년(1824년) 음력 9월 22일 좌의정에 임명되어 순조 29년(1829년) 음력 4월 15일 병으로 사직하였다. 이후 순조 29년(1829년) 음력 10월 15일 다시 좌의정에 임명되었으나, 순조 33년(1833년) 음력 5월 16일 영의정에 임명되었다.

이존수는 순조 29년(1829년) 음력 6월 11일 좌의정에 임명되었으나, 음력 10월 13일 사망하였다.

심상규는 순조 33년(1833년) 음력 5월 16일 좌의정에 임명되어 순조 34년(1834년) 음력 7월 9일 영의정에 임명되었다.

홍석주는 순조 34년(1834년) 음력 7월 9일 좌의정에 임명되었으나, 헌종 2년(1836년) 음력 12월 28일 삼사의 탄핵으로 삭탈관직당했다.

2. 24. 헌종

1837년 음력 2월 19일 반남 출신의 박종훈이 좌의정에 임명되었으나, 1838년 음력 1월 29일 사직하였다. 1838년 음력 2월 4일에는 안동 출신의 김홍근이 좌의정에 임명되어 1842년 음력 10월 25일까지 재임하였다. 그는 병으로 사직하였다.

1842년 음력 10월 30일, 동래 출신의 정원용이 좌의정에 임명되었으나, 1843년 음력 4월 6일 상소를 올려 사직하였다. 1843년 음력 6월 8일에는 안동 출신의 권돈인이 좌의정에 임명되어 1845년 음력 3월 27일까지 재임하였다. 1845년 음력 5월 19일 경주 출신의 김도희가 좌의정에 임명되어 1850년 음력 1월 11일까지 재임 후 사직하였다.

2. 25. 철종

1850년 정원용이 좌의정에 취임하였으나 같은 해 사직하였다. 1851년에는 김흥근이 좌의정에 임명되었으나 역시 같은 해 사직하였다. 1852년에는 박영원이 좌의정에 올랐으나 몇 달 만에 사직하였고, 이어 이헌구가 좌의정에 임명되어 1853년까지 재임하였다.

1856년 김도희가 좌의정에 임명되어 1857년까지 재직하였다. 1858년 조두순이 좌의정에 취임하였으나 같은 해 사직하였다. 1859년 박회수가 좌의정에 임명되어 1860년까지 재임하였다. 1860년 조두순이 다시 좌의정에 임명되어 1864년까지 재임하다 영의정에 임명되었다.

2. 26. 고종

고종 시기 좌의정은 1864년 고종 즉위부터 1894년 갑오개혁으로 좌의정 제도가 폐지될 때까지 존속했다. 이 시기 좌의정에는 이유원, 김병학, 류후조, 강로, 이최응, 김병국, 서당보, 송근수, 김병덕, 김병시, 김홍집, 조병세 등이 임명되었다.

1894년, 좌의정은 우의정·영의정과 통합되어 내각총리대신으로 변경되면서 폐지되었다. 좌의정을 역임한 사람은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직위는 영의정과 같았으며, 송시열, 김상헌, 김상용을 제외하고는 사후 영의정으로 증직되지 않았다.

