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서부경찰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부산서부경찰서는 1957년 7월 26일 서부산경찰서로 개서하여, 1963년 부산서부경찰서로 변경되었다. 1973년 서부경찰서로 명칭이 변경되었으며, 1989년 사하경찰서 개서에 따라 일부 파출소가 이관되었다. 2000년 청사를 개축했다. 부산 서구 전체를 관할하며, 구덕지구대, 충무지구대, 송도지구대, 아미파출소 등의 지구대와 파출소를 운영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부산 서구 소재의 관공서 - 임시수도기념관
부산 임시수도기념관은 한국 전쟁 당시 대통령 관저로 사용되었던 역사적인 2층 건물로, 현재는 이승만 대통령 유품 등을 전시하는 박물관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부산광역시 지정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 부산 서구 소재의 관공서 - 부산광역시국제수산물유통시설관리사업소
부산광역시국제수산물유통시설관리사업소는 부산광역시 산하 사업소로, 수산물도매시장의 관리·운영, 유통업종사자 지도·감독, 도매시장 사용료 부과·징수 등을 담당한다. - 부산광역시의 경찰서 - 부산북부경찰서
부산북부경찰서는 1999년 개서하여 부산광역시 북구를 관할하며 구포, 만덕, 화명, 덕천 지구대와 금곡파출소를 운영하여 치안 유지 및 범죄 예방 활동을 수행한다. - 부산광역시의 경찰서 - 부산동래경찰서
부산동래경찰서는 1945년 동래경찰서로 시작하여 관할 구역 조정과 명칭 변경을 거쳐 2001년 현재의 이름으로 변경되었으며, 부산 동래구를 관할하며 6개의 지구대 및 파출소를 운영하고 있다. - 1957년 설치 - 중구 (부산광역시)
부산광역시 중구는 부산의 중심지로, 과거 왜관이 위치했으며 부산부청과 부산시청이 있었고 현재는 교통의 요지이자 다양한 관광 명소를 보유하고 있다. - 1957년 설치 - 서구 (부산광역시)
서구는 부산광역시의 구로, 해방 이후 서부출장소에서 구제로 개편되어 현재 13개의 행정동으로 구성되었으며, 남해 바다와 접하고 온대계절풍 기후의 영향을 받으며, 송도해수욕장, 임시수도기념관, 송도해상케이블카 등의 시설이 있다.
부산서부경찰서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 | |
기본 정보 | |
명칭 | 부산서부경찰서 |
한글 | 부산서부경찰서 |
한자 | 釜山西部警察署 |
영어 | Busan Seobu Police Station |
설치년도 | 1957년 |
주소 | 부산광역시 서구 대영로 16 (서대신동2가) |
상급기관 | 부산광역시경찰청 |
관할구역 | 서구 일원 |
웹사이트 | 부산서부경찰서 |
조직 | |
과 수 | (정보 없음) |
지구대 수 | 3 |
파출소 수 | (정보 없음) |
치안센터 수 | 4 |
위치 정보 | |
우편번호 | 602-762 |
주소 | 부산광역시 서구 대영로 14 |
기타 | |
특기사항 | (정보 없음) |
2. 연혁
- 1957년 7월 26일: 서부산경찰서로 개서하였다.[1]
- 1963년 1월 1일: 부산서부경찰서로 변경되었다.[2]
- 1973년 7월 14일: 서부경찰서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 1989년 8월 1일: 사하경찰서 개서에 따라 일부 파출소가 이관되었다.
- 2000년 10월 25일: 청사를 개축하였다.
3. 관할 구역
지구대 및 파출소 | 관할 구역 |
---|---|
구덕지구대 | 서구 동대신동, 서대신동 |
충무지구대 | 서구 초장동, 충무동, 토성동, 부민동, 부용동 |
송도지구대 | 서구 남부민동, 암남동 |
아미파출소 | 서구 아미동 |
4. 관할 지구대 및 파출소
동대치안센터