대수성명본간취임일퇴임일붕당비고
334이유원
(李裕元)
경주
(慶州)
고종 원년(1864년)
음력 6월 15일
고종 2년(1865년)
음력 2월 25일
무소속
335김병학
(金炳學)
안동
(安東)
고종 2년(1865년)
음력 3월 3일
고종 4년(1867년)
음력 3월 14일
대원군사직
336김병학
(金炳學)
안동
(安東)
고종 4년(1867년)
음력 5월 3일
고종 4년(1867년)
음력 5월 18일
영의정에 임명됨
337류후조
(柳厚祚)
풍산
(豊山)
고종 4년(1867년)
음력 5월 18일
고종 4년(1867년)
음력 7월 15일
338이유원
(李裕元)
경주
(慶州)
고종 5년(1868년)
음력 4월 11일
고종 5년(1868년)
음력 4월 23일
중전
339강로
(姜㳣)
진주
(晉州)
고종 9년(1872년)
음력 10월 12일
고종 10년(1873년)
음력 11월 11일
대원군
340이최응
(李最應)
전주
(全州)
고종 11년(1874년)
음력 12월 17일
고종 12년(1875년)
음력 11월 20일
수구당
341김병국
(金炳國)
안동
(安東)
고종 15년(1878년)
음력 8월 18일
고종 17년(1880년)
음력 2월 17일
개화당
342김병국
(金炳國)
안동
(安東)
고종 17년(1880년)
음력 8월 28일
고종 19년(1882년)
음력 1월 12일
343서당보
(徐堂輔)
대구
(大丘)
고종 19년(1882년)
음력 1월 12일
고종 19년(1882년)
음력 1월 13일
수구당
344송근수
(宋近洙)
은진
(恩津)
고종 19년(1882년)
음력 1월 13일
고종 19년(1882년)
음력 5월 3일
위정척사파
345김병국
(金炳國)
안동
(安東)
고종 19년(1882년)
음력 9월 2일
고종 21년(1884년)
음력 4월 29일
개화당영돈녕부사에 임명됨
346이재원
(李載元)
전주
(全州)
고종 21년(1884년)
음력 10월 18일
고종 21년(1884년)
음력 10월 20일
347심순택
(沈舜澤)
청송
(靑松)
고종 21년(1884년)
음력 10월 20일
고종 21년(1884년)
음력 10월 21일
영의정에 임명됨
348김홍집
(金弘集)
경주
(慶州)
고종 21년(1884년)
음력 10월 21일
고종 21년(1884년)
음력 11월 27일
349김병덕
(金炳德)
안동
(安東)
고종 22년(1885년)
음력 11월 2일
고종 22년(1885년)
음력 11월 9일
무소속
350김병시
(金炳始)
안동
(安東)
고종 23년(1886년)
음력 8월 6일
고종 23년(1886년)
음력 9월 13일
수구당판중추부사에 임명됨
351김병시
(金炳始)
안동
(安東)
고종 23년(1886년)
음력 9월 29일
고종 23년(1886년)
음력 10월 10일
352김홍집
(金弘集)
경주
(慶州)
고종 24년(1887년)
음력 10월 29일
고종 25년(1888년)
음력 3월 21일
개화당
353김병시
(金炳始)
안동
(安東)
고종 25년(1888년)
음력 8월 18일
고종 25년(1888년)
음력 9월 30일
수구당판중추부사에 임명됨
354송근수
(宋近洙)
은진
(恩津)
고종 29년(1892년)
음력 6월 17일
고종 29년(1892년)
음력 7월 21일
위정척사파
355조병세
(趙秉世)
양주
(楊州)
고종 30년(1893년)
음력 2월 2일
고종 31년(1894년)
음력 7월 3일
수구당


3. 좌의정 제도의 변천

조선 건국 초기 좌의정은 '''문하좌시중(門下左侍中)'''으로 불렸다. 1400년(정종 2년) 관제 개혁 때 '''문하좌정승(門下左政丞)'''으로 바뀌었다가, 1401년(태종 1년) '''판의정부사(判議政府事)'''로 잠시 개칭되었다. 1414년(태종 14년) 의정부 기능이 강화되면서 다시 '''좌정승(左政丞)'''으로 변경되었고, 1418년(태종 18년) '''좌의정부사(左議政府事)'''로 개칭되었다. 이후 1455년(세조 원년)에 '''좌의정(左議政)'''으로 최종 변경되었다.

1396년까지는 영의정이 명예직이었고 좌의정과 우의정이 정무를 주관했지만, 이후 영의정이 내각 수반 역할을 맡게 되었다. 좌의정은 영의정보다는 서열이 낮지만 우의정보다는 높은 정1품 대광보국숭록대부에 해당하는 직위였다.

1894년 갑오개혁으로 의정부가 내각으로 개편되면서 좌의정은 우의정, 영의정과 함께 내각총리대신으로 통합, 폐지되었다.

좌의정을 역임한 인물은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사후 영의정으로 증직되지 않았다. 송시열, 김상헌, 김상용 등이 그러한 예외에 해당한다.

4. 좌의정의 권한과 역할

이씨 조선 건국 후 '''문하성 좌시중'''(문하성좌시중, 門下省左侍中) 또는 '''문하 좌시중'''(문하좌시중, 門下左侍中)으로 시작했지만, 1400년에 의정부 판사(의정부판사, 議政府判事)로 개칭되었고, 1418년 (태종 18년)에 다시 '''좌의정부사'''(좌의정부사, 左議政府事)로 개명되었다. 1455년세조가 '''의정부 좌의정'''으로 명칭을 개칭했다.

1396년까지는 영의정은 명예직에 불과했고, 좌의정과 우의정이 정무를 주관했지만, 1396년부터는 영의정이 내각의 수위직을 맡게 되었다. 영의정보다 서열은 낮지만, 우의정의 상급 직위이며, 같은 정1품 상급 대광보국숭록대부의 직위이다.

1894년, 우의정·영의정과 통합되어 내각총리대신으로 변경되어, 이 관직은 폐지되었다.

좌의정을 역임한 사람은,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직위는 영의정과 같았으며, 송시열, 김상헌, 김상용을 제외하고는 사후 영의정으로 증직되지 않았다.

5. 붕당과 좌의정

6. 주요 좌의정



조선 시대 좌의정은 국왕을 보좌하고 백관을 통솔하며 국정을 총괄하는 중요한 직책이었다. 역사적으로 중요한 업적을 남긴 좌의정들은 다음과 같다.


  • '''황희'''(黃喜, 1363년 ~ 1452년)는 조선 초기의 문신으로, 세종 대에 좌의정을 지내며 여러 정책을 입안하고 시행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 '''맹사성'''(孟思誠, 1360년 ~ 1438년)은 조선 초기의 문신으로, 청렴하고 검소한 생활로 유명하며, 세종 대에 좌의정을 지내면서 백성들의 생활 안정에 기여하였다.
  • '''김종서'''(金宗瑞, 1383년 ~ 1453년)는 조선 초기의 문신이자 장군으로, 세종과 문종 대에 좌의정을 지냈다. 육진을 개척하여 국방을 강화하고, 계유정난 때 수양대군(후의 세조)에게 살해되었다.
  • '''신숙주'''(申叔舟, 1417년 ~ 1475년)는 조선 초기의 문신으로, 세조 즉위에 공을 세워 좌의정에 올랐으며, 외교와 학문 분야에서 뛰어난 업적을 남겼다.
  • '''한명회'''(韓明澮, 1415년 ~ 1487년)는 조선 초기의 문신으로, 계유정난을 주도하고 세조 즉위에 큰 공을 세워 좌의정에 올랐다.
  • '''이산해'''(李山海, 1539년 ~ 1609년)는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선조 대에 좌의정을 지냈으며, 임진왜란 당시 왕을 호종하고 국난 극복에 힘썼다.
  • '''류성룡'''(柳成龍, 1542년 ~ 1607년)은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선조 대에 좌의정을 지냈으며, 임진왜란 당시 군사력 강화와 민생 안정에 힘썼다. 징비록을 저술하여 전란의 참상을 기록하고 후세에 교훈을 남겼다.
  • '''이항복'''(李恒福, 1556년 ~ 1618년)은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선조와 광해군 대에 좌의정을 지냈으며, 임진왜란 이후 혼란스러운 정국을 수습하고 백성들의 삶을 안정시키기 위해 노력했다.
  • '''최명길'''(崔鳴吉, 1586년 ~ 1647년)은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인조 대에 좌의정을 지냈으며, 병자호란 당시 주화론을 주장하여 국난을 수습하고자 하였다.
  • '''김상헌'''(金尙憲, 1570년 ~ 1652년)은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인조 대에 좌의정을 지냈으며, 병자호란 당시 척화론을 주장하며 끝까지 항전할 것을 주장하였다.
  • '''송시열'''(宋時烈, 1607년 ~ 1689년)은 조선 중기의 문신이자 성리학자로, 현종과 숙종 대에 좌의정을 지냈으며, 서인의 영수로서 강력한 정치적 영향력을 행사하였다.
  • '''김수항'''(金壽恒, 1629년 ~ 1689년)은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현종과 숙종 대에 좌의정을 지냈으며, 서인의 핵심 인물로 활동하였다.
  • '''채제공'''(蔡濟恭, 1720년 ~ 1799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으로, 정조 대에 좌의정을 지냈으며, 탕평책을 추진하고 수원 화성 건설을 감독하는 등 개혁 정치에 힘썼다.
  • '''김홍집'''(金弘集, 1842년 ~ 1896년)은 조선 말기의 문신이자 개화파 정치인으로, 고종 대에 좌의정을 지냈으며, 갑오개혁을 주도하였으나 아관파천 이후 친일파로 몰려 살해되었다.


이 외에도 조준, 하륜, 정인지, 홍윤성, 박원종, 정광필, 김안로, 홍섬, 정철, 윤두수, 오윤겸, 이경석, 허적 등이 좌의정을 역임했다.

7. 추서된 좌의정

8. 결론

참조

[1] 웹사이트 좌의정(左議政), Jwauijeong http://www.aks.ac.kr[...] 2009-01-31
[2] 서적 The Origin of the Roman Catholic Church in Korea https://books.google[...] 2006
[3] 웹사이트 좌의정 (左議政) http://100.empas.com[...] Empas / EncyKorea 2009-01-31
[4] 웹사이트 도평의사사 (都評議使司), Dopyeonguisasa http://www.aks.ac.kr[...] Academy of Korean Studies 2009-01-31
[5] 웹사이트 우의정(右議政), uuijeong http://www.aks.ac.kr[...] Academy of Korean Studies 2009-01-29
[6] 웹사이트 정승(政丞), Jeongseung http://www.aks.ac.kr[...] Academy of Korean Studies 2009-01-29
[7] 문서 세조실록
[8] 문서 세조실록
[9] 문서 연산군일기
[10] 문서 연산군일기
[11] 서적